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사전적 의미 == [include(틀:라틴 문자)] V/v는 [[라틴 문자]]의 22번째 글자이다. === 유래 === [[페니키아 문자]]의 [[와우]](waw)에서 [[그리스 문자]] [[입실론]](upsilon)이 탄생했으며, 입실론(upsilon)으로부터 V가 유래되었다.[* V 뿐만 아니라 W, U, Y도 입실론으로부터 나왔다.] [[고대 그리스어]]에서는 입실론을 moon의 /u/ 발음을 나타내기 위해 처음 썼다고 한다. AD 3세기 무렵에 단모음 U와 반모음 V를 구분하기 위해 [[U]]를 쓰기 시작했다.[* 이 흔적은 여러 고유명사에 남아 있는데 스페인의 국가 모토인 PLVS VLTRA(PLUS ULTRA)나 이탈리아 명품 브랜드 불가리(BVLGARI) 등이 있다.] 이후 V는 글자 맨 앞에 쓰였고, U는 글자 가운데나 끝에 쓰였다.[* 예를 들면, have나 upon은 haue와 vpon으로 쓰였다.] 1500년대 중반에 와서 V는 [v], U는 [u]로 분화되어 오늘날까지 이어져오고 있다. === 명칭 === ||<-3> '''{{{+3 V / v}}}''' || ||<|8> 이름 || 영어 ||비 (vee, [viː]) || || 라틴어 ||우 (u, [uː]) || || 네덜란드어 ||베 (vee, [veː]) || || 프랑스어 ||베 (ve, [ve]), 뷔(vu, [vy]) || || 독일어 ||파우 (vau, [faʊ̯]) || || 이탈리아어 ||부 (vu) || || 스페인어 ||우베 (uve), 베(ve) || || 기타 언어 ||베 (ve, [ve]) || 위의 발음은 한국어로 표기한 외래어 표기법인데, 실제 발음과는 차이가 있다. 실제에 가까운 영어 발음을 굳이 한국어로 표기 한다면 븨에 가깝다.[* 애초에 v(viː)랑 b(biː)는 문자가 다르니 발음이 다르다. 근데 워낙 발음이 별 차이가 없어서 비슷한 단어가 있다면 영어권 나라에서도 이걸로 [[언어유희]]를 하는 편이기도 하다. 나이들면 발음이 새는 경우도 많아서 v와 b둘다 비라고 발음해도 알아는 듣는다. very, berry ] [[한국]]에서는 '브이'라고 표기하고 발음하는 편이다. '[[브이로그]]'도 '브이'로 쓰는 예 중 하나이다. 이렇게 발음 하는 이유는 일본의 발음 브이(ブイ)의 영향을 받은 걸로 추정 된다.[* 브이를 한음절로 합치면 븨가 된다. 일본이 최대한 자신의 문자로 표기 가능하게 것이다. 라틴어 발음도 우에 가깝다. 브이라고 발음하는 곳은 일본, 한국 둘 밖에 없다. 중국 조차도 비에 가깝다.] 외래어 표기법에 따르면 원래 '비'로 표기해야 할 것인데, [[B]]와 구별하기 어렵다. 그래서인지 표준국어대사전에는 그냥 '브이'를 표제어로 하고 있고 '비'를 찾으면 안 나온다. 근데 [[티비는 사랑을 싣고]]처럼 어문 규범에 민감한 지상파에서도 그냥 비로 쓰는 경우도 있다.[* 가끔씩 [[B]]와 구별하기 위해 븨라고도 한다.] 일본에서는 '브이(ブイ)'라고 발음한다. === 사용 === 많은 경우 [v]로 소리난다. [[아일랜드어]]와 [[폴란드어]]에서는 쓰지 않는다. 아일랜드어에는 V 발음 자체가 없고[* 다만 [[아일랜드인]]들이 V 발음을 할 줄 몰랐던 것은 잉글랜드에 정복당하기 전의 일이며, 현대 아일랜드인들은 영어가 모어인 관계로 V 발음이 능숙하다.], 폴란드어에는 [v]를 [[W]]로 적는다. [[카탈루냐어]]와 본토 [[스페인어]]에서는 기본적으로 V가 [[B]]와 발음이 같고, 모음 사이의 V가 [b]로 소리나는 경우가 많다. 