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p.eagate.573.jp/2022su_ddr_34.jpg]] [목차] == 개요 == [include(틀:kors k의 캔디 시리즈)] [[BEMANI|BEMANI 시리즈]]의 수록곡. [[kors k]]의 캔디 레이브 시리즈 제3탄에 해당하는 곡이다. 이 곡의 존재가 알려지자 제목을 어떻게 읽어야하는가에 대한 논쟁이 잠깐 일었었는데, 이후 'Love U'를 발음하려다 혀가 딸려서 발음이 어긋난 경우라는 게 알려졌다. 실제로 l과 w는 음성학적으로 둘 다 [[접근음]]에 속하는 음으로 비슷하다. 단 l은 설측음(lateral approximant)라는 점이 다르다고 한다. 자켓부터 보면 알겠지만 '''대놓고 [[smooooch・∀・]]의 후속곡'''을 표방하고 있으며, 그 후 [[리플렉 비트 라임라이트]]에 [[Flip Flap]]라는 이 곡의 후속곡이 나왔다. == [[리플렉 비트 시리즈]] == ||<-5> [[리플렉 비트]] 난이도 체계 || || [[BPM]] ||<-4> 난이도 || ||<|2> 173 || {{{#green,#7fff7f BASIC}}} || {{{#orange,#ffa500 MEDIUM}}} || {{{#red,#ff0000 HARD}}} || {{{#magenta,#ff00fe White Hard}}} || || {{{#green,#7fff7f 6}}} || {{{#orange,#ffa500 9}}} || {{{#red,#ff0000 11}}} || {{{#magenta,#ff00fe 12}}} || || 스킬 레이트 || {{{#green,#7fff7f 23}}} || {{{#orange,#ffa500 38}}} || {{{#red,#ff0000 52}}} || {{{#magenta,#ff00fe 60}}} || || 오브젝트 || {{{#green,#7fff7f 193}}} || {{{#orange,#ffa500 355}}} || {{{#red,#ff0000 432}}} || {{{#magenta,#ff00fe 517}}} || || MAX COMBO || {{{#green,#7fff7f 208}}} || {{{#orange,#ffa500 381}}} || {{{#red,#ff0000 449}}} || {{{#magenta,#ff00fe 571}}} || || JUST REFLEC || {{{#green,#7fff7f 9}}} || {{{#orange,#ffa500 13}}} || {{{#red,#ff0000 12}}} || {{{#magenta,#ff00fe 15}}} || || 수록버전 ||<-4> [[리플렉 비트]] || || [[리플렉 비트 플러스|Rb+]] 수록 팩 ||<-4> MUSIC PACK 02 || ||<-5>{{{#green,#7fff7f BASIC}}} : 난이도 1 증가 (라임라이트), 오브젝트 12 감소 (리플레시아)[br]{{{#orange,#ffa500 MEDIUM}}} : 오브젝트 4 증가 (리플레시아)[br]{{{#magenta,#ff00fe White Hard}}} : 보면 추가 (리플레시아)|| ||<-2> [[리플렉 비트]] 특수선곡 해금곡 || ||<-2> 최소 해금 가능 레벨 : Lv. 24[* 중간에 잠깐 레벨 3으로 떨어진 적이 있다. 이유는 [[さよならトリップ]] 글 참조.] || || 첫번째 선곡 || '''[[SigSig]]''' || || 두번째 선곡 || '''[[smooooch・∀・]]''' || [youtube(DuHBiSBd6_w)] 하드 난이도 영상 [youtube(cDsPgS9EWvU)] 화이트하드 난이도 영상 자켓은 귀엽지만 생긴 것과 달리 난이도는 상당히 높다. 16비트의 체인 오브젝트 연타가 상당히 자주 나오기 때문에 당황하다보면 금새 점수가 낮아지게 된다. [[리플렉 비트]]에서는 선곡 방식 해금곡으로 추가되었으며, 그 덕분에 초반에 이 곡이 추가되었단 것은 알았지만 해금조건을 찾아내는데 난항을 겪었다. 