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Windows 11]][[분류:공개 전 정보]] [include(틀:상위 문서, top1=Windows 11)] [include(틀:Windows 11)] [목차] == 개요 == [[Windows 11]] 공개 전에 작성된 정보들을 다룬 문서이다. == 공개 전 정보 == ||<#fff,#191919> '''주의: __아래의 내용은 모두 공개 전 루머를 바탕으로 작성되어 있습니다.__''' || * 6월 11일[* 영상 업로드 일자는 6월 18일로 되어 있으나 이는 공개 전환일로 실제 영상은 6월 11일 공개되었었다.], Windows 11을 암시하는 듯한 티저 격 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fQ1vnxWEqiE|Windows | Startup Sounds – Slo-fi Remix]]가 [[https://www.youtube.com/channel/UCVGOyzms_XJNk_DHqrffXCw|공식 유튜브 채널]]에 올라왔다. * Windows 11에서 사운드가 개편되며 시작음 또한 바뀐다는 점 * 영상 길이가 정확히 11분 00초라는 점 * 영상 끝부분([[https://youtu.be/fQ1vnxWEqiE?t=637|10분 38초부터]])에 Windows 11의 공식 발표 시간을 예고하며 일종의 초대장 역할을 한다는 점 등을 보아 Windows 11이 발표된다는 것이 추측되었다. * 이후 Windows 11의 빌드가 유출되면서 Windows 11 출시가 거의 사실로 확정되었다. 애초에 [[Windows 10]]이 처음 등장할 때 2025년에 지원이 종료된다고 했어서 Windows 11을 예측한 이들도 있었다.[* [[https://docs.microsoft.com/ko-kr/lifecycle/products/windows-10-home-and-pro|#]] [[https://www.cnet.co.kr/view/?no=20150720111511|당시 기사]] [[https://www.cnbc.com/2021/06/11/why-microsoft-is-releasing-a-new-version-of-windows.html|기사]]] 또한 DMCA와 Microsoft Docs를 통해서도 Windows 11이라는 상표를 확인할 수 있는 만큼, Windows 11이란 명칭도 확실해졌다. [[https://lumendatabase.org/notices/24187552#|#]] 루머와 유출을 종합한 바에 따르면 Windows 11은 [[Windows 10]]의 업데이트 예정 버전인 21H2의 명칭만 바꾼 수준[* [[Windows Insider Program|인사이더 프로그램]]를 통해 배포된 21H2 프리뷰 버전들과는 달리 [[Windows 10X]]의 UX/UI를 추가했다고는 하나, Windows 10X 중단 발표 당시 일부 기능이 [[Windows 10]]에 흡수될 것이라고 밝힌 바 있으므로 이 역시 Windows 10의 업데이트 관점으로 보아도 무리가 없다. UX/UI 일신이 21H2 업데이트 관련 발표마다 주요 변경점으로 예고되기도 하였음을 감안하면 더더욱 그렇다.]으로 추정되며, 무료 업데이트 역시 유지되기 때문이다. [[Windows 10]] 발표 당시 Windows 10이 '마지막 Windows'라며 표방했던 ‘서비스로서의 Windows 개념’은 그대로 이어지는 셈이다. 이는 [[macOS]]가 X 꼬리표를 떼고 [[macOS Big Sur|macOS 11]], [[macOS Monterey|macOS 12]]로 판올림했다고 해서 이전과 구별되는 새로운 운영체제로 보지 않는 것과 마찬가지이다. [[파일:윈도우11키관련.png|width=400]] * 또한 [[https://cafe.naver.com/develoid/965635|관련 커뮤니티]]에서는 유출된 빌드에서 '''Windows 10의 라이선스가 그대로 Windows 11에 계승되어 인증에 문제없다'''는 말이 나오고 있는데, 아직 확정된 사항은 아니나 Windows 11이 완전히 별개 운영체제가 아니며[* NT 버전이 10.0이고 타 프로그램으로 Windows 정보를 보면 Windows 10으로 인식한다. 