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UEFA 챔피언스 리그 역대 시즌)] [목차] == 개요 == 2007년 11월 30일에 있었던 루체른 회의에서, UEFA는 2009년부터 조별 리그에 자동으로 진출하는 팀을 기존의 16개 팀에서 22개 팀으로 늘리는 것(6개의 새 팀들=1~3위 협회들의 리그 3위 팀+10~12위 협회들의 리그 우승 팀)을 골자로 하는 새로운 예선 시스템을 도입하기로 결정했다. 남은 10개 팀에겐 두 개의 예선을 통해서 자리를 부여하기로 하였다. 하나는 협회 순위가 13위이거나 혹은 그 아래인 팀을 위해서, 또 하나는 1~15위에 랭크된 협회 소속의 리그 우승을 하지 못한 팀들을 위해 주어진다. 두 예선 통로는 각각 독립적으로 열리고 각각 5개의 자리가 주어지며 이들이 조별 리그의 마지막 참가자가 된다. 이 변경안의 핵심은 낮은 순위의 협회에 속한 팀들이 높은 순위에 있는 협회에 속한 팀들 중 UEFA 챔피언스 리그 본선 자동 진출을 하지 못한 팀들과 겨루는 기존의 방식과는 달리 낮은 순위의 협회들의 팀들이 그들만의 경기를 통해 본선에 좀 더 쉽게 진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결승전을 치를 요일을 수요일에서 토요일로 옮겼다. 또한 유니폼 오른쪽에 'respect' 패치를 붙이게 된다. == 조별리그 == || '''조별리그 결과 구분''' || || UEFA 챔피언스 리그 16강 진출 || || UEFA 유로파 리그 32강 진출 || || 탈락 || ||<-10> '''{{{#ffffff A조}}}''' || ||<-2> '''{{{#ffffff 팀명}}}''' || '''{{{#ffffff 경기수}}}''' || '''{{{#ffffff 승}}}''' || '''{{{#ffffff 무}}}''' || '''{{{#ffffff 패}}}''' || '''{{{#ffffff 득}}}''' || '''{{{#ffffff 실}}}''' || '''{{{#ffffff 차}}}''' || '''{{{#ffffff 승점}}}''' ||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30|width=30]] || '''[[FC 지롱댕 드 보르도]]''' || 6 || 5 || 1 || 0 || 9 || 2 || +7 || 16 || || [[파일:독일 국기.svg|width=30]] || '''[[FC 바이에른 뮌헨]]''' || 6 || 3 || 1 || 2 || 9 || 5 || +4 || 10 ||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30]] || [[유벤투스 FC]] || 6 || 2 || 2 || 2 || 4 || 7 || -3 || 8 || || [[파일:이스라엘 국기.svg|width=30]] || [[마카비 하이파 FC]][* 최초의 무승, 무득점, 무승점 탈락] || 6 || 0 || 0 || 6 || 0 || 8 || -8 || 0 || || 비고 || 보르도 || 바이에른 뮌헨 || 유벤투스 || 마카비 하이파 || || 보르도 || - || 2-1 || 2-0 || 1-0 || || 바이에른 뮌헨 || 0-2 || - || 0-0 || 1-0 || || 유벤투스 || 1-1 || 1-4 || - || 1-0 || || 마카비 하이파 || 0-1 || 0-3 || 0-1 || - || 조별리그 초반에 고전하며 탈락위기에 몰렸던 바이에른 뮌헨은 5차전을 잡으며 분위기를 반전하더니 6차전 유벤투스 원정에서 4 : 1로 대승을 거두며 조 2위로 16강에 진출하였다. 6차전을 비기기만 했어도 16강에 진출할 수 있었던 유벤투스는 선제골까지 넣고도 내리 4골을 실점하면서 결국 3위로 떨어지는 충격적인 일이 발생했다. 지난 시즌 리그 1 디팬딩 챔피언이었던 보르도는 [[FC 바이에른 뮌헨|독일]]과 [[유벤투스 FC|이탈리아의 거함]]들을 누르고 1위로 진출하는 저력을 보여주었다. 