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음원 서비스)] [include(틀:유튜브)] ||<-2>
'''{{{#fff {{{+1 유튜브 뮤직}}}[br]YouTube Music}}}''' || ||<-2> [[파일:유튜브 뮤직 로고.svg|width=100%&theme=light]][[파일:유튜브 뮤직 로고 화이트.svg|width=100%&theme=dark]] || ||<-2> [[파일:Youtubemusicikon.svg|width=50%]] || || '''분류''' ||Youtube 제공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 || || '''소유''' ||[[구글|Google LLC]] (2015 ~ 현재) || || '''운영''' ||YouTube LLC[* 소유와 별개로 운영은 설립부터 지금까지 YouTube LLC가 운영한다.] || || '''개설''' ||[[2015년]] [[11월 12일]] ([age(2015-11-12)]주년) || || '''언어''' ||영어·한국어 등 61개 언어 || || '''플랫폼''' ||[[Android]] | [[iOS]][br][[Microsoft Windows|Windows]] | [[macOS]] | [[iPadOS]] | [[watchOS]] | [[Linux]]|| || '''회원가입''' ||'''필수'''[* 한국 내에서는 유료로 전환되어, 로그인이 필요하다. 본문에 서술되어 있듯이 [[가상 사설망|VPN]] 사용 시 PC에서는 선택이지만 모바일은 필수로 로그인 해야된다.] ([[구글]] 계정 연동) || || '''이메일''' ||ytmusic-support@google.com || || '''책임자''' ||닐 모헌 {{{-1 (Neal Mohan)}}}[* 인도계 미국인. 이전까지 책임자는 [[수전 워치츠키|수전 다이앤 워치츠키]](Susan Diane Wojcicki)였으며 2월 16일에 자리를 내려놓았다.] || || '''서비스 요금''' ||Freemium^^(대한민국 불가능)^^[* [[가상 사설망|VPN]]을 켜고서 들어가면 무료 이용가능하다.] | Premium || || '''상징색''' ||[[빨간색|{{{#!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 #FF0000; border-radius: 3px; padding: 3px 4px" {{{#fff '''빨간색''' (#FF0000)}}}}}}]]|| || '''링크''' ||[[https://music.youtube.com|[[파일:유튜브 뮤직 아이콘.svg|width=18]]]][* [[YouTube Premium]] 가입이 되어있지 않은 상태에서 [[대한민국|한국]] IP로 접속시 [[YouTube Premium]] 페이지가 나온다. 또는 들어가면 [[YouTube Premium]] 페이지가 나오는데 YouTube Music은 [[YouTube Premium]]을 가입하면 더 편리하게 들을 수 있다.] | [[https://www.youtube.com/@YouTubeMusic|[[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18]]]]|| [목차] [clearfix] == 개요 == [[YouTube]]에서 제공하는 [[스트리밍#s-2|음악 스트리밍 서비스]]. == 요금제 == || '''{{{#fff 대한민국 요금제^^(VAT 10% 포함)^^}}}''' ||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 font-size: .75em" {{{#fff Music Premium⁠}}}}}}''' ₩11,900/월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 font-size: .75em" {{{#fff Premium⁠}}}}}}''' ₩14,900/월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 font-size: .75em" {{{#fff 우주패스 + Premium⁠}}}}}}''' ₩9,900/월 || iOS 사용자도 브라우저 웹사이트에서 결제하면 동일한 가격으로 결제할 수 있다. 