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Unicorns of Love/리그 오브 레전드/2019년 이전)] [include(틀:Unicorns of Love/리그 오브 레전드/2019년 이전/역대 시즌)] ||<-5> '''{{{#000 Unicorns of Love의 역대 시즌}}}''' || || 창단 ||<:> ← || {{{#ea1e5b '''2014 시즌'''}}} || → || [[Unicorns of Love/리그 오브 레전드/2015 시즌|2015 시즌]] || [목차] [clearfix] == 개요 == [[Unicorns of Love/리그 오브 레전드/2019년 이전|Unicorns of Love]]의 2014년에 대해 서술한 문서. === 2014 시즌 === 창단 초반까진 이렇다할 모습을 보여주지 못했으나, 미드라이너인 PowerOfEvil이 들어온 2014 EU CS Summer부터 예선을 돌파하는 모습을 보여줬다 그러나 매번 [[Ninjas in Pyjamas]]을 만나 광탈하는 모습을 보여줬는데 Summer 시즌 플레이오프에서 오셀롯의 Gamers2를 잡아내더니 기어코 악연의 Ninjas in Pyjamas를 3,4위전에서 '''탑 스웨인'''을 사용하는등 3:0으로 잡아내면서 승강전 진출 기회를 얻었다. 그리고 2014년 9월, 승강전에서 [[Millenium/리그 오브 레전드|Millenium]](밀레니엄)[* 지금은 해체되었다. 해체 시점은 강등 이후 확장 토너먼트에서 광탈하면서 2군 행이 완전히 확정되었을 시점이다.]을 만나 모두의 예상을 깨고 승격에 성공하였다. 당시 유럽의 하위권 팀은 Millenium, Gambit Gaming, Copenhagen Wolves(CW)였는데, 갬빗 게이밍은 엄청난 부진에 빠지고 여러 멤버가 교체되는 등 혼란이 있었고 CW는 원래 기량이 다소 함량 미달이라는 평의 팀이었다. 밀레니엄은 플레이오프에도 진출했던 만큼 잔류가 예상되었으나 다른 두 팀이 살아남았는데 정작 혼자 강등되는 이변이 일어난 것이다. 물론 UoL이 뛰어난 기량을 보여준 것도 맞다. 탈론이 은신을 위해 궁을 썼는데 안 보이는 상황에서 쓰레쉬가 사형 선고를 맞추는데 성공한 장면은 명장면으로 꼽힌다. [[https://www.youtube.com/watch?v=Fv_MQRrVlYM|은신한 탈론에게 사형선고]] [[https://www.youtube.com/watch?v=jsx3NVNxozI|점멸 예측한 사형선고]] 그리고 UoL이 고인으로 분류되는 탑 '''뽀삐'''를 꺼내 성공적으로 활용하면서 밴까지 이끌어 냈다. [[https://www.youtube.com/watch?v=JvdB_qaTiNs|뽀삐 하드캐리 영상.]] 참고로 미드 카시오페아도 이 승격 강등전에서 나왔다. 해설에 의하면 밀레니엄은 게임 전에 수립하는 전략성은 있어도 게임 내의 전술은 매우 부족한 팀인데, UoL은 종종 보여주는 깜짝픽뿐만 아니라 운영이 매우 뛰어난 팀이라는 것. 밀레니엄이 개인기량도 좋고 깜짝픽도 꽤 보여주었으나 결국 시즌 막판 충격의 연패로 승강전까지 밀려온 이유는 결국 운영이 모자랐기 때문이었고, 그런 그들이 3개의 팀 중에 UoL을 고른 것은 결과적으로 역스윕을 당하며 최악의 한 수로 남게 되었다. 이후 밀레니엄은 한국인 미드정글 듀오를 영입했으나 추가 선발전에서도 어이없이 탈락하며 해체되고 만다. [[분류:Unicorns of Love/리그 오브 레전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