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일반 == [include(틀:라틴 문자)] {{{+1 X / x}}} [[라틴 문자]]의 24번째 글자이다. === 역사 === [[그리스 문자]] 카이([[Χ]]/χ)에서 유래한 로마자이다. 유래가 된 그리스어에서는 Χ가 고대의 경우 [kʰ](한국어 'ㅋ'의 초성 발음), 현대의 경우 [x]나 [ç]의 음가를 가지는 반면, 로마자 X에 해당하는 음가 [ks]는 크시[[Ξ]]/ξ로 나타낸다. 여기에 사연이 있는데, [[고대 그리스]]는 글꼴의 표준화가 이루어지지 않아 지역에 따라 조금씩 다른 자모가 쓰였다. 아티카를 비롯한 동부에서는 지금과 마찬가지로 Χ가 [kʰ] 음가를 가졌고, [ks] 음가는 [[페니키아 문자]]의 사메크(𐤎)를 개조한 Ξ로 나타냈는데, 이 동부식 체계가 훗날 그리스 문자의 표준이 된다. 반면, 그리스 서부 지방에서는 [ks]를 ΧΣ로 풀어쓰다가 나중에는 그냥 Χ로 썼고, [kʰ]는 Χ의 다른 글꼴인 Ψ[* 동부에서는 지금처럼 /ps/ 음가를 가진 별개의 문자였다.]로 표기했는데, 이 서부식 체계가 [[이탈리아 반도]]로 전해지면서 이 흔적이 라틴 문자에 남게 된 것이다. === 발음 === 원래 [[라틴어]]에서는 [ks](크스) 소리를 내는 글자였으며, 보통 유럽 언어에서는 이 소리가 난다. 영어 알파벳의 x도 그 소리가 나지만 어두에서는 음운 제약으로 인해 [z] 발음이 나고[* 우리에게 친숙한 예를 들어보자면 [[자일리톨]](xylitol)과 [[실로폰|자일로폰]](Xylophone) 정도가 있다.] 가끔가다 어중에서 [[엑자일(동음이의어)|exile]]과 같이 유성음 [ɡz]로 발음될 때가 종종 있다. [[스페인어]]에서는 중세에는 [ʃ] 음가였다가 근세에는 자음 히읗으로 옮기는 [x]로 바뀌었다. 그리고 철자법 개정 때 [x] 발음의 x는 모두 j로 바뀌면서 지금의 x는 낱말의 맨 앞에서는 [s]로, 그 밖에는 [ks]로 읽는다.[* 이 변화의 궤적을 잘 보여주는 예가 [[멕시코]]의 스페인어 국호인 México(메히코)인데, 처음에는 나와틀어 지명 Mēxihco([meːˈʃiʔko\], 메시코)의 [ʃ\]를 표기하는 용도로 x를 썼다가 음가가 [x\]로 바뀌었고 지금도 이 발음과 표기를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 한편 카스티야-레온 지방에서는 [s]로 발음한다. [[포르투갈어]], [[몰타어]], [[바스크어]]에서는 보통 [ʃ] 발음이며, [[알바니아어]]에서는 z와 비슷한 소리인 [dz] 소리가 난다. [[이탈리아어]]에서는 x를 쓰지 않는 대신 s(자음 앞) 혹은 ss로 바꿔 쓴다. 북게르만어군(스웨덴어, 아이슬란드어 제외) 및 슬라브어파는 X를 ks로 바꿔 적는다. [[우즈베크어]]나 [[소말리어]] 등 유럽 밖에서 쓰이는 언어에서 x가 보이면 거의 [x]나 이 발음과 비슷하게 'ㅎ'처럼 들리는 [χ], [ħ] 같은 발음들로 발음되지만 '시'처럼 발음되는(xi) [[중국어]] [[한어병음]]이나 ㅆ처럼 발음되는 베트남어 등의 예외도 있다.[* [[쯔꾸옥응으|베트남어 알파벳]]은 로망스어(포르투갈어) 알파벳에 기반해 있어서 그렇다. 한어병음의 경우, /x/ 발음을 내는 hi/hü가 [[구개음화]]로 xi/xu로 변해서 그렇다.] 비슷하게 로망스어 알파벳에 기반한 [[나와틀어]] 같은 언어에서도 x는 [ʃ] 발음이 난다. 언어에 따라서는 x가 [[흡착음]]이나 [[방출음]] 내지는 [[성문음|성문파열음]] 같은 아무리 봐도 x와 상관없어 보이는 발음을 적는 데도 쓰이는데 이쪽은 그냥 남는 글자가 x라서 그런 듯하다. === 용례 === Z와 Q에 이은 영어에서 가장 적게 쓰이는 글자 3위. 