마카비 하이파는 한심한 모습을 보여주며 탈락했다 ||<-10> '''{{{#ffffff B조}}}''' || ||<-2> '''{{{#ffffff 팀명}}}''' || '''{{{#ffffff 경기수}}}''' || '''{{{#ffffff 승}}}''' || '''{{{#ffffff 무}}}''' || '''{{{#ffffff 패}}}''' || '''{{{#ffffff 득}}}''' || '''{{{#ffffff 실}}}''' || '''{{{#ffffff 차}}}''' || '''{{{#ffffff 승점}}}''' || || [[파일:잉글랜드 국기.svg|width=30]] ||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 6 || 4 || 1 || 1 || 10 || 6 || +4 || 13 || ||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30]] || '''[[PFC CSKA 모스크바]]''' || 6 || 3 || 1 || 2 || 10 || 10 || 0 || 10 || || [[파일:독일 국기.svg|width=30]] || [[VfL 볼프스부르크]] || 6 || 2 || 1 || 3 || 9 || 8 || +1 || 7 || || [[파일:튀르키예 국기.svg|width=30]] || [[베식타스 JK]] || 6 || 1 || 1 || 4 || 3 || 8 || -5 || 4 || || 비고 ||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 CSKA 모스크바 || 볼프스부르크 || 베식타스 JK || ||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 - || 3-3 || 2-1 || 0-1 || || CSKA 모스크바 || 0-1 || - || 2-1 || 2-1 || || 볼프스부르크 || 1-3 || 3-1 || - || 0-0 || || 베식타스 JK || 0-1 || 1-2 || 0-3 || - || ||<-10> '''{{{#ffffff C조}}}''' || ||<-2> '''{{{#ffffff 팀명}}}''' || '''{{{#ffffff 경기수}}}''' || '''{{{#ffffff 승}}}''' || '''{{{#ffffff 무}}}''' || '''{{{#ffffff 패}}}''' || '''{{{#ffffff 득}}}''' || '''{{{#ffffff 실}}}''' || '''{{{#ffffff 차}}}''' || '''{{{#ffffff 승점}}}''' || || [[파일:스페인 국기.svg|width=30]] || '''[[레알 마드리드 CF]]''' || 6 || 4 || 1 || 1 || 15 || 7 || +8 || 13 ||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30]] || '''[[AC 밀란]]''' || 6 || 2 || 3 || 1 || 8 || 7 || +1 || 9 ||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30]] ||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 6 || 2 || 1 || 3 || 10 || 10 || 0 || 7 || || [[파일:스위스 국기.svg|width=30]] || [[FC 취리히]] || 6 || 1 || 1 || 4 || 5 || 14 || -9 || 4 || || 비고 || 레알 마드리드 || AC 밀란 || 마르세유 || FC 취리히 || || 레알 마드리드 || - || 2-3 || 3-0 || 1-0 || || AC 밀란 || 1-1 || - || 1-1 || 0-1 || || 마르세유 || 1-3 || 1-2 || - || 6-1 || || FC 취리히 || 2-5 || 1-1 || 0-1 || - || ||<-10> '''{{{#ffffff D조}}}''' || ||<-2> '''{{{#ffffff 팀명}}}''' || '''{{{#ffffff 경기수}}}''' || '''{{{#ffffff 승}}}''' || '''{{{#ffffff 무}}}''' || '''{{{#ffffff 패}}}''' || '''{{{#ffffff 득}}}''' || '''{{{#ffffff 실}}}''' || '''{{{#ffffff 차}}}''' || '''{{{#ffffff 승점}}}''' || || [[파일:잉글랜드 국기.svg|width=30]] || '''[[첼시 FC]]''' || 6 || 4 || 2 || 0 || 11 || 4 || +7 || 14 || || [[파일:포르투갈 국기.svg|width=30]] || '''[[FC 포르투]]''' || 6 || 4 || 0 || 2 || 8 || 3 || +5 || 12 || || [[파일:스페인 국기.svg|width=30]] ||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 6 || 0 || 3 || 3 || 3 || 12 || -9 || 3[* 승자승 원칙에 의해 3위] || || [[파일:키프로스 국기.svg|width=30]] || [[아포엘 FC]] || 6 || 0 || 3 || 3 || 4 || 7 || -3 || 3 || || 비고 || 첼시 || FC 포르투 ||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 아포엘 FC || || 첼시 || - || 1-0 || 4-0 || 2-2 || || FC 포르투 || 0-1 || - || 2-0 || 2-1 || ||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 2-2 || 0-3 || - || 0-0 || || 아포엘 FC || 0-1 || 0-1 || 1-1 || - || 아틀레티코는 6경기에서 12실점이나 하는 한심한 모습을 보여주며 원정 다득점으로 겨우 3위에 올라 유로파 리그로 갔다.[* 그런데 이 유로파 리그에서 승승장구하면서 결승전에서 풀럼을 꺾고 바뀐 대회명으로 첫 우승팀이 됐다.] 키프로스의 아포엘은 3패가 모두 1점차 패배로 아쉬움을 삼켰다 ||<-10> '''{{{#ffffff E조}}}''' || ||<-2> '''{{{#ffffff 팀명}}}''' || '''{{{#ffffff 경기수}}}''' || '''{{{#ffffff 승}}}''' || '''{{{#ffffff 무}}}''' || '''{{{#ffffff 패}}}''' || '''{{{#ffffff 득}}}''' || '''{{{#ffffff 실}}}''' || '''{{{#ffffff 차}}}''' || '''{{{#ffffff 승점}}}''' ||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30]] || '''[[ACF 피오렌티나]]''' || 6 || 5 || 0 || 1 || 14 || 7 || +7 || 15 ||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30]] || '''[[올랭피크 리옹]]''' || 6 || 4 || 1 || 1 || 12 || 3 || +9 || 13 || || [[파일:잉글랜드 국기.svg|width=30]] || [[리버풀 FC]] || 6 || 2 || 1 || 3 || 5 || 7 || -2 || 7 || || [[파일:헝가리 국기.svg|width=30]] || [[데브레첸 VSC]] || 6 || 0 || 0 || 6 || 5 || 19 || -14 || 0 || || 비고 || 피오렌티나 || 리옹 || 리버풀 || 데브레첸 || || 피오렌티나 || - || 1-0 || 2-0 || 5-2 || || 리옹 || 1-0 || - || 1-1 || 4-0 || || 리버풀 || 1-2 || 1-2 || - || 1-0 || || 데브레첸 || 3-4 || 0-4 || 0-1 || - || [[사비 알론소]]의 이적 후 리그에서 충격의 부진을 겪던 리버풀이 챔피언스리그 DNA가 있다는 것이 무색하게 최약체인 헝가리 데브레첸에만 모두 1점차로 2승을 거뒀을 뿐 피오렌티나와 리옹에 1무3패에 그치면서 탈락했다. 피오렌티나 19세의 유망주 공격수 [[스테판 요베티치]]가 2차전에서 리버풀을 상대로 혼자 두 골을 넣으며 침몰시킨 것이 인상적인 장면이다. 피오렌티나는 첫 경기 리옹 원정에서만 졌을 뿐 나머지 5경기는 모두 쓸어담으며 조1위에 올랐다. 리옹은 안필드 원정 2-1 역전승 등 초반 3연승을 기록한 뒤 4차전 리버풀과의 홈경기에서 1-1 무승부를 기록하며 일찌감치 토너먼트행을 확정지었으나 피오렌티나와의 5차전을 지면서 조2위가 됐다. 