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beatmania IIDX 24 SINOBUZ/EXPERT 코스)] [include(틀:IIDX 단위인정)] [목차] == 개요 == 익스퍼트 모드의 CLASSIC CLASS 카테고리에서 과거 버전의 단위인정을 재현한 코스를 플레이할 수 있다. 그중에는 CS 버전의 단위인정을 재현한 것도 존재한다. 22 PENDUAL부터 익스퍼트 전용 게이지를 폐지하고 단위인정 게이지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완벽히 같은 조건에서 체험할 수 있다. 해금요소에 대해서는 [[beatmania IIDX 24 SINOBUZ/EXPERT 코스|상위 문서]]를 참조. * 단위인정 특성상 SP, DP의 구성이 다르고, DP 측 코스는 대개 3곡, 일부만 4곡으로 구성되어 있다. * 난이도 변경(N/H/A)을 할 수는 있으나 정해진 난이도로만 출력되기 때문에 무의미하다. * 클리어 전에는 곡명과 난이도 모두 블라인드 처리되어 있지만 클리어한 후에는 제대로 표시된다. * 스탠다드 모드처럼 코스 정보 상단에 재현한 버전의 로고가 표시된다. * AC, CS의 구분은 따로 없기 때문에 7th style부터 16 EMPRESS까지의 로고로는 수록곡을 정확하게 추측할 수 없다. * 또한 이로 인해 시리즈 최초로 [[INFINITAS]]의 로고가 AC 측에 표시된 사례가 되었다. * 익스퍼트 모드이기 때문에 실제 단위인정과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점이 다르다. * 단위 개방 제한 없이 처음부터 모든 코스 선택 가능. * 랜덤 계열, 어시스트 계열 옵션 전부 사용 가능. * EX 단위인정 게이지는 구현 불가. DJ VIP PASS를 사용한다면 통상 하드게이지, EX 하드게이지로 플레이할 수는 있다. * 달성률 표시가 없고 다른 코스처럼 클리어 상태와 EX SCORE가 표시된다. * 공홈에 별도로 개설된 CLASSIC CLASS 페이지에서 전적을 확인할 수 있다. {{{#blue (베이직 코스 필요)}}} 자칫 식상해질 수 있었던 컨셉이지만 적절한 선곡으로 인해 괜찮은 반응을 이끌어냈다. 7단의 [[THE SAFARI]], 8단의 [[gigadelic]]과 같이 기존의 단위인정이 연상되는 구성은 최대한 피하였다. 또한 싱글 8단, 더블 개전과 같이 당시 화제가 되었던 구성을 재현하기도 했다. 그리고 역대 최초로 흑 어나더의 레겐다리아 편입이 실현된 것도 평가할 만한 부분이었다. 채보 리뉴얼 등으로 인해 현재 환경의 스탠다드에서 플레이할 수 없는 채보가 수록됐을 수도 있다는 우려가 있었지만 아직까지 확인된 사례는 없다. 다만 순서가 바뀌었거나(더블 7단) 레벨이 조정되었거나(싱글 9단) 난이도 등급이 변경된 경우(싱글 개전, 더블 10단)는 있으며, 본 문서에서는 이에 대해 부연을 하였다. == 싱글 플레이 == === 급 === ==== 7급 ([[beatmania IIDX 14 GOLD|AC 14 GOLD]]) ==== ||'''순차'''||'''장르'''||'''곡명'''|| '''아티스트''' ||'''채보'''||'''레벨'''||'''노트 수'''|| ||'''1'''||PIANO AMBIENT||[[5.1.1.]]|| [[dj nagureo]] ||{{{#blue NORMAL}}}||{{{#blue 1}}}||{{{#blue 99}}}|| ||'''2'''||PIANO BALLADE||[[desolation]]|| [[Mr.T]] ||{{{#blue NORMAL}}}||{{{#blue 2}}}||{{{#blue 245}}}|| ||'''3'''||DANCE POP||[[Dr.LOVE]]|| baby weapon feat.Asuka.M ||{{{#blue NORMAL}}}||{{{#blue 2}}}||{{{#blue 204}}}|| ||'''4'''||PIANO BALLAD||[[earth scape]]|| [[dj TAKA]] ||{{{#blue NORMAL}}}||{{{#blue 2}}}||{{{#blue 230}}}|| 혹시 [[Scripted Connection⇒|Scripted Connection⇒ long