물론 지금은 할인중이다. [[YouTube Premium]] 대신에 Music Premium만 가입하고 싶다면 [[https://www.youtube.com/musicpremium|여기]]에서 구독 신청을 하면된다. == 서비스 == ## 나무위키 문서에서 '개요' 문단을 제외한 문단이 2개 이상 존재할 경우, '상세', '소개', '설명'이라는 문단명은 사용하지 않는 것을 우선합니다. '편집지침/일반 문서 3.서술 우선 순위' 참고. [[2015년]] [[11월 12일]]에 서비스를 시작했다. 해외에서는 기본적으로 무료[* 광고 및 일부 기능 제한]이며 프리미엄 구독을 통해 개선된 서비스 이용이 가능하지만, 대한민국에서는 무료 이용이 불가능하고 [[유튜브 프리미엄]]이나 유튜브 뮤직 프리미엄을 구독해야만 이용할 수 있다.[* 2020년 9월 2일부터 유료화 / VPN 사용 시 무료 접속 가능. 유튜브 프리미엄은 한국에서는 만 19세 이상만 구독 가능하므로 미성년자는 VPN이 필수이다.] [[유튜브 프리미엄]]의 이용 요금은 국내 기준 2023년 현재 14,900원(부가세 포함)이다.[* 애플 기기에서 구독 시 더 비싸지며, 20년 9월 1일 이전 구독자는 가격인상 이전가인 7,900원(부가세 포함 8,690원)으로 이용가능하다.] 유튜브 뮤직 프리미엄의 이용 요금은 유튜브 프리미엄 이용 요금 인상 전과 동일한 11,990원(부가세 포함 8,690원)으로, 고음질이나 최적화 등 서비스에 비해서 비싸다는 평이 지배적이다. 유튜브의 광고제거 및 백그라운드 재생을 위해 [[유튜브 프리미엄]]을 결제하면서 유튜브 뮤직으로 자연스럽게 넘어오는 구독자가 적지 않다. 특히, 기존의 멜론, 지니, FLO, 벅스 등에서도 제공하지 못하는 여러 버스킹노래, 해외곡들, BGM 등에서는 가히 독보적이여서 타 음원서비스와 병용하는 유저도 많다. 그만큼 현재 성장세도 가파른 편이다. 다만, 유튜브 뮤직만 떼어넣고 보았을 경우에는 기존 음원서비스와 비교 시 UI가 투박한 편이며, 재생목록이 통으로 날아가거나 셔플기능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등 오류 또한 많다. 타 음원 서비스와 비교해 개발진들의 역량을 의심하게 하는 부분. 특히 셔플 기능 관련 문제가 가장 심각한데, 재생목록의 곡수가 일정량을 넘어서면 곡 자체가 누락된다거나, 재생이 멈춘다거나, 목록 로딩이 안된다거나 하는등의 문제가 매우 자주 발생한다. 또한 공식 음원 제공이 안 되는 경우가 많아서 국내 히트곡임에도 소속사 공식 음원이 아닌 유저가 올린 음원으로 감상해야 하는 경우도 종종 발생한다.[* 국내 음원 사이트에서 전혀 들을 수 없는 곡을 유저가 올리는 경우가 있는데, 저작권자에 의해 삭제되는 경우가 있을 수도 있다.] 또한 국내 음원의 경우 가사 기능이 부실해 가사가 지원되지 않거나 영어로 번역된 가사가 나오기도 한다.[* 가사가 나오는 동영상을 재생시키는 방법이 있으나 배터리 사용량이 늘고 잠금화면에서의 이용불가 등 불편한 점이 많다. 국내음악 중에는 [[방탄소년단]]이나 [[BLACKPINK]]와 같은 한류 아이돌의 노래가 가사 제공이 가장 잘 되는 편이다.] 아마추어가 올린 음원을 들을 수 있다는 것은 여타 대다수 스트리밍 서비스와는 다른 차별점이다. 리믹스, 커버곡 같은 2차 창작 작품들 또한 들을 수 있고 샘플 클리어 등의 사유로 음원 서비스에 등록되지 않은 전현직 아티스트들의 믹스테입 같은 음원이나 무명 시절 만든 과거 작업물들도 들을 수 있다. 또한 단순 음감 뿐만 아니라 공식 음원 곡과 똑같이 플리에 넣을 수도 있는 것도 스포티파이와 함께 유튜브 뮤직 단 둘만이 제공하는 독특한 서비스다. 유튜브 뮤직에 음원 및 앨범을 발매하고 유튜브 채널을 운영 중이면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는 기능으로 [[https://support.google.com/youtube/answer/7336634?hl=ko|공식 아티스트 채널]]이 있으며 아티스트들의 공식 유튜브 채널이 있을 때 유튜브 뮤직 주제 채널[* 유튜브에서 자동 생성된 이름이 '아티스트 명-TOPIC(주제)' 로 되어 있는 채널이며 대체로 공식 발매된 음원이 모여있다],Vevo 채널(해당하는 경우)을 기존 채널에 연동시키면 각 채널의 구독자 수는 합쳐지고 채널의 내비게이션에 발표곡 항목이 생기며 채널 이름 옆에 음표 모양의 공식 아티스트 채널 인증 배지가 붙는다. 