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Alan Walker]][[분류:2017년 노래]][[분류:2017년 싱글]][[분류:일렉트로 하우스]][[분류:Piano Tiles 2의 수록곡]][[분류:롤링 스카이]][[분류:인터넷 밈/음악 ]] [목차] == 개요 == ||<-2>
'''{{{#!htmlThe Spectre}}}''' || ||<-2> [[파일:the_spectre.jpg|width=100%]] || || 발매 날짜 || 2017년 9월 15일 || || 원곡 || [[Spectre]] || || 보컬 || Jesper Borgen[* Danny Shah는 라이브 한정으로 등장이다.] || Spectre의 보컬 리메이크 버전. 제목 [[스펙터|spectre]]의 뜻은 '''유령, 귀신'''이라는 뜻이다. 종종 spectr'''a'''(spectrum의 복수형)와 착각하여 이 제목을 '스펙트럼'이라고 잘못 해석하는 경우가 많다. 이 곡의 미공개 라이브 인트로용 버전도 있다. 유튜브에 Stems를 이용해 팬들이 만든 버전이 올라와있다. [youtube(wJnBTPUQS5A)] == 가사 == || '''{{{#!htmlThe Spectre}}}''' Hello, hello 안녕, 안녕 Can you hear me, As I scream your name 내가 널 부르는 게 들리니 Hello, hello 안녕, 안녕 Do you need me? 혹시 내가 필요하니 Before I [[Faded|fade away]] 내가 사라지기 전에 Is this the place that I call home? 여기가 내가 집이라 부르는 곳이니? To find what I've become 내가 어떻게 된 건지 알기 위해 Walk along the path unknown 미지의 길을 따라가 We live, we love, we lie 우리는 살아가고, 사랑하고, 거짓말을 하지 Deep in the dark 깊은 어둠 속 I don't need the light 나는 빛이 필요하지 않아 There's a ghost inside me 내 안에 유령이 있어 It all belongs to the other side 그건 언제나 다른 편에 속하지 We live, we love, we lie 우리는 살아가고, 사랑하고, 거짓말을 하지 Hello, hello 안녕, 안녕 Nice to meet you 만나서 반가워 Voice inside my head 내 머릿속 목소리야 Hello, hello 안녕, 안녕 I believe you 나는 널 믿어 How can I forget 내가 어떻게 잊겠니 Is this the place that I call home 여기가 내가 집이라 부르는 곳이니? To find what I've become 내가 어떻게 된 건지 알기 위해 Walk along the path unknown 미지의 길을 따라가 We live, we love, we lie 우리는 살아가고, 사랑하고, 거짓말을 하지 Deep in the dark 깊은 어둠 속 I don't need the light 나는 빛이 필요하지 않아 There's a ghost inside me 내 안에 유령이 있어 It all belongs to the other side 그건 언제나 다른 편에 속하지 We live, we love, we lie 우리는 살아가고, 사랑하고, 거짓말을 하지 We live, we love, we lie 우리는 살아가고, 사랑하고, 거짓말을 하지 [[Alan Walker|[[파일:AW Logo With Text Black.png|width=125]]]] || == 리듬/음악게임 수록 == === [[롤링 스카이]] === ==== 스테이지 37: The Spectre ==== ||<-2>