독일어의 V는 고유어 계통의 경우 [f]로 읽으며[* Vater: 독일어로 아빠라는 뜻. 영어의 Father와 발음도 비슷하고 뜻도 같다.], 고유명사를 제외하고 대부분 어두에만 온다.[* 어중이나 어말의 v는 보통 f나 b로 바뀐다. 예) silver(영) - silber(독)] 라틴어 계통의 경우 v가 어두, 어중에 오면 [v]로 읽고, 어말에 오면 [f]로 읽는다.[* 예) Klavier(피아노), Vakuum(진공)] 중국어의 로마자 표기인 [[한어병음]]에서는 공식적으로는 표준중국어 외의 방언 표기용으로만 쓰이며(표준중국어에는 [v] 음가가 없다) 비공식적으로 ü([y])의 대체 표기로 쓰인다. 다른 대체 표기인 yu에 비해서 입력이 간편하지만 v를 [y]로 읽는 건 다른 언어에는 없으므로 읽기가 불편하다. 2012년부터는 [[중국]] 여권에서 ü의 대체 표기를 yu로 지정했기 때문에(한어병음 규정은 아니다) 예전보다 덜 쓰이지만, 2012년 이전의 여권에서 사용한 v는 그대로 쓸 수 있기 때문에 현재까지도 볼 수 있다. [[한국어]]와 [[일본어]]는 각각 ㅂ과 バ행[* 간혹 일부를 ヴ로 쓰는 경우도 있다.]으로 표기된다. 서로 표기방식이 약간 비슷하다. [[아랍어]]에서는 f(ف)로 표기된다. === 여담 === [[W]]의 모양도 U 혹은 V에서 유래했다. [u] 발음'''이었던''' V에서 갈라져 나온 같은 [u] 발음인 U를 두개 이은 UU가 그 기원이었으나, 사람들이 UU를 빨리 휘갈겨 쓰면서(필기체) W라는 다른 문자로 바뀌게 것이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 V가 현재 우리가 쓰고 있는 [v]로 바뀌게 되면서 W를 읽을때 '2개의 U'(더블'''유''')로 발음하기도 하고 '2개의 V'(우베 도블레, 두블레 브이(뷔), 도피아 부)로 발음하기도 하는 것이다. == 기호 == * [[전압]]의 단위 [[볼트#s-1|볼트]] * [[바나듐]]의 원소 기호 * 아미노산 [[Val]]의 한글자 표기법 * [[V 사인]]: 승리를 뜻하는 표시로 쓰이기도 한다. * [[V넥 티셔츠]] * [[로마 숫자]] [[5]] * [[부사관]]의 갈매기 마크를 V라고 부르기도 한다. * 스포츠에서 사용할 경우 V 다음에 숫자를 붙여서 [[우승]] 횟수를 나타낸다. 일례로 [[KIA 타이거즈]]의 응원단장은 'V11'을 등번호로 하는 유니폼을 입고 있는데, 우승을 10회했으니 11회 우승으로 가자라는 의미다.[* 이후 [[2017년 한국시리즈]]에서 실제로 V11을 달성했다.] * [[소프트웨어]]에서는 [[버전]]을 v.로 줄이곤 한다. 주로 뒤에 숫자를 붙여 v.1 식으로 쓴다. ver. 로 쓸 때도 있다. * [[Versus|versus]]를 v.로 줄이기도 한다. 한국에선 [[VS놀이]]에서 보듯 [[VS]]가 더 일반적이다. === [[국제음성기호]] [v] === 소문자 v 형태만을 사용한다. 영어의 'V'와 마찬가지로 [[순치음#마찰|유성 순치 마찰음]]이다. 무성음 쌍은 잘 알려져 있듯이 [f]이다. V의 자형을 조금 변형하여 순치음의 다른 음을 표기하기도 한다. 