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UEFA 유로파 컨퍼런스 리그]][[분류:2022년 축구 경기]] [Include(틀:상위 문서, top1=UEFA 유로파 컨퍼런스 리그/2021-22 시즌)] ||<-5><#000000><:> [[파일:UEFA 유로파 컨퍼런스 리그 로고 화이트.svg|height=60]] || ||<-5><#000><:> '''[[UEFA 유로파 컨퍼런스 리그|{{{#FFF UEFA 유로파 컨퍼런스 리그}}}]] {{{#FFF 결승전}}}''' || ||<#ffffff><:> {{{#000000 대회 창설}}} ||<:> {{{+1 →}}} ||<#ffffff><:> '''{{{#32CD32 {{{+1 2021-22}}}}}}''' ||<:> {{{+1 →}}} ||<#ffffff><:> [[UEFA 유로파 컨퍼런스 리그/2022-23 시즌/결승전|{{{#000 2022-23}}}]]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UECL_FINAL_2022.jpg|width=100%]][br]}}}|| ||<#000000><:>'''{{{+5 {{{#32CD32 UECL Final Tirana 2022}}}}}}'''|| [목차] == 개요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22 UECL FINAL.jpg|width=100%]]}}} || [[UEFA 유로파 컨퍼런스 리그/2021-22 시즌|2021-22 시즌 UEFA 유로파 컨퍼런스 리그]] 결승전에 관한 내용을 서술한 문서다. UEFA 유로파 컨퍼런스 리그의 첫 대회인 2021-22 시즌의 결승전이다. 역사적인 첫 결승전은 [[에어 알바니아 스타디움|티라나 내셔널 아레나]]에서 치러지게 되었다. 우승팀은 UECL 우승 팀의 자격으로 [[UEFA 유로파 리그/2022-23 시즌|2022-23 UEFA 유로파 리그]]의 조별 본선 라운드에 톱시드로 진출하게 된다. == 진출 팀 == ||
<:>[[파일:AS 로마 로고.svg|height=135]]||<:>{{{#!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 10%, #e51000 10%, #e51000 50%, #FFF 50%, #FFF 90%, #e51000 90%)" [[파일:페예노르트 로테르담 로고.svg|height=135]]}}}|| ||<:>[[AS 로마|'''{{{#fbba00 AS 로마}}}''']]||<:>[[페예노르트 로테르담|'''{{{#fff 페예노르트 로테르담}}}''']]|| ---- * '''[[AS 로마]]''' * AS 로마로서는 60년이 넘도록 우승을 못해본 유러피언 클럽컵 대회 우승에 도전한다. 유로파리그 전신 중 하나인 [[인터-시티 페어스컵]]을 1960~61 시즌에 [[버밍엄 시티]]를 1승 1무로 제치고 우승해보고 우승과 인연이 없었다. 딱 30년 지나 1990-91 시즌에 [[UEFA컵]] 결승에 진출했으나, [[인테르]]에게 1승 1패(1-0,0-2)에서 골득실로 밀려 준우승한 게 마지막 클럽컵 대회 결승진출이었다가 31년만에 결승에 오른 셈이다. 덤으로 세리에 A 전체로도 09-10 시즌에 [[인테르]]가 [[바이에른 뮌헨]]을 이기고 챔피언스리그 우승한 뒤로 12년 동안 끊긴 유럽 클럽컵 대회 우승도전이다. 공교롭게도 이때 우승감독도 바로 무리뉴였다. ---- * '''[[페예노르트 로테르담]]''' * 2001-02 UEFA컵 결승에 올라 [[보루시아 도르트문트]]를 3-2로 이기고 우승한지 딱 20년만에 유러피언클럽 대회 결승진출이다. [[에레디비시]] 또한 이 우승 이후로 20년째 우승이 없다. == 상대 전적 == 양 팀은 역대 두 차례 만난 적이 있으며 2014-15 UEFA 유로파 리그 32강에서 만나 최종 합계 3-2로 AS로마가 16강에 진출했다. * 1차전 페예노르트 1-2 '''AS 로마''' * 2차전 AS로마 1-1 페예노르트 == 선발 라인업 == == 경기 내용 == ||<-3><:>[[파일:UEFA 유로파 컨퍼런스 리그 로고 화이트.svg|height=70]][br]'''{{{#ffffff 2021-22 UEFA 유로파 컨퍼런스 리그 결승전[br]2022년 5월 26일 목요일 04:00 (UTC+9)}}}'''|| ||<-3><:>'''[[에어 알바니아 스타디움|{{{#000 티라나 내셔널 아레나}}}]] [[티라나|{{{#000 (알바니아, 티라나)}}}]]'''|| ||<-3> '''{{{#000 주심: [[이스트반 코바츠|{{{#000 이스트반 코바츠}}}]]}}} [[루마니아|{{{#000 (루마니아)}}}]]''' || ||<-3> '''{{{#000 관중: 19,597명}}}''' || ||<:>[[파일:AS 로마 로고.svg|height=150]]||<|3> [[파일:UECL Trophy.png|height=130]][br][[파일:Tirana Final 2022.png|height=8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777 50%, #000 50%, #000 90%, #777 90%)" [[파일:페예노르트 로테르담 로고.svg|height=150]]}}}|| ||<:>[[AS 로마|'''{{{#fbba00 AS 로마}}}''']]||<:>[[페예노르트 로테르담|'''{{{#000 페예노르트 로테르담}}}''']]|| || '''{{{+5 1}}}''' || '''{{{+5 0}}}''' || || '''32' [[니콜로 차니올로]]''' ||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 '''-''' || ||<-3><:>'''[[링크|{{{#000 경기 하이라이트}}}]] | [[https://www.uefa.com/uefaeuropaconferenceleague/match/2033451--roma-vs-feyenoord/statistics/|{{{#000 매치 리포트}}}]]'''|| ||<-3><#000000><:> '''{{{#ffffff Player Of the Match: [[크리스 스몰링|{{{#ffffff 크리스 스몰링}}}]]}}}''' || || '''[[AS 로마|{{{#fbba00 AS 로마}}}]]''' || [[파일:UEFA 유로파 컨퍼런스 리그 로고 화이트.svg|height=70]] || '''[[페예노르트 로테르담|{{{#fff 페예노르트}}}]]''' || || 33% || '''{{{#000 점유율}}}''' || 67% || || 9 ||<#32CD32> '''{{{#000 슈팅}}}''' || 13 || || 3 ||<#32CD32> '''{{{#000 유효 슈팅}}}''' || 5 || || 289 ||<#32CD32> '''{{{#000 패스 횟수}}}''' || 572 || || 72% ||<#32CD32> '''{{{#000 패스 성공률}}}''' || 89% || || 4 ||<#32CD32> '''{{{#000 코너킥}}}''' || 6 || || 1 ||<#32CD32> '''{{{#000 오프사이드}}}''' || 0 || || 8 ||<#32CD32> '''{{{#000 파울}}}''' || 18 || || 4 ||<#32CD32> '''{{{#000 경고}}}''' || 1 || || 0 ||<#32CD32> '''{{{#000 퇴장}}}''' || 0 || ---- ||<-2> [[SPOTV|[[파일:SPOTV 로고.svg|width=70]]]] || ||<:> {{{#fff '''캐스터'''}}} ||<:> {{{#fff '''해설'''}}} || || [[윤장현]] || [[임형철]] || ---- === 전반전 === 전반 32분, 상대 수비의 뒷공간을 절묘하게 파고든 차니올로가 개인 기량을 발휘해서 선제골을 넣고 로마가 리드를 잡기 시작했다. === 후반전 === 페예노르트는 골을 넣기 위해 맹공격을 퍼부었지만 파트리시우의 선방에 잇따라 가로막혔고, 스몰링을 비롯한 로마의 수비진들이 좋은 모습을 보여주었다. 자니올로의 선제골을 끝까지 잘 지킨 로마는 1-0으로 페예노르트를 누르고 컨퍼런스리그 초대 우승팀이 되는 영광을 누리게 되었다. == 경기 후 == 경기 후 14년만에 무관의 사슬을 끊어낸 로마 선수들은 매우 기뻐했고 [[챔피언스 리그]], [[유로파 리그]], [[컨퍼런스 리그]]를 모두 석권한 무리뉴는 기쁨의 눈물을 흘리게 되었다. == 경기 총평 == === 우승 팀: [[AS 로마 |{{{#gold AS 로마}}}]]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gettyimages-1399259735_20220525235147.webp|width=100%]]}}} || 점유율, 슈팅 수 등 경기력 면에서는 페예노르트가 우세를 보였고 맹공격을 퍼부었지만 모두 파트리시우의 선방과 MOM을 수상한 스몰링의 호수비 등으로 위기를 넘겼다. 