mix]]가 나오지 않을까 기대했던 유저들이 있었지만 롱버전 구현이 무리인 건 둘째치고 진짜 그래버리면 초보자에게 빅엿을 먹이는 셈이라 무난한 7급으로 나왔다. ==== 6급 ([[beatmania IIDX 13 DistorteD|AC 13 DistorteD]]) ==== ||'''순차'''||'''장르'''||'''곡명'''|| '''아티스트''' ||'''채보'''||'''레벨'''||'''노트 수'''|| ||'''1'''||PIANO BALLADE||[[desolation]]|| [[Mr.T]] ||{{{#blue NORMAL}}}||{{{#blue 2}}}||{{{#blue 245}}}|| ||'''2'''||ITALO HOUSE||[[I Was The One]]|| [[good-cool]] ||{{{#orange HYPER}}}||{{{#orange 3}}}||{{{#orange 326}}}|| ||'''3'''||DISCO||[[We are Disっ娘よっつ打ち命]]|| DANCE☆MAN feat. Disっ娘 ||{{{#blue NORMAL}}}||{{{#blue 3}}}||{{{#blue 336}}}|| ||'''4'''||J-POP||[[Double♡♡Loving Heart]]|| [[Tatsh]] feat. Junko Hirata & Sayaka Minami ||{{{#blue NORMAL}}}||{{{#blue 3}}}||{{{#blue 292}}}|| desolation SPN이 위의 7급과 겹친다. ==== 5급 ([[beatmania IIDX 9th style|AC 9th]]) ==== ||'''순차'''||'''장르'''||'''곡명'''|| '''아티스트''' ||'''채보'''||'''레벨'''||'''노트 수'''|| ||'''1'''||DANCE POP||[[HIGHER]]|| [[NAOKI|NM]] feat. SUNNY ||{{{#orange HYPER}}}||{{{#orange 4}}}||{{{#orange 468}}}|| ||'''2'''||TURKISH PIANO'N'BASS||[[Golden Horn]]|| [[쿠보타 오사무|Osamu Kubota]] ||{{{#blue NORMAL}}}||{{{#blue 3}}}||{{{#blue 359}}}|| ||'''3'''||TRANCE||[[LOVE WILL...]]|| riewo ||{{{#orange HYPER}}}||{{{#orange 4}}}||{{{#orange 379}}}|| ||'''4'''||ROCOCO TEK||[[BRIGHTNESS DARKNESS]]|| [[SLAKE|SPARKER]] ||{{{#blue NORMAL}}}||{{{#blue 3}}}||{{{#blue 363}}}|| ==== 4급 ([[beatmania IIDX 14 GOLD|AC 14 GOLD]]) ==== ==== 3급 ([[beatmania IIDX 9th style|AC 9th]]) ==== ==== 2급 ([[beatmania IIDX 16 EMPRESS|AC 16 EMPRESS]]) ==== ==== 1급 ([[beatmania IIDX 15 DJ TROOPERS|AC 15 DJ TROOPERS]]) ==== === 단 === ==== 초단 ([[beatmania IIDX 16 EMPRESS|CS 16 EMPRESS]]) ==== ==== 2단 ([[beatmania IIDX 7th style|CS 7th]]) ==== ==== 3단 ([[beatmania IIDX 8th style|AC 8th]]) ==== ==== 4단 ([[beatmania IIDX 7th style|AC 7th]]) ==== ==== 5단 ([[beatmania IIDX 7th style|AC 7th]]) ==== ==== 6단 ([[beatmania IIDX 12 HAPPY SKY|AC 12 HAPPY SKY]]) ==== ==== 7단 ([[beatmania IIDX 15 DJ TROOPERS|CS 15 DJ TROOPERS]]) ==== ||'''순차'''||'''장르'''||'''곡명'''|| '''아티스트''' ||'''채보'''||'''레벨'''||'''노트 수'''|| ||'''1'''||NU STYLE GABBA||[[THE DEEP STRIKER]]|| [[L.E.D.]]