해금법은 로컬배틀이 아닌 온라인 배틀에서 [[SigSig]] → [[smooooch・∀・]] 순으로 선곡[* 순서가 틀려서도 안되며, 이 순서대로 플레이해야 한다고 한다. [[Infinity]]의 해금도 비슷한 방식으로 진행.]하면 곡이 해금되며, 다음 스테이지부터 바로 플레이가 가능. 1->2스테이지도 가능하지만 2->3스테이지도 가능하다고 한다. 그렇기에 원래는 [[SigSig]]가 레벨 24 해금곡이므로 실질적으로 24레벨 해금곡이었지만, 4/13 업데이트 이후에는 SigSig이 초기상태에서도 [[さよならトリップ]]를 클리어하여 해금이 가능하도록 바뀌었기에 사실상 [[smooooch・∀・]]의 해금 이후인 3레벨에서 해금할 수 있었다. 어펜드 페스티벌이 종료된 8월 이후에는 원상복귀 되었다. 다만 곡의 인기 치고는 선곡률이 의외로 낮은 편이다. 실제로 윈카운트 랭킹만 봐도 다른 레벨 9 곡들보다 많이 저조한 편. 선곡률이 낮은 이유는 여러가지이지만 스코어링이 굉장히 힘든 것이 그 이유 중 하나. 애초에 랭킹 10위권이 30그렛대 기록이다.. [* 참고로 레벨 8 만인의 스코어링곡 [[JUMPER]]는 랭킹 10위권이 10그렛 초반대인것을 감안하면...] 기본적으로 엇박 위주기에 판정 잡기가 힘들고, 중간에 빠르게 나오는 8체인을 올 저스트로 넘기기가 굉장히 힘든데다가 기본 스크롤 속도가 빨라 노트 파악도 힘들다. 사실 8체인 3개만 올저스트로 넘겨도 1400점은 넘지만 이게 마음대로 나오는게 아니다.(...) 롱노트 구간이 레벨에 비해서는 어렵지 않기 때문에 고속 버그노트가 아닌 이상 투탑과 체인만 잘 처리한다면 안정풀콤도 가능하지만, 문제는 8체인에서 판정이 한번 말리기 시작하면 점수차가 훅 벌어지는 경우가 자주 발생한다. 그 덕분에 그레이드가 높아질수록 판정싸움이 되는 경향이 강해지는데, S1-S1매칭이 되면 8체인 3번에서 벌어진 점수차가 끝까지 극복되지 못하고 트윈 풀콤이 터지는 경우가 허다하다. 그렇기 때문에 해당부분을 JUST판정으로 넘길 수 있는 자신만의 운지법을 만들거나[* 일례로 Y.S-Y의 운지를 보면, Wuv U의 8체인같은 빠른 연타를 칠때는 왼손은 검지, 오른손은 중지를 사용해서 처리한다.] 아예 박자를 완벽히 잡는 것이 좋다. == [[beatmania IIDX]] == || 장르명 ||<-3> CANDY RAVE[br]캔디 레이브 || [[BPM]] ||<-2> 173 || || 전광판 표기 ||<-6><#454545> '''{{{#FF5A00 WUV U}}}''' || ||<-7> [[beatmania IIDX]] [[beatmania IIDX/난이도 체계|난이도 체계]] || || ||<-2> {{{#blue,#0000ff 노멀}}} ||<-2> {{{#orange,#ffa500 하이퍼}}} ||<-2> {{{#red,#ff0000 어나더}}} || || 싱글 플레이 || {{{#blue,#0000ff 3}}} || {{{#blue,#0000ff 208}}} || {{{#orange,#ffa500 8}}} || {{{#orange,#ffa500 672}}} || {{{#red,#ff0000 10}}} || {{{#red,#ff0000 861}}} || || [[더블 플레이]] || {{{#blue,#0000ff 7}}} || {{{#blue,#0000ff 623}}} || {{{#orange,#ffa500 9}}} || {{{#orange,#ffa500 804}}} || {{{#red,#ff0000 11}}} || {{{#red,#ff0000 1089}}} || * [[beatmania IIDX/수록곡|곡 목록으로 돌아가기]] * 아케이드 수록 : [[beatmania IIDX 18 Resort Anthem|18 Resort Anthem]]~ * 가정용판 수록 : [[beatmania IIDX INFINITAS|INFINITAS]] (17년 1월 수록) * [[단위인정]] 수록 * 싱글 노멀 : 6급 (25 CANNON BALLERS) 2011년 7월 14일부터 시작되는 [[Lincle Link]] 이벤트 1탄을 통해 [[beatmania IIDX 18 Resort Anthem]]에도 수록되었다. 