그도 그럴 것이 그동안의 베타 버전은 모두 이전 Windows로 인식됐기 때문에, 정식으로 출시한다면 Windows 11로 될 가능성이 없지 않아 있다. 이는 기존 [[Windows Vista]]와 [[Windows 7]]의 관계를 생각하면 된다.] Windows 10 유저가 추가 비용을 지불하지 않을 가능성에 더욱 무게가 실렸다. [[https://www.windowscentral.com/windows-11-free|관련 기사]] 하지만, 정품 인증에 실패하는 경우도 있어 확답은 하기 어렵다. 원래 Windows는 개발 빌드에서는 개발용 제품 키로 정품인증이 되며, 빌드의 유효기간이 지나면 사용할 수 없다. [[Windows 10]]의 경우에서도 3V66T로 끝나는 키가 2주가량만 활성화되는 것처럼 Windows 11의 경우도 별도의 정품인증 절차가 없이 현재는 개발용 빌드가 정품처럼 뜨는 것일 뿐 앞으로 어떤 유료 모델이 도입되어 판매될지는 모르는 상황이다. 다만 Microsoft가 [[Windows 10]]이 마지막 [[Windows]]이고, 추가 구매는 없다고 공언한 바도 있고 해서 새 넘버링이 붙을지언정 기존 키로 업그레이드가 가능할 확률이 높다. * [[https://www.microsoft.com/en-us/windows/windows-11]]를 보면 작업 표시줄의 날짜가 10월 20일로 고정되어 있는 것을 보아 그 즈음 출시될 것으로 예상된다. * 유출된 Windows 11 빌드의 [[https://twitter.com/i/status/1404843837726547971|구동 영상]]과 [[https://twitter.com/tomwarren/status/1404840956893990914|부팅음]] * 유출된 개발자 버전에서 [[Internet Explorer]]가 아예 운영체제 안에 포함되어 있지 않다. 현재 [[Windows 10]] 개발자 21390 버전에서도 같은 모습을 보인다. 정확하게는 실제 Program Files 폴더 안에 Internet Explorer 폴더가 있지만, 관련 응용 프로그램을 열면 [[Microsoft Edge]]가 열려버린다. 이는 [[Internet Explorer]] 프로그램을 직접 실행하는 것은 불가능하지만, Internet Explorer의 차크라 엔진은 Windows 탐색기의 구동과 Internet Explorer에서만 작동하는 구형 웹사이트의 호환을 위한 [[Microsoft Edge]]의 Internet Explorer모드 등으로 계속 지원되기 때문에 파일이 존재하는 것이다. * 유출된 빌드에서 Windows 11의 복구 모드에 들어가면 [[Windows 10]]이라 나온다고 한다. 이는 커널 번호가 Windows 10과 같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 현재 [[Windows 10]]에서 설치할 수 있는 대부분의 드라이버들이 Windows 11에서 작동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GitHub]]에 공개 중인 [[Microsoft Azure]]의 공식문서에서 Windows 제품 목록에 Windows 11이 언급되었다가 삭제되었다. [[https://www.windowslatest.com/2021/06/21/windows-11-confirmed-in-a-new-microsoft-support-document/|#]] 해당 소스가 마이크로소프트 공식문서인 만큼 명칭이 Windows 11인 것은 확정적으로 보인다. * 6월 23일, Windows 공식 트위터에서 Microsoft 이벤트의 또 다른 티저를 올렸는데 아래의 한 남자의 귀에 가리키는 줄이 11을 의미하고 있고 위의 한 여성의 눈동자에 비치는 것은 유출된 Windows 11의 공식 배경화면으로 추정되는 것으로 보인다. 여담으로 흐르는 음악의 끝에 11의 시작음이 들어 있다. [[https://twitter.com/Windows/status/1407352747553341440|#]] 그리고 프로필과 헤더를 은근슬쩍 공식 배경화면의 일부분으로 바꿨다. * 내장된 안드로이드 에뮬레이터가 있어서 [[APK]] 파일을 실행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