-G ||{{{#orange HYPER}}}||{{{#orange 10}}}||{{{#orange 1150}}}|| ||'''2'''||OUVERTÜRE||[[Ristaccia]]|| [[Zektbach]] ||{{{#orange HYPER}}}||{{{#orange 9}}}||{{{#orange 1032}}}|| ||'''3'''||HARD HOP||[[MENTAL MELTDOWN]]|| [[GUHROOVY]] fw.[[DJ TECHNORCH|TECHNORCH]] ||{{{#orange HYPER}}}||{{{#orange 10}}}||{{{#orange 1176}}}|| ||'''4'''||JUNGLE||[[four pieces of heaven]]|| [[dj TAKA|Lion]] ||{{{#orange HYPER}}}||{{{#orange 10}}}||{{{#orange 988}}}|| ==== 8단 ('''[[beatmania IIDX 10th style|AC 10th]]''') ==== ||'''순차'''||'''장르'''||'''곡명'''|| '''아티스트''' ||'''채보'''||'''레벨'''||'''노트 수'''|| ||'''1'''||POST ROCK||[[moon_child]]|| [[wac|少年ラジオ]] ||{{{#red ANOTHER}}}||{{{#red 12}}}||{{{#red 1300}}}|| ||'''2'''||HARD HOUSE||[[雪月花]]|| [[Ryu☆]] ||{{{#red ANOTHER}}}||{{{#red 12}}}||{{{#red 1287}}}|| ||'''3'''||HARDCORE RAVE||[[one or eight]]|| [[Sampling Masters AYA]] ||{{{#red ANOTHER}}}||{{{#red 12}}}||{{{#red 1177}}}|| ||'''4'''||PROGRESSIVE BAROQUE||[[No.13]]|| [[dj TAKA|TAKA]] respect for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J.S.B.]] ||{{{#red ANOTHER}}}||{{{#red 11}}}||{{{#red 1607}}}|| [[단위인정#s-4.2|AC 10th style의 8단 버그]]를 재현했다. 때문에 난이도는 아래의 9단보다 더 어렵다. ==== 9단 ([[beatmania IIDX 13 DistorteD|AC 13 DistorteD]]) ==== ||'''순차'''||'''장르'''||'''곡명'''|| '''아티스트''' ||'''채보'''||'''레벨'''||'''노트 수'''|| ||'''1'''||GABBA||[[tripping contact]](teranoid&MC Natsack Remix)|| [[kors k|kors k vs teranoid]] ||{{{#red ANOTHER}}}||{{{#red 11}}}||{{{#red 1258}}}|| ||'''2'''||TRANCE CORE||[[Aurora]]|| [[Ryu☆]] ||{{{#red ANOTHER}}}||{{{#red 11}}}||{{{#red 1280}}}|| ||'''3'''||PROGRESSIVE||[[Concertino in Blue]]|| [[사사키 히로후미|佐々木博史]] ||{{{#red ANOTHER}}}||{{{#red 12}}}||{{{#red 1311}}}|| ||'''4'''||TECHNO||[[Innocent Walls]]|| [[TaQ]] ||{{{#red ANOTHER}}}||{{{#red 12}}}||{{{#red 1446}}}|| Concertino in Blue는 당시에는 11이었지만 이후 12로 격상했다. 그렇다보니 역대 AC 9단 중 3스테이지에 12레벨 곡이 배정되었던 유일한 사례가 됐다. 