뮤직에서 주제 채널을 구독한 채로 채널이 연동되면 구독도 그대로 이어지게 되고 기능 설명이 알림으로 온다. 정리하자면 유튜브 뮤직은 리믹스, 커버곡 등 다양한 곡을 들을 수 있고 유튜브 프리미엄이랑 같이 사용 가능하나, 곡이 정리가 안 되어 있는 경우가 있는 등 최적화가 안되어 있고 가격이 많이 비싼 편이며 음질도 멜론, 애플뮤직 등에 비하면 나쁘다. == 특징 == * 좋은 곡 추천 기능이 있다. '나만의 믹스'를 선택하면, '좋아요'를 누른 곡, 기존에 감상했던 곡, 방금 말한 두 종류의 곡에 기반한 추천곡이 적절히 섞여 제공된다. 다만, 한국 IP에서는 보관함에 추가가 되지 않으니 주의. 자세한 건 아래 '보관함' 항목 참조. * 알고리즘이 적용된 검색기능으로 유튜브에서 확인할 수 있는 곡에 설명된 작곡가,편곡,작사가,배급사 정보로 검색이 가능하고 애플뮤직,스포티파이의 경우 정확한 검색어로 검색하지 않으면 정보가 뜨지 않은 경우가 있지만 유튜브 뮤직은 비교적 검색이 자유롭다. * 아무 한 곡을 플레이하면 이후 '자동재생' 기능을 통해 유사한 노래를 자동으로 현재 재생목록에 채워준다.[*예외 재생목록을 통한 재생 제외] 위의 3가지 곡 선택기준에 따라 곡이 선택된다. 다른 스트리밍 서비스에서는 특정 곡 하나를 선택해 플레이했을 때 단지 일반적인 관련곡을 틀어줄 뿐이지만, 유튜브 뮤직에서는 기존에 자신이 틀었거나 '좋아요'를 선택한 곡을 적절히 섞어서 제공한다. 사용자의 음악 취향을 분석하는 데에는 [[유튜브]] 관련 서비스 전체 사용 기록을 사용한다. * [[스포티파이]]와 [[타이달]]과 유사하게 비슷한 장르의 노래를 번호별로 묶은 여러 개의 "맞춤 믹스"를 제공하며, 휴식, 집중, 운동, 출퇴근 각각의 때에 맞는 노래들도 종류별로 묶어 3개씩 믹스로 제공한다. * 국내에서 구하기 힘든 해외 음악을 듣기에는 유튜브 뮤직이 좋은 선택일 수 있다. [[Melon]] 등에는 있지도 않은 애니송, 보컬로이드 등이 모두 있다. 또한 게임의 BGM, 2차 창작 커버곡 같은 노래도 유튜브에 업로드되어 있다면 모두 들을 수 있기에 이런 다양함이 유튜브 뮤직의 큰 강점이다. * 음질 High로 설정하기 위해서는 유튜브 뮤직 프리미엄이나 유튜브 프리미엄 구독이 필요하다. 비 구독자들은 AAC 128kbps로 재생이 된다. ||<-2> 음질 (format id) || || Low || AAC 48kbps (139) || || Normal || AAC 128kbps (140) || || High || AAC 256kbps (141) || * 음원과 영상이 연결되어 있는 경우 음원과 영상을 재생 중간에 자유자재로 넘나들며 감상이 가능하다.[* 뮤직비디오의 경우 인트로 등 노래가 없는 부분을 자동으로 건너뛴다.] * 뮤직 스테이션이란 기능을 통해 선택한 음악 혹은 가수, 재생목록을 중심으로 비슷한 음악을 자동으로 재생시킬 수 있다. * 유튜브에 업로드 된 음악 영상을 지원하기에 라이브나 커버곡 등 타 음원사이트에서 감상할 수 없는 곡들을 같이 들을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음원 등록이 되지 않는 곡들도 감상할 수 있다. 음원과 영상을 하나의 재생목록에 추가할 수도 있다. * 유저가 생성한 재생목록을 공개하여 검색에 노출시키거나 검색해볼 수 있다. * 모바일 앱에서 노래 크래딧 으로 발매된 음원의 메타 데이터(작곡,작사가,프로듀싱,배급사)정보를 확인 가능하다. * PC 웹에서는 앨범과 재생목록에 있는 곡에 마우스를 올려놨을 때 맨오른쪽에 뜨는 네모버튼을 눌러 원하는 곡을 각각 선택해 선택된 곡을 재생목록에 추가 시키거나 삭제 가능하고 선택한 곡만을 들을 수 있다. * 모바일 앱 한정으로, 계정을 누른 뒤 설정에서 '보관함 및 오프라인 저장'을 누르게 되면 '스마트 오프라인 저장'이 나오는 데 그것을 활성화시키면[* 기기가 Wi-Fi에 연결되어있으며, 배터리가 충분해야한다는 전제조건이 표시되어있다. 물론 Wi-Fi뿐만 아니라 모바일 데이터로도 다운로드가 가능하다.] 곡을 다운로드해서 <오프라인 컨텐츠>라는 항목에 추가되며 인터넷 연결과 상관없이 해당 곡들을 정상적으로 재생할 수 있다. 당연히 오프라인 저장한 곡들끼리 모아서 자체 재생목록을 만드는 것도 가능하다.[* 재생목록으로 묶어서 만들면 PC에서도 찾아서 들을 수 있다.] 데이터를 다 쓰더라도 스마트폰과 유튜브 뮤직 어플 실행만 멀쩡하면 들을 수 있다는 소리. 