'''{{{+1 {{{#fff The Spectre}}}}}}'''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rollingsky_thespectre.jpg|width=250]]}}} || || {{{#fff 난이도}}} || 4성 || || {{{#fff 플레이 시간}}} || 약 '''3분 4초''' || || {{{#fff 해금 조건}}} || 4500원 || ||<-10>
'''{{{#fff 보석 위치}}}''' || || 4% || 5% || 7% || 11% || 16% || 23% || 30% || 41% || 51% || 57% || ||<-3>
'''왕관 위치''' || || 56% || 71% || 90% || ||<-6>
'''{{{#fff 체크포인트 위치}}}''' || || 10% || 20% || 30% || 40% || 60% || 78% || ||<-6>
'''{{{#fff 테마}}}''' || || [[롤링 스카이/스킨#파란 귀신 스킨|[[파일:thespectretheme.png|width=80]]]] || [[롤링 스카이/스킨#붉은 귀신 스킨|[[파일:thespectreremixtheme.png|width=80]]]] || [[롤링 스카이/스킨#파란 귀신 스킨|[[파일:thespectretheme.png|width=80]]]] || [[롤링 스카이/스킨#붉은 귀신 스킨|[[파일:thespectreremixtheme.png|width=80]]]] || [[롤링 스카이/스킨#파란 귀신 스킨|[[파일:thespectretheme.png|width=80]]]] || [[롤링 스카이/스킨#붉은 귀신 스킨|[[파일:thespectreremixtheme.png|width=80]]]] || || 0% ~ 28% || 28% ~ 44% || 44% ~ 52% || 52% ~ 67% || 67% ~ 82% || 82% ~ 100% || [youtube(agMvpWDvCSk)] * 어려운 부분 : '''30%~31%'''[* 빡빡한 와리가리 패턴], '''44%'''[* 조명 함정 바로 뒤를 지나는 순간 레이저가 발사되기 때문에 재빠르게 피해야 하는데, 이게 상당한 칼타이밍을 요구한다.], '''랜덤 점프대 구간''' * 보석 난이도 : '''중상'''. 7%, 11%, 30%, 51%, 57%의 셔플 보석과 대각선 줄타기가 나오는 5% 보석은 꽤 난이도가 있으니 주의. * 왕관 난이도 : 무난하다. 첫번째 왕관은 간단한 스위치 서핑 후 플라잉부스터 코너링 패턴이고, 두번째 왕관은 69%에서 고속 꺾기를 해서 왼쪽의 플라잉부스터를 타고 알맞은 길로 가면 획득할 수 있다. 이때 너무 빨리 꺾으면 플라잉부스터를 타지 못하고 떨어질수 있으니 주의하자. 세번째 왕관은 Alone의 2번째 왕관 형태의 약간 빡빡한 코너링 패턴이지만 코너링에 익숙하다면 크게 어렵지 않다. 공중 가시 뒤쪽에 틈이 2칸이기 때문에 틈이 1칸인 Alone 2번째 왕관보다는 약간 쉬운 편이다. * 비공식 세부 난이도: 쉬운 길 5.2 퍼펙트 5.4 2019년 2월 27일에 나온 [[Alan Walker]]의 The Spectre가 배경음으로 사용된 스테이지. [[Ignite]], [[Alone(Alan Walker)|Alone]], [[Alone(Alan Walker)|Alone Remix]], [[Fade|Faded]], [[Fade|Faded Remix]]의 뒤를 잇는 6번째 Alan Walker 콜라보 스테이지이다. Alone, Faded, Alone II와 마찬가지로 보컬음도 그대로 사용했기 때문에 롤링 스카이의 4번째 보컬곡 스테이지이기도 하다. [[https://www.youtube.com/watch?v=wJnBTPUQS5A|원곡은 여기에서 감상할 수 있다.]] 장애물 중 Alan Walker의 로고 형태의 장애물이 등장한다. 