||<-2> {{{+1 '''데빌스.원'''}}} || ||<-2> '''{{{#000 devils.one}}}''' || ||<-2> [[파일:600px-Devils_one_logo_big.png|height=300]] [br][* [[파일:external/wiki.teamliquid.net/600px-Team_Kinguin.png|height=300]]kinguin시절 로고.] || || '''소재지''' ||[include(틀:국기, 국명=폴란드)] || || '''링크''' ||[[https://devils.one/| [[파일:600px-Devils_one_logo_big.png|width=18]]]]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devils1gg, 크기=20)] [[https://www.facebook.com/devils1gg|[[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 || [목차] [clearfix] == 개요 == [[https://www.kinguin.net]] [[폴란드]]의 프로게임단, 그리고 홍콩에 본사를 둔 kinguin이 운영하는 ESD 게임키 판매사이트의 후원을 받고있다. 2018년 2월 19일 기존 팀명을 Team kinguin에서 devils.one으로 변경했다. == [[레인보우 식스 시즈]] == [include(틀:레인보우 식스 시즈 프로게임단)] == [[카운터 스트라이크: 글로벌 오펜시브]] == [include(틀:CS 프로게임단/해체)] 이전 팀은 2015년 5월 5일 팀을 창단했으나 같은해 9월 11에 [[G2 Esports]]로 이적했다. 팀태그는 G2.Kinguin으로 활동을했다. 하지만 2016년 1월 20일 팀원 전원이 [[FaZe Clan]]으로 이적했다. 그 후 10개월뒤 [[폴란드]]국적의 팀인 Dobry&Gaming[* 前Lounge Gaming]선수들을 영입해 다시 활동하고 있다. 우연스러운건, G2 Esports로 이적한팀이 G2 2세대 팀이고 현재 이선수들이 G2 1세대 팀이었다. [[DreamHack]] Winter 2016에서는 4강진출, [[WESG]]2016에 출전해 준결승에서 같은나라 팀이자 한수위에 있던팀인 [[Virtus Pro]]를이기고 결승에 갔지만 [[Team EnVyUs]]에게 지고 준우승을 했었다. [[ESEA]] Season 23: Europe Premier에서 [[Team LDLC.com]]와같이 공동 1위를 해 [[ESL]] Pro League Season 5직행전에서 LDLC를 16:2,16:9로 압살하면서 바로 1부리그로 올라갔다. === 해체 당시 멤버 === * Karol 'rallen' Rodowicz * Mikołaj 'mouz' Karolewski * Jacek 'MINISE' Jeziak[* 방출후 Pride Gaming으로 이적했다가 다시 재영입되었다.] * Wiktor 'TaZ' Wojtas HLTV 선정 연간 Top 20 플레이어: 2011년 6위(CS:1.6) * Paweł "dycha" Dycha (트라이) * Mariusz "Loord" Cybulski(코치) === 전 멤버 === * Paweł 'reatz' Jańczak * Grzegorz 'SZPERO' Dziamałek * Kacper 'kap3r' Słoma * Michał 'MICHU' Müller(2018년 2월 6일 TaZ와 맞교환으로 [[Virtus.pro]]의 임시대출로 영입되었다가 3월 22일 정식으로 계약했다.) * Ricardo 'fox' Pacheco * Christopher 'MUTiRiS' Fernandes * Bartosz 'Hyper' Wolny * Damian 'Furlan' Kislowski * Paweł 'innocent' Mocek == [[리그 오브 레전드]] == [include(틀:롤 ERL 참가팀)] ---- ||<-2> [[파일:1200px-Devils.one_full.png|width=220]] || ||<-2> '''{{{+1 데빌스.