난이도는 아예 버그성 단위인 위의 8단 보단 쉽지만, DD 9단 역시 역대 9단중 극악의 난이도로 악명이 높기도 하다. ==== 10단 ([[beatmania IIDX 12 HAPPY SKY|CS 12 HAPPY SKY]]) ==== ||'''순차'''||'''장르'''||'''곡명'''|| '''아티스트''' ||'''채보'''||'''레벨'''||'''노트 수'''|| ||'''1'''||TECHNO||[[Scripted Connection⇒]] A mix|| [[Tatsh|DJ MURASAME]] ||{{{#red ANOTHER}}}||{{{#red 12}}}||{{{#red 1575}}}|| ||'''2'''||POST ROCK||[[moon_child]]|| [[wac|少年ラジオ]] ||{{{#red ANOTHER}}}||{{{#red 12}}}||{{{#red 1300}}}|| ||'''3'''||DIGI-ROCK||[[rage against usual]]|| [[dj TAKA]] feat.Gt.Shintaro ||{{{#red ANOTHER}}}||{{{#red 12}}}||{{{#red 1527}}}|| ||'''4'''||HAPPY||[[One More Lovely]]|| [[dj TAKA|Risk Junk]] ||{{{#red ANOTHER}}}||{{{#red 12}}}||{{{#red 1452}}}|| 3스테이지 rage against usual의 중살이 모든 것을 결정짓는다 할 정도로 난이도가 쏠려있다. 이걸 버티면 마지막 스테이지는 [[reunion|위닝런]]이라고 볼 수 있다. 또한 moon_child 어나더가 8단에서는 1스테이지에, 여기서는 2스테이지에 수록된 것을 볼 수 있다. === 전 === ==== 중전 ([[beatmania IIDX INFINITAS|CS INFINITAS]]) ==== ||'''순차'''||'''장르'''||'''곡명'''|| '''아티스트''' ||'''채보'''||'''레벨'''||'''노트 수'''|| ||'''1'''||HARDCORE||[[EXUSIA]]|| [[L.E.D.]]-G ||{{{#red ANOTHER}}}||{{{#red 12}}}||{{{#red 1964}}}|| ||'''2'''||TRANCE||[[quell -the seventh slave-]]|| [[dj TAKA]] Vs. [[DJ YOSHITAKA]] ||{{{#red ANOTHER}}}||{{{#red 12}}}||{{{#red 1646}}}|| ||'''3'''||IRREGULAR HI-BREAK||[[MENDES]]|| [[DJ YOSHITAKA|Humanoid]] ||{{{#red ANOTHER}}}||{{{#red 12}}}||{{{#red 1831}}}|| ||'''4'''||AKASHIC RECORDS||[[Almagest]]|| [[DJ YOSHITAKA|Galdeira]] ||{{{#red ANOTHER}}}||{{{#red 12}}}||{{{#red 1629}}}|| ==== 개전 ([[beatmania IIDX 14 GOLD|CS 14 GOLD]]) ==== ||'''순차'''||'''장르'''||'''곡명'''|| '''아티스트''' ||'''채보'''||'''레벨'''||'''노트 수'''|| ||'''1'''||SuperNOVA BEAT||[[Fascination MAXX]]|| [[NAOKI|100-200-400]] ||{{{#red ANOTHER}}}||{{{#red 12}}}||{{{#red 1313}}}|| ||'''2'''||DIRGE||[[ピアノ協奏曲第1番 "蠍火"]]|| [[wac|virkato]] ||{{{#red ANOTHER}}}||{{{#red 12}}}||{{{#red 1414}}}|| ||'''3'''||DECEPTIVE GABBA||[[VANESSA]]|| [[DJ YOSHITAKA|朱雀]] ||{{{#FD067C †LEGGENDARIA}}}||{{{#FD067C 12}}}||{{{#FD067C 1771}}}|| ||'''4'''||FREEFORM HARDCORE||[[KAMAITACHI]]|| [[DJ TECHNORCH]] fw. [[GUHROOVY]] ||{{{#FD067C †LEGGENDARIA}}}||{{{#FD067C 12}}}||{{{#FD067C 2000}}}|| 3, 4스테이지는 당시 흑 어나더였다. 흑채보가 레겐다리아로 편입된 최초의 사례가 되었다. == 더블 플레이 == 3곡 구성이 더 많으므로 4곡 구성에 ★ 표시한다. === 급 === ==== 7급 ([[beatmania IIDX INFINITAS|CS INFINITAS]]) ★ ==== ||'''순차'''||'''장르'''||'''곡명'''|| '''아티스트''' ||'''채보'''||'''레벨'''||'''노트 수'''|| ||'''1'''||PIANO AMBIENT||[[5.1.1.]]