가령 [ʋ]는 [[순치음#접근|순치 접근음]], [ⱱ]는 [[순치음#탄음|순치 탄음]]이다. B, R처럼 유성음의 대문자 축소 버전(small caps)이 [[전동음]] 등 유사 음을 표기하는 데 쓰이는 일이 있으나([ʙ], [ʀ]) V는 소문자 v와 모양이 너무 비슷해서 그런 식으로는 쓰이지 않는다. == 개별 문서가 존재하는 동음이의어 == === 인물 === * [[뷔]] - 대한민국의 7인조 보이그룹 [[방탄소년단]]의 멤버. 본명: 김태형. * [[바바류스 V]], [[크리스틴 V]] - [[파이브 스타 스토리]] * [[V(데빌 메이 크라이)]] - [[데빌 메이 크라이 시리즈]] * [[V(유희왕)]] - [[유희왕 ZEXAL]] * [[V(크루세이더 퀘스트)]] - [[크루세이더 퀘스트]] * [[브이]] - [[브이 포 벤데타]] * [[V(신의 탑)]] - [[신의 탑]] * [[V(사이버펑크 2077)]] - [[사이버펑크 2077]]의 플레이어블 주인공. * [[V(수상한 메신저)]] - [[수상한 메신저]] * [[로보트 태권 V]] * [[V조직]] - [[도쿄 구울]] 시리즈에 등장하는 조직. * [[또봇 V]]의 등장 또봇 [[또봇 V/등장 또봇|또봇 마스터 V, 또봇 맥시머스 V,또봇 타이탄 V]] === 기타 === * [[V(미국 드라마)]] * [[브이(웹툰)]] * [[V(BEMANI 시리즈)]] - [[BEMANI|BEMANI 시리즈]]의 수록곡 * [[V(프로그래밍 언어)]] * [[V(메이플스토리)]] - [[메이플스토리]]의 업데이트 * [[V.]] - [[Cytus II]] 내 [[Ivy(Cytus II)|Æsir]] 명의의 수록곡 * [[V(마룬 5)]] - [[마룬 5]]의 정규 5집 * [[V(VANNER)]] - 대한민국의 보이그룹 [[VANNER]]의 첫 번째 정규 앨범이자 데뷔 앨범 * [[V LIVE]] * [[문서:/v/|/v/]] - [[4chan]]의 비디오 게임 관련 보드 * [[동사(품사)]]의 영어 약자, v.로 줄임 * [[뉴욕증권거래소]]에 상장된 [[비자(기업)|비자]] 주식의 종목 코드 (NYSE: '''V''') == 기타 고유명사 == === [[뉴질랜드]]의 [[에너지 드링크]] === [[파일:V 에너지 드링크.jpg|height=300]] 뉴질랜드 청정수를 썼다고 광고하고 있으며, 다른 에너지 드링크보다 신 맛이 좀 강한 편이다. 디자인은 전체적으로 녹색이며 커다랗게 V 라고 쓰여 있다. [[2012년]] 8월부터 [[GS25]]에서 국내 판매를 시작하였다. 가격은 1캔에 1,800원. 좀 비싼 감이 있지만, [[레드불|경쟁 음료(?)]]보다는 훨씬 싸다! 효과는 개인차가 있긴 하지만 고가인 만큼 강력한 드링크에 속한다. 250ml에 카페인 78mg. [[핫식스]]와 [[번인텐스]]가 80mg 하던 시기라면 몰라도, [[2013년]] 이후에 와서는 모조리 60mg 이하 대로 내려앉았기 때문에 황당하게도 '''가성비가 좋아졌다'''. 비싸다고 생각하였는지 가격을 1,300원으로 내렸다. 가끔 2+1 행사를 하는 곳이 보이지만 여전히 비싼 것은 마찬가지. 거의 1년에 한번 정도 비율로 1+1을 하기도 하는데, 이 때는 가성비 최고 수준이 되니 본다면 쟁여두는 것도 괜찮을 듯하다. 국내에선 판매 저조로 인해 단종되었다. [[분류:동음이의어]][[분류:로마자]][[분류:에너지 드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