데브레첸은 피오렌티나와의 두 차례 맞대결에서 난타전을 벌이기도 했으나 6전 전패로 물러났다. ||<-10> '''{{{#ffffff F조}}}''' || ||<-2> '''{{{#ffffff 팀명}}}''' || '''{{{#ffffff 경기수}}}''' || '''{{{#ffffff 승}}}''' || '''{{{#ffffff 무}}}''' || '''{{{#ffffff 패}}}''' || '''{{{#ffffff 득}}}''' || '''{{{#ffffff 실}}}''' || '''{{{#ffffff 차}}}''' || '''{{{#ffffff 승점}}}''' || || [[파일:스페인 국기.svg|width=30]] || '''[[FC 바르셀로나]]''' || 6 || 3 || 2 || 1 || 7 || 3 || +4 || 11 ||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30]] || '''[[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 6 || 2 || 3 || 1 || 7 || 6 || +1 || 9 || ||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30]] || [[FC 루빈 카잔]] || 6 || 1 || 3 || 2 || 4 || 7 || -3 || 6 || ||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width=30]] || [[FC 디나모 키이우]] || 6 || 1 || 2 || 3 || 7 || 9 || -2 || 5 || || 비고 || 바르셀로나 || 인터 밀란 || 루빈 카잔 || 디나모 키이우 || || 바르셀로나 || - || 2-0 || 1-2 || 2-0 || || 인터 밀란 || 0-0 || - || 2-0 || 2-2 || || 루빈 카잔 || 0-0 || 1-1 || - || 0-0 || || 디나모 키이우 || 1-2 || 1-2 || 3-1 || - || 2약으로 분류되었던 [[FC 루빈 카잔]]과 [[FC 디나모 키이우]]가 의외로 선전하면서 5차전까지 순위가 전혀 정해지지 않을 정도로 죽음의 조가 되었다. 디펜딩 챔피언 바르셀로나는 루빈 카잔을 상대로 홈에서 1-2로 패배하고, 원정에서 0-0 무승부에 그치면서 4차전까지 1승2무1패로 조3위에 머물렀으나 5차전 인테르와의 홈경기에서 2-0 승리를 거두고 6차전 키예프 원정에서 2-1 역전승을 거두면서 조1위에 성공했다. 인테르는 3차전까지 연속 무재배 후 4차전 키예프 원정에서의 극적인 2-1 승리를 거두며 첫 승을 따냈고, 5차전까지 루빈 카잔과 승점 6점으로 동률이라 최종전 루빈 카잔과의 홈경기가 단두대매치가 됐는데 여기서 2-0 완승을 거두면서 조 2위를 차지했다. 이후 바르셀로나와 인테르는 준결승전에서 재회하게 된다. ||<-10> '''{{{#ffffff G조}}}''' || ||<-2> '''{{{#ffffff 팀명}}}''' || '''{{{#ffffff 경기수}}}''' || '''{{{#ffffff 승}}}''' || '''{{{#ffffff 무}}}''' || '''{{{#ffffff 패}}}''' || '''{{{#ffffff 득}}}''' || '''{{{#ffffff 실}}}''' || '''{{{#ffffff 차}}}''' || '''{{{#ffffff 승점}}}''' || || [[파일:스페인 국기.svg|width=30]] || '''[[세비야 FC]]''' || 6 || 4 || 1 || 1 || 11 || 4 || +7 || 13 || || [[파일:독일 국기.svg|width=30]] || '''[[VfB 슈투트가르트]]''' || 6 || 2 || 3 || 1 || 9 || 7 || +2 || 9 || || [[파일:루마니아 국기.svg|width=30]] || [[FC 우니레아 우르지체니]] || 6 || 2 || 2 || 2 || 8 || 8 || 0 || 8 || ||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width=30]] || [[레인저스 FC]] || 6 || 0 || 2 || 4 || 4 || 13 || -9 || 2 || || 비고 || 세비야 || 슈투트가르트 || 우니레아 우르지체니 || 레인저스 || || 세비야 || - || 1-1 || 2-0 || 1-0 || || 슈투트가르트 || 1-3 || - || 3-1 || 1-1 || || 우니레아 우르지체니 || 