그 외에도 과학의 가로방향 레이저 포대나 [[전자 미궁]]의 블레이드 함정, [[레게(롤링 스카이)|레게]]의 일루미나티 비슷한 장애물도 나오는 등 다른 스테이지의 장애물을 재탕하거나 유사하게 구현한 장애물도 보인다. 이 스테이지는 Faded Remix와 [[Alone II]]의 뒤를 잇는 롤링 스카이의 유료 스테이지로, 광고를 보고 티켓을 얻어서 50%까지는 갈 수 있지만, 그 이후로는 '''4500원에 구매해야 할 수 있다.''' 다른 Alan Walker 콜라보 스테이지와 마찬가지로 구매시 해당 스테이지 한정 무한 부활 + 무한 방패 혜택을 준다. 스테이지의 난이도는 한 마디로 '''4성판 설날.''' 설날과 마찬가지로 컨트롤이 어려운 구간은 많지 않으나 설날에서도 악명 높았던 움직이는 점프대가 곳곳에 등장하기 때문에 꽤 귀찮다. 이 점프대에 익숙해지기 전까지는 고생할 수 있다. 그래도 난이도가 4성이니 만큼 설날보다는 확실히 쉽다. 따라서 설날 먼저 해봤다면 무난히 클리어할 수 있을 것이다. 단, 설날에서는 ↗,↙,↖,↘ 방향으로 발판이 하나씩 있으면 움직이는 점프대라는 걸 쉽게 알아볼 수 있었지만 여기에서는 간혹 이런 구조를 하고 있는데도 그냥 평범한 점프대인 경우가 있다. 헷갈리지 않도록 주의하자. 플레이타임이 무려 ''' 3분 4초'''로, Faded, Alone II 와 함께 3분이 넘는 스테이지다. 퍼펙트 클리어를 노릴 경우 후반부까지 와서 죽으면 [[멘탈 붕괴]]가 올 수 있다. 미니 레벨 업데이트 이후 커버 이미지가 리뉴얼 되었는데, 과거의 커버 이미지는 후드티를 입은 [[케르베로스]] 형상이었던 반면, 바뀐 커버 이미지는 후드티와 마스크를 쓴 해골이 정면을 보고 있는 모습이다.그리고 점프대에 알게 모르게 QR코드(?)같은게 있다. 해양 업데이트 이후로 이 스테이지가 삭제되었다. 다만 기존에 해금했다면, 삭제 이후에도 플레이 할 수 있다. ==== 보너스 스테이지 23: The Spectre Remix ==== ||<-2>
'''{{{+1 {{{#fff The Spectre Remix}}}}}}'''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rollingsky_thespectreremix.jpg|width=250]]}}} || || {{{#fff 난이도}}} || 5성 || || {{{#fff 플레이 시간}}} || 약 2분 || || {{{#fff 해금 조건}}} || 3400원 || ||<-10>
'''{{{#fff 보석 위치}}}''' || || 9% || 12% || 17% || 38% || 46% || 63% || 73% || 76% || 92% || 97% || ||<-3>
'''왕관 위치''' || || 28% || 72% || 99% || ||<-6>
'''{{{#fff 체크포인트 위치}}}''' || || 10% || 20% || 30% || 40% || 60% || 80% || ||<-5>
'''{{{#fff 테마}}}''' || || [[롤링 스카이/스킨#파란 귀신 스킨|[[파일:thespectretheme.png|width=80]]]] || [[롤링 스카이/스킨#붉은 귀신 스킨|[[파일:thespectreremixtheme.png|width=80]]]] || [[롤링 스카이/스킨#흑백 게임 스킨|[[파일:1uptheme.jpg|width=80]]]] || [[롤링 스카이/스킨#파란 귀신 스킨|[[파일:thespectretheme.png|width=80]]]] || [[롤링 스카이/스킨#붉은 귀신 스킨|[[파일:thespectreremixtheme.png|width=80]]]] || || 0% ~ 6% || 6% ~ 32% || 32% ~ 46% || 46% ~ 70% || 70% ~ 100% || [youtube(vltKtZ-AwYc)] * '''특히''' 어려운 부분 : '''32%~46%'''[* 이 맵에서 가장 어려운 구간이라고 봐도 무방한 부분. 