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테일러 스위프트/노래]][[분류:2012년 노래]][[분류:2012년 싱글]][[분류:빌보드 핫 100 1위 노래]][[분류:이별을 소재로 한 노래]] [include(틀:테일러 스위프트)] [include(틀:테일러 스위프트/노래)] {{{#!wiki style="word-break:keep-all" ||<-3><#d8e386> [[테일러 스위프트|{{{#f0390c {{{-2 '''테일러 스위프트'''}}}}}}]]{{{#f0390c {{{-2 '''의'''}}}}}} [[테일러 스위프트/싱글|{{{#f0390c {{{-2 '''정식 싱글'''}}}}}}]] || || {{{#8c8c8c ←}}} ||<|2><#d8e386> {{{#f0390c {{{+1 ''' ''We Are Never Ever Getting Back Together'' '''}}}[br]{{{-2 (2012.08.13.)}}}}}} || {{{#8c8c8c →}}} || || [[B.o.B#s-2.1|{{{#!wiki style="display:inline; padding:3px 4px; border-radius:2px; background:#474742; color:#d6c700; font-size:0.55em; letter-spacing:-0.1px" '''Strange Clouds'''}}}]][br]{{{-2 {{{#8c8c8c '''Both of Us'''}}}}}}[br]{{{-2 {{{#8c8c8c ^^(2012.05.22.)^^}}}}}} || [[Ronan|{{{#!wiki style="display:inline; padding:3px 4px; border-radius:2px; background:#282828; color:#ff3519; font-size:0.55em; letter-spacing:-0.1px" '''Ronan'''}}}]][br]{{{-2 {{{#8c8c8c '''Ronan'''}}}}}}[br]{{{-2 {{{#8c8c8c ^^(2012.09.08.)^^}}}}}} || ||<-2> {{{+2 '''We Are Never Ever Getting Back Together'''}}} ||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We Are Never Ever Getting Back Together_cover.png|width=100%]]}}}|| ||<-2> '''Single by Taylor Swift''' || || '''아티스트''' || [[테일러 스위프트|{{{#f0390c '''테일러 스위프트'''}}}]] || || '''레이블''' || [[빅 머신 레이블 그룹|[[파일:BMR_logo_0.png|width=40px&bgcolor=#fff]]]] || || '''발매''' || 2012년 8월 13일 || || '''장르''' || [[팝]], [[팝 록]], 포크트로니카 || || '''길이''' || 3:12 || || '''송라이터''' || [[테일러 스위프트|Taylor Swift]], Max Martin, Shellback || || '''프로듀서''' || [[테일러 스위프트|Taylor Swift]], Max Martin, Shellback || || '''수록 음반''' || [[Red(테일러 스위프트)|{{{#!wiki style="display:inline; padding:3px 4px; border-radius:2px; background:#ae1947; color:#ebe9dd; font-size:0.85em; letter-spacing:-0.1px" '''Red'''}}}]] || || '''차트 기록''' || {{{#!wiki style="margin:0px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0px" || [[빌보드 핫 100|[[파일:빌보드 로고.svg|width=80]]]] || '''1위''' || || [[Official Charts|[[파일:오피셜 차트 로고.svg|width=70]]]] || '''4위''' || || [[Spotify|[[파일:스포티파이 로고.svg|width=80]]]] || 587,194,618회[*A 2023년 7월 27일 기준.] || || [[YouTube|[[파일:유튜브 로고.svg|width=80]]]] || 738,442,677회[*B 2023년 7월 28일 기준.] ||}}}}}}}}} ||}}} [목차] [clearfix] == 개요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Gif_We Are Never Ever Getting Back Together.gif|width=100%]]}}}|| ||<#fff,#191919> {{{-2 {{{#f0390c '''I used to think that we were forever ever'''}}} 한때 난 우리가 영원할 거라 생각한 적도 있어}}} || [[테일러 스위프트]]의 4집 〈[[Red(테일러 스위프트)|Red]]〉의 리드 싱글. == We Are Never Ever Getting Back Together == ||{{{#!wiki style="margin:-5px -10px" [youtube(zLPIqDRhhro)]}}}|| ||<#d8e386> {{{#!wiki style="word-break:keep-all" {{{#f0390c {{{+2 '''We Are Never Ever Getting Back Together'''}}}}}}[br]{{{#969696 3:12}}}}}} || || {{{#!folding [ 가사 보기 ] {{{#!wiki style="word-break:keep-all; font-size:0.9em" [br] I remember when we broke up the first time 나는 우리가 처음 헤어졌을 때를 기억해 Saying "This is it, I've had enough" 난 말했지, "이제 끝이야, 할 만큼 했어" Cause like, we hadn't seen each other in a month 왜냐면 우리 한 달 동안이나 서로 보지 못했잖아 When you said you needed space 네가 생각할 시간을 갖자고 한 뒤로 말이야 What? 뭐야? Then you come around again and say 그러고는 다시 와서 한다는 말이 "Baby, I miss you and I swear" "자기야, 보고 싶어, 맹세컨대" "I'm gonna change, trust me" "이제는 잘할게, 진짜야" Remember how that lasted for a day? 