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D3A129> {{{#FFFF00 {{{+1 '''WWE 엘리미네이션 챔버 (2022)'''}}}[br]''' ''WWE Elimination Chamber (2022)'' '''}}} || ||<|13><:><#000000> [[파일:EC2022.jpg|width=100%]] || ||<-10><:><#330066> '''[[WWE|{{{#66CC99 WWE}}}]]''' '''{{{#66CC99 개최}}}''' '''[[PPV|{{{#66CC99 PLE}}}]]''' || ||<-1><:><#FFD700> {{{#FF1493 '''개최일'''}}} ||<-9><:><#FFD700> {{{#FF1493 '''2022년 2월 19일 토 12시^^E^^/09시^^P^^'''[br]''韓'' 2022년 2월 20일 일 02시^^KST^^}}} || ||<-1><:><#330066> {{{#66CC99 '''경기장'''}}} ||<-9><:><#330066> {{{#66CC99 '''사우디아라비아 메카 주 제다 제다 슈퍼 돔'''[br]''Jeddah Super Dome, Jeddah, Mecca Province, Saudi Arabia''}}} || ||<-1><:><#FFD700> {{{#FF1493 '''테마곡'''}}} ||<-9><#FFD700><:> [[Masked Wolf|{{{#FF1493 ''Masked Wolf''}}}]] {{{#FF1493 '''"Astronaut In The Ocean"'''}}}[[https://m.youtube.com/watch?v=MEg-oqI9qmw|#]] || ||<-1><:><#330066> {{{#66CC99 '''관중집계'''}}} ||<-9><:><#330066> '''{{{#66CC99 33,328명}}}''' || ||<-10><:><#0000CD> || ||<-10><:><#D3A129> {{{#FFFF00 '''WWE의 PLE'''}}} || ||<-3><:><#FFD700> [[WWE 로얄럼블(2022)|{{{#FF1493 로얄럼블}}}]] ||<-4><:><#330066> [[WWE 엘리미네이션 챔버(2022)|{{{#66CC99 엘리미네이션 챔버}}}]] ||<-3><:><#FFD700> [[WWE 레슬매니아 38|{{{#FF1493 레슬매니아 38}}}]] || ||<-10><:><#D3A129> {{{#FFFF00 '''WWE의 사우디아라비아 PLE'''}}} || ||<-3><:><#FFD700> [[WWE 크라운 주얼(2021)|{{{#FF1493 크라운 주얼 2021}}}]] ||<-4><:><#330066> [[WWE 엘리미네이션 챔버(2022)|{{{#66CC99 엘리미네이션 챔버}}}]] ||<-3><:><#FFD700> [[WWE 크라운 주얼(2022)|{{{#FF1493 크라운 주얼 2022}}}]] || ||<-10><:><#D3A129> {{{#FFFF00 '''엘리미네이션 챔버'''}}} || ||<-3><:><#FFD700> [[WWE 엘리미네이션 챔버(2021)|{{{#FF1493 2021}}}]] ||<-4><:><#330066> [[WWE 엘리미네이션 챔버(2022)|{{{#66CC99 2022}}}]] ||<-3><:><#FFD700> [[WWE 엘리미네이션 챔버(2023)|{{{#FF1493 2023}}}]] || ||<-1><:><#D3A129> '''{{{#FFFF00 포스터 모델: [[브록 레스너|{{{#FFFF00 브록 레스너}}}]]}}}''' ||<-10><:><#D3A129> || [목차] == 개요 == WWE 엘리미네이션 챔버 2022는 올해로 12번째를 맞이하는 WWE의 PLE이다. 