게다가 국내 서비스와 달리 다운로드에 추가 요금이 들지 않는다. 대신 DRM이 걸려있어 유튜브 뮤직에서만 재생할 수 있고, 1달에 1번 온라인 연결을 통한 라이센스 업데이트가 필요하다. * 기기 파일에 액세스하여 기기에 들어있는 음원 파일을 재생할 수 있다. 백그라운드 재생과 반복 재생, 재생 중 UI 또한 동일하게 지원한다. * 취침 타이머로 '5분 '15분' '30분' '1시간' '트랙 종료 시' 를 정할 수 있으며 5분씩 추가하거나 취소할 수 있다. === 둘러보기 === [include(틀:유튜브 뮤직 선정 역대 국내 음악 베스트)] [include(틀:유튜브 뮤직 선정 역대 국내 댄스 베스트)] [include(틀:유튜브 뮤직 선정 역대 국내 발라드 베스트)] [include(틀:유튜브 뮤직 선정 역대 국내 록발라드 베스트)] [include(틀:유튜브 뮤직 선정 역대 국내 록/얼터너티브 베스트)] YouTube Music에서 둘러보기는 새 앨범 및 싱글, 분위기 장르 뮤직비디오 등이 있다. 자체 차트와 역대 음악 베스트, 역대 장르별(인디/포크, 록발라드, 록/얼터너티브, R&B, 힙합, 댄스, 발라드) 베스트를 제공한다. 각 베스트는 노래의 각 공식 버전(공식 뮤직 비디오, 공식 음악으로 만든 사용자 제작 콘텐츠, 가사 동영상 등)을 합산하여 집계되며, 지역 변경을 통해 다양한 국가의 개별 차트를 확인할 수도 있다. 자주 듣는 노래에 따라 '새 앨범 및 싱글'의 항목에도 영향을 준다. === 보관함 === * 보관함은 최근 재생 또는 재생목록, 앨범, 노래, 아티스트, 구독, 업로드 보관함(한국 IP 제외)이 나온다. * 나의 믹스, 나만을 위한 맞춤 믹스 등 '''유튜브 뮤직에서 자체적으로 추천해주는 재생목록이 보관함에 추가가 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보관함에 추가 버튼을 누르면 iOS의 경우는 "다시 업로드해 주세요", Android는 "서버에 문제가 발생했습니다(404)."라는 메세지가 뜬다. PC에서는 추가가 되는 것처럼 보이나, 계정 보관함에 들어가보면 추가가 안 돼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다른 국가 VPN으로 접속하고, 재생목록을 보관함에 추가하면 간단히 해결된다. 이후에는 한국 IP로 접속해도 계정 보관함에서 해당 재생목록을 이용할 수 있다. 업로드 보관함 기능을 한국에서 지원하지 않는 것과 관련되어 있는 듯한데, 어째서 이 기능까지 막혀있는지 의문. 특정 서비스를 국가 전체를 대상으로 아예 차단한 케이스라 구글에서 이를 해결해 줄 일은 요원하다. 자사 서비스 관련 최근 구글의 막장 행보를 보면 더더욱. * 2024년 5월 기준 해결되었다. ==== 음악 업로드 ==== [[Apple Music]]의 iCloud 음악 보관함처럼 유튜브 뮤직에 자신의 소장한 음악들을 업로드를 하고, 언제든지 들을 수 있는 기능이다. 단, 이 기능은 한국에서는 사용할 수가 없으므로 별도의 VPN이 필요하다.[* 아무래도 Google Play Music이 런칭되지 않고 바로 YouTube Music으로 넘어갔기에 해당 기능을 뺀 것으로 추정된다. 거기다가 서드파티 앱이나 제조자 내장 음악 플레이어가 있어 서비스할 필요성을 못 느끼는 듯. 저작권 문제나 음원사와의 갈등 문제도 포함되는 듯 하다.] == 단점 == * 애플뮤직과 달리 음악을 듣다가 재생 화면에서 그 음악을 재생 목록에서 삭제하는 기능이 없다. 재생 목록에 많은 곡이 있는 음악 매니아들에게는 이는 매우 불편한 점이다. * 타 음원 서비스에 비해 국내 음원에 대한 지원이 많이 빈약하다. 음원이 없는 경우가 빈번하며 가사가 없는 곡도 많고, 앨범이나 가수에 대한 정보가 제공되지 않는 것이 많다. 또한, 같은 가수임에도 개별 항목으로 구분한 경우[* 대표적인 예시로 [[류수정]]이 있다. 솔로 레이블 House of Dreams 설립 이전과 이후의 항목이 완전히 분리되어 있다.]도 있고, 이름이 비슷한 아예 다른 가수로 앨범을 링크시켜 놓은 경우도 있다. 그나마 유튜브에 개인이 업로드 한 영상으로 대체할 수도 있지만, 이 영상들은 감상 중인 재생리스트에 자동으로 추가되지 않기 때문에 따로 찾아서 들어야 하는 문제가 있다. * [[일본]] 음악(특히 애니메이션 음악) 또한 위의 문제점과 비슷한 문제를 보여, [[애플 뮤직]], [[스포티파이]]와 국내 사이트에서도 들을 수 있는 앨범이 유튜브 뮤직에서는 들을 수 없는 경우가 있다. * 아동용 곡은 아동용 컨텐츠로 분류되어 재생 중 음악 검색이나 다른 메뉴에 진입 하기 위해 소형화시킬 경우 재생이 중지된다.