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밥 딜런/앨범)] ||<-5> [[밥 딜런|{{{#fff '''밥 딜런의 스튜디오 앨범'''}}}]] || || [[The Freewheelin' Bob Dylan|{{{#000,#fff The Freewheelin' Bob Dylan}}}]][br]{{{-2 1963}}} || → || [[The Times They Are a-Changin'|{{{#000,#fff The Times They Are a-Changin'}}}]][br]{{{-2 1964}}} || → || [[Another Side of Bob Dylan|{{{#000,#fff Another Side of Bob Dylan}}}]][br]{{{-2 1964}}} || || {{{#!wiki style="margin:-5px -10px;padding:7px 10px;" {{{#000 '''The Times They Are a-Changin'의 주요 수상'''}}}}}} || ||<#fff,#191919>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어클레임드 뮤직 선정, 항목=올타임 명반, 순위=863)] ---- [include(틀:올타임 탑 1000 앨범, 순위=256, 연도=1998, 순위2=378, 연도2=2000)] ---- [include(틀:FNAC 선정 1000대 명반,순위=509)] ---- [include(틀:언컷 선정 1960년대 500대 명반, 순위=116)] ---- }}} || ||<-2><#f4e6c1> '''{{{#000 {{{+1 The Times They Are a-Changin'}}}}}}'''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tttac-1964.jpg|width=100%]]}}} || || '''발매일''' ||[[1964년]] 1월 13일 || || '''녹음일''' ||[[1963년]] 8월 6일 - 10월 31일 || || '''장르''' ||[[포크 음악]] || || '''재생 시간''' ||45:36 || || '''곡 수''' ||10곡 || || '''프로듀서''' ||톰 윌슨 || || '''스튜디오''' ||컬럼비아 스튜디오 A || || '''레이블''' ||[[컬럼비아 레코드|[[파일:컬럼비아 레코드 로고.svg|width=100]]]] || [목차][clearfix] == 개요 == 미국의 싱어송라이터 [[밥 딜런]]의 3번째 스튜디오 앨범. 1964년 1월 13일에 발매되었다. == 상세 == 1963년 8월과 10월 두 번에 걸쳐서 녹음 세션이 진행되었다. 밥 딜런의 앨범 중 처음으로 전곡을 자작곡으로 채운 앨범이다. 실제 사건에서 비롯된 곡이 많아 사회 비판적 내용이 전보다 직설적이다. 민중가수 밥 딜런의 모습을 마지막으로 보여주는 앨범으로, 당대 미국의 사회 운동가나 포크 음악 진영은 딜런을 자신들과 같은 부류의 저항 가수라고 생각했지만 딜런은 이를 탐탁지 않아 했다. 다음 작품인 Another Side of Bob Dylan에서는 시사문제와 관련 없는 사랑 이야기를 다루기 시작하고 더 훗날에는 포크의 경계를 넘어서 [[록 음악]]과의 퓨전을 시도한다. 발매 이후 앨범은 [[UK 차트]] 4위, [[빌보드 200]] 20위에 올랐다. == 트랙 리스트 == * 1. The Times They Are a-Changin' * 변화하는 시대를 말하는 곡으로 밥 딜런의 노래 중 높은 인기를 가지고 있다. [[사이먼 앤 가펑클]], [[니나 시몬]] 등 많은 가수들이 리메이크하기도 했다. 2009년 [[잭 스나이더]] 감독의 [[왓치맨(영화)|왓치맨]]의 오프닝 시퀀스에 삽입되었다. * 2. Ballard of Hollies Brown * 3. With God on Our Side * 아일랜드의 토속 민요인 The Merry Month of May에서 곡조를 따왔다. * 4. One Too Many Mornings * 5. North Country Blues * 6. Only a Pawn in Their Game * 미국의 민권운동가 메드거 에버스(Medgar Evers)의 암살 사건을 추모하며 쓴 곡. 에버스는 [[미시시피]] 주의 [[NAACP]] 지도자를 역임하고 있었는데 1963년 6월 12일 민권 변호사들과의 미팅을 마치고 귀가하던 도중 총격을 받아 살해당했다. 가사에서는 인종차별 이슈를 정치적으로 이용하는 정치인들과 그들에게 이용당하는 백인 하층민들에 대해 이야기한다. * 7. Boots of Spanish Leather * 8. When the Ship Comes in * 9. The Lonesome Death of Hattie Carroll * 1963년 2월 9일 [[볼티모어]]의 호텔에서 일하던 흑인 종업원 해티 캐럴(Hattie Carroll)을 백인 윌리엄 잰칭어(Willam Zantzinger)가 무참히 구타하여 살해한 사건을 다루고 있다. 입건된 잰칭어는 술에 취했다는 이유와 인종차별에 온정적이었던 사법부에 의해 미약한 처벌을 받았다. 잰칭어의 판결 기사를 본 이후 작곡되었다. 잰칭어 본인은 이 곡에 대해 엄청난 불쾌감을 보이며 딜런을 고소하겠다고 발언했다. * 10. Restless Farewell * 스코틀랜드 민요인 The Parting Glass에서 곡조를 따왔다. [[분류:미국의 포크 음반]][[분류:1964년 음반]][[분류:밥 딜런 음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