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Windows 10/버전)] ||<-4> {{{#ffffff '''Version 21H1'''}}} || ||<-2> {{{#ffffff '''업데이트명'''}}} ||<-2>2021년 5월 업데이트 May 2021 Update || ||<-2> {{{#ffffff '''코드명'''}}} ||<-2>Vibranium R3 || ||<-2> {{{#ffffff '''빌드'''}}} ||<-2>19043.928 || ||<-2> {{{#ffffff '''개발 기간'''}}} ||<-2>2021. 02. ~ 2021. 04. || ||<|2> {{{#ffffff '''출시'''}}} || {{{#ffffff '''RTM'''}}} ||[[2021년]] [[4월 28일]] || || {{{#ffffff '''일반 공개'''}}} ||[[2021년]] [[5월 18일]] || ||<|2> {{{#ffffff '''지원'''}}} || {{{#ffffff '''Home and Pro'''}}} ||<-2>[[2022년]] [[12월 14일]]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78d6; font-size: 0.75em;" {{{#white '''지원 종료'''}}}}}} || || {{{#ffffff '''Enterprise and Education'''}}} ||<-2>[[2022년]] [[12월 14일]]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78d6; font-size: 0.75em;" {{{#white '''지원 종료'''}}}}}} || ||<-6>
[[Windows Insider Program|[[파일:Windows 로고.svg|width=100]] '''버전''']] || || [[Windows 10/버전|10]] || [[Windows 10/버전/20H2|Version 20H2]] || → || {{{#ffffff '''Version 21H1'''}}} || → || [[Windows 10/버전/21H2|Version 21H2]] || || [[Windows 11/버전|11]] || || || || X || [[Windows 11/버전/21H2|Version 21H2]] || [목차] [clearfix] == 개요 == [[마이크로소프트]]가 2021년 5월 19일에 정식 출시한 [[Windows 10]]의 기능 업데이트이다. 20H2에 이어 두 번째 20H1 기반 마이너 업데이트로, 19H2, 20H2에 이어 세 번째 마이너 업데이트이자, 최초로 연달아 배포되는 마이너 업데이트이다. 따라서 코드명 역시 [[비브라늄|Vibranium]]으로 동일하며, 다다음 코드명 [[철|Iron]]은 훗날 [[Windows 11|차세대 운영체제]]의 기반이 된다. 빌드 번호는 19043.928로 확정되었다. == 빌드 일람 == ||<#fff> {{{#000 '''출시일로부터 5년 미만 경과'''}}} || || 21H1 빌드 일람[br]개발기간: 2021.02.18. ~ 2021.04.14.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11px;margin-top:-6px;margin-bottom:-7px" ||<#fff>10.0.19043.844 ||2021년 2월 18일 || ||<#fff>10.0.19043.867 ||2021년 3월 10일 || ||<#fff>10.0.19043.870 ||2021년 3월 19일 || ||<#fff>10.0.19043.899 ||2021년 3월 16일 || ||<#fff>10.0.19043.906 ||2021년 3월 26일 || ||<#fff>'''10.0.19043.928''' ||2021년 4월 14일 || ||<#fff>10.0.19043.962 ||2021년 4월 20일 || ||<#fff>10.0.19043.964 ||2021년 4월 29일 || ||<#fff>10.0.19043.985 ||2021년 5월 12일 || ||<#fff>10.0.19043.1021 ||2021년 5월 20일 || ||<#fff>10.0.19043.1023 ||2021년 5월 22일 || ||<#fff>10.0.19043.1052 ||2021년 6월 8일 || ||<#fff>10.0.19043.1081 ||2021년 6월 18일 || ||<#fff>10.0.19043.1083 ||2021년 7월 7일 || ||<#fff>10.0.19043.1110 ||2021년 7월 14일 || ||<#fff>10.0.19043.1147 ||2021년 7월 16일 || ||<#fff>10.0.19043.1149 ||2021년 7월 21일 || ||<#fff>10.0.19043.1151 ||2021년 7월 30일 || ||<#fff>10.0.19043.1165 ||2021년 8월 11일 || ||<#fff>10.0.19043.1200 ||2021년 8월 19일 || ||<#fff>10.0.19043.1202 ||2021년 9월 1일 || ||<#fff>10.0.19043.1237 ||2021년 9월 15일 || ||<#fff>10.0.19043.1263 ||2021년 9월 24일 || ||<#fff>10.0.19043.1266 ||2021년 9월 30일 || ||<#fff>10.0.19043.1288 ||2021년 10월 13일 || ||<#fff>10.0.19043.1319 ||2021년 10월 20일 || ||<#fff>10.0.19043.1320 ||2021년 10월 27일 || ||<#fff>10.0.19043.1348 ||2021년 11월 10일 || ||<#fff>10.0.19043.1379 ||2021년 11월 17일 || ||<#fff>10.0.19043.1381 ||2021년 11월 19일 || ||<#fff>10.0.19043.1415 ||2021년 12월 15일 || ||<#fff>10.0.19043.1466 ||2022년 1월 12일 || ||<#fff>10.0.19043.1499 ||2022년 1월 15일 || ||<#fff>10.0.19043.1503 ||2022년 1월 26일 || ||<#fff>10.0.19043.1526 ||2022년 2월 9일 || ||<#fff>10.0.19043.1566 ||2022년 2월 16일 || ||<#fff>10.0.19043.1586 ||2022년 3월 9일 || ||<#fff>10.0.19043.1618 ||2022년 3월 15일 || ||<#fff>10.0.19043.1620 ||2022년 3월 23일 || ||<#fff>10.0.19043.1645 ||2022년 4월 13일 || ||<#fff>10.0.19043.1682 ||2022년 4월 26일 || ||<#fff>10.0.19043.1706 ||2022년 5월 11일 || ||<#fff>10.0.19043.1708 ||2022년 5월 20일 || ||<#fff>10.0.19043.1739 ||2022년 5월 24일 || ||<#fff>10.0.19043.1741 ||2022년 6월 3일 || ||<#fff>10.0.19043.1766 ||2022년 6월 15일 || ||<#fff>10.0.19043.1806 ||2022년 6월 25일 || ||<#fff>10.0.19043.1826 ||2022년 7월 13일 || ||<#fff>10.0.19043.1862 ||2022년 7월 19일 || ||<#fff>10.0.19043.1865 ||2022년 7월 27일 || ||<#fff>10.0.19043.1889 ||2022년 8월 10일 || ||<#fff>10.0.19043.1947 ||2022년 8월 16일 || ||<#fff>10.0.19043.1949 ||2022년 8월 27일 || ||<#fff>10.0.19043.2006 ||2022년 9월 14일 || ||<#fff>10.0.19043.2075 ||2022년 9월 16일 || ||<#fff>10.0.19043.2130 ||2022년 10월 12일 || ||<#fff>10.0.19043.2132 ||2022년 10월 18일 || ||<#fff>10.0.19043.2193 ||2022년 10월 26일 || ||<#fff>10.0.19043.2194 ||2022년 10월 30일 || ||<#fff>10.0.19043.2251 ||2022년 11월 9일 || ||<#fff>10.0.19043.2311 ||2022년 11월 16일 || ||<#fff>10.0.19043.2364 ||2022년 12월 14일 || }}}}}} || === 20H1의 마이너 업데이트 === 원래는 코드명 [[망간|Manganese]](빌드 20150부터 20279.1까지)가 21H1일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해당 빌드는 [[Windows 10X]] 전용으로 빠졌고, [[https://jsb000.tistory.com/2165?category=826329|#1]], [[https://jsb000.tistory.com/2296?category=826329|#2]] 21H1은 메이저 업데이트가 아닌 마이너 업데이트다. 