근데 그게 하루는 갔었어? I say, "I hate you" 내가 너 싫다고 말했고 We break up 우린 헤어졌고 You call me, "I love you" 그런데 전화로는 사랑해? Ooh, we called it off again last night 어젯밤에 우리 다시 얘기했잖아 But ooh, this time I'm telling you, I'm telling you 근데 이번에 진짜, 진짜로 말해줄게 We are never ever ever getting back together 우린 절대, 절대, 다신 만나지 않을 거야 We are never ever ever getting back together 우린 절대, 절대, 다신 만나지 않을 거야 You go talk to your friends, talk to my friends, talk to me 넌 네 친구에게, 내 친구들에게도, 나에게도 말하지만 But we are never ever ever ever getting back together 우린 절대, 절대, 절대, 다시 만날 일 없을 거야 Like, ever 절대로 I'm really gonna miss you picking fights 너랑 다투던 게 정말 그리울 것 같아 And me falling for it screaming that I'm right 나는 내 말이 맞는 거라고 소리 지르겠지 And you would hide away and find your peace of mind 그리고 너는 숨어서 마음에 평화를 찾을 거야 With some indie record that's much cooler than mine 그래, 내 음악보다 훨씬 좋다던 인디 음악이나 들으며 말이지 Ooh, you called me up again tonight 넌 오늘도 내게 다시 연락해 But ooh, this time I'm telling you, I'm telling you 근데 이번에 진짜, 진짜로 말해줄게 We are never ever ever getting back together 우린 절대, 절대, 다신 만나지 않을 거야 We are never ever ever getting back together 우린 절대, 절대, 다신 만나지 않을 거야 You go talk to your friends, talk to my friends, talk to me 넌 네 친구에게, 내 친구들에게도, 나에게도 말하지만 But we are never ever ever ever getting back together 우린 절대, 절대, 절대, 다시 만날 일 없을 거야 I used to think that we were forever ever 한때 난 우리가 영원할 거라 생각한 적도 있어 And I used to say, "Never say never" 난 말했지, "절대라는 말 절대 하지 않아" Huh, so he calls me up and he's like, 하, 걔가 다시 전화 와서 말하더라고, "I still love you" "아직도 널 사랑해" And I'm like "I just I mean" 그래서 내가 "아 진짜" "This is exhausting, you know, like," "너무 피곤하게 구네, 알고 있겠지만" "We are never getting back together, like ever" "우리는 절대 다시 만날 일 없어, 다시는" We are never ever ever getting back together 우린 절대, 절대, 다신 만나지 않을 거야 We are never ever ever getting back together 우린 절대, 절대, 다신 만나지 않을 거야 You go talk to your friends, talk to my friends, talk to me 넌 네 친구에게, 내 친구들에게도, 나에게도 말하지만 But we are never ever ever ever getting back together 우린 절대, 절대, 절대, 다시 만날 일 없을 거야 We are never ever ever getting back together 우린 절대, 절대, 다신 만나지 않을 거야 We are never ever ever getting back together 우린 절대, 절대, 다신 만나지 않을 거야 You go talk to your friends, talk to my friends, talk to me 넌 네 친구에게, 내 친구들에게도, 나에게도 말하지만 But we are never ever ever ever getting back together 우린 절대, 절대, 절대, 다시 만날 일 없을 거야}}}}}} || === 뮤직비디오 === ||<#d8e386> {{{#f0390c {{{-1 '''We Are Never Ever Getting Back Together'''}}}[br]{{{+1 '''Music Video'''}}}}}}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WA4iX5D9Z64)]}}} || === 리릭비디오 === ||<#d8e386> {{{#f0390c {{{-1 '''We Are Never Ever Getting Back Together'''}}}[br]{{{+1 '''Lyric Video'''}}}}}}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gcMn_Eu-XTE)]}}} || == 성적 == ||<-5><#fff,#ffe400> {{{+1 [[빌보드 핫 100|[[파일:BillboardHot100(2020Version).png|width=200]]]][br][[빌보드 핫 100|{{{#b2a529 '''빌보드 핫 100'''}}}]] {{{#b2a529 '''역대 1위'''}}}}}} || || ''[[Whistle]]''[br][[Flo Rida|{{{-2 {{{#8086a0 Flo Rida}}}}}}]] || {{{+1 →}}} || '''We Are Never Ever Getting Back Together'''[br]'''[[테일러 스위프트|{{{-2 {{{#8086a0 Taylor Swift}}}}}}]]'''[br]{{{-2 '''(2주 연속)'''}}} || {{{+1 →}}} || ''[[Whistle]]''[br][[Flo Rida|{{{-2 {{{#8086a0 Flo Rida}}}}}}]] || || ''[[Whistle]]''[br][[Flo Rida|{{{-2 {{{#8086a0 Flo Rida}}}}}}]] || {{{+1 →}}} || '''We Are Never Ever Getting Back Together'''[br]'''[[테일러 스위프트|{{{-2 {{{#8086a0 Taylor Swift}}}}}}]]'''[br]{{{-2 '''(1주, 총 3주)'''}}} || {{{+1 →}}} || ''[[One More Night(Maroon 5)|One More Night]]''[br][[Maroon 5|{{{-2 {{{#8086a0 Maroon 5}}}}}}]] || [include(틀:RIAA 플래티넘,pt=6)] 테일러 스위프트의 '''데뷔 첫 [[빌보드 핫 100]] 1위 곡'''이다. 