블럭 장애물이 사방에 깔려있어 길이 매우 비좁다. 특히 게이트 형태의 벽을 지나는 순간 바로 앞에 블럭이 튀어나오는 패턴이 많아서 아차 하는 순간 박는 경우가 많으니 주의하자.], 88%[* 거짓말 같지만 최초로 응용 대각선 줄타기가 나왔다.] * 보석 난이도 : 원본 스테이지와 달리 셔플 보석도 없고, 나머지는 크게 어렵지 않지만 빡빡한 코너링 패턴의 12% 보석과 절벽 바로 앞에 놓여있어 먹고 빠르게 빠져야 하는 92%, 97% 보석은 꽤나 까다롭다. * 왕관 난이도 : 1번째, 2번째 왕관은 코너링만 잘 하면 크게 어렵지 않다. 다만 3번째 왕관은 조금 '''까다로운데''', 움직이는 발판 위의 조명 함정 사이를 와리가리로 피한 뒤 대각선 줄타기를 해주는 패턴이다. 무엇보다 극후반에 위치하고 있어 긴장하게 되고 실수하기도 쉬운 왕관이다. 당황하지 말고 양끝부터 가운데로 부드럽게 움직여준다는 느낌으로 하는 게 쉽다. * 비공식 세부 난이도: 쉬운 길 5.7 퍼펙트 5.9 The Spectre가 나온 한달 후인 2019년 3월 27일에 업데이트된 Alan Walker의 The Spectre를 리믹스한 음원이 배경음으로 사용된 스테이지. 이로써 Ignite, Alone, Alone Remix, Faded, Faded Remix, The Spectre의 뒤를 잇는 7번째 Alan Walker 콜라보 스테이지이자 Alone Remix, Faded Remix의 뒤를 잇는 3번째 리믹스 스테이지가 되었다. 공식 난이도 표기가 무려 '''5성'''으로, 최초의 5성 보너스 스테이지가 되었다. Faded Remix, [[Alone II|신비한 성]]과 함께 원본 스테이지의 난이도를 뛰어넘은 보너스 스테이지이기도 하다. 난이도는 [[전자 미궁]] 정도. 본래는 가장 어려운 보너스 스테이지였지만, 또 다른 5성 보너스 스테이지인 [[롤링 스카이/스테이지/환상의 음파#s-2|음률 파티]]가 더 어렵게 나와서 최고 난이도 보너스 스테이지라는 타이틀은 넘겨주게 되었다. 32%~46%에는 특이하게도 아무런 관련이 없는 [[1UP(롤링 스카이)|1UP]]의 배경 스킨이 등장한다. 다행히(?) 2진법 다리 같은 1UP 관련 장애물은 나오지 않는다. 51%~52%, 67%~68%에 나오는 랜덤 점프대는 설날이나 신비한 성, The Spectre와 달리 주위에 X자로 배치된 발판을 동반하지 않고 '''그냥''' 등장한다! 그것도 연속으로 등장한다! 처음 보면 당황하여 죽기 쉽다. 원본도 그랬듯 이 스테이지 역시 유료 스테이지로, 광고를 보고 티켓을 얻어 70%까지는 진행이 가능하지만, 그 이상 가려면 3400원에 구매해야 한다. 구매시 다른 유료 스테이지들과 마찬가지로 해당 스테이지 한정 무한 방패 + 무한 부활의 혜택을 준다. 이 스테이지의 커버 이미지는 The Spectre의 커버 이미지를 [[팔레트 스왑]]한 것이다. 해양 업데이트 이후로 이 스테이지 역시 삭제되었다. 다만 기존에 해금했다면, 삭제 이후에도 플레이 할 수 있다. == 여담 == 2023년 9월 해외 [[릴스]], [[틱톡]] 등에서 크게 유행했던 [[스머프]]와 고양이를 합성시킨 [[smurf cat meme]]에 이 곡의 'We live We love We lie' 부분이 사용되었다.[[https://www.youtube.com/watch?v=zheg10SwMq0|예시 1]][[https://www.youtube.com/watch?v=QDaVOhZ4t5g|예시 2]]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Alan Walker/음원 목록/공식 보컬음원, version=196, paragraph=2.1.2, title2=롤링 스카이/스테이지, version2=781, paragraph2=1.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