사실상 20H3인 수준. [[https://jsb000.tistory.com/2314?category=826329|#1]], [[https://jsb000.tistory.com/2362?category=826329|#2]] 마이너 업데이트 특성상 20H1, 20H2와 누적 업데이트를 공유하며, 실제 업데이트 바이너리는 20H1과 20H2에도 그대로 적용된다. 단지 비활성화되어 있을 뿐이다.[[https://windowsforum.kr/free/15436609|#]] 따라서 20H1이나 20H2에서 21H1으로 업데이트하는 경우 일반 업데이트처럼 진행된다. 이것도 기존 번호 규칙을 소급 적용해서 2103 또는 2104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는데 [[https://www.google.com/search?q=21H1+2103|#]],[[https://www.google.com/search?q=21h1+2104|#2]] 공식 명칭은 21H1이다. 이후 버전들도 이렇게 공식 명칭을 정할 듯하다. == 변경 사항 == * Windows Hello 멀티 카메라 지원 추가 여러 대의 카메라를 사용하는 경우 Windows Hello 지원 추가(내·외장 카메라가 모두 있는 경우 외장 카메라 사용이 기본값) * [[Windows 보안]] Application Guard 성능 향상 * 원격근무에 대응한 Windows 관리 도구(WMI), 그룹 정책 서비스(GPSVC) 성능 향상 == 21H1에서 삭제된 기능 == * EdgeHTML 기반 [[Microsoft Edge/레거시|레거시 Edge]] - 이번 빌드부터 ISO 이미지에 크로뮴 기반 엣지 브라우저만 탑재된다.[* 사실 20H2부터 탑재됐지만, 꼼수를 쓰면 레거시로 되돌릴 수 있는데, 이번부터는 완전히 제거되어서 되돌릴 수 없다. 20H1, 20H2도 누적업데이트 [[https://support.microsoft.com/ko-kr/topic/2021%EB%85%84-4%EC%9B%94-13%EC%9D%BC-kb5001330-os-%EB%B9%8C%EB%93%9C-19041-928-%EB%B0%8F-19042-928-cead30cd-f284-4115-a42f-d67fec538490|KB5001330]]를 통해 레거시 앱이 완전히 제거되었다.] * XDDM 기반 원격 리모트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 OS에 내장된 [[어도비 플래시]] 관련 컴포넌트 - 지원 종료됨에 따라 삭제되었다.[* 그 이전 버전들도 [[https://jsb000.tistory.com/2215|제거 패치]]와 누적업데이트를 통해 제거되었다. 21H1 ISO 파일도 제거 패치가 통합된 채로 출시했다.[[https://jsb000.tistory.com/2595|#]]] == 알려진 문제점 == [youtube(C9rJJ1LkhcM)] 20H1, 20H2 및 21H1 버전에서 작업표시줄을 하단이 아닌 위치에 두는 사용자들은 4월 누적 업데이트 이후 추가된 "뉴스 및 관심사" 기능을 사용할 수 없다. MS 측에서 의도적으로 그렇게 만든 것으로 보이는데 이것 자체도 사용자의 자유를 제한한다는 문제가 되지만 다른 문제가 또 있다. 작업표시줄이 다른 위치에 있으면 이 기능이 '''꺼져서 사라지는''' 게 아니라 '''그 자리에 있지만 보이지만 않는''' 상태가 된다는 것인데 BatteryBar와 같이 작업 표시줄에 배치되는 위젯을 사용하는 경우 '''보이지 않게 된''' 영역 때문에 원래 있던 자리에서 뚝 떨어져 지저분하게 보이게 된다. 더 심각한건 작업 표시줄을 하단으로 내리지 않는 이상 빈 공간이 왜 생긴 건지 알아채기조차 불가능한 마당에 혹시나 뭔가 바꿀 수 있는 설정이 있나 싶어서 작업표시줄을 우클릭 해도 하단 이외의 위치에서는 설정 항목이 아예 안 뜨도록 만들어놓아 혼란을 가중시킨다는 것. 일부 컴퓨터 환경에서는 Program Files 폴더가 중복으로 생성되어 응용 프로그램들의 경로가 꼬이는 오류가 발생한다. 이 경우 마이크로소프트 서비스 센터에서는 시스템 복구나 PC 초기화를 권장하고 있다. == 해결된 문제점 == == 기타 == * [[https://www.microsoft.com/ko-kr/software-download/windows10|마이크로소프트 업데이트 도우미]] [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단, title=Windows 10, version=4091, paragraph=10.12, title2=Windows 10/버전, version2=614, paragraph2=2.12)] [[분류:Windows 10/버전]][[분류:2021년 출시]][[분류:2022년 단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