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관련 문서, top1=샐러리 캡)] [include(틀:V-리그 관련 문서)] [목차] == 개요 == [[V-리그]]의 시즌별 [[샐러리 캡]]과 연봉 순위를 정리한 문서. == 역대 샐러리 캡 == || {{{#fff '''시즌'''}}} || {{{#fff '''남자부'''}}} || {{{#fff '''여자부'''}}} || || '''2005''' || 10억 3500만 원 || - || || '''2005-06''' || 11억 7000만 원 || 6억 원 || || '''2006-07''' || 13억 원 || 7억 원 || || '''2007-08''' || 14억 3000만 원 || 7억 7000만 원 || || '''2008-09''' ||<|2> 15억 원 ||<|2> 8억 5000만 원 || || '''2009-10''' || || '''2010-11''' ||<|2> 18억 5000만 원 ||<|2> 10억 원 || || '''2011-12''' || || '''2012-13''' ||<|2> 20억 원 ||<|2> 11억 원 || || '''2013-14''' || || '''2014-15''' || 21억 원 ||<|2> 12억 원 || || '''2015-16''' || 22억 원 || || '''2016-17''' || 23억 원 ||<|2> 13억 원 || || '''2017-18''' || 24억 원 || || '''2018-19''' || 25억 원 ||<|2> 14억 원 || || '''2019-20''' || 26억 원 || || '''2020-21''' || 31억 원 ||<|3> 23억 원[* [[https://www.google.com/amp/s/m.yna.co.kr/amp/view/AKR20201214078800007|옵션캡 5억 원 명시적으로 샐캡에 포함]].] || || '''2021-22''' || 36억 원[* 옵션캡이 적용되도록 이전에 의결했으나 연기되었다.] || || '''2022-23''' || 58억 1000만 원[* 기본연봉 41.5억 옵션 16.6억, 옵션캡 적용 강제 시점] || == 역대 연봉 1위 == ||<|2>
{{{#fff '''시즌'''}}} ||<-2> {{{#fff '''남자부'''}}} ||<-2> {{{#fff '''여자부'''}}} || || {{{#fff '''이름'''}}} || {{{#fff '''최고연봉'''}}} || {{{#fff '''이름'''}}} || {{{#fff '''최고연봉'''}}} || || '''2005''' || [[김세진]](삼성화재), [br] [[이경수]](LIG) || 1억 원 || || || || '''2005-06''' || [[이경수]](LIG) || 1억 1500만 원[* "이경수는 21일 소속 구단과 종전 연봉 1억 원에서 15% 오른 1억 1500만 원에 재계약 협상을 매듭지었다." ([[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009&aid=0000518518|배구 이경수, 연봉왕 예약]])] || || || || '''2006-07''' ||<|2> [[후인정]](현대캐피탈) || 1억 1800만 원[* "현대캐피탈은 이경수가 지난 시즌 후 1억 1500만 원에 계약하자 후인정에게 300만 원을 더 얹어줘 연봉킹을 만들어줬다."[[https://www.yna.co.kr/view/AKR20070518090600007|후인정-이경수 연봉킹 경쟁..한유미 연봉퀸 예약]]] || || || || '''2007-08''' || 1억 3000만 원 || [[한유미]](현대건설) || 1억 2000만 원 || || '''2008-09''' ||<|2> [[최태웅]](삼성화재) || 1억 5000만 원 || [[한송이(배구선수)|한송이]](도로공사) || 1억 5000만 원[* "흥국생명은 14일 "한송이와 옵션 없이 3년간 연봉 1억 5000만 원에 계약했다"고 밝혔다."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08/05/14/2008051401409.html|남녀배구 통틀어 '연봉 퀸' 된 한송이, 흥국생명과 계약]])] || || '''2009-10''' || 1억 6800만 원[* 최태웅이 지난해(1억 5000만 원)보다 1800만 원 오른 1억 6800만 원에 재계약해 지난해에 이어 연속 최고 연봉을 받는다고 발표했다. ([[http://sports.khan.co.kr/sports/sk_index.html?art_id=200908212158076&sec_id=530401|최태웅 2년연속 프로배구 ‘연봉킹’]])] || [[김사니]](KT&G), [br] [[김민지(배구선수)|김민지]](GS칼텍스) || 1억3000만 원[* FA자격을 얻으며 원 소속팀 GS칼텍스와 재계약한 김민지는 지난시즌보다 2000만 원이 올랐고, 2007년 FA계약 이후 2008~2009시즌 팀을 정규리그 2위로 올린 김사니는 1000만 원 상승했다. 