이벤트 역사상 처음으로 [[사우디아라비아]]에서 개최되며, 로드 투 레슬매니아 38 시즌의 마지막 PLE이다. == 대립 배경 == === [[WWE 챔피언십]] 엘리미네이션 챔버 매치 === [[파일:EC2022_WWE_Championship.jpg]] [[바비 래쉴리]] VS [[AJ 스타일스]] VS [[맷 리들|리들]] VS [[오스틴 씨어리]] VS [[세스 롤린스]] VS [[브록 레스너]] === [[베키 린치]] VS [[리타(프로레슬러)|리타]] === [[파일:EC2022_RAW_Women's_Championship.jpg]] [[WWE RAW 위민스 챔피언십]] 1월 31일 RAW에서 리타가 베키 린치에게 도전을 제의했고, 베키가 이를 수락하면서 성사되었다. === [[우소즈]] VS [[바이킹 레이더스]] === [[파일:EC2022_SD_Tag_Team_Championship.jpg]] [[WWE 스맥다운 태그팀 챔피언십]] 1월 14일 스맥다운에서 열린 넘버 원 컨텐더 매치[* 참가팀: 바이킹 레이더스, [[로스 로사리오즈]], [[세자로]] & [[만수르(프로레슬러)|만수르]], [[진더 마할]] & [[샹키]]]에서 바이킹 레이더스가 승리를 거두며 우소즈와의 경기가 확정되었다.[* 바이킹 레이더스가 스맥다운 태그팀 챔피언에 등극하게 되면 [[WWE 트리플 크라운#s-4|태그팀 트리플 크라운]]을 달성할 수가 있다.] === [[로만 레인즈]] VS [[빌 골드버그|골드버그]] === [[파일:EC2022_Universal_Championship.jpg]] [[WWE 유니버설 챔피언십]] >'''The Head of the Table vs. The Myth''' 2022년 2월 4일 스맥다운에서 등장한 골드버그가 로만 레인즈에게 도전하며 확정되었다. 본래 이 두 선수간의 대결은 [[레슬매니아 36]]에서 열릴 예정이었지만 로만 레인즈의 건강상 문제로 인해 취소된 적이 있었다. === [[드류 맥킨타이어]] VS [[매드캡 모스]] === [[파일:EC2022_McIntyre_Moss.jpg]] 폴스 카운트 애니웨어 매치 [[WWE 데이 원|데이 원]]에서 매드캡 모스를 상대로 승리를 거둔 드류 맥킨타이어는 백스테이지에서 코빈과 모스에게 습격당해 부상을 입게되지만 드류는 [[WWE 로얄럼블(2022)|로얄럼블]]에서 깜짝 복귀해 로얄럼블 매치에서 코빈과 모스를 탈락시키며 대립을 이어가고 이후 스맥다운에서 모스와의 폴스 카운트 애니웨어 매치가 확정되었다. === [[WWE RAW 위민스 챔피언십]] 넘버 원 컨텐더 엘리미네이션 챔버 매치 === [[파일:EC2022_RAW_Women's_Chamber_V2.jpg]] [[비앙카 벨레어]] VS [[듀드랍]] VS [[리아 리플리]] VS [[니키 A.S.H.]] VS [[리브 모건]] VS [[알렉사 블리스]] 승자는 레슬매니아 38에서 RAW 위민스 챔피언십에 도전할 수 있다. [[비앙카 벨레어]]는 마지막 번호로 등장한다. === [[론다 로우지]] & [[나오미(프로레슬러)|나오미]] VS [[샬럿 플레어]] & [[소냐 드빌]] === [[파일:EC2022_Women's_Tag_Team_Match.jpg]] 론다 로우지는 한 쪽 팔을 묶는다. 2월 11일 스맥다운이 방송이 끝나고 확정되었다. === [[레이 미스테리오]] VS [[미즈(프로레슬러)|미즈]] === [[파일:EC2022_Kickoff_V4.jpg]] 킥오프 경기 >'''The Giant Killer vs. The Awesome One"' == 대진표 및 결과 == ||<|2><:>
