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5><#000000> '''{{{#FFFFFF [[The Supremes]]의 싱글}}}''' || || "[[Love Is Like an Itching in My Heart]]"[br](1966) ||<|2> → || '''You Can't Hurry Love'''[br](1966) ||<|2> → || "[[You Keep Me Hangin' On]]"[br](1966) || ||
<:><-2> '''{{{+1 {{{#ffffff You Can't Hurry Love}}}}}}''' || ||<-5><:> [[파일:You_Can't_Hurry_Love.jpg|width=340]] || ||<:><#7d7d7c> {{{#ffffff '''수록 음반'''}}} ||<(> The Supremes A' Go-Go || ||<:><#7d7d7c> {{{#ffffff '''아티스트'''}}} ||<(> [[The Supremes]] || ||<:><#7d7d7c> {{{#ffffff '''B-Side'''}}} ||<(> "[[Put Yourself in My Place]]" || ||<:><#7d7d7c> {{{#ffffff '''발매일'''}}} ||<(> 1966년 7월 25일 || ||<:><#7d7d7c> {{{#ffffff '''녹음 기간'''}}} ||<(> 1966년 6월 1일, 7월 5일 || ||<:><#7d7d7c> {{{#ffffff '''스튜디오'''}}} ||<(> [[모타운|히츠빌 U.S.A. 스튜디오 A]] ([[미시간 주]] [[디트로이트]]) || ||<:><#808080> {{{#ffffff '''장르'''}}} ||<(> [[팝 음악|팝]], [[소울 음악|소울]], [[R&B]] || ||<:><#808080> {{{#ffffff '''재생 시간'''}}} ||<(> 2:44 || ||<:><#808080> {{{#ffffff '''레이블'''}}} ||<(> [[Motown]] || ||<:><#808080> {{{#ffffff '''송라이터'''}}} ||<(> Holland–Dozier–Holland || ||<:><#808080> {{{#ffffff '''프로듀서'''}}} ||<(> Brian Holland, Lamont Dozier || [목차] [clearfix] == 개요 == [[슈프림즈]]의 싱글이며 이들의 9집 앨범 The Supremes A' Go-Go의 두번째 싱글로 1966년 7월 25일에 발매되었다. == 상세 == 드럼과 탬버린이 만들어내는 비트 위로 기타와 피아노, [[베이스 기타]] 연주가 올라간 밝은 분위기의 [[모타운|모타운 사운드]] 곡조에 [[다이애나 로스]]의 보컬과 그룹 멤버들의 하모니가 올라간 곡이다. 사랑 노래이며 1966년 미국에서 공전의 히트를 거두었다. == 오디오/비디오 == || 오디오 || ||[youtube(uZj032MNIx4)]|| || 비디오 || ||[youtube(Itn438i30hk)]|| == 가사 == ||[Intro] I need love, love To ease my mind I need to find, find Someone to call mine But Mama said [Chorus] "You can't hurry love No, you just have to wait" She said, "Love don't come easy It's a game of give and take" (Can't wait) "You can't hurry love (Ooh, until that day) No, you just have to wait You got to trust, give it time (Love don't come easy) No matter how long it takes" [Verse 1] But how many heartaches Must I stand Before I find a love To let me live again? Right now the only thing That keeps me hangin' on When I feel my strength Yeah, is almost gone I remember Mama said [Chorus] "(You can't hurry love) No, you just have to wait" She said, "Love don't come easy It's a game of give and take" (Can't wait) How long must I wait? (Ooh, until that day) How much more can I take Before loneliness (Love don't come easy) Will cause my heart, heart to break? [Verse 2] No I can't bear To live my life alone I grow impatient for a love To call my own But when I feel that I I can't go on These precious words Keeps me hangin' on I remember Mama said [Chorus] "(You can't hurry love) No, you just have to wait" She said, "Love don't come easy It's a game of give and take" (Can't wait) "You can't hurry love No, you just have to wait" (Ooh, until that day) She said, "Trust, give it time (Love don't come easy) No matter how long it takes" (Now break!) [Verse 3] No, love, love Don't come easy But I keep on waiting Anticipating For that soft voice To talk to me at night For some tender arms To hold me tight [Chorus] I keep waiting (Can't wait, ooh, until that day) I keep on waiting But it ain't easy (Love don't come easy) It ain't easy, but Mama said "You can't hurry love (Ooh, until that day) No, you just have to wait" She said, "Trust, give it time (Love don't come easy) No matter how long it takes" "You can't hurry love (Ooh, until that day) No, you just have to wait She said love don't come easy"|| == 차트 성적 == [[빌보드 R&B 차트]]에서 1966년 9월 첫째 주부터 둘째 주까지 2주 연속 1위, [[빌보드 핫 100]]에서 1966년 9월 둘째 주부터 셋째 주까지 2주 연속 1위를 기록했다. [[1966년 빌보드 핫 100 연말 차트]]에선 13위에 올랐다. == [[필 콜린스]]의 1982년 커버 버전 == [[블루 아이드 소울]] 스타일로 커버한 버전이며 [[빌보드 핫 100]]에서 10위를 기록했다. [[1983년 빌보드 핫 100 연말 차트]]에선 37위에 올랐다. [[분류:슈프림즈]][[분류:모타운 음반]][[분류:빌보드 핫 100 1위 노래]][[분류:빌보드 R&B 차트 1위 노래]][[분류:1966년 노래]][[분류:1966년 싱글]][[분류:팝]][[분류:소울 음악]][[분류:R&B]][[분류:홀랜드-도지어-홀랜드]][[분류:필 콜린스]][[분류:빌보드 핫 100 10위 노래]][[분류:1982년 노래]][[분류:1982년 싱글]][[분류:블루 아이드 소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