또한 전반 32분에는 자니올로의 선제골로 앞서나가기 시작했고 경기가 끝나는 시간까지 페예노르트의 공격을 잘 막아내었고, 이 우승으로 14년만에 메이저 대회 트로피를 들어올림과 동시에 로마에게는 UEFA 주관 유럽 클럽 대항전 통산 첫 우승[* 로마의 첫 유럽컵 우승인 [[인터-시티 페어스컵]]은 당시 UEFA주관이 아닌 FIFA 부회장 겸 집행위원인 에른스트 톰멘(Ernst Thommen, 이탈리아 축구 연맹 회장 겸 집행위원인 오토리노 바라시 (Ottorino Barassi), 영국축구협회(English Football Association )의 아이디어로 창설된 대회로 [[UEFA]]랑 전혀 관계 없었기에 UEFA주관대회인 [[UEFA 컵위너스컵]]에 밀렸다가 1971년 UEFA에 의해 개최되는 [[UEFA컵]]에 흡수된다. 위너스컵은 1999년까지 계속 유지되었는데 때문에 지금은 페어스컵이 [[유로파리그]] 전신이라고 하여 위상을 더 높은거라고 잘못 아는 경우가 많다. 아무튼, 로마에게는 UEFA 주관 대회 첫 우승이 이번 컨퍼런스리그 우승이다.]이며, 무리뉴는 로마 부임 첫 시즌만에 우승 트로피를 선물했고 UEFA 주관 3대회를 모두 석권한 감독으로 이름을 올리게 되었다. === 준우승 팀: [[페예노르트 로테르담|{{{#silver 페예노르트 로테르담}}}]] === 점유율, 수팅 수등 경기 면에서 로마를 압도하며 맹공격을 하였지만 파트리시우를 뚫지 못하였고, 자니올로에게 실점을 하여 1-0으로 패하여 아쉽게 준우승에 머무르게 되었다. 초대 컨퍼런스 리그 챔피언이 될 기회와 20년만의 유럽대항전 우승을 노릴 수 있는 기회를 로마에게 넘겨주게 되어 페예노르트 입장에서는 아쉬운 경기였을 것이다. 페예노르트 입장에서는 한창 좋은 모습을 보이다가 조기에 시즌아웃이 된 [[알리레자 자한바크슈]]의 공백이 너무나도 뼈아팠던 것도 아쉬웠던 부분. == 여담 == * [[UEFA 유로파 컨퍼런스 리그]]에서 우승을 차지하면 차기 [[UEFA 유로파 리그]] 본선에 진출하며 조별리그 추첨시 톱시드가 된다. 하지만 [[UEFA 유로파 컨퍼런스 리그/2021-22 시즌/결승전|초대 UEFA 유로파 컨퍼런스 리그 결승전]]에 진출한 [[AS 로마]]와 [[페예노르트 로테르담]]은 각각 2021-22 시즌에 자국리그 [[AS 로마/2021-22 시즌#s-6.1|6위]]로 UEFA 유로파 리그 본선 진출을 결승전 이전에 확정하였었고, [[페예노르트 로테르담#s-2.12|3위]]를 기록하면서 [[KNVB 베이커]] 우승으로 받는 [[UEFA 유로파 리그]] 플레이오프 라운드 출전권을 승계받은 상태여서[* 2021-22 시즌 [[KNVB 베이커]] 우승 팀인 [[PSV 아인트호벤]]이 리그 2위로 [[UEFA 챔피언스 리그]] 3차 예선 출전권을 확보해뒀었고, 준우승 팀인 [[AFC 아약스]]도 리그 우승으로 [[UEFA 챔피언스 리그]] 그룹 스테이지 출전권을 확보했었기 때문에 리그 3위였던 페예노르트 로테르담이 출전권을 승계받을 수 있었다.] 이 경기 결과와 상관 없이 두 팀을 모두 차기 유로파 리그 그룹 스테이지에서 볼 수 있게 되었다.[* [[UEFA 유로파 컨퍼런스 리그]] 우승 팀이 리그 순위 등으로 [[UEFA 유로파 리그]]나 [[UEFA 챔피언스 리그]] 그룹 스테이지 출전권을 확보할 경우 그 출전권이 전 시즌 기준 [[UEFA 계수]] 7위 리그의 3위 팀에게 양도되기 때문이다. 참고로 2020-21 시즌 [[UEFA 계수]] 7위 리그가 바로 [[에레디비시]]인데, 이 때문에 2021-22 시즌 리그 3위를 기록한 [[페예노르트 로테르담]]이 다음 시즌 [[UEFA 유로파 리그]]에 플레이오프 라운드가 아닌 그룹 스테이지로 직행하게 된 것이다.] * AS 로마가 우승을 거머쥐으며, 로마의 감독인 [[주제 무리뉴]]는 현존하고 있는 '''UEFA 주관 모든 유럽 대항전 우승을 경험한 첫 감독'''[* 챔피언스 리그 : 2003-04([[FC 포르투|포르투]]), 2009-10([[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인테르]]) 우승 / 유로파 리그 : 2002-03([[FC 포르투|포르투]]), 2016-17([[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맨유]]) 우승]이 되었다. * AS 로마가 [[UEFA 유로파 컨퍼런스 리그]]를 우승함에 따라 07-08 시즌 [[코파 이탈리아]] 우승 후 무려 14년 만에 무관을 탈출하게 되었고 [[UEFA 유로파 컨퍼런스 리그]] 초대 우승팀이 되었다. * 페예노르트가 우승 시 현존하고 있는 '''UEFA 주관 모든 유럽 대항전 우승을 경험한 첫 클럽'''[* 챔피언스 리그 1969-70 우승 / 유로파 리그 1973-74, 2001-02 우승]이 되었을테지만 우승에 실패했다. * 두 팀은 다음 시즌에 [[UEFA 유로파 리그]] 8강에서 다시 맞붙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