1-0 || 1-1 || - || 1-1 || || 레인저스 || 1-4 || 0-2 || 1-4 || - || ||<-10> '''{{{#ffffff H조}}}''' || ||<-2> '''{{{#ffffff 팀명}}}''' || '''{{{#ffffff 경기수}}}''' || '''{{{#ffffff 승}}}''' || '''{{{#ffffff 무}}}''' || '''{{{#ffffff 패}}}''' || '''{{{#ffffff 득}}}''' || '''{{{#ffffff 실}}}''' || '''{{{#ffffff 차}}}''' || '''{{{#ffffff 승점}}}''' || || [[파일:잉글랜드 국기.svg|width=30]] || '''[[아스날 FC]]''' || 6 || 4 || 1 || 1 || 12 || 5 || +7 || 13 || || [[파일:그리스 국기.svg|width=30]] || '''[[올림피아코스 FC]]''' || 6 || 3 || 1 || 2 || 4 || 5 || -1 || 10 || || [[파일:벨기에 국기.svg|width=30]] || [[스탕다르 리에주]] || 6 || 1 || 2 || 3 || 7 || 9 || -2 || 5 || || [[파일:네덜란드 국기.svg|width=30]] || [[AZ 알크마르]] || 6 || 0 || 4 || 2 || 4 || 8 || -4 || 4 || || 비고 || 아스날 || 올림피아코스 || 스탕다르 리에주 || AZ 알크마르 || || 아스날 || - || 2-0 || 2-0 || 4-1 || || 올림피아코스 || 1-0 || - || 2-1 || 1-0 || || 스탕다르 리에주 || 2-3 || 2-0 || - || 1-1 || || AZ 알크마르 || 1-1 || 0-0 || 1-1 || - || == 16강 == ||<-2> 팀명 || 결과 ||<-2> 팀명 || 1차전 || 2차전 || || [[파일:독일 국기.svg|width=30]] || [[VfB 슈투트가르트]] || 1-5 || [[파일:스페인 국기.svg|width=30]] || '''[[FC 바르셀로나]]''' || 1-1 || 0-4 || || [[파일:그리스 국기.svg|width=30]] || [[올림피아코스 FC]] || 1-3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30]] || '''[[FC 지롱댕 드 보르도]]''' || 0-1 || 1-2 ||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30]] || '''[[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 3-1 || [[파일:잉글랜드 국기.svg|width=30]] || [[첼시 FC]] || 2-1 || 1-0 || || [[파일:독일 국기.svg|width=30]] || '''[[FC 바이에른 뮌헨]]''' || 4-4[*A 원정 다득점]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30]] || [[ACF 피오렌티나]] || 2-1 || 2-3 || ||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30]] || '''[[PFC CSKA 모스크바]]''' || 3-2 || [[파일:스페인 국기.svg|width=30]] || [[세비야 FC]] || 1-1 || 2-1 ||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30]] || '''[[올랭피크 리옹]]''' || 2-1 || [[파일:스페인 국기.svg|width=30]] || [[레알 마드리드 CF]] || 1-0 || 1-1 || || [[파일:포르투갈 국기.svg|width=30]] || [[FC 포르투]] || 2-6 || [[파일:잉글랜드 국기.svg|width=30]] || '''[[아스날 FC]]''' || 2-1 || 0-5 ||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30]] || [[AC 밀란]] || 2-7 || [[파일:잉글랜드 국기.svg|width=30]] ||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 2-3 || 0-4 || 무리뉴와 첼시의 만남으로 관심을 모았던 인테르와 첼시의 매치업에서 인테르는 홈에서 열린 1차전은 캄비아소의 결승골로 2-1 승, 원정에서 열린 2차전은 후반 막판 사무엘 에투의 결승골로 1-0으로 승리해 합계 3-1로 8강에 올랐다. 