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 from=VK)] * 피아니스트: [[V.K克]] * 한국의 사라진 휴대전화 제조업체: [[VK모바일]] * 나치 독일의 프로토타입 전차들: [[VK 시리즈]] * 나치 독일의 국민돌격대 전용 소총: [[국민돌격대 소총]] [include(틀:텍스트 중심 SNS)] ---- ||<-2> {{{+1 '''프콘탁테'''}}}[br]VK || ||<-2> [[파일:VK 아이콘.svg|width=50%]] || || '''명칭''' ||프콘탁테(VK)[* 오랫동안 로마자 표기를 오독한 '브콘탁테'라는 명칭이 통용되어 왔으나 외래어 표기법의 러시아어 표기 규정에 따르면 어말 무성음화를 반영한 '프콘탁테'가 올바른 표기이다. 국립국어원에서는 비교적 늦은 2022년에 프콘탁테로 [[https://www.korean.go.kr/attachFile/viewer/202212/e02b5c02-7331-4a5b-9658-ddcd15e4bbaa.xls.files/3.xhtml|심의하였다.]]]|| || '''국가''' ||[include(틀:국기, 국명=러시아)]|| || '''본사''' ||[[모스크바]]|| || '''유형'''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 '''회원가입''' ||필요|| || '''현재 상태''' ||운영 중|| || '''링크''' ||[[https://vk.com|[[파일:VK 아이콘.svg|width=25]]]] | [[https://apps.apple.com/us/app/vk-social-network/id564177498|[[파일:App Store 아이콘.svg|width=25]]]] |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vkontakte.android&|[[파일:Google Play 아이콘.svg|width=25]]]]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vkontakte, 크기=25)] | [[https://www.instagram.com/vk/|[[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5]]]]|| [목차] [clearfix] == VK 그룹 == 러시아의 인터넷 서비스 그룹으로서 대다수의 [[러시아인]]이 사용하는 Mail.ru를 운영하는 업체이다.[[https://vk.company/en/|#]] 예전에는 러시아 내 브랜드 명칭이 Mail.ru였고 그룹 명칭도 Mail.ru 그룹이었으나 러시아인들이 많이 사용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인 VK를 인수하고 운영하다가 2021년 10월 그룹명을 VK로 바꾸게 된다. 러시아 1위 업체인 [[얀덱스]]와는 콜택시부터 인터넷 쇼핑, 공유 경제까지 여러 면에서 치열하게 경쟁하면서도 Mail.ru의 검색 엔진을 얀덱스 엔진을 사용하는 등 서로 협력하기도 하는 등 적과의 동침에 가까운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글로벌 브랜드로 [[아머드 워페어]], [[워페이스]] 등으로 유명한 My.com과 My.Games를 가지고 있다. VK가 동구권에 치중된 소셜 네트워크이다 보니 정작 VK에서 개발한 게임이면서도 [[페이스북]]에서 컨테스트와 홍보를 하는 아이러니를 보여주기도 한다. == 소셜 네트워크 VK == === 개요 === 프콘탁테([[키릴 문자]]: ВКонтакте, [[라틴 문자]]: VKontakte, VK[* in contact를 incontact라는 브랜드 네임으로 바꾼 것이다.])는 [[러시아]], --[[우크라이나]]--[* [[2014년 러시아의 크림반도 합병]] 이후 더 이상 우크라이나에서의 접속은 불가능하다.], [[벨라루스]], [[카자흐스탄]], [[아르메니아]], [[아제르바이잔]], [[타지키스탄]], [[몰도바]]에서 주로 사용하는 유럽 최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이다. 구소련권 이외에도 슬라브계 이민자가 많은 [[이스라엘]] 등지에서도 많이 사용한다. 러시아의 경우 거의 모든 러시아인들이 페이스북보다 프콘탁테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러시아]]를 포함한 구소련권에서 큰 인기를 얻고 있다. 유명인사들 중에도 프콘탁테 계정을 가진 사람이 많으며 동유럽, 슬라브 문화권 이야기를 인터넷으로 접하고 싶다면 프콘탁테를 쓰는 것이 좋다. [[2011년 러시아 총선 사태]]와 [[유로마이단 혁명]]도 프콘탁테가 시발점이 되어 시위 규모가 커졌다. 