<#000000> ||<-2><:><#FFD700> '''{{{#FF1493 싱글 매치(킥오프)}}} {{{#FF1493 <2.75점>}}}''' || ||<:><#330066> ✅'''[[레이 미스테리오|{{{#66CC99 레이 미스테리오}}}]]''' ||<:><#330066> '''[[미즈(프로레슬러)|{{{#66CC99 미즈}}}]]''' || ||<|2><:>
<#000000> ||<-2><:><#FFD700> '''[[WWE 유니버설 챔피언십|{{{#FF1493 WWE 유니버설 챔피언십}}}]] {{{#FF1493 <2점>}}}''' || ||<:><#330066> ✅'''[[파일:ce6714-championship-belt-16.png]] [[로만 레인즈|{{{#66CC99 로만 레인즈}}}]]''' ||<:><#330066> '''[[빌 골드버그|{{{#66CC99 골드버그}}}]]''' || ||<|3><:>
<#000000> ||<-3><:><#FFD700> '''{{{#FF1493 엘리미네이션 챔버 매치}}} {{{#FF1493 <3점>}}}'''[br]'''{{{#FF1493 ''승자는 레슬매니아 38에서 WWE RAW 위민스 챔피언십에 도전할 수 있다.''}}}'''[br]'''{{{#FF1493 ''비앙카 벨레어는 마지막 번호로 등장한다.''}}}''' || ||<:><#330066> ✅'''[[비앙카 벨레어|{{{#66CC99 비앙카 벨레어}}}]]''' ||<:><#330066> '''[[듀드랍|{{{#66CC99 듀드랍}}}]]''' ||<:><#330066> '''[[리아 리플리|{{{#66CC99 리아 리플리}}}]]''' || ||<:><#330066> '''[[니키 A.S.H.|{{{#66CC99 니키 A.S.H.}}}]]''' ||<:><#330066> '''[[리브 모건|{{{#66CC99 리브 모건}}}]]''' ||<:><#330066> '''[[알렉사 블리스|{{{#66CC99 알렉사 블리스}}}]]''' || ||<|2><:>
<#000000> ||<-2><:><#FFD700> '''{{{#FF1493 태그팀 매치}}} {{{#FF1493 <2점>}}}'''[br]'''{{{#FF1493 ''론다 로우지는 한 쪽 팔을 묶는다.''}}}''' || ||<:><#330066> ✅'''[[론다 로우지|{{{#66CC99 론다 로우지}}}]] {{{#66CC99 &}}} [[나오미(프로레슬러)|{{{#66CC99 나오미}}}]]''' ||<:><#330066> '''[[샬럿 플레어|{{{#66CC99 샬럿 플레어}}}]][* [[WWE 스맥다운 위민스 챔피언십|WWE 스맥다운 위민스 챔피언]]] {{{#66CC99 &}}} [[소냐 드빌|{{{#66CC99 소냐 드빌}}}]]''' || ||<|2><:>
<#000000> ||<-2><:><#FFD700> '''{{{#FF1493 폴스 카운트 애니웨어 매치}}} {{{#FF1493 <3.25점>}}}''' || ||<:><#330066> ✅'''[[드류 맥킨타이어|{{{#66CC99 드류 맥킨타이어}}}]]''' ||<:><#330066> '''[[매드캡 모스|{{{#66CC99 매드캡 모스}}}]]''' || ||<|2><:>
<#000000> ||<-2><:><#FFD700> '''[[WWE RAW 위민스 챔피언십|{{{#FF1493 WWE RAW 위민스 챔피언십}}}]] {{{#FF1493 <3.25점>}}}''' || ||<:><#330066> ✅'''[[파일:ce6714-championship-belt-16.png]] [[베키 린치|{{{#66CC99 베키 린치}}}]]''' ||<:><#330066> '''[[리타(프로레슬러)|{{{#66CC99 리타}}}]]''' || ||<|2><:>