[* 백그라운드 재생은 가능하다.] 아동용 곡과 상관 없는 일부 가수들의 곡들에도 적용되어 감상을 방해하는 문제들이 있다. * 모국어가 아닌 타 언어로 녹음한 곡도 구별 없이 등록되어 인기곡을 재생 중에 타 언어 곡이 나오거나 자동 추천 중에 재생되기도 한다. 특히 국내 아이돌의 경우 일본어 커버 곡들이 많아 원곡을 원하는 이용자들에겐 단점이 될 수 있다. * 다른 음원 스트리밍 서비스에서 제공하기 시작한 [[무손실 압축 포맷#s-3.2|무손실 음원]], [[Dolby Atmos]]등의 특수 음원을 지원하지 않는다. 최고 품질이 고작 'AAC 256kbps'에 불과하다. * 다운로드한 곡과 별도로 기기에 저장한 음악을 같은 플레이리스트에 넣을 수 없다. * 앨범의 배급사를 PC 유튜브 뮤직 안에서 확인이 불가능하다. * [[Android Auto]]로 재생시 인터넷 연결이 끊기면 프로그램이 종료된다.[* [[Google Play 뮤직]]에서도 같은 현상 발생] * 오프라인 상태인 경우 기기에 저장된 음악을 탐색할 수 없다. 가장 최근에 재생하던 곡이나, 해당 곡과 관련된 곡만 재생이 가능하다. * [[Spotify]]보다는 덜 하나, 원래 [[한국어]]인 음악의 제목이 [[영어]]로 표기될 때가 꽤 있다. 한국어로 검색했을 때 검색결과에 나오긴 한다. 영어 표기된 곡들을 수정하고 싶다면 직접 구글에 문의해보도록 하자. 또, 한국어와 영제가 같이 표기된 곡이나 반대로 표기된 곡들도 상당하다. 다행히 이 문제는 2024년 1월 중순 기준 거의 다 해결되었다. * 그건 니 생각이고 → That's Just What You Think * [[나혼자 (Alone)|나혼자]] → Alone(나혼자) * [[내일이 오면]] → Tomorrow * 내 방을 여행하는 법 → Fly to my room * [[다시 만난 세계]] → 다시 만난 세계 Into The New World * [[벌써 12시]] → Gotta Go * [[나를 슬프게 하는 사람들]] → People Who Make Me Sad * 시청 앞 지하철역에서 → In front of city hall at the subway station * 입장정리 → Friendzone * [[잘못된 만남]] →Wrongful Meeting * [[핑계(김건모)|핑계]] → Excuse * 발매된 지 얼마 되지 않았거나, 공식적으로 음원으로 발매되지 않은 음악의 경우, 부른 가수와 관련있는 키워드가 음악의 제목이 되는 경우가 있다. * [[Panorama|IZ*ONE - Panorama]] → [[WIZ*ONE|위즈원]] * 앨범 트랙리스트가 꼬여버리는 문제도 가끔 발생한다. [* [[이달의 소녀]]의 《[[HaSeul]]》이 그 예시로, 1번 트랙과 2번 트랙의 제목이 뒤바뀌어 있다.] * 숨기기 기능이 없다, 그래서 자주 듣는 노래에서 보고 싶지 않은 재생목록이 계속 떠도 안 뜨게 할 방법이 없다. * [[위키피디아]] 문서를 그대로 퍼오는 것으로 추정된다. 그런데 대다수 위키의 경우 모든 사람이 편집할 수 있기에 간혹 부정확한 글이 서술될 때가 있다.[* 이 때문에 [[aespa]]의 소개 문구 마지막에 "에스파 [[운지]]해라 [[이기야]]"라는 문장이 적혀 있어 논란이 된 적이 있다.[[https://twitter.com/d_uali/status/1428993087645261835?s=19|#]]] * 앨범에서 노래 제목과 순서가 뒤바뀐 경우가 있다. * 컴퓨터로 유튜브 뮤직을 실행 시, 따로 전용 앱을 사용하는 것이 아닌 겉만 꾸민 크롬 창을 하나 더 띄우게 된다. 가뜩이나 메모리 도둑으로 유명한 [[크롬]]을 틀어놓으면 음악이 넘어갈 때마다 렉이 걸리는 경우가 잦다. * 자동선곡 기능이 빈약하다. 직접 좋아하는 아티스트를 고를 수 있는 애플뮤직과 달리, 추천으로 나오는 아티스트 중에서 본인 취향을 골라야 하는데다가 장르 구별이 제대로 되어있지 않아 자동선곡대로 음악을 듣다 보면 [[뉴에이지]]에서 [[케이팝]]으로, [[클래식(음악)|클래식]]에서 현대 음악으로 마음대로 흘러나가는 것을 느낄 수 있다. 