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youtube(Cink_EIPaKA)] [[Lanota]]에 수록되며 공개된 Hige DriVAN의 신곡. == 가사 == == [[Lanota]] == [include(틀:Lanota/Chapter G)] === 채보 === ||<-9><:>'''{{{#fff We like girls}}}'''|| ||||||||||||||||<:> [[파일:20171030_183518.png|width=290]] [br][*해금직후 다음 이미지가 출력된다.[[파일:20171030_183449.png|width=290]] [br] ] [*챌린지 챌린지 완료 후 다음 이미지가 곡 선택창에서 출력된다. [[파일:20171030_183545.png|width=290]] [br] ] || ||<:> 작곡||<-8><:> Hige DriVAN|| ||<:> 보컬||<-8><:> [[히게드라이버]] || ||<:> BPM||<-8><:> 165(330) || ||<:> 연주 시간||<-8><:> 2:54 || ||<:> ||<:>{{{#fff Whisper}}}||<:>{{{#fff Acoustic}}}||<:>{{{#fff Ultra}}}||<:>{{{#fff Master}}}|| ||<:> 레벨||<:> 5 ||<:> 8 ||<:> 13+ ||<:> '''15+''' || ||<:> 노트 수||<:> 471 ||<:> 710 ||<:> 1053 ||<:> 1700 || ||<:> 특이사항||<-8><:> '''Chapter G 보스곡''' '''1.10 업데이트 이전 모든 난이도 최고 레벨'''[* 당시 이 곡의 레벨은 6 / 10 / 13 / 15 로 모든 난이도 최고 레벨이었다. 1.10 업데이트로 [[Stasis]]가 Acoustic '''13''', Ultra '''15''', Master '''16'''으로 나왔다.] || ||<-3><:>'''{{{#fff 챌린지}}}'''|| ||<:>1||<:> Whisper: 모든 Click 연주 성공. ||<:> Acoustic: 스코어 900000 달성. || ||<:>2||<:> Acoustic: Purified 이상. ||<:> Ultra: Harmony 90% 이상. || ||<:>3||<:> Ultra: Max combo 35% 이상. ||<:> Master: 속도 2, 모든 Catch 연주성공. || [[cyanine]]에 이어 4개의 난이도가 모두 최고 레벨을 배정받았다. ==== Whisper ==== [youtube(HZzbcWr7pno)] PP 영상. 플레이어는 록시. ==== Acoustic ==== [youtube(KYYm4_IFu-s)] PP 영상. 플레이어는 록시. ==== Ultra ==== [youtube(zVRFvfhPSKM)] AC 영상. 플레이어는 록시. ==== Master ==== [youtube(VJ2QD08_VcE)] PP 영상. 플레이어는 ヒグルース. 이전 업뎃의 [[Beast in the Dream]]처럼 여러 방향에서 노트가 쏟아져 내려와 플레이어의 손을 꼬아버리는데 특화된 채보. 다만 [[Beast in the Dream]]과 다른 점은, 이 곡은 아예 대놓고 양옆과 위쪽으로 연타가 우수수 내려온다. 당연히 가독성이 떨어져서 초견 시엔 어어 하다가 손꼬여 폭사하기 쉽다. 그 밖에도 후반부에 [[Lonely departure]]처럼 캐치노트 사이에 왕복 플릭이 끼어있는 패턴이 있는데, 양옆에서 단타 견제가 들어오기 때문에 처리법을 제대로 숙지하지 못하면 플릭이나 단타 중 하나는 미스가 난다. 재빨리 손을 바꿔가면서 처리하거나 세 손가락을 사용하면 처리할 수 있다. 최후반부에 특이하게도 클릭 노트들이 갑자기 색이 변하면서 캐치 노트가 되는 부분이 있다. 이전까지의 라노타에선 존재하지 않던 채보 장난이기에, 어쩌면 이후 추가될 곡들에 이러한 패턴이 강화되어 나올지도 모른다. [[분류:Lanota의 수록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