따라서 권위주의적인 [[블라디미르 푸틴]] 정권에서는 이전부터 프콘탁테를 좋지 않게 바라보고 있었다. 러시아 정부는 프콘탁테의 개발자이자 CEO였던 파벨 두로프에게 [[유로마이단 혁명]] 참가자 정보를 넘길 것을 요구했는데 파벨 두로프는 이를 거절했으며 2013년 2월에는 정부로부터의 협조 공문을 자신의 프콘탁테 페이지에 폭로하며 러시아 정부에 개인 정보를 제공하지 않겠다고 선언했다. 폭로 5일 뒤 그는 러시아 정부로부터의 보복을 피하기 위해 러시아를 떠나 [[독일]]로 망명했다. 그리고 프콘탁테는 친정부 인사가 소유한 러시아의 인터넷 서비스 기업인 Mail.ru 그룹의 적대적 [[M&A]]을 당했고 파벨 두로프가 가진 모든 지분과 경영권이 친정부 인사의 손아귀에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16&aid=0000485946|들어갔다.]]. Mail.ru 그룹[* 러시아인 대다수가 메일 계정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유명한 포털 사이트 Mail.ru로 유명한 기업으로 얀덱스 다음 가는 인지도를 가지고 있다. 이 그룹의 브랜드 중 Mail.ru는 동구권에서 사용하는 내수용 브랜드였으며 글로벌용으로는 [[워페이스]], [[아머드 워페어]] 등으로 그나마 유명한 마이컴과 마이게임즈 등을 글로벌 브랜드로 가지고 있다.]은 이렇게 획득한 VK로 재미를 보더니 2021년에는 그룹명까지 [[https://www.nasdaq.com/articles/russias-mail.ru-rebrands-as-vk-eyeing-boost-for-online-services-2021-10-12|VK]]로 바꿨다. 파벨 두로프는 독일에서 새로운 프로젝트인 [[텔레그램]]을 개발했다. 지원하는 [[언어]]가 [[러시아]] [[소수민족]] 등의 언어들을 포함해서 약 85개에 달하는데 [[러시아어]]가 현대 러시아어, [[소련]] 시절 러시아어(советский), [[제정 러시아]] 시절(Дореволюцiонный) 등으로 세분화되어 있다. [[정체자]] [[표준중국어]]도 [[대만어]](臺灣語)라는 이름으로 되어있다.[* 원래 대만에서 [[대만어]]라고 하면 [[대만]]식 [[민남어]]를 뜻한다.] 또한 한국어도 지원한다. === 상세 === [[페이스북]]처럼 실명을 요구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그 정도로 빡빡하지는 않다. 대신 바꾸는 절차가 좀 까다롭다. 그리고 실명을 포함해서 개인정보를 상당히 많이 캐묻는다. 학력, 결혼 여부, 심지어 [[군필]] 여부도 묻는다. 다른 소셜 네트워크와 달리 오디오, 비디오, 파일 등을 타인과 공유하거나 재생할 수 있는 기능이 있다. 그리고 [[저작권]] 침해에 매우 관대한 SNS로써 유튜브 등지에서 삭제된 동영상 업로드 유저들이 피난처로 쓰는 곳이기도 하다. 그래서 이쪽으로 [[불펌]]을 당하면 해외에서 대처하기 정말로 까다롭기로 악명높다. 일단 해외에서 여기에 신고를 하려면 '''[[여권]]'''이 필요한 것이 엄청난 장벽으로 다가온다. 다만 저작권 침해와 관련한 검열이 아주 없진 않아서 유료로 판매되는 목제 기계식 시계장치 도면, [[페이퍼크래프트]] 도면 등이 올라왔다가 본래 판매자의 신고로 비공개 처리되는 일도 자주 있는 것을 보면 할 수 있는 사람은 하는 듯하다. 공영 방송사 등의 큰 영향력을 가진 기업에 의해 비공개 처리된 사례도 심심찮게 보인다. [[증오 발언]]에 대한 제재가 거의 없다. 그래서 유튜브나 페이스북이였으면 삭제됐을 소수자 혐오 표현에도 매우 관대하다. [[네오 나치]]들이 활개치는 수준이며 [[막심 마르친케비치]]가 대표적인 사례다. 포털 사이트 [[얀덱스]]와 같이 음란물도 거의 규제가 없어서 포르노도 그대로 올라온다. 2022년 9월 28일, 애플사가 VK를 영국 정부 제재에 위반된다는 이유로 전세계 웹스토어에서 퇴출시켰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1448413?sid=104|#]] 하지만 10월 18일 영국 정부가 러시아에 자체적으로 제재를 가함에 따라 지정된 가이드라인에 맞추어 다시 복구되었다.[[https://www.macrumors.com/2022/10/18/apple-restores-russian-vk-apps-app-store/|#]] [[분류: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분류:러시아의 IT 관련 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