싫어요를 눌러서 리스트에서 제거해봤자 그 곡만 제외될 뿐, 아티스트나 장르의 선호도에 반영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재즈]]는 좋은데 [[블루스]]는 싫어서 블루스 곡들에 싫어요를 백만 번 눌러봤자 추천곡엔 또 다른 블루스가 섞여있을 것이다. 마이너한 장르를 선호한다면 극심해지는 단점이다. 좋아요가 더 효과적이니 좋아하는 앨범에 좋아요를 눌러서 취향에 맞춰보자. * 자신이 저장한 재생목록에서 곡을 고른 뒤 셔플을 누르면, 주위 25곡만 셔플된다. 이게 마음에 안 들면 재생목록 자체를 셔플한 다음에 원하는 곡을 찾아야 한다. * 전작인 [[구글 플레이 뮤직]]보다 안 좋아진 부분도 있다. 예를 들어 [[WMA|.wma(Windows Media Audio)]] 파일은 [[구글 플레이 뮤직]]에서는 아무 문제 없이 돌아가지만, YouTube Music에서는 오류를 뿜으며 재생되지 않는다. 확장자를 .mp3로 바꾸어도 마찬가지. * 유튜브 뮤직 앱을 이용해 구글 홈에서 음악을 재생할 수 없다. 캐스트 버튼을 눌러 연결을 하는 경우 구글 홈에서 유튜브 앱이 켜지면서 강제로 연결이 종료된다. 단, [[구글 네스트/제품목록#Google Home Mini|구글 홈 미니 1세대]]는 문제없이 재생이 가능하다. * 감독판 앨범과 완전판 앨범이 따로 존재하지 않는다는 문제점도 있다 * cd가 2장 이상 들어있는 앨범이라도 그 cd의 구분이 없이 하나로 되어있다. * 어느 순간부터 재생목록의 커버곡을 원곡으로 바꿔버리는 문제가 생겼다, * 재생목록에 넣은 곡의 메타데이터가 꼬이는 문제가 간혹 보인다. 이 경우 원곡을 집어넣으면 이미 존재하는 곡으로 인식하는 등 곡 자체는 맞게 인식하고 있지만, 곡 정보(곡명, 아티스트, 앨범, 앨범 커버 등)는 뜬금없는 곡으로 나타난다. 게다가 가끔 메타데이터를 따라 곡까지 바뀌어있는 경우가 또 간혹 있다(…) * 음원 스트리밍 서비스이지만 유튜브 동영상 기준에 맞춰지있어 전체화면을 열게 되면 앨범커버의 위아래가 짤리게 되며 화질도 그렇게 좋은편이 아니다. * 옛날 앨범들이 스트리밍으로 발매될 때 앨범의 실제 발매일이 아니라 음원이 업로드된 날짜를 기준으로 잡아버리는 문제가 있다. * [[watchOS]] 버전 유튜브 뮤직 앱은 [[iOS]] 버전 앱과 연동되어 있고 스탠드얼론 방식 실행이 불가능하다. 즉 아이폰 없이 애플워치만 가지고 있을 때에는 인터넷이 가능한 상황이어도 유튜브 뮤직을 이용해 음악을 들을 수 없다. == 여담 == * [[Google Play 뮤직]]의 서비스 종료로 인해 구글 뮤직에 업로드 되어있는 음악을 '''유튜브 뮤직'''으로 옮기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구글 뮤직이 서비스 되지 않았기 때문에 마찬가지로 유튜브 뮤직으로 음원 백업 기능을 사용할 수 없다. 다만, 미국 계정으로 구글 뮤직을 사용하던 유저라면 유튜브 뮤직으로 백업을 지원했다. 이후 VPN으로 접속하면 유튜브 뮤직으로 이전된 본인의 음원을 듣기가 가능하다. * 국내 가요의 가사가 국내에서는 제공되지 않는데 오히려 해외에서는 제공되는 경우가 있다. * [[2020년]] 11월 기준, [[플레이 스토어]] 평점이 2.9점으로 최악의 혹평이었다. 다만, 평점이 낮은 이유를 자세히 보면 유튜브 뮤직의 용도를 잘 모르는 유저들의 악평이 많았기 때문이다. 유튜브 뮤직은 출시 때부터 유료 서비스 (현 [[YouTube Premium|유튜브 프리미엄]] / 구 유튜브 레드)를 구독해야 백그라운드 재생이 가능했는데, 이를 모르는 유저들이 화면이 꺼지면 왜 음악 재생이 안되냐며 최저 평점을 남기는 경우가 많아 평점이 낮았다. 이후에도 [[Google Play 뮤직|구글 뮤직]] 서비스가 종료되고 유튜브 뮤직으로 통합되면서 넘어온 유저들의 최저 평점이 속출했다. 특히, 국내의 경우 정식 서비스를 시작한 유튜브 뮤직이 '''완전 유료화'''되면서 유튜브 프리미엄이 아니면 접속이 되질 않았기 때문에 구글 뮤직을 MP3플레이어로 사용한 유저들이[* 국내에서는 [[Google Play 뮤직|구글 뮤직]]이 정식 서비스 되지 않았기 때문에 대다수 국내 유저들은 구글 뮤직앱을 음원 스트리밍 서비스인줄 몰랐고, MP3플레이어 앱으로만 사용했었다.] 돈내고 음악 플레이어를 사용하라는거냐며 최저 평점을 남기는 경우가 많았다. 