2013년 9월 12일부터 천사의 카드로 해금이 가능해졌다. '''[[BGA]]가 범용'''이다. 이벤트 수록이니만큼 시간이 부족했을테니 전용 BGA가 없었을 거라고 추측되었고, 실제로 전용BGA가 나중에 추가된 [[quasar]]의 선례도 있고 해서 차기작에는 전용 [[BGA]]가 추가될 거라고 유저들은 기대했었으나... '''전용 BGA는 추가되지 않았다.'''[* [[SigSig|달리다가 넘어지고]], [[smooooch・∀・|통통통통 튀어다니던]] 곡들이 [[BGA]]로 유명해진 것을 감안하면...] 게다가 이러한 관례에 따라 BGA가 안들어갈거 같았던 [[FLOWER(BEMANI 시리즈)|FLOWER]]에 BGA가 들어가면서[* 참고로 유비트와 리플렉에서 투덱으로 이식된 곡 중에 '''최초'''다!] 더 비교가 되었다. [[https://www.nicovideo.jp/watch/sm15212366|그래서 결국 누군가가 MAYA 풍으로 BGA를 만들었다.]] MAYA가 그렸다고 속여도 될 정도로 대단한 퀄리티. [[kors k]]도 대단하다고 순례를 하고 갔다고한다.[* 참고로 이 BGA는 [[어도비 플래시|플래시]]로 제작되었다. [[https://flasharch.com/ko/archive/play/4575deba969ceedbb0c476b2b7f196f8|FlahsArch 백업본]]] === 싱글 플레이 === [youtube(-0YWGnXGXj4)] SPA 영상 싱글 패턴은 대부분 적은 노트수에 패턴 부분부분 나사가 많이 빠져서 어느 난이도든 동레벨대에 비해서 쉬운 편이다. === 더블 플레이 === [youtube(gyzafWETUD0)] DPA 영상 더블 어나더는 싱글 어나더보다 무려 227개가 더 많은 노트수에서 알 수 있듯이 빠진 나사가 거의 다 메꾸어져서 상당한 난이도를 자랑한다. 후살도 상당히 강력하니 주의. === 아티스트 코멘트 === || 기억났습니다! 결국 기억하고야 말았습니다! Wuv U는 여름이 절정일때 만들기 시작했습니다. [[SigSig]], [[smooooch・∀・]]에 이은 캔디 악곡 제3탄으로, 너무 높은 장애물에 바싹 좁혀져 작업이 진전되지 않았었습니다.[* 원문은 あまりにも高いハードルに煮詰まっていて作業が捗らず。] 시간적으로 여유도 없는데 정색하고(!) 야외 페스티벌에 가거나 옛 친구들과 바다에 BBQ하러 가기나하고 소위「[[리얼충]]」텐션으로 만든 곡입니다. (웃음) 인트로의 약간 레게한 풍미가 여름스러움을 느끼게 해주는군요. 전체적으로 굉장히 텐션이 높은 곡 입니다만, 살짝 계속 보이는 애수감(哀愁感)은 정말로 햇볕에 탄 뒷부분이 서서히 사라져 갈 것만 같은 외로움을 거듭해 맞춰버립니다! 후반 베이스가 세세하게 나오는 부분이 제일 마음에 듭니다. 자, 캔디 세 소녀 시리즈와는 뗄레야 뗄 수없는 관계, 순수한 장난 같은 타이틀과 MAYA 쨩의 그림!! Wuv U는 Love You를 혀를 만 것같은 방법으로 읽은 것 입니다. 제가 빠져있는 [[퓨쳐라마|1000년 후의 세계를 무대로 한 미국의 카툰]]에 사용된 단어입니다. 당연히 아기같은 목소리로 말한 말이였겠지만, 그 귀여움에 당해버려 이번 타이틀에 사용 해버렸습니다! 그리고 그런 단어와 의미도 짐작해서, MAYA쨩의 손그림 세 소녀 시리즈도 사상 최강의 귀여운 고양이귀로 진화했습니다! 으으~응, 너무 귀엽다! 그런 Wuv U, 여러분께 오랫동안 사랑받을 곡이 된 것은 아닐까 자부하고 있습니다! ^ w ^ 와부와부[* 본 곡의 제목인 Wuv U의 Wuv를 일본식으로 읽은 것.] -[[kors k]] [[beatmania IIDX 18 Resort Anthem]] 코멘트 || == [[팝픈뮤직]] == ||<-3> [[파일:external/remywiki.com/SP_CANDY_RAVE.png]] || [[BPM]] || 173 || ||곡명||<-4> '''Wuv U''' || ||<-5> 超キュートでレイヴィなこの曲でアゲアゲ間違いなし!