발매 첫 주 집계 기간에 애매하게 걸쳐 72위로 데뷔했고, 2주 차에 60만 건이 넘는 세일즈로 바로 1위를 찍었다. 2012년 연말 차트에서는 33위를 찍었다. 〈[[Red(테일러 스위프트)|Red]]〉의 세 번째 싱글로 발매된 '[[I Knew You Were Trouble.]]'과 전반적으로 거의 비슷한 성적을 거두었다. 이곡은 또한 일본에서 엄청난 히트를 하기도 했다. == 라이브 == ||<#d8e386> {{{#f0390c {{{-1 '''We Are Never Ever Getting Back Together'''}}}[br]{{{#!wiki style="word-break:keep-all" {{{+1 '''The Red Tour'''}}}}}}}}}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f-edW2NIBYg)]}}}|| ||<#d8e386> {{{#f0390c {{{-1 '''We Are Never Ever Getting Back Together'''}}}[br]{{{#!wiki style="word-break:keep-all" {{{+1 '''VMA 2012'''}}}}}}}}}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JB3pEUjEbF4)]}}}|| ||<#d8e386> {{{#f0390c {{{-1 '''We Are Never Ever Getting Back Together'''}}}[br]{{{#!wiki style="word-break:keep-all" {{{+1 '''Harvey Mudd'''}}}}}}}}}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Moc53td5F2s)]}}}|| ||<#d8e386> {{{#f0390c {{{-1 '''We Are Never Ever Getting Back Together'''}}}[br]{{{#!wiki style="word-break:keep-all" {{{+1 '''New York City'''}}}}}}}}}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BktS1hkMx_k)]}}}|| ||<#d8e386> {{{#f0390c {{{-1 '''We Are Never Ever Getting Back Together'''}}}[br]{{{#!wiki style="word-break:keep-all" {{{+1 '''Grammy Awards 2013'''}}}}}}}}}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4uI7OABUzrc)]}}}|| ||<#d8e386> {{{#f0390c {{{-1 '''We Are Never Ever Getting Back Together'''}}}[br]{{{#!wiki style="word-break:keep-all" {{{+1 '''iHeartRadio 2012'''}}}}}}}}}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PkV3Kt-rzrY)]}}}|| ||<#d8e386> {{{#f0390c {{{-1 '''We Are Never Ever Getting Back Together'''}}}[br]{{{#!wiki style="word-break:keep-all" {{{+1 '''Rio, Brazil'''}}}}}}}}}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UqinUqGK5MY)]}}}|| ||<#d8e386> {{{#f0390c {{{-1 '''We Are Never Ever Getting Back Together'''}}}[br]{{{#!wiki style="word-break:keep-all" {{{+1 '''Ellen 2012'''}}}}}}}}}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B1U1jBLJGEQ)]}}}|| ||<#d8e386> {{{#f0390c {{{-1 '''We Are Never Ever Getting Back Together'''}}}[br]{{{#!wiki style="word-break:keep-all" {{{+1 '''The Seine, Paris'''}}}}}}}}}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hiy56Kor0Qw)]}}}|| == 여담 == * 테일러의 첫 번째 빌보드 핫 100 1위 곡에 걸맞게 [[테일러 스위프트/투어#s-3|The Red Tour]] 이후 [[테일러 스위프트/투어#s-4|The 1989 World Tour]], [[테일러 스위프트/투어#s-5|reputation Stadium Tour]]에서도 빠짐없이 세트리스트에 올랐다.[* 마찬가지로 테일러가 콘서트에서 항상 부르는 노래로는 [[Love Story(테일러 스위프트)|Love Story]]가 있다.] 1989 투어에서는 [[록 음악|록]] 버전으로 편곡되어 불렸고, reputation 투어에서는 '[[reputation#s-8.13|This Is Why We Can't Have Nice Things]]'와 매시업되어 마지막 곡으로 불렸다. * 이 곡이 만들어진 배경은 테일러와 같은 스튜디오에 방문해 있었던 [[제이크 질렌할|전 남자친구]]의 지인이 테일러에게 다가와 말을 걸더니, 대뜸 그녀에게 '둘이 다시 사귄다며'라는 식으로 얘기했다고 한다. 당시 너무나도 황당했던 테일러는 남성과의 대화를 마치고 스튜디오에 돌아와 프로듀서에게 이야기하며 곧바로 기타를 집어 들어, 단 25분 만에 'We Are Never Ever Getting Back Together'를 써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