최근들어 유튜브 프리미엄을 구독하는 유저들이 많아지면서 [[2021년]] 9월 기준, 플레이 스토어 평점은 4.3점으로 상당히 높아진 상황이다. * (프리미엄 전용 음원이 아닐 시) 계정에 로그인을 하면 VPN을 켜도 국가 차단된 음원이 뜨지 않지만 로그인을 하지 않은 채로 VPN을 키고 음원을 검색하면 들을 수 있다. * 일부 가수의 음원이 제공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특이한 점은, 해당 가수의 모든 음원이 아니라 일부 앨범의 음원만이 제공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이유는 다음과 같다.[* 이 문제가 알려지게 된 계기는 '''하필이면 [[Spotify]]가 국내 서비스를 개시하려고 준비하던''' 시점인 [[2021년]] 1월에 갑자기 [[카카오엔터테인먼트/뮤직부문|카카오M]]을 통해 음원을 유통하고 있었던 [[볼빨간사춘기]]와 [[오마이걸]]의 일부 음원이 스포티파이 해외판에서 사라진 것을 알아채고, 이것이 다른 외국계 음원서비스([[Apple Music]] 해외버전, 유튜브 뮤직)에서도 사라진 것을 유저들이 알린 것이 시초였다. 자세한 내용은 [[Spotify/대한민국 서비스 전#s-2.3|이 문서 참고.]]] * 발매되어 제공 중인 음원은 소속사의 계획에 따라 가끔씩 유통사를 변경하는 경우가 있다. 이때 국내 음원서비스들[* [[멜론(음원 서비스)|멜론]], [[지니뮤직]], [[FLO]]같은 곳]은 유통계약이 변경 전에 바로바로 이루어져 차질없이 제공이 가능하다. 하지만, 외국계 음원서비스들[* [[Spotify]], [[Apple Music]], '''유튜브 뮤직'''이 해당]은 유통계약이 바로바로 이루어지지 않는다. 소속사의 계획이 미리 알려지지 않으니, 이용자들 입장에서는 갑자기 음원 제공이 중단된 것처럼 보이는 것이다. 이렇게 삭제된 음원들은 유통사 이전 과정이 모두 종료되는 2~3주 혹은 몇 달 내에 복구된다. 정확히는 계약 체결에 소요되는 시간의 문제가 아니라, 국내 음원 사이트의 경우 서비스를 유지한 상태로 유통사만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나, 해외 서비스는 이전 유통사가 요청하여 서비스 중인 음원 삭제 - 신규 유통사가 음원 업로드하여 새로 서비스하는 과정으로 처리된다. 이 시차로 인해 서비스 공백이 발생하게 된다. * [[2021년]] [[2월 3일]] 기준, 모든 외국계 음원 서비스[* [[Spotify]], [[Apple Music]], 유튜브 뮤직]에서도 다시 지원한다. * 공정거래법 상 [[끼워팔기]]로 보는 시각도 있다. 공정거래법에는 시장지배적사업자가 시장지배적 분야의 재화나 용역을 판매하면서 시장지배적이지 않은 분야의 재화나 용역을 끼워 팔아 해당 분야에서 공정경쟁을 제한하는 행위[* 소비자들이 추가 구매없이 시장지배적사업자가 끼워 판 재화나 용역을 그대로 쓰려고 할 것이기 때문이다.]를 끼워팔기로 보고 있는데[* 이러한 규정으로 인해 과거 [[마이크로소프트]]가 [[Microsoft Windows|윈도우]]를 설치하면 [[윈도우 미디어 플레이어]]를 함께 설치하는 행위로 [[리얼 플레이어]]로부터 제소당해 과징금을 먹고 강제설치를 제외하기도 했다.] 유튜브 뮤직이 딱 이런 상황에 해당하기 때문이다. 시장지배적 분야의 용역(유튜브 프리미엄)을 구매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지배적이지 않은 분야의 용역(유튜브 뮤직)을 함께 구매해야 한다는 점에서 그렇다.[* 유튜브 측은 이를 '유튜브 프리미엄에 가입하면 덤으로 유튜브 뮤직까지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는 다소 이상한 논리로 광고하고있다.] * 종종 유튜브 프리미엄을 사용하더라도 유튜브 뮤직 페이지 대신 강제로 프리미엄 가입 페이지로 리다이렉트 되는 일이 있는 듯하다. 이때는 유튜브 페이지에서 '의견 보내기' 탭을 통하여 [[구글]]에 스크린샷을 첨부하여 문의하면 해결해준다. * 2022년 10월 와이즈앱에 따르면 만 10세 이상 Android 스마트폰 사용자 표본조사 결과 [[멜론(음원 서비스)|멜론]]을 제치고 가장 많이 사용하는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 앱 1위에 올랐다.