지난시즌 1억 5000만 원으로 연봉퀸이었던 흥국생명 한송이는 많은 결장탓에 1억 2000만 원에 재계약했고, 언니 한유미(현대건설)는 지난 시즌과 같은 1억 2000만 원에 도장을 찍었다. ([[https://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09/08/20/2009082001382.html|김민지, 김사니 1억 3000 연봉 퀸!]])] || || '''2010-11''' ||<|2> [[박철우(배구)|박철우]](삼성화재) || 3억 원 || [[황연주]](현대건설) || 1억 8500만 원[* 지난 5월 FA를 통해 현대와 여자부 최고액(1억8500만 원)에 3년간 계약한 그는 “‘연봉퀸’이라고 주위에서 지켜보는 눈이 많아 부담이 되긴 하지만 현대를 통합우승으로 이끌겠다”는 자신감을 보였다. ([[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021&aid=0002044158|女배구 연봉퀸 황연주 “FA 1년차 징크스 깬다”]])] || || '''2011-12''' || 2억 5000만 원[* 2011~2012시즌 남자프로배구 선수등록 결과 박철우는 2억 5000만 원에 계약을 체결했지만 연봉 순위 전체 1위에 이름을 올렸다. ([[https://www.nocutnews.co.kr/news/854392|박철우, 연봉 5천 삭감에도 2년 연속 '연봉킹']])] ||<|2> [[김사니]](흥국생명) ||<|2> 1억 9000만 원[* 2011-2012 시즌 여자부 선수 등록 현황에 따르면 김사니는 1억 9000만 원을 받아 연봉이 동결된 황연주(현대건설·1억 8500만 원)를 따돌리고 '연봉 퀸'에 등극했다. ([[https://www.yna.co.kr/view/AKR20110701178000007|김사니, 1억9000만 원 '연봉 퀸']])] || || '''2012-13''' || [[김요한(배구)|김요한]](LIG) || 3억 500만 원[* 2012-2013 시즌 남자부 선수등록을 마감한 결과 김요한이 연봉 3억500만 원을 받아 '연봉킹'에 올랐다고 3일 발표했다. ([[https://www.hankyung.com/sports/article/2012070372848|프로배구 김요한·김사니 남녀 최고 연봉]])] || || '''2013-14''' || [[한선수]](대한항공) || 5억 원[* 남자부에서는 한선수가 올 FA선수로 원 소속팀과 프로배구 역대 최고 연봉인 5억 원에 사인하며, 역시 FA로 삼성화재와 재계약한 박철우(3억 3000만 원)를 제치고 연봉 킹을 차지했다. ([[https://www.mbn.co.kr/news/sports/1402076|한선수·양효진, 남녀 V리그 연봉킹·퀸 등극]])] ||<|4> [[양효진]](현대건설) ||<|3> 2억 5000만 원[* "2013년 이후 여자부 연봉 1위(2억 5000만 원)에 올라 있다." ([[http://www.hani.co.kr/arti/sports/sports_general/721901.html|프로배구 ‘연봉퀸’ 양효진 “매년 조금씩 성장하겠다”]])] || || '''2014-15''' || [[여오현]](현대캐피탈), [br] [[유광우]](삼성화재) || 3억 5000만 원[* 유광우는 FA로서, 여오현은 지난해 연봉을 유지하면서 각각 3억 5000만 원에 계약했다. ([[https://www.news1.kr/articles/?1749641|프로배구 올해 연봉 킹과 연봉 퀸은 누구]])] || || '''2015-16''' ||<|5> [[한선수]](대한항공) ||<|3> 5억 원 || || '''2016-17''' ||<|3> 3억 원 [* [[https://m.yna.co.kr/view/AKR20160701075400007|2016-17 시즌 최고 연봉 순위]], [[https://www.yna.co.kr/view/AKR20170701042200007|2017-18 시즌 최고 연봉 순위]], [[https://www.hankyung.com/sports/article/201807047275Y|2018-19 시즌 연봉 최고 순위]]] || || '''2017-18''' || [[양효진]](현대건설), [br] [[김희진(배구선수)|김희진]](기업은행) || || '''2018-19''' ||<|2> 6억 5000만 원[* 남자 프로배구에선 대한항공의 정규리그 우승에 중요한 역할을 한 세터 한선수가 지난 시즌과 동일한 6억 5000만 원을 받아 최고 연봉 선수가 됐다. ([[https://www.yna.co.kr/view/AKR20190702087700007|한선수, 5년 연속 배구 '연봉킹'…양효진은 7년 연속 '연봉퀸']])] || [[양효진]](현대건설), [br] [[김희진(배구선수)|김희진]](기업은행), [br] [[한수지]](GS칼텍스) || || '''2019-20''' || [[양효진]](현대건설), [br][[박정아(배구선수)|박정아]](도로공사) || 3억 5000만 원 [* [[http://m.thespike.co.kr/view.php?no=11356|2019-20 시즌 연봉 Top 10]]] || || '''2020-21''' || [[황택의]](KB손해보험) || 7억 3000만 원 [* 옵션 미공개.] ||<|2> [[양효진]](현대건설) ||<|2> 7억 원[* [[http://m.thespike.co.kr/news/newsview.php?ncode=1065613520404542|연봉 4억 5000만 원 옵션 2억 5000만 원]]. 갑자기 연봉이 대폭 상승할 리는 없고 이전에도 옵션이 있었으나 공개하지 않은 것으로 추정된다.] || || '''2021-22''' || [[한선수]](대한항공) || 7억 5000만 원 [* 옵션 미공개.] || == 관련 기사 == * [[https://news.joins.com/article/2994405|‘몸값은 인기순’ 선수 평균 연봉 농구가 최고]] * [[http://www.newstomato.com/ReadNews.aspx?no=567004|프로배구 '연봉킹' 여오현 3억2천·'연봉퀸' 양효진 2억5천]]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V-리그, version=1187, paragraph=8)] [[분류:V-리그/역대 기록]][[분류:임금(경제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