원}}}''' || ||<-2> '''{{{#000 {{{+1 devils.one}}}}}}''' || || '''창단''' ||[[2019년]] [[1월 16일]]|| || '''소속 리그''' ||'''{{{#000 UL}}}'''|| || '''팀명''' ||Esports Performance Center(2019) '''devils.one(2019~)'''|| || '''설립자''' ||빅터 완리|윅터 와이다스 {{{#!wiki style="display:inline;padding:1px 2px;border-radius:3px;background:#000;font-size:.9em" {{{#fff TaZ}}}}}}|| || '''CEO''' ||마세즈 사위키 {{{#!wiki style="display:inline;padding:1px 2px;border-radius:3px;background:#000;font-size:.9em" {{{#fff Sawik}}}}}}|| || '''매니저''' ||카밀 후지크 {{{#!wiki style="display:inline;padding:1px 2px;border-radius:3px;background:#000;font-size:.9em" {{{#fff CHUDY}}}}}}|| || '''감독''' ||피오트르 마투솁스키 {{{#!wiki style="display:inline;padding:1px 2px;border-radius:3px;background:#000;font-size:.9em" {{{#fff MaruzeL}}}}}}|| || '''코치''' ||미하우 쥬콥스키 {{{#!wiki style="display:inline;padding:1px 2px;border-radius:3px;background:#000;font-size:.9em" {{{#fff vStr0ng3r}}}}}}|| || '''분석''' ||미하우 노보첸 {{{#!wiki style="display:inline;padding:1px 2px;border-radius:3px;background:#000;font-size:.9em" {{{#fff Serek}}}}}}|| || '''약칭''' ||'''{{{#fff {{{+1 DV1}}}}}}'''|| ||<-2> [[https://dv1.gg/| [[파일:600px-Devils_one_logo_big.png|height=25]]]]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devils1gg, 크기=20)] [[https://www.facebook.com/devils1gg|[[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 [[https://instagram.com/devils1gg|[[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https://www.youtube.com/devils1gg|[[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2> '''{{{#000 우승 기록}}}''' || || ''' __UL__''' (1회) ||S2|| || '''ESL 유로컵''' (1회) ||2019|| ||<-2> '''{{{#000 로스터}}}''' || ||<-2> {{{#!wiki style="margin: 0 -10px" {{{#373a3c,#ddd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파일:롤아이콘-포지션-탑-White.svg|width=25]] '''TOP''' || [[폴란드|[[파일:폴란드 국기.svg|width=20]]]] 파트리크 랑게르[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 font-size: 1.0em" {{{#fff PolskiFok}}}}}} || || || [[파일:롤아이콘-포지션-정글-White.svg|width=25]] '''JGL''' || [[폴란드|[[파일:폴란드 국기.svg|width=20]]]] 위톨드 니펠[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 font-size: 1.0em" {{{#fff