飛び跳ねながらプレーしちゃおう! 엄청 귀엽고 레이브한 이 곡으로 분위기를 올리는 건 문제 없음! 뛰면서 플레이하자! || ||아티스트 명의||<-4> [[kors k]] || ||장르명||<-2> CANDY RAVE ||<-2> 캔디 레이브 || ||담당 캐릭터||<-2> smooooch ||<-2> [[smooooch・∀・|스무치]] || ||수록된 버전||<-4> pop'n music [[팝픈뮤직 Sunny Park|Sunny Park]] || ||[[팝픈뮤직/난이도 체계|난이도]]|| {{{#blue,#0000ff EASY}}} || {{{#green,#7fff7f NORMAL}}} || {{{#orange,#ffa500 HYPER}}} || {{{#red,#ff0000 EX}}} || ||50단계|| {{{#blue,#0000ff 8}}} || {{{#green,#7fff7f 22}}} || {{{#orange,#ffa500 35}}} || {{{#red,#ff0000 42}}} || ||노트 수|| {{{#blue,#0000ff 165}}} || {{{#green,#7fff7f 325}}} || {{{#orange,#ffa500 610}}} || {{{#red,#ff0000 864}}} || [[팝픈뮤직 Sunny Park]]에 BEMANI 대작전 이벤트로 수록되었다. [youtube(ZxBMgVMeaoA)] 하이퍼 플레이 영상 [youtube(dQdbLw0ODso)] EX 플레이 영상 스무치의 후속작답게 캐릭터도 Wuv U 전용 캐릭터가 아닌 스무치가 담당했다. 익스 보면은 42레벨 중에선 중하급이다. == [[사운드 볼텍스]] == === Wuv U -More2 HAPPY Re-Mix Special- === * [[사운드 볼텍스/수록곡|곡 목록으로 돌아가기]] [[사운드 볼텍스 플로어]] '[[kors k]] 악곡 리믹스 컨테스트'의 Wuv U 부문 당선작이다. 리믹서는 [[Freeway Shuffle]] More2 HAPPY Re-Mix의 리믹서인 Yu_Asahina. 이번 리믹스에도 이전과 같은 부제에 Special을 붙였다. ||<-4> [[사운드 볼텍스]] 난이도 체계 || || || {{{#purple,#ff7ffe NOVICE}}} || {{{#orange,#ffa500 ADVANCED}}} || {{{#ff009f,#ff009e EXHAUST}}} || || 자켓 || [[파일:attachment/Wuv U/wuv_u_ao.jpg]] || [[파일:attachment/Wuv U/wuv_u_hina.jpg]] || [[파일:attachment/Wuv U/wuv_u_momo.jpg]] || || 난이도 || {{{#purple,#ff7ffe 05}}} || {{{#orange,#ffa500 10}}} || {{{#ff009f,#ff009e 15}}} || || 체인 수 || {{{#purple,#ff7ffe 0596}}} || {{{#orange,#ffa500 0876}}} || {{{#ff009f,#ff009e 1318}}} || || 일러스트 담당 || {{{#purple,#ff7ffe Pendoragon@蒼}}} || {{{#orange,#ffa500 Pendoragon@雛}}} || {{{#ff009f,#ff009e Pendoragon@桃}}} || || 이펙터 || {{{#purple,#ff7ffe Hermit♣club}}} || {{{#orange,#ffa500 Hermit♣club}}} || {{{#ff009f,#ff009e Hermit♣club}}} || || 수록 시기 ||<-3> {{{#ff00ec,#ff00ec II 40(2014.8.1)}}} || || [[BPM]] ||<-3> 177 || * [[스킬 애널라이저|SKILL ANALYZER]] 수록 * EXHAUST : Skill Level 08 A코스(2014.12.26 ~ 2015.2.27) 자켓에는 [[사운드 볼텍스/캐릭터#히나_아오_모모|히나, 아오, 모모]]가 등장했다. 