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www.warwheels.net/UR416pitarch%20(2).jpg|width=100%]]}}} || || '''UR-416''' || [목차] == 개요 == 라인슈탈 마시넨바우(Rheinstahl Maschinenbau)[* 현재의 티센 헨셸]가 개발한 UR-416은 [[메르세데스-벤츠 우니모크]] 트럭의 차대에 장갑판을 추가한 간단한 구조의 [[병력수송장갑차]]로 별명이 "Acerro" (Steel)이라 한다. UR-416, 혹은 SO 416, TPz2, LG496 등 다양한 이름을 가진 이 [[차륜형 장갑차]]는 초도형 416S 가 등장한 것은 1965년으로 Unimog-406 차대를 기초로 개발되었으며 주로 치안 유지용으로 운용되었으며 1970년부터 생산을 시작하였다. 9mm 압연강판으로 용접된 차체는 소총탄과 포탄 파편 및 대인 지뢰에 대한 방호력을 보유했다. 엔진은 5700cc 메르세데스-벤츠 OM 352 6기통 디젤엔진을 장착 100 마력의 출력을 내며 수상에서는 후부에 장착된 1개의 프로펠러를 구동하여 시속 6 km/h로 주행할 수 있지만 프로토타입만 수륙양용 성능을 보유하였으며 양산형에서는 폐지했다. UR-416은 제법 많은 국가에 1,174대(일부 자료는 1,030대라고도 함)나 팔린 저렴한 장갑차인데 파키스탄과 페루가 제일 많은 수량을 도입하였으며 일부 국가는 아직도 치안 유지용으로 사용하고 있다. == 제원 == || 탑승인원 || 2+12명 || || 길이 || 5.21m || || 차폭 || 2.2m || || 차고 || 2.52m (포탑) [br] 2.25m (차체상부) || || 지상고 || 0.44m || || 전투중량 || 7.6톤 || || 자체중량 || 5.7톤 || || 무장 || [[7.62mm]] 다목적 기관총 1문 || || 엔진 || Daimler-Benz OM352 || || 배기량 || 5.675cc || || 출력 || 120hp || || 출력대비중량비 || 16.5Hp/t || || 구동방식 || 4x4 || || 변속기 || 4단 G 717.800형. [br] Transfer case 2단 || || 최대속도 || 85km/h || || 행동거리 || 700km || || 연료탱크 || 150리터 || || 등판각 || 60% || || 경사각 || 35% || || 호통과넓이 || 1.4m || || 수직장애물 || 0.55m || || 도섭수심 || 0.8m || || 장갑두께 || 8mm || == 운용국 == || 국가 || 수량 || || [[독일]] ||50대|| || [[엘살바도르]] ||8대|| || [[에콰도르]] ||5대|| || [[아르헨티나]] ||40대|| || [[그리스]] ||15대|| || [[케냐]] ||52대|| || [[마다가스카르]] ||5대|| || [[모로코]] ||55대|| || [[파키스탄]] ||454대|| || [[페루]] ||225대|| || [[카타르]] ||20대|| || [[사우디아라비아]] ||100대|| || [[스페인]] ||25대|| || [[토고]] ||30대|| || [[터키]] ||34대|| || [[베네수엘라]] ||20대|| || [[짐바브웨]] ||36대 || === 한국의 도입 추진 === [[1970년대]] 중반 [[대한민국 국군]]은 [[북한]]의 특수부대가 청와대 인근까지 침투 하는 [[1.21 사태]] 등을 겪으면서 대게릴라전 수행과 신속한 수도권 방어 임무 투입에 필요한 [[차륜형 장갑차]]의 도입을 추진한다. 당시 외국 업체 중 [[서독]]이 개발한 UR-416 장갑차와 [[이탈리아]]의 [[피아트|FIAT]]와 OTO Melara사가 공동 개발한 CM-6614 [[차륜형 장갑차]]가 우리 군 소요에 맞다는 판단 하에 도입을 추진하였다. 국군은 적당한 성능과 저렴한 가격을 가진 것으로 평가된 UR-416을 선호했지만, 당시 서독은 분쟁국에 대한 무기수출을 금지하고 있었다. 이에 따라서 벨기에 무기상을 통해 터키로 차체를 이동한 후 수송기로 시험평가용 4대를 도입하였다. 국군은 비밀리에 도입한 4대를 울산 산업 단지 방어용으로 운용하다가 퇴역 시키고 현재는 [[육군훈련소]] 연무대에 전시되고 있다. 차륜형 장갑차 사업은 이런 우여곡절 끝에 기술 제공 및 면허 생산이 가능한 이탈리아 피아트 사의 CM-6614을 [[아시아자동차]]에서 [[면허생산]]하여 제식 명칭 [[KM900]]을 부여받는 것으로 종료된다. 2021년 12월 4대중 한대로 보이는 차량이 어초겸 해중 경관조성의 목적으로 경포대 인근 사근진 해역에 [[http://www.reporternside.com/news/articleView.html?idxno=201993&fbclid=IwAR2Tx7zgErQGmCfNsLUIyxsTGvLLBOlubpt7Oj5LSCjWwHj7_eUETiQ_Scc | 수중 투하 되었다 ]] == 둘러보기 == [include(틀:현대전/스페인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그리스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파키스탄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튀르키예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사우디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아르헨티나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한국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짐바브웨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엘살바도르 기갑차량)] [include(틀:기갑차량 둘러보기)] [[분류:차륜형 장갑차]][[분류:지상 병기/현대전]][[분류:스페인군/기갑차량]][[분류:파키스탄군/기갑차량]][[분류:튀르키예군/기갑차량]][[분류:그리스군/기갑차량]][[분류:아르헨티나군/기갑차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