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투폴레프의 항공기)] [include(틀:현대전/체코 항공병기)] || [[파일:E37349C2-8172-4D96-BF7A-3BFE148C31AF.jpg|width=100%]] || || '''[[러시아 항공우주군]], Tu-134AK, RF-90914''' || || [[파일:09E95527-F738-40EB-B97A-3AD3461065C4.jpg|width=100%]] || || '''[[러시아 항공우주군]], Tu-134Sh, RF-66036''' || || [[파일:external/cdn-www.airliners.net/1516608.jpg|width=100%]] || || '''Tu-134A-3의 크러스티 칵핏''' || [목차] [clearfix] == 개요 == Tupolev Tu-134 Ту(Туполев)-134 [[투폴레프]] Tu-134 [[소련]]의 투폴레프 설계국이 개발한 단거리 제트 [[여객기]]. [[나토 코드명]]은 '크러스티(Crusty)'. 1960년, [[프랑스]]를 방문한 [[니키타 흐루쇼프]] [[서기장]]이 '[[Sud Aviation Caravelle|SE210 카라벨]]' 여객기를 타보고 감명받아[* 카라벨은 당시 유례없는 동체 후방에 엔진을 배치한 구조의 여객기이다. 덕분에 동급 기체들과 비교시 소음이 상당히 적은 편이다.] "[[우왕ㅋ굳ㅋ]] 우리도 이런 거 함 만들어보자"--[[공밀레|어디서 공돌이 울부짖는 소리가]]...-- 라고 해서 [[Tu-124]] [[베이스]]로 [[엔진]]을 동체 후방으로 이동시킨 모델. 1963년 7월 29일, 초도비행에 성공했다. 그러나 동년 10월 22일, 비슷한 기체구조를 가진 [[영국]]의 '[[BAC 1-11]]' 여객기가 이륙직후 [[실속]]에 빠지면서 추락[* 원인은 깊은 실속(Deep-stall)이었다. 주날개 뒷전에서 박리된 기류에 꼬리날개가 갇혀 거의 무용지물이 되는 현상으로 수평꼬리날개가 높은 위치에 있거나 T자인 항공기들의 숙명이다. 날개 밑에 보틸론을 장치함으로 해결이 가능하다.], 탑승객 전원 사망한 사고가 일어났고 같은 날 'Tu-134 [[프로토타입]]'이 같은 원인으로 추락하면서 --대단한 우연의 일치(...)-- 투폴레프는 후속기들의 [[꼬리날개]] 크기를 30% 더 키우는 것으로 문제를 해결했다. 1963년 11월 20일, 공식적으로 'Tu-134'라는 명칭을 사용하기 시작했다.[* 그 이전에는 'Tu-124A'라고 명칭.] 1967년 9월 민간 항공사에 공개되어 1984년까지 총 852대가 생산되었고 그중 1/4은 하늘을 누비고 있었다. [[루스에어 9605편 추락 사고]]로 인해 [[드미트리 메드베데프]] 전 러시아 대통령이 러시아에서 2012년까지 전량 퇴역을 요구하였으나 한동안 계속 운용되다가 결국 2019년 5월 22일을 기점으로 러시아에서는 모든 여객서비스를 종료하였다. 그러나 아직 쓰고 있는 곳이 있으니 바로 [[북한]][* [[시리아 항공]]도 1대를 쓰기는 하나 정부에서 [[VIP]] 전세기로 운영하고 있다.] 험하게 굴리는 데는 제격인 기체이다. 엔진이 동체 후방에 높게 위치해 'FOD[* Foreign Object Damage, 지상 표면의 이물질이 흡입되어 엔진이 손상되는 사고.]'가 일어날 확률이 상대적으로 적고 저압 타이어의 채택으로 비포장 활주로에서도 무리없이 굴릴 수 있다.[* 괜히 소형기에 탠덤식 기어를 채택한 게 아니다.] == 'Tu-134'의 각 형식 == === Tu-134 === ||[[파일:CCCP-65616.png |width=100%]] || || '''[[아에로플로트]], CCCP-65616''' || 초도양산형, 64인승 기체로 후기형은 72인승으로 늘어난다. === Tu-134A === ||[[파일:OK-CFC.png|width=100%]] || || '''체코슬로바키아 항공, OK-CFC''' || 개량형, 엔진과 에비오닉스를 개량하고 84인승으로 늘어난다. 