영어에서 자신으로 시작하는 단어의 수가 가장 적은 글자다. X로 시작하는 단어는 기껏해야 [[X선|X-ray]], [[성탄절|X-mas]], [[실로폰|xylophone]], [[자일리톨|xylitol]], [[제논|xenon]], [[자비에르|Xavier]](남자 이름) xeno (외계의), --[[X같은]]-- 정도다. 고유명사까지 합하면 xerox 혹은 Xbox 정도가 있겠고, 좀 억지스러운 것까지 끼워주면 X-Large, [[THE X-FILES|X-File]] 정도다. 이렇게 단어가 적다보니 각 자모별로 시작하는 단어를 1개씩 적어놓는 표에는 x로 끝나는 말로 대체할 때가 많다. 그렇다고 실제로 x로 시작하는 단어가 수십개 정도 밖에 안된다는건 아니고, 자주 쓰이는 단어 중 몇 개 없다는 말이다. 실제로는 1,600개 정도 있다. x가 들어가는 단어는 [[여우|fox]], [[6|six]], fax, [[택시|taxi]], fix, [[세금|tax]], [[엑스트라|extra]], [[특급|express]], extreme, [[경험|experience]], [[독극물|toxin]], relax, anxious, exist, exit, [[고사|exam]], expensive, explain, next, example, [[상자|box]], [[권투|boxing]], explorer, proxy, [[도끼|ax]], [[황소|ox]], mix, [[성관계|sex]], [[왁스|wax]], [[징크스|jinx]], [[피닉스|phoenix]], [[컴플렉스|complex]], [[매트릭스|matrix]], [[스핑크스|sphinx]], [[산소|oxygen]], [[룩셈부르크|Luxembourg]], [[멕시코|Mexico]], [[은하|galaxy]], [[색소폰|saxophone]], epitaxy[* 반도체 박막 공정법인 에피택시. 단결정 위에 단결정을 성장시키는 기술이다.] 등이 있다. 다만 Z와 Q보다는 사용 빈도가 높은 편인데도 그 두 글자에 비하면 자신으로 시작하는 단어는 현저히 적어서 라틴 문자에서 가장 적게 쓰이는 글자로 착각하는 사람이 많다. ex-로 시작하는 단어들은 첫음이 x와 비슷하기 때문에 종종 해당 약어로 쓰이기도 한다. 흔한 예시로 경험치('''Ex'''perience '''P'''oint)의 약자인 [[XP]]가 있다.[* [[Windows XP|윈도우 XP]]의 유래도 E'''xp'''erience의 XP이다.] 전남친(ex-boyfriend), 전여친(ex-girlfriend)을 그냥 '엑스'라고 부르기도 한다. 혹은 멋을 위해 아예 Extreme을 Xtreme처럼 Ex를 X로 치환해서 적는 경우도 있다. -ics를 -ix로 쓰기도 한다. [[한국국토정보공사]]의 약칭이 LX인 것도 Informat'''ics'''를 Informat'''ix'''로 표시한 것에서 착안한 것. [[크로스|cross]]를 X로 쓰기도 한다. 영어권 [[도로노면표시]]에 Xing 이라고 적혀 있으면 Crossing, 즉 횡단보도가 앞에 있음을 의미한다. 해킹 용어인 Cross-site Scripting도 약자는 헷갈리기 쉬운 CSS 말고 [[XSS]]로 쓴다. 이는 일종의 [[훈독]]이라 할 수 있다. x의 경우 그 앞에는 약자나 외국어가 아닌 이상 대부분 모음이 들어가며, 예외가 있다면 Jinx (징크스) 정도다. x가 들어가는 단어들의 어원을 살펴보면 보통 그리스어나 라틴어 차용어다. 사실 영어에서 [[ex]]-[* '밖의'의 의미를 가지고 있는 어근이다.]