일러스트 명의에도 'Pendoragon@'에 맨 위의 캐릭터 이름이 들어간다. (NOVICE에 아오, ADVANCED에 히나, EXHAUST에 모모) [youtube(_IFyKNRmsHM, width=420, height=600)] EXH 패턴 손배치 포함 PERFECT 영상 EXH 패턴은 전반적으로 짧은 트릴 위주의 노트 패턴으로 구성되어 있다. 중반에는 [[#Fairy_dancing_in_lake]]를 연상시키는 난해한 노브가 등장하는데, 노브 조작에 서툴 시 이 부분에서 게이지를 다량으로 깎일 수 있으니 주의를 요한다. 노트의 밀도가 높고, 상기한 노브 등의 영향으로 14레벨 중에서는 중상위권으로 평가받는 편. 다만 곡의 리듬에 어긋나는 부분이 없어 스코어링으로 가면 난이도가 소폭 내려간다. ==== 당선자 코멘트 ==== || (・∀・)안녕하세요, Yu_Asahina입니다(・∀・) (・∀・)<우는 아이도 그치게 하는 그 해피 3인소녀의 'Wuv U'를 리믹스했습니다! (・∀・)<게다가 그, More2 HAPPY한 녀석이 돌아왔다!? Ω ΩΩ<누군데~!? 이곡, REFLEC BEAT에 빠지게 된 곡입니다. 할 때에는 이곡만 하고 있었습니다. 그레서, 이 리믹스도 SDVX에 빠지게 되는 계기가 되었으면 좋겠구나-! 어쨌든 즐겁게 만들었기에 텐션이 대단해. 그래서, 이하생략. Hey(・∀・)More2 HAPPY Re-Mix!!!Wuv U~♪!!! 역사있는 'Wuv U'이므로, 기대라든가 이런저런 요소도 넣어가면서, "Special"하게 전해드립니다! 아사히나였습니다. -당선자 코멘트- || === Wuv U Colorful QT3 nekomix === * [[사운드 볼텍스/수록곡|곡 목록으로 돌아가기]] 사운드 볼텍스 플로어 'kors k 악곡 리믹스 컨테스트'의 Wuv U 부문 당선작으로, 작곡가는 ねこみりん, 샘플보컬은 小宮真央, みゆ, えみゅう。가 맡았다.[* [[オトゲラヴ!]]와 같은 조합으로, 리믹스에서도 같은 악기와 샘플링을 들어볼수있다.] ||<-4> [[사운드 볼텍스]] 난이도 체계 || || || {{{#purple,#ff7ffe NOVICE}}} || {{{#orange,#ffa500 ADVANCED}}} || {{{#ff009f,#ff009e EXHAUST}}} || ||자켓 || [[파일:wuvu네코믹스.jpg]] || [[파일:wuvu네코믹스.jpg]] || [[파일:wuvu네코믹스.jpg]] || ||난이도 || {{{#purple,#ff7ffe 04}}} || {{{#orange,#ffa500 09}}} || {{{#ff009f,#ff009e 16}}} || ||체인 수 || {{{#purple,#ff7ffe 0552}}} || {{{#orange,#ffa500 0763}}} || {{{#ff009f,#ff009e 1627}}} || ||일러스트 담당 ||<-3> ごましおねこ || ||[[사운드 볼텍스/이펙터|이펙터]] ||<-3> スカイシュート || ||수록 시기 ||<-3> '''{{{#ffcd3c III 14(2015.3.11)}}}''' || ||[[BPM]] ||<-3> 173 || * [[스킬 애널라이저|SKILL ANALYZER]] 수록 * EXHAUST : Skill Level 09(2016.8.17 ~ 2016.12.21) [youtube(0BRDsUtnyfY, width=420, height=600)] EXH 패턴 PERFECT 영상 === Wuv U pico/ustic rmx === * [[사운드 볼텍스/수록곡|곡 목록으로 돌아가기]] ||<-4> [[사운드 볼텍스]] 난이도 체계 || || || {{{#purple,#ff7ffe