기수의 항법창과 하단 턱 부분에 [[레이더]]를 장착하고 있다. ==== Tu-134A-3 ==== ||[[파일:RA-65607.png |width=100%]] || || '''[[유테이르 항공|유테이르 익스프레스]], RA-65607''' || 엔진을 개량한 모델. === Tu-134B === ||[[파일:CCCP-65698.png |width=100%]] || || '''[[아에로플로트]], CCCP-65698[* 스크랩 처리 이후 [[라트비아]] [[리가 국제공항]]에 기수만 남아 있는 상태이다.]''' || 기수 하단의 레이더를 기수 노즈콘으로 이동시키고 항법석을 제거한 모델. 80인승 기체로 일부는 기체하부에 추가 연료탱크를 증설하여 항속거리를 늘렸다. ==== Tu-134BV ==== ||[[파일:RA-65931.png |width=100%]] || || '''[[러시아 공군]], RA-65931''' || [[부란|우주왕복선]] 훈련기. === Tu-134LK === ||[[파일:RF-65151.png |width=100%]] || || '''[[스타 시티(러시아)|스타 시티]], RF-65151''' || 우주조종사 조종 훈련기. === Tu-134UBL === ||[[파일:64152.png |width=100%]] || || '''[[우크라이나 공군]], 64152''' || [[폭격기]] 조종 훈련기. === Tu-134SKh === ||[[파일:CCCP-65917.png |width=100%]] || || '''[[아에로플로트]], CCCP-65917''' || 지상 측량용 기체. == 제원 == (Tu-134A 기준) ||[[파일럿|운항 승무원]]||3~4명|| ||탑승객||72~84명|| ||페이로드||8,200kg (18,075[[파운드]])|| ||전장||37.10m (121[[피트]] 8인치)|| ||전폭||29m (95피트 1인치)|| ||높이||9.02m (29피트 6인치)|| ||익면적||127.3제곱[[미터]] (1,370.24제곱피트)|| ||공허중량||27,960kg (61,640파운드)|| ||최대 이륙중량||47,600kg (104,940파운드)|| ||엔진||2x 솔로비예프 [[D-30]]-II 터보팬, 기당 추력 14,990파운드 (66.68kN)|| ||동체 지름||2.9m (9피트 6인치)|| ||연료 탑재량||13,200리터 (2,900겔런, 3,500 US겔런)|| ||최대속도||950km/h (485[[노트]], 559mph)|| ||순항속도||850~900km/h (405노트, 466mph)|| ||항속거리||3,200km (1,890nmi, 2,175[[마일]])|| ||실용 상승한도||12,100m (39,040피트)|| == 현재 보유 항공사 == * [[시리아 항공]] : Tu-134B-3 1대 보유[* 정부 [[전세기]]이다.] == 관련 문서 == * [[여객기]] * [[투폴레프]] * [[Tu-124]] == 사건 사고 == * [[LOT 165편 납치 사건]] * [[베트남 항공 815편 추락 사고]] * [[루스에어 9605편 추락 사고]] * [[드니프로제르진시크 상공 공중충돌 사고]] * [[2004년 러시아 여객기 연쇄 테러 사건]] == 둘러보기 == [include(틀:냉전/동독 항공병기)] [include(틀:현대전/타지키스탄 항공병기)] [include(틀:현대전/키르기스스탄 항공병기)] [include(틀:항공병기 둘러보기)] == 참고 링크 == * [[https://ko.wikipedia.org/wiki/%ED%88%AC%ED%8F%B4%EB%A0%88%ED%94%84_Tu-134|(한국어 위키백과) 투폴레프 Tu-134]] * [[https://en.wikipedia.org/wiki/Tupolev_Tu-134|(영문 위키백과) Tupolev Tu-134]] [[분류:1963년 출시]][[분류:1984년 단종]][[분류:투폴레프]] [[분류:항공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