로 시작하는 단어들 중 후행하는 자음에 따라 x를 누락시키는 경우가 '''상당히 많아서'''(educate, eccentric, evaluate, erect, eject..) x의 사용 빈도가 기하급수적으로 떨어지게 된다. [[프랑스어]]는 -aux, -eux, -oux, -ix 꼴의 단어가 많아서 다른 언어들보다 X를 자주 쓴다. [[에스페란토]]에서는 위에 보조 기호 (Supersigno)가 붙은 문자 (Ĉ, Ĝ, Ĥ, Ĵ, Ŝ, Ŭ)의 보조 기호를 표기할 수 없는 상황에서 대체 표기법으로 쓰인다. Ĉ를 쓸 수 없는 상황에선 Cx라고 표기하는 식.[* [[폴란드어]]에서는 이와 유사하게 [[체코어]] 등 다른 슬라브어에서 š 식으로 적을 때 sz 식으로 z를 더 적는다.] 이는 에스페란토 알파벳에서는 X가 사용되지 않기에 가능한 것으로, 유니코드를 사용할 수 없는 환경에서는 아직까지 흔한 표기법이다. 자세한 것은 [[에스페란토]] 문서의 [[에스페란토#윗부호의 대체 표기|윗부호의 대체 표기]] 참조. [[Hold ⓧ to Pay Respects]]와도 관련이 있다. === 기타 === 단어가 X로 시작하면 멋있게 느끼는 사람들이 많다. [[http://tvtropes.org/pmwiki/pmwiki.php/Main/XtremeKoolLetterz|예시]] 중2병스럽다는 인식도 있다. [[포네틱 코드]]로는 X-ray로 읽는다. [[명랑만화]]에서는 [[배꼽]]을 X자로 묘사하곤 한다. 욕설을 대놓고 글로 쓸 수 없을 때 [[숨김표|X 표시]]를 하기도 한다. [[엑기스]]는 extract의 줄임 [[ex]]-를 일본식으로 발음한 것이 한국에 유입된 것이다. [[만화적 표현|만화 캐릭터의 눈에 X를 표시하여 캐릭터가 죽었음을 표현한다.]] [[혀]]를 [[메롱]]하듯 약간 내밀고 있는 표정과 자주 함께 쓰이나 어이없는 상황에 말이 안 나온다든지 등의 상황에서도 사용된다. 말이 안 나오는 상황의 경우 입이나 마스크에 X표시를 하는 경우도 있다.[* [[사이타마 붉은 전갈대#s-3.2|정체를 숨기기 위해서 쓰는 경우도 있다.]]] 종종 말하면 안 되는 단어나 쓸데없는 말을 한 캐릭터, 혹은 시끄러운 캐릭터에게 다른 캐릭터가 해당 캐릭터의 입에 X자 테이핑을 하기도 한다.[* 이 경우 [[김현수(1988)|무언의 항의 등의 이유로 자의로 X자 테이핑을 하기도 하지만]] 보통은 다른 캐릭터에 의해 X자 테이핑을 당한다.] 알파벳 X는 업그레이드의 의미도 가지고 있다. 또한 미지수의 의미도 갖고 있어서 수학에서 ''y''와 함께 많이 쓰인다. ''z''나 ''a'', ''b'', ''c''가 같이 쓰이기도 한다. [[좌표계#s-2.1|직교좌표계]]에 쓸 경우는 일반적으로 가로축(횡축)을 지칭할 때 쓴다. 수도권 전철 노선도를 보면 [[수도권 전철 3호선|3호선]]과 [[수도권 전철 4호선|4호선]]이 X자를 이루고 있다. == 기호 == === [[X표]](×)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X표)] ○와 함께 기존 문자를 가리거나 ○과 반대되어 부정적인 것을 나타내는 기호이다. 수학 기호로서 [[×]]가 특수문자에 실려있지만 입력이 불편하기에 O로 입력하는 ○와 마찬가지로 [[닮은꼴 문자]] X로 입력하는 경우가 많다. === [[국제음성기호]] [x] === [[연구개음#마찰|무성 연구개 마찰음]](voiceless velar fricative)이다. 스페인어의 j, 중국어 한어병음의 h에 해당하는 소리다. === 방정식에서 쓰이는 문자 === || [youtube(YX_OxBfsvbk)] || || Why is '[math(x)]' the unknown?