|| [[dj nagureo]] ||{{{#blue NORMAL}}}||{{{#blue 1}}}||{{{#blue 99}}}|| ||'''2'''||ITALO HOUSE||[[I Was The One]]|| [[good-cool]] ||{{{#blue NORMAL}}}||{{{#blue 1}}}||{{{#blue 205}}}|| ||'''3'''||BIG BEAT||[[GAMBOL]]|| [[SLAKE]] ||{{{#blue NORMAL}}}||{{{#blue 1}}}||{{{#blue 137}}}|| ||'''4'''||PIANO BALLAD||[[earth scape]]|| [[dj TAKA]] ||{{{#blue NORMAL}}}||{{{#blue 2}}}||{{{#blue 230}}}|| ==== 6급 ([[beatmania IIDX INFINITAS|CS INFINITAS]]) ★ ==== ||'''순차'''||'''장르'''||'''곡명'''|| '''아티스트''' ||'''채보'''||'''레벨'''||'''노트 수'''|| ||'''1'''||DANCE POP||[[KEEP ON MOVIN']]|| N.M.R. ||{{{#blue NORMAL}}}||{{{#blue 2}}}||{{{#blue 119}}}|| ||'''2'''||DISCO||[[Dancin' Into The Night]]|| [[good-cool]] ||{{{#blue NORMAL}}}||{{{#blue 1}}}||{{{#blue 205}}}|| ||'''3'''||ITALO HOUSE||[[I Was The One]]|| [[good-cool]] ||{{{#orange HYPER}}}||{{{#orange 2}}}||{{{#orange 270}}}|| ||'''4'''||INSTRUMENTAL||[[airflow]]|| [[Mr.T]] ||{{{#blue NORMAL}}}||{{{#blue 2}}}||{{{#blue 230}}}|| ==== 5급 ([[beatmania IIDX 16 EMPRESS|AC 16 EMPRESS]]) ==== ||'''순차'''||'''장르'''||'''곡명'''|| '''아티스트''' ||'''채보'''||'''레벨'''||'''노트 수'''|| ||'''1'''||BIG BEAT||[[GAMBOL]]|| [[SLAKE]] ||{{{#blue NORMAL}}}||{{{#blue 1}}}||{{{#blue 137}}}|| ||'''2'''||PIANO AMBIENT||[[5.1.1.]]|| [[dj nagureo]] ||{{{#blue NORMAL}}}||{{{#blue 1}}}||{{{#blue 99}}}|| ||'''3'''||ITALO HOUSE||[[I Was The One]]|| [[good-cool]] ||{{{#blue NORMAL}}}||{{{#blue 1}}}||{{{#blue 205}}}|| 7급과 구성이 거의 같다. 그 이유는 copula에서 DP 단위인정 구성이 개편되기 전까지는 DP 최저단위가 5급이었기 때문. 이 코스는 22 PENDUAL까지 동일한 구성이었다. ==== 4급 ([[beatmania IIDX INFINITAS|CS INFINITAS]]) ★ ==== ||'''순차'''||'''장르'''||'''곡명'''|| '''아티스트''' ||'''채보'''||'''레벨'''||'''노트 수'''|| ||'''1'''||JUNGLE||[[PARANOiA MAX ~DIRTY MIX~]]|| [[NAOKI|190]] ||{{{#blue NORMAL}}}||{{{#blue 3}}}||{{{#blue 280}}}|| ||'''2'''||E-ROCK||[[EMPTY OF THE SKY]]|| [[야마오카 아키라|AKIRA YAMAOKA]] ||{{{#blue NORMAL}}}||{{{#blue 3}}}||{{{#blue 334}}}|| ||'''3'''||DISCO||[[Dancin' Into The Night]]|| [[good-cool]] ||{{{#orange HYPER}}}||{{{#orange 