[[https://news.mt.co.kr/mtview.php?no=2022111509094466617|#]] * 2020년 12월 중순부터 [[https://support.google.com/youtube/thread/87876680/the-comment-section-is-turned-off-for-music-videos-specifically|#1]], [[https://www.reddit.com/r/YoutubeMusic/comments/kdjrk4/hidden_change_youtube_comments_are_now_disabled/|#2]] 유튜브 자동 생성 음원[* Provided to YouTube by (음원 제공 · 권리자). Auto-generated by YouTube. 라는 설명과 함께 제공되는 음원들]의 댓글이 크리에이터의 개별 설정과는 무관하게 [[뉴질랜드 이슬람 사원 테러]]의 [[https://tgd.kr/s/subsub1006/56448989|여파]]로 모두 '사용 중지' 상태로 막혀 있었다가 2022년 11월 중순 즈음에 [[https://9to5google.com/2022/12/24/youtube-music-comments/|#1]], [[https://www.reddit.com/r/YoutubeMusic/comments/zob958/comments_reenabled_for_autogenerated_music/|#2]] 다시 해제되었다. 사용 중지 상태에서는 기존 댓글 열람과 새로운 댓글 작성을 모두 할 수 없었으며, 댓글 영역에 대신 '댓글이 사용 중지 되었습니다. [[https://support.google.com/youtube/answer/9293636|자세히 알아보기]]' 라는 메시지만 표출되었다. 유튜브에서 해당 기능을 제한할 때 공식적으로도 '사용 중지' 상태로 취급하였는지[* [[https://support.google.com/youtube/answer/9483359|YouTube 도움말 - 댓글 설정 알아보기]] Q: 댓글을 사용 중지했다가 사용 설정하면 이전 댓글이 다시 표시되나요? / A: 예. 댓글을 사용 중지했다가 다시 사용 설정하면 기존 댓글이 다시 표시됩니다. 댓글을 사용 중지하면 기존 댓글이 보기 페이지나 YouTube 스튜디오에 표시되지 않습니다.], 기능이 원복된 이후 막히기 전에 달려있었던 기존 댓글들도 다시 확인할 수 있게 되었다. 공식 아티스트 채널 인증이 되어있는 채널에 연결된 음원에 댓글을 달 수 있고 일반 주제(TOPIC)에 있는 음원에는 댓글이 사용중지 되어있다. * 2023년 4월경부터 [[Apple Music]] 등 다른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들처럼 실시간 가사 기능을 지원하기 시작했다. 다만 아직 일부 사용자들만 사용 가능하다. * 싱크가사 등록도 외국인이 하는지 싱크가 맞지 않는 가사들이 다수이다. [* [[AKMU]]의 DINOSAUR가 예시. Musixmatch로 싱크 가사가 업데이트 된다.] [* AKMU의 DINOSAUR의 경우 Musixmatch에서 현재 음원이 라이브 앨범으로 연결되어 있어 싱크가 안 맞을 것이다. 빠른 시일 내에 Musixmatch 큐레이터가 수정하도록 하겠다.] * Waze 앱과 연결할 시, 앱을 둘러보면서 다음 회전을 볼 수 있다. * 2023년 8월 1일부터 일부 노래가 지원되지 않거나 경로가 변경되는 이슈가 나타났다. 이로 인해 적잖은 가수들이 피해를 입고 있으며, 경로가 변경된 영상에 싫어요 폭탄이 박히는 등, 변경된 링크의 영상 주인들 또한 피해를 호소하고 있다. 그럼에도 열흘 넘게 고쳐지지 않아 유저들의 원성을 듣고 있다. * 2023년 9월에 취침 타이머 기능이 생겼다. * 앨범이 싱글 구성이라도 곡이 4곡 이상이면 EP로 표기하고, 싱글 및 EP 로 구분하지 않고 앨범으로 구분한다. == 유튜브 뮤직 선정 베스트 음악 == [include(틀:유튜브 뮤직 선정 역대 국내 음악 베스트)] [include(틀:유튜브 뮤직 선정 역대 국내 댄스 베스트)] [include(틀:유튜브 뮤직 선정 역대 국내 록/얼터너티브 베스트)] [include(틀:유튜브 뮤직 선정 역대 국내 발라드 베스트)] [include(틀:유튜브 뮤직 선정 역대 국내 록발라드 베스트)] [[분류:유튜브]][[분류:음원 서비스]][[분류:2015년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