(왜 '[math(x)]'가 미지수인가?) - [[TED]] 강연[* 이 영상에서 설명하는 내용이 그나마 널리 알려진 설이지만, 이 역시 확인된 바가 없으며 이미 이 가설에 대한 적지 않은 반박이 존재하기 때문에 정설로 보기에는 무리가 있다. 때문에 그저 흥미로 보는 것을 권장한다.] || 보통 [[미지수]]를 나타낼 때 쓰인다. 보통 실수를 나타낼 때는 소문자로, 평면이나 공간 상의 점을 나타낼 때는 대문자로 쓰며, 계산기나 엑셀 등에서는 실수라도 대문자로 쓰기도 한다. 또한, 숫자나 문자, 식을 치환할 때 대문자를 많이 쓴다[* 다만 이 경우는 부정원과 혼동될 수 있으니 주의. '''특정 수'''를 대표하는 경우라면 미지수, '''특정 수가 들어갈 수 있는 위치'''를 대표하는거라면 부정원이라고 받아들여야 한다.]. 방정식에 쓸 때는 곱셈 기호와 혼동되지 않도록 [math(x)] 같은 형태로 쓰는 경우가 많다. 이에 대해서 잘 쓰이지 않는 철자여서 인쇄소에 활자가 많이 남아돌아서 이걸로 했다는 말이 있지만 확실한 건 아니다. === 미지의 존재 === 알 수 없는 존재나 미지의 인물 등을 나타낼 때 쓰인다. X표의 경우 이 글자의 이름을 따 엑스라고 불릴 때가 많다. 위 미지수 용법에서 따옷 듯하다. [[미국]]의 흑인 인권운동가인 [[맬컴 엑스]]의 '엑스'도 '미지의 성(姓)'을 의미한다. 그의 본래 성은 '리틀'인데, 이는 백인 노예주들이 멋대로 붙인 성이고 원래 아프리카 조상의 성을 알 수 없기 때문에 성을 x라 쓴 것이다. === 영어 단어 'By' === 'By'의 의미를 갖는 기호 'x'를 대신하여 알파벳 X가 사용되기도 한다 * [[SXSW]](South by Southwest): 매년 3월 텍사스 오스틴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음악 축제. * [[투모로우바이투게더|TXT]](투모로우바이투게더): [[빅히트엔터테인먼트]]의 5인조 아이돌 그룹. * [[헌터x헌터]]: 토가시 요시히로의 만화. 헌터 바이 헌터로 읽는다. * [[RING X RING]]: 걸그룹 [[Billlie]]의 데뷔곡 링 바이 링으로 읽는다. === 군용장비 등 실험적 모델의 구분기호 === e'''X'''periment(실험적) [[프로토타입]] 항목 참조. 대체로 미군에서 사용하는 기호이며, 미군의 영향을 받은 한국군 또한 사용한다. === 기타 === *크로스컨트리나 4륜구동 등을 연상시키는 덕택에 각 자동차 브랜드의 4륜구동 차량이나 SUV 등에 붙으며, 4륜구동 기술 등을 지칭할 때 쓰이기도 한다.[* [[BMW]] X모델과 X Drive, [[볼보]] XC, [[인피니티(자동차)|인피니티]] QX및 FX, [[렉서스]] RX, [[링컨(자동차)|링컨]] MKX 등. 단, [[재규어(자동차)|재규어]]는 엔트리 세단인 X타입부터 최고급 XJ에 이르기까지 포함되는지라 경우가 조금 다르다. ~~그런데 그차들에도 4륜구동 들어가니까 상관없지 않나?~~] *화학에서는 임의의 [[할로젠 원소]]를 뜻하는 원소 기호로 쓰인다. *조난자들이 방법이 없다는 뜻으로 X를 써서 구조요청하기도 한다. *볼링에서는 초구에 모두 쓰러뜨리는 스트라이크를 뜻한다. 따라서 X가 많을 수록 점수를 많이 벌었다는 뜻이며, 반대로 O가 많으면[* 스플릿을 뜻한다. 스플릿은 오픈을 범하기 쉽다.] 개고생했거나 게임 망했다고 봐도 무방하다. == 고유명사 == === [[X(SNS)|X]]의 [[X Corp.