포르투는 홈에서 아스날을 2대1로 이겼지만 원정에서 5대 0으로 대패하며 탈락했다 갈락티코 2기 레알 마드리드는 천적 리옹을 상대로 1차전 원정에서 장 마쿤에게 결승골을 허용해 0-1 패배를 당했다. 2차전 홈경기마저 호날두의 전반 6분 선제골 이후 [[위고 요리스]] 골키퍼의 맹활약에 막혀 수많은 기회를 놓쳤고, 19세의 [[미랄렘 퍄니치]]에게 후반 30분 동점골을 얻어맞아 1-1 무승부에 그치면서 2004-05 시즌부터 6시즌 연속으로 16강에서 탈락하고 말았다. 2004-05 시즌과 2006-07 시즌 AC 밀란에 물을 먹었던 맨체스터 유나이티드는 1차전에서 산시로 원정 3-2 역전 승리를 거두며 징크스를 탈출했고, 2차전에서 4-0 대승을 통해 가볍게 8강에 진출했다. [[박지성]]이 [[안드레아 피를로]]를 완벽하게 봉쇄했던 경기다. LA 갤럭시에서 AC 밀란에 단기임대중이던 [[데이비드 베컴]]은 맨유에서 떠난 이후 처음으로 [[올드 트래포드]]에 방문했다. == 8강 == ||<-2> 팀명 || 결과 ||<-2> 팀명 || 1차전 || 2차전 ||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30]] || '''[[올랭피크 리옹]]''' || 3-2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30]] || [[FC 지롱댕 드 보르도]] || 3-1 || 0-1 || || [[파일:독일 국기.svg|width=30]] || '''[[FC 바이에른 뮌헨]]''' || 4-4[*A 원정 다득점] || [[파일:잉글랜드 국기.svg|width=30]] ||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 2-1 || 2-3 || || [[파일:잉글랜드 국기.svg|width=30]] || [[아스날 FC]] || 3-6 || [[파일:스페인 국기.svg|width=30]] || '''[[FC 바르셀로나]]''' || 2-2 || 1-4 ||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30]] || '''[[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 2-0 ||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30]] || [[PFC CSKA 모스크바]] || 1-0 || 1-0 || 8강에서 올랭피크 리옹과 지롱댕 보르도가 맞붙으면서 프랑스 팀들간의 대진이 완성되었다. 1차전에서 [[리산드로 로페스]]를 앞세운 리옹이 3 : 1로 승리하며 기선을 제압하였고, 2차전에서는 0 : 1로 패하였지만 합산 스코어에서 우위를 점하며 4강에 진출하였다. 독일과 잉글랜드의 강호들이 맞붙은 바이에른 뮌헨과 맨체스터 유나이티드의 대진은 1차전에서 전반전에 [[웨인 루니]]의 선취골로 이른 시간에 맨유가 기선을 제압하였으나, 후반전에 [[프랭크 리베리]]의 프리킥 골과 경기 막바지에 [[파트리스 에브라]]의 실수를 놓치지 않고 [[이비차 올리치]]가 결승골을 넣으며 바이에른이 1차전을 가져갔다.[* 특히 1차전 종료 직전에 주포 웨인 루니가 부상을 입으면서 맨유는 주말에 리그 우승 향방을 결정지을 첼시와의 경기를 앞두고 큰 악제를 맞이하게 되었다.] 2차전에서는 1차전에 부상을 입은 웨인 루니를 깜짝선발로 투입하는 강수를 띄운 맨유가 전반전에만 3골을 먼저 집어넣으며 8강에 진출하나 했으나 전반 종료 직전 올리치에게 만회골을 허용하였고, 후반전에 [[하파엘 다 실바]]가 경고누적으로 퇴장당하며 살얼음판 리드를 유지하였으나 결국 세트피스 상황에서 [[아르연 로번]]에게 환상적인 발리슛을 허용하면서 원정다득점에 의해 8강에서 고배를 마시게 되었다. 아스날과 바르셀로나와의 경기에서는 1차전 아스날의 홈에서 치러졌지만 바르셀로나의 거센 맹공이 이어졌고 [[마누엘 알무니아]]의 선방이 아니었으면 진작에 3~4골을 허용해도 이상하지 않을 정도로 바르셀로나가 우세를 점하였다. 