Diagu}}}}}} || || || [[파일:롤아이콘-포지션-미드-White.svg|width=25]] '''MID''' || [[폴란드|[[파일:폴란드 국기.svg|width=20]]]] 마르친 쉐흐[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 font-size: 1.0em" {{{#fff bucu}}}}}} || || || [[파일:롤아이콘-포지션-원거리-White.svg|width=25]] '''BOT''' || [[북마케도니아|[[파일:북마케도니아 국기.svg|width=20]]]] 니콜라 페트루세프[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 font-size: 1.0em" {{{#fff Axelent}}}}}} || || || [[파일:롤아이콘-포지션-서포터-White.svg|width=25]] '''SPT''' || [[독일|[[파일:독일 국기.svg|width=20]]]] 게오르그 킨즐[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 font-size: 1.0em" {{{#fff Taewang}}}}}} || [[폴란드|[[파일:폴란드 국기.svg|width=20]]]] 아담 바르토섹[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 font-size: 1.0em" {{{#fff AdaMed}}}}}} ||}}}}}}}}}}}} || ||<-2> '''{{{#000 팀 컬러}}}''' || ||<-2> {{{#!wiki style="margin: 0 -10px" {{{#373a3c,#ddd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2> {{{#fff '''팀 컬러'''}}} || ||<-2> {{{+5 {{{#000 ■}}} {{{#fff ■}}}}}} ||}}}}}}}}}}}} || ~~'''[[군계일학|IceBeasto와 네마리의 펭귄들]]'''~~ 원래 [[G2 Esports]]의 스폰서 중 하나였으나, 자체적으로 게임단을 창단했다. [[거짓말은 하지 않는다|유럽 원딜계의 전설이자 LoL 프로판의 역사에 한 획을 그은]] 원딜러 Woolite가 인스파이어 이스포츠를 떠나 순수 폴란드인만을 모아 창단한 Team #1을 후원하게 된 것. Team #1은 소규모 대회에서 스티브, 스프래틀, UoL 2주땜빵 출신의 루디, 후에 템포스톰 미드가 되는 햇트릭스 그리고 듣보잡 원딜로 구성된 샬케04의 새 로스터를 꺾고 해당 대회 우승컵을 들어올렸다.~~잘한건 아닌듯~~ 어쨌든 로캣과 이 팀 사이 과거의 폴란드 팀인 Iluminar Honor Gaming[* 오버파우, 니큐, 크레톤 등이 소속되어 있던 팀으로, 잘 됐을리가(...) 2부리그도 못올라갔다.]보다는 훨씬 강한 로스터라는 평가. 사실 정글러 타바스코와 서포터 Delord가 바로 그 팀 출신이다. 그리고 EUCS 오픈예선 EUNE(북동유럽) 예선을 전승으로 통과하며 최종예선에 합류했다. 울라이트의 컬트적인 인기(...)와 원딜 탑을 제외한 나머지 대부분의 선수들이 2부리그를 전전하며 보여준 별볼일 없는 경력으로 인해 약체로 예상되었다. 중위권은 가능하지만 슈퍼팀인 프나틱 아카데미나 시드를 가지고 있던 Forge와 Nerv 등에 밀릴 것이라는 추측이 많았던 것. 실제로 최종예선 조별리그에서 한국인 봇듀오를 영입한 팀 4G에 밀리며 B조 2위에 머물렀다. 하지만 A조 1위 Nerv를 상대한 다전제에서는 탑솔러인 IceBeasto가 유럽솔랭 1위로 유명한 Nerv의 에이스 Ruin 김형민 선수를 상대로 전혀 밀리지 않는 개인기와 더 뛰어난 팀플레이를 선보였고 정글러 Tabasko의 승부수였던 3연 녹턴이 Nerv의 임대에이스 Memento를 상대로 훌륭한 보험으로 작용하며 습관적 역전승을 작렬, 셧아웃이라는 반전을 만들고 챌린저 시리즈 막차에 탑승하게 된다. 챌린저 시리즈에서는 폴란드인인 셀피와 밴더가 속한 샬케04에 퍼펙트게임을 당하며 기분나쁜 한 주를 시작했으나, 정글러를 잃은 미스핏츠 아카데미를 상대로 2주차에 퍼펙트 게임에 가까운 압승을 거두며 분위기를 반전시켰다. 이어 3주차 밀레니엄에게도 1세트를 패했으나 2세트에 IceBeasto의 탑 그라가스 하드캐리에 힘입어 무승부를 수확해냈다. 