|모기업 법인]]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X Corp.)] ==== [[트위터(기업)|트위터]]의 후신 플랫폼 [[X(SNS)|X]]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X(SNS))] === [[구글]]의 연구소 [[X(연구소)|X]]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X(연구소))] === [[CLAMP]]의 만화 [[X(만화)|X]]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X(만화))] === 롤러코스터 [[X²]]의 전 이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X²)] === 타이 웨스트의 [[X(영화)|영화]]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X(영화))] === 그 외 동음이의어 === * [[10]]을 나타내는 로마 숫자 * X Window System의 줄임말 X[* [[유닉스]]계 운영체제들에서 그래픽 환경을 구현하는 프로그램들의 총칭이다.] * [[미국]]의 실험기들의 형식 번호 [[X 실험기 시리즈]] * 인간을 비롯한 포유류 암수가 공통으로 가지고 있는 [[성염색체]] * [[버거킹]]의 스테이크 패티 버거 제품군 [[와퍼|X 시리즈]] * [[제9행성]]이 사용했던 가칭 ==== 음반, 노래 ==== * [[터보(그룹)|터보]]의 정규 4집 [[Perfect Love]] 후속곡 '''"[[X (The Greatest Love)]]"''' * [[sasakure.UK]]의 [[Be-Music Script|BMS]]곡 '''"[[X(BMS)|X]]"''' * [[BEMANI|BEMANI 시리즈]]의 악곡 '''"[[X(BEMANI 시리즈)|X]]"''' * [[몬스타엑스]]의 노래 '''"[[X(몬스타엑스)|X]]"''' * [[f(x)]]의 정규 4집 "[[4 Walls]]" 수록곡 '''"X"''' * [[일본]]의 메탈 밴드 [[X JAPAN]]의 노래 '''"[[X(X JAPAN)|X]]"''' * [[EXID]]의 10주년 기념 앨범 '''"[[X(EXID)|X]]"''' * [[pH-1]]의 믹스테입 '''"[[X(pH-1)|X]]"''' * [[에드 시런]]의 정규 2집 '''"[[x(음반)|x]]'''" ==== 전자 기기 ==== * [[아이폰 X]] 시리즈 - 2017년 출시한 [[Apple]]의 스마트폰 * [[LG X 시리즈]] - [[LG전자]]가 2016년 공개한 스마트폰 라인업 브랜드 * [[인텔 코어 X 시리즈]] - [[인텔]]이 2017년 발표한 하이엔드급 CPU 라인업 브랜드 ==== 방송, 애니메이션 ==== * [[가면라이더 X]] - 일본의 특촬 프로그램 시리즈 * [[울트라맨 X]] - 일본의 특촬 프로그램 시리즈 * [[프로듀스 X 101]] - 한국의 아이돌 오디션 프로그램 시리즈 ==== 게임 ==== * [[포켓몬스터 X·Y]] * [[록맨 X 시리즈]] * 우주 시뮬레이션 [[X 시리즈]] * [[닌텐도]]에서 [[게임보이]]로 1992년에 개발하고 출시한 3D 슈팅 게임 * [[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의 엔진 등급인 [[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카트바디/엔진 등급#s-2.8|X엔진]] * [[X(BEMANI 시리즈)]] * --[[X를 눌러 조의를 표하십시오]]-- == 인명 == === 실존인물 === * [[맬컴 엑스]]: [[미국]]의 흑인 인권운동가 * [[엑스 알비오]] - [[니지산지]] 소속 버츄얼 유튜버 * [[XXXTENTACION]]: 국내에서는 '''텐타시온'''이나 '''텐타숑'''으로 불리지만 영미권에서는 그냥 '''X'''로 줄여서 말한다. ==== [[X JAPAN]]의 전 이름 ==== [[일본]]의 대표적인 록밴드. X가 처음 활동하던 당시(1980년대) 사용할 밴드명이 없어서 그냥 X로 정했다고 한다. 