3}}}||{{{#orange 237}}}|| ||'''4'''||WORLD/ELECTRONICA||[[scar in the earth]]|| [[猫叉Master]] ||{{{#blue NORMAL}}}||{{{#blue 4}}}||{{{#blue 383}}}|| ==== 3급 ([[beatmania IIDX 16 EMPRESS|AC 16 EMPRESS]]) ==== ==== 2급 ([[beatmania IIDX 15 DJ TROOPERS|CS 15 DJ TROOPERS]]) ==== ==== 1급 ([[beatmania IIDX 10th style|AC 10th]]) ==== === 단 === ==== 초단 ([[beatmania IIDX 12 HAPPY SKY|AC 12 HAPPY SKY]]) ==== ==== 2단 ([[beatmania IIDX 14 GOLD|AC 14 GOLD]]) ==== ==== 3단 ([[beatmania IIDX 11 IIDX RED|CS 11 IIDX RED]]) ==== ==== 4단 ([[beatmania IIDX 10th style|CS 10th]]) ==== ==== 5단 ([[beatmania IIDX 12 HAPPY SKY|CS 12 HAPPY SKY]]) ==== ==== 6단 ([[beatmania IIDX 7th style|AC 7th]]) ==== ==== 7단 ([[beatmania IIDX 14 GOLD|CS 14 GOLD]]) ==== ||'''순차'''||'''장르'''||'''곡명'''|| '''아티스트''' ||'''채보'''||'''레벨'''||'''노트 수'''|| ||'''1'''||HOUSE||[[Make Me Your Own]]|| [[good-cool]] ||{{{#orange HYPER}}}||{{{#orange 9}}}||{{{#orange 836}}}|| ||'''2'''||NOSTALISH REQUIEM||[[CaptivAte 시리즈|Captivate ~誓い~]]|| [[DJ YOSHITAKA|A/I]] ||{{{#orange HYPER}}}||{{{#orange 9}}}||{{{#orange 1078}}}|| ||'''3'''||2 STEP||'''[[Luv 2 Feel Your Body]]'''|| [[히라타 쇼이치로|Shoichiro Hirata]] ||{{{#orange HYPER}}}||{{{#orange 9}}}||{{{#orange 703}}}|| CS 당시와는 다르게 두번째와 세번째 스테이지의 순서가 바뀌었다. ==== 8단 ([[beatmania IIDX 11 IIDX RED|AC 11 IIDX RED]]) ==== ||'''순차'''||'''장르'''||'''곡명'''|| '''아티스트''' ||'''채보'''||'''레벨'''||'''노트 수'''|| ||'''1'''||TRANCE||[[Colors (radio edit)]]|| [[dj TAKA]] ||{{{#orange HYPER}}}||{{{#orange 10}}}||{{{#orange 1099}}}|| ||'''2'''||RENAISSANCE||[[AA(BEMANI 시리즈)|AA]]|| [[dj TAKA|D.J.Amuro]] ||{{{#orange HYPER}}}||{{{#orange 9}}}||{{{#orange 997}}}|| ||'''3'''||PROGRESSIVE||[[V(BEMANI 시리즈)|V]]|| [[dj TAKA|TAKA]] ||{{{#orange HYPER}}}||{{{#orange 10}}}||{{{#orange 1385}}}|| 참고로 DP 8단은 AC DistorteD까지 같은 구성이었다. ==== 9단 ([[beatmania IIDX 21 SPADA|AC 21 SPADA]]) ==== ||'''순차'''||'''장르'''||'''곡명'''|| '''아티스트''' ||'''채보'''||'''레벨'''||'''노트 수'''|| ||'''1'''||CLASSICAL PIANO||[[Präludium]]|| Yuko Takahashi ||{{{#red ANOTHER}}}||{{{#red 11}}}||{{{#red 1216}}}|| ||'''2'''||HARD ROCK||[[Scharfrichter]]|| [[あさき|Ashemu]] ||{{{#red