전반전을 어찌어찌 무실점으로 벼텼던 아스날은 후반 시작과 함께 [[즐라탄 이브라히모비치]]에게 선취골을 허용하며 리드를 내주었고 이어서 추가골까지 허용하며 위기에 몰렸으나 교체로 투입된 [[시오 월콧]]의 활약에 힘입어 극적인 무승부를 거두었다. [[캄프 누]]에서 열린 2차전에서는 [[니클라스 벤트너]]의 선취골로 아스날이 먼저 리드를 잡았으나 [[리오넬 메시|신]]께서 친히 4골을 넣어 주시면서 바르셀로나가 4강에 안착했다. 인테르와 CSKA 모스크바와의 경기에서는 1차전에서 인테르의 맹공에도 무실점을 유지하던 모스크바가 후반전에 [[디에고 밀리토]]에게 결승골을 내주며 인테르가 기선을 제압하였고, 2차전에서는 전반 초반 [[베슬리 스네이더]]의 프리킥 득점이 결승골이 되면서 인테르가 1,2차전을 모두 가져가며 4강에 진출하였다. [youtube(Snsq_bEpy7E)] == 4강 == ||<-2> 팀명 || 결과 ||<-2> 팀명 || 1차전 || 2차전 ||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30]] || '''[[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 3-2 || [[파일:스페인 국기.svg|width=30]] || [[FC 바르셀로나]] || 3-1 || 0-1 || || [[파일:독일 국기.svg|width=30]] || '''[[FC 바이에른 뮌헨]]''' || 4-0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30]] || [[올랭피크 리옹]] || 1-0 || 3-0 || == [[UEFA 챔피언스 리그/2009-10 시즌/결승전|결승전]] == ||||||<-6><#3385d6><:>[[UEFA 챔피언스 리그/2009-10 시즌|[[파일:UEFA 챔피언스 리그 로고 화이트.svg|height=50]]]][br]{{{#ffffff '''2009-10 UEFA 챔피언스 리그 결승'''}}}|| ||<-6><#3385d6> '''{{{#ffffff 2010. 05. 22 / 에스타디오 산티아고 베르나베우 (스페인, 마드리드)}}}''' || ||||<-2> [[파일:FC 바이에른 뮌헨 로고(2002~2017).svg|width=200]][br][br]'''{{{#D00027 FC 바이에른 뮌헨}}}''' ||||<#fff> [[파일:UCL Madrid Final 2010.png|height=150]] ||||<-1> [[파일: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엠블럼(2014~2021).svg|width=200]][br][br]'''{{{#004890 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 ||<-6><#3385d6> '''{{{+2 {{{#ffffff 0 - 2}}}}}}''' || ||<-3> '''{{{#000000 - }}}''' ||<-3> '''{{{#000000 35', 70' 디에고 밀리토 }}}''' || ||[youtube(1ahQNqglBJI, width=100%)]||[youtube(lWThPJwXuG0, width=100%)]|| ||||[youtube(OUTvglBTQ8Y, width=100%)]|| ||
'''{{{#ffffff {{{+2 2009-10 UEFA 챔피언스 리그 우승}}}}}}''' || ||<:><#000>[[파일: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엠블럼(2014~2021).svg|width=200]] || ||<:><#0066aa> '''[[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fff {{{+1 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br]{{{+5 {{{#c8ab37 ★★★}}}}}} ||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UEFA 챔피언스 리그, version=1919)] [[분류:UEFA 챔피언스 리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