<#000000> ||<-2><:><#FFD700> '''[[WWE 스맥다운 태그팀 챔피언십|{{{#FF1493 WWE 스맥다운 태그팀 챔피언십}}}]]''' {{{#FF1493 (NC)}}} '''{{{#FF1493 <별점 없음>}}}''' || ||<:><#330066> '''[[파일:ce6714-championship-belt-16.png]] [[우소즈|{{{#66CC99 우소즈}}}]]''' ||<:><#330066> '''[[바이킹 레이더스|{{{#66CC99 바이킹 레이더스}}}]]''' || ||<|3><:>
<#000000> ||<-3><:><#FFD700> '''[[WWE 챔피언십|{{{#FF1493 WWE 챔피언십}}}]] {{{#FF1493 <3.5점>}}}'''[br]'''{{{#FF1493 엘리미네이션 챔버 매치}}}''' || ||<:><#330066> '''[[파일:ce6714-championship-belt-16.png]] [[바비 래쉴리|{{{#66CC99 바비 래쉴리}}}]]''' ||<:><#330066> '''[[AJ 스타일스|{{{#66CC99 AJ 스타일스}}}]]''' ||<:><#330066> '''[[맷 리들|{{{#66CC99 리들}}}]]''' || ||<:><#330066> '''[[오스틴 씨어리|{{{#66CC99 오스틴 씨어리}}}]]''' ||<:><#330066> '''[[세스 롤린스|{{{#66CC99 세스 롤린스}}}]]''' ||<:><#330066> ✅'''[[브록 레스너|{{{#66CC99 브록 레스너}}}]]''' || == 평가 == 역대급 최악의 PPV로 아주 처참하다. 종료 직후에도 케이지 매치에서 지난달 로얄럼블과 비슷한 평가를 받았으나 이후 2점대가 붕괴되고 한동안 1점대로 더 추락했을 정도. 결국 또 브록 레스너가 다른 참가자들을 순식간에 다 격파하고 승리하는 허무한 결말을 보여주며 지난 로얄 럼블에 이어 또다시 숱한 로스터들이 로만 레인즈와 브록 레스너의 대립을 위한 소품으로 소모되는 모양새가 되어버렸다. 경기 초반 세스 롤린스가 오스틴 씨어리를 잡아다가 바비 래쉴리가 대기하고 있던 챔버에 버클 밤으로 내던지고, 이 때문에 아크릴이 파손되며 래쉴리가 큰 충격을 받는 장면이 있었는데 이후 래쉴리는 그대로 바깥으로 실려나간 뒤 경기에서 제외돼 버렸다. 엘리미네이션 챔버 경기를 허무하게 만든 또 하나의 요인. WWE 측에서 공식으로 래쉴리가 뇌진탕 부상을 당했다고 밝혔으나, 해당 장면을 보면 머리에는 전혀 충격이 가지 않았기에 팬들은 래쉴리의 위상을 보호해주기 위한 각본상 부상이 아닐까 예상했다. 하지만 WWE 관계자의 말에 따르면 로얄럼블 경기에서 어께 부상을 입은 뒤 수술이 필요한 상황이 되었고 이를 각본과 연계하여 뇌진탕이라고 발표한 뒤 수술을 받을 예정이라고 한다. 수술을 하게 될 경우 레슬매니아 출전 여부도 불투명해진다고 한다. [[https://www.givemesport.com/87974965-bobby-lashley-injured-needs-shoulder-surgery-will-miss-wwe-wrestlemania|#]] == 여담 == * WWE의 사우디아라비아 PLE 최초로 2개 이상의 여성 경기가 편성되었으며, 이에 맞춰 경기에 참가하는 여성 선수들도 무려 12명으로 늘어났다. * [[리타(프로레슬러)|리타]]는 은퇴한 여성 선수들 중 최초로 사우디아라비아 PLE에 참가하는 선수가 되었다. * 사우디 PPV에 항상 참여했던 [[만수르(프로레슬러)|만수르]]는 이번에는 불참했다. [[분류:WWE 엘리미네이션 챔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