ANOHTER}}}||{{{#red 11}}}||{{{#red 1552}}}|| ||'''3'''||BIG BEAT||[[Schlagwerk]]|| [[TaQ]] ||{{{#red ANOTHER}}}||{{{#red 11}}}||{{{#red 1090}}}|| PENDUAL 까지 미칠듯한 개인차로 악명을 떨쳤던 Schlagwerk가 첫 등장한 독일어 코스. ==== 10단 ([[beatmania IIDX 15 DJ TROOPERS|CS 15 DJ TROOPERS]]) ==== ||'''순차'''||'''장르'''||'''곡명'''|| '''아티스트''' ||'''채보'''||'''레벨'''||'''노트 수'''|| ||'''1'''||TECHNO||[[Innocent Walls]]|| [[TaQ]] ||{{{#red ANOTHER}}}||{{{#red 12}}}||{{{#red 1553}}}|| ||'''2'''||HARD HOUSE||[[satellite020712 from "CODED ARMS"]]|| [[猫叉Master]] ||{{{#red ANOTHER}}}||{{{#red 12}}}||{{{#red 1656}}}|| ||'''3'''||TECHNOTRONICA||'''[[State Of The Art]]'''|| [[Sota Fujimori]] feat. cyborg AKEMI ||{{{#red ANOTHER}}}||{{{#red 12}}}||{{{#red 1756}}}|| 3스테이지는 당시 흑 어나더였다. === 전 === ==== 중전 ([[beatmania IIDX 23 copula|AC 23 copula]]) ★ ==== ||'''순차'''||'''장르'''||'''곡명'''|| '''아티스트''' ||'''채보'''||'''레벨'''||'''노트 수'''|| ||'''1'''||HAPPY||[[One More Lovely]]|| [[dj TAKA|Risk Junk]] ||{{{#red ANOTHER}}}||{{{#red 12}}}||{{{#red 1557}}}|| ||'''2'''||SACRED TRANCE||[[Todestrieb]]|| [[TOMOSUKE|Rche]] ||{{{#red ANOTHER}}}||{{{#red 12}}}||{{{#red 1960}}}|| ||'''3'''||HARD NRG||[[Verflucht]]|| [[Hommarju|Tyrfing]] ||{{{#red ANOTHER}}}||{{{#red 12}}}||{{{#red 1949}}}|| ||'''4'''||BATTLE TRACK||[[聖人の塔]]|| [[PRASTIK DANCEFLOOR|Beridzebeth]] ||{{{#red ANOTHER}}}||{{{#red 12}}}||{{{#red 1997}}}|| 역대 첫 중전이다. ==== 개전 ([[beatmania IIDX 13 DistorteD|CS 13 DistorteD]]) ==== ||'''순차'''||'''장르'''||'''곡명'''||'''아티스트'''||'''채보'''||'''레벨'''||'''노트 수'''|| ||'''1'''||TRANCE||[[quell -the seventh slave-|'''q'''uell -the seventh slave-]]|| [[dj TAKA]] vs [[DJ YOSHITAKA]] ||{{{#red ANOTHER}}}||{{{#red 12}}}||{{{#red 1752}}}|| ||'''2'''||TECHNO||[[QUANTUM TELEPORTATION|'''Q'''UANTUM TELEPORTATION]]|| [[L.E.D.]] ||{{{#red ANOTHER}}}||{{{#red 12}}}||{{{#red 1999}}}|| ||'''3'''||TRANCE||[[quasar|'''q'''uasar]]|| [[TaQ|Out]][[dj TAKA|Phase]] ||{{{#red ANOTHER}}}||{{{#red 12}}}||{{{#red 1562}}}|| [[단위인정#s-4.5|역대 최악의 더블 개전]], 이른바 [[QQQ(BEMANI 시리즈)|QQQ]] 구성이 수록되었다. [[분류:beatman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