이후 X가 무한의 기호라는 것을 알게 되고 밴드명으로 확고하게 정했다. 1992년 세계 진출 과정에서 [[미국]]에 동명의 밴드가 존재했기에 혼란을 피하기 위해 X JAPAN으로 개명했다. === 가상인물 === * [[가면라이더 X]] - [[가면라이더 X(가면라이더)|가면라이더 X]] * [[가정교사 히트맨 REBORN!]] - [[XANXUS]][* 이름에 X자가 2개나 들어간다.] * [[갓 오브 하이스쿨]] - [[X(갓 오브 하이스쿨)]] * [[다이스]] - [[엑스(다이스)]] * [[더데빌]] - [[더데빌#s-3|X(더데빌)]] * [[록맨 X 시리즈]] - [[엑스(록맨 X 시리즈)]] * [[록맨 제로 시리즈]] - [[엑스(록맨 제로 시리즈)]] * [[록맨 X 커맨드 미션]] - [[엑스(록맨 X 커맨드 미션)]] * [[마다가스카의 펭귄]] - [[마다가스카의 펭귄/등장인물#s-5.4|요원 X]] * [[마인탐정 네우로]] - [[괴도 X]] * [[마키시의 이웃들]] - [[엑스(마키시의 이웃들)]] * --[[메트로이드 퓨전]] - [[X(메트로이드 시리즈)]]--[* 본 문서의 [[X#s-4.2.1|4.2.1.]] 문단 참조.] * [[명탐정 코난]] [[절해의 탐정]] - [[스파이 X]] * [[바다의 전설 장보고]] - [[X(바다의 전설 장보고)]] * [[변신자동차 또봇]] - [[또봇 X]] * [[뿌요뿌요 테트리스]] - [[엑스(뿌요뿌요 테트리스)]] * [[세미와 매직큐브]] - [[엑스(세미와 매직큐브)]] * [[세미와 매직큐브#s-4.4.2.1|엑스돌이]] * [[오메가 스트라이커스]] - [[엑스(오메가 스트라이커스)]][* 원어명은 'X'] * [[엑스애쉬]] - [[엑스(엑스애쉬)]] * [[울트라맨 X]] - [[X(울트라맨 X)]] * [[유희왕 GX]] - [[X(유희왕 GX)]] * ~~[[첩보의 별]] - [[Mr. 국장|국X장]]~~ * [[최강의 군단]] - [[X(최강의 군단)]] * [[캐릭캐릭 체인지]] - [[X알]], [[X캐릭터]] * [[쾌도전대 루팡레인저 VS 경찰전대 패트레인저]] - [[타카오 노엘|루팡 X&패트렌 X]] * [[터닝메카드]] - [[엑스(터닝메카드)]], [[닥터 X]] * [[Battle for Dream Island]] - X * [[Fate 시리즈]] - [[수수께끼의 히로인 X]], [[수수께끼의 히로인 X [얼터\]]] * [[Lobotomy Corporation]] - [[X(Project Moon 세계관)|관리자 X]][* 본작의 주인공이다.] * [[Xtale]]의 등장인물들[* 작중에서는 X가스터와 X-이벤트를 제외하고는 모두 앞에 붙는 X가 생략되지만 [[언더벌스]] 전체의 내용으로 볼 땐 엄연히 X가 붙는다..(예: X메타톤, X아스고어 등)] ==== [[메트로이드 퓨전]]에 등장하는 정체불명의 생물체 [[X(메트로이드 시리즈)|X]]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X(메트로이드 시리즈))] [[분류:동음이의어]][[분류:로마자]][[분류:이름/영미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