NOVICE}}} || {{{#orange,#ffa500 ADVANCED}}} || {{{#ff009f,#ff009e EXHAUST}}} || ||자켓 || [[파일:wuvu rmx.jpg]] || [[파일:wuvu rmx.jpg]] || [[파일:wuvu rmx.jpg]] || ||난이도 || {{{#purple,#ff7ffe 05}}} || {{{#orange,#ffa500 11}}} || {{{#ff009f,#ff009e 16}}} || ||체인 수 || {{{#purple,#ff7ffe 0645}}} || {{{#orange,#ffa500 0991}}} || {{{#ff009f,#ff009e 1530}}} || ||일러스트 담당 ||<-3> とっきー|| ||[[사운드 볼텍스/이펙터|이펙터]] ||<-3> MaKoTo|| ||수록 시기 ||<-3> '''{{{#ffcd3c III 24(2015.7.01)}}}''' || ||[[BPM]] ||<-3> 182 || [youtube(JXg-Td5O3kg)] EXH 패턴 PERFECT 영상 == [[유비트 시리즈]] == ||<-2> [[유비트 페스토|{{{#000 jubeat festo}}}]] [[유비트 페스토/SHOP|{{{#000 SHOP}}}]][br]'''{{{+1 {{{#000 2019년 2월 T-emo STORE}}}}}}''' || ||<|6> [[파일:emo_icon_07.png|width=100]] || || [[Snow Goose|{{{#fff Snow Goose [2]}}}]] || || [[cloche|{{{#fff cloche [2]}}}]] || || [[Sorrows|{{{#fff Sorrows}}}]] || || [[Wuv U|{{{#fff Wuv U}}}]] || || [[廻る季節のゆく先に|{{{#fff 廻る季節のゆく先に}}}]] || ||<-4><:> [[유비트 시리즈|jubeat]] 난이도 체계|| ||<:>||<#69d462><:>BASIC||<#ff8a00><:>ADVANCED||<#ea4c4c><:>EXTREME|| ||<:>레벨||<:>4||<:>7||<:>10.0|| ||<:>노트수||<:>212||<:>424||<:>631|| ||<:>BPM||||||<:>173|| ||<-4><#aaa,#777><:>해금 방법(유비트 페스토 기준)|| ||<-4><:>T-emo Store|| ||<-4><#aaa,#777><:>아케이드 수록버전 및[BR]jubeat plus 수록 pack|| ||<:>아케이드 수록||||||<:><#FEF534> [[유비트 페스토|{{{#0B2F51 유비트 페스토}}}]] (2019. 02. 04 ~ )|| ||<:>iOS||||||<:>festo 앨범|| ||<:>Android||||||<:>festo 앨범|| * 관련 칭호 * 유비트 페스토~ * 超キュート!(초CUTE!) : 모든 보면 클리어 * 猫メイド(고양이 메이드) : 모든 보면 풀 콤보 [include(틀:유비트 시리즈/비공식 난이도표/엑설런트/10레벨/1기)] 2019년 2월 T-emo STORE로 이식되었다. [youtube(Mi4zWLAV3n8)] EXT 채보 영상 [youtube(EJhN92SFmg4)] EXT EXC 영상 노트 수도 매우 적은 편이며, 10.0임을 감안해도 10레벨이라고 할만한 어려운 패턴이 나오지 않는다. 클리어 난이도, 스코어링 난이도, 엑설 난이도 등 여러 방면에서 모두 9레벨 초중반 대의 난이도라는 평이 많다. == [[DanceDanceRevolution]] == [[분류:리플렉 비트의 수록곡]][[분류:beatmania IIDX 18 Resort Anthem의 수록곡]][[분류:팝픈뮤직 Sunny Park의 수록곡]][[분류:사운드 볼텍스 II -인피니트 인펙션-의 수록곡]][[분류:유비트 페스토의 수록곡]][[분류:DanceDanceRevolution A3의 수록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