하지만 4, 5주차는 새 탑솔러를 기용한 PSG 그리고 탑정글 재조합을 완료한 FNA와의 대결이었고 이 두 슈퍼팀과의 대결에서 종합적으로 함량미달인 모습을 보이며 4전 전패, 결국 시즌 전에 모두가 예상했듯 밀레니엄과 공동 꼴찌로 시즌을 마무리하고 말았다. 그러나 전패예상을 한 팬들이 많았던 것에 비하면 분명 강한 탑솔을 축으로 삼아 기대 이상의 저력으로 선전했다. 심지어 FNA전 2세트는 전설의 울라이트가 그답지 않은 침착함으로 노데스를 기록했으나 운영(!)에서 밀리며 [[노데스 패배]]를 당하는 진기명기를 선보였다.~~전설께서 노데스라니 이게 무슨 소리요~~ 전반적으로 다른 선수들의 기량이 저조한 반면 탑라이너인 'IceBeasto' 마르친 레부다~~[[얀코스]]도 그렇고 셀피도 그렇고 Xaxus도 그렇고 롤잘하는 폴란드인의 이름은 절반이 마르친이다~~의 경기력이 군계일학일 정도로 압도적이기 때문에 팀이 터질 것이라는 예상이 많다. 다음 시즌 겨우 잔류에 성공한 LCS 중하위권 팀에서 아이스비스토를 노리지 않는 것이 이상한 상황이기 때문.~~익스펙트의 국제대회 잔혹사를 보면 G2가 경쟁시키려고 데려가도 이상하지 않다~~ 모든 팬들의 예상대로 아이스비스토가 팀을 나갔고, 정글의 타바스코와 서포터 디로드도 팀을 나갔다. 영입된 선수는 자이언츠의 탑신병자 플래쉬와 FNA의 정글스왑 당시 땜빵으로 들어와서 도저히 프로라고는 볼 수 없는 경기력을 보인 Dan 그리고 터키 및 북미 2부 역수입 출신 Visdom. 아주 진지하게 EUCS 최종예선 잔류가 걱정되는 로스터로 사실상 서포터는 좀 애매해도 거의 전 포지션 다운그레이드다. 한편 Tabasko와 Delord가 새 팀으로 EUCS 서유럽 오픈예선 3,4위전에서 Nerv를 격파, 최종예선에서 전 팀 동료들간의 맞대결이 펼쳐진다. 그러나 예선에서 우려대로 플래쉬가 라인전만큼은 아이스비스토의 공백을 그럭저럭 메웠으나 팀적으로는 전혀 못메웠고, Dan까지 망하면서 기존의 약한 딜러진과 마이너스 시너지를 이루어 토너먼트도 가보지 못하고 광탈하였다. 폴란드어 쓰다 영어 쓰려니 소통부터가 망했다는 평가가 많고 플래쉬와 울라이트의 손가락이 좋다고 해도 팀플레이가 꽝이라 이를 살릴 수 없었다. 참고로 타바스코와 디로드도 반대조에서 광탈해서 서로 토너먼트에서 붙어보지도 못했다. 그런데 다들 흩어져서 떠돌다가 2018년에 일루미나 게이밍의 이름으로 다시 모여서 폴란드 대회를 우승하고 EU 마스터즈 메인 스테이지로 복귀했다. 이어 타바스코를 방출하고 정글 재전향을 선언한 Kikis를 영입하여 전력을 강화하였다.~~하체를 보면 딱히 잘할 것 같지는 않지만~~ ~~그리고 본선에서 키키스도 펭귄급 경기력을 보여주고 있다. 영원히 고통받는 아이스비스토...~~[* 뽀삐로 다이브 상황에서 1:2 역관광을 냈으나 게임은 다 터져있었다.] 그런데 조별리그 3위 찍어놓고 결승까지 진출했다(...) 키키스와 세벡스, 디로드 모두 수준 이하의 경기력을 보였지만 아이스비스토가 마스터스 최강 탑솔러 포스를 뿜었고, 이것만으로는 결승까지는 절대 못 갔겠지만 마스터스 원딜러 풀의 악화에 울라이트의 각성이 겹쳐지면서 울라이트가 원투펀치로 활약해서 팀이 결승에 진출했다(...)~~물론 결승전에서는 예전에 울라이트에게 촌철살인 디스를 날린 그리스인에게 박살났지만~~ 2019 서머 시즌 뜬금없이 승자조 결승에서 REC에게 2:3으로 졌지만 최종 결승에서 3:2로 복수에 성공하며 우승해버렸다. 예전에 팀의 프랜차이즈 스타이자 유럽 하부리그 레전드인 iBo를 상회하는 활약을 펼친 99년생 폴란드인 탑솔러 Agressivo의 활약이 주목받고 있다. ~~다만 로그 이스포츠 클럽이 서머 EM 플레이-인에서 영 죽쑤고 있어서 데빌즈원도 기대치가 같이 내려가는 중~~ == [[도타 2]] == [include(틀:도타2 프로게임단)] == [[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 == [include(틀:히어로즈 프로게임단/해체)] == [[배틀그라운드]] == [include(틀:해체된 배틀그라운드 프로게임단)] [[분류:e스포츠 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