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5><#000000> '''{{{#FFFFFF [[The Jackson 5]]의 싱글}}}''' || ||<#7d7d7c> "[[ABC(노래)|ABC]]"[br](1970) ||<|2><#7d7d7c> → ||<#7d7d7c> '''The Love You Save'''[br](1970) ||<|2><#7d7d7c> → ||<#7d7d7c> "[[I'll Be There(잭슨 파이브)|I'll Be There]]"[br](1970) || ||<:><-2> '''{{{+1 {{{#ffffff The Love You Save}}}}}}''' || ||<-5><:> [[파일:The_Love_You_Save.jpg|width=100%]] || ||<:><#7d7d7c> {{{#ffffff '''수록 음반'''}}} ||<(> [[ABC(음반)|ABC]] || ||<:><#7d7d7c> {{{#ffffff '''아티스트'''}}} ||<(> [[The Jackson 5]] || ||<:><#7d7d7c> {{{#ffffff '''B-Side'''}}} ||<(> "I Found That Girl" || ||<:><#7d7d7c> {{{#ffffff '''발매일'''}}} ||<(> 1970년 5월 13일 || ||<:><#7d7d7c> {{{#ffffff '''녹음 기간'''}}} ||<(> 1970년 3월 || ||<:><#7d7d7c> {{{#ffffff '''스튜디오'''}}} ||<(> [[모타운|히츠빌 웨스트 스튜디오]] ([[로스 앤젤레스]]) || ||<:><#7d7d7c> {{{#ffffff '''장르'''}}} ||<(> [[버블검 팝]], [[소울 음악|소울]] || ||<:><#7d7d7c> {{{#ffffff '''재생 시간'''}}} ||<(> 3:00 || ||<:><#7d7d7c> {{{#ffffff '''레이블'''}}} ||<(> [[Motown]] || ||<:><#7d7d7c> {{{#ffffff '''송라이터'''}}} ||<(> [[Berry Gordy]], Freddie Perren, Alphonso Mizell, Deke Richards || ||<:><#7d7d7c> {{{#ffffff '''프로듀서'''}}} ||<(> The Corporation[* Berry Gordy, Alphonso Mizell, Freddie Perren, Deke Richards] || [목차][clearfix] == 개요 == [[잭슨 파이브]]의 싱글이며 이들의 2집 앨범 [[ABC(음반)|ABC]]의 두번째 싱글로 1970년 5월 13일에 발매되었다. == 상세 == [[베리 골디]]의 작곡 능력을 체감할 수 있는 곡이다. == 오디오/비디오 == || 오디오 || ||[youtube(BIZWIJwHiaU)]|| || 비디오 || ||[youtube(OkuULWqF3AY)]|| == 가사 == ||[J5:] Stop! Nanana! You'd better save it! 멈춰! 사랑을 지켜야만 해! Stop, stop, stop, you'd better save it! 멈춰, 멈춰, 멈춰, 지켜야 한다니까! [Michael:] When we played tag in grade school 학교에서 술래잡기를 할 때 You wanted to be It. 넌 술래가 되려 했지만 But chasing boys was just a fad 남자애들 쫓는건 한철 유행일뿐 You crossed your heart you'd quit. 상처를 입고 넌 그만뒀지 When we grew up you traded 우리가 자랐을 때 너는 Your promise for my ring 나랑 반지를 나눠 가졌고 Now just like back to grade school 초등학교로 돌아간 것처럼 You're doing the same old thing! 넌 똑같은 짓을 하고 있어! [Chorus:] Stop! The love you save may be your own! 멈춰, 네가 지킨 사랑은 네 것이니까! Darling, take it slow 달링, 천천히 받아들여 Or some day you'll be all alone. 안그러면 언젠가 외톨이가 될거야 You'd better stop the love you save may be your own! 그 사랑이 네게 되도록 멈춰야 해! Darling, look both ways before you cross me 달링, 나한테 오기전 주위를 잘 둘러봐 You're headed for the danger zone. 넌 위험지역으로 향하고 있으니까 [Michael:] I'm the one who loves you! 나만이 널 사랑하는 사람! I'm the one you need! 바로 내가 네가 필요한 사람! [Jermaine:] Those other guys will put you down 저 다른 남자들은 사귀자마자 As soon as they succeed! 널 바로 실망시킬걸! [Michael:] They'll ruin your reputation! 네 자존심을 망가뜨리고 They'll label you a flirt! 널 바람둥이라 낙인찍겠지! [Jermaine:] The way they talk about You 너에 대해 말하면서 They'll turn your name to dirt, oh! 네 이름을 더럽히겠지. 오! [Michael:] Isaac said he kissed you 아이작이 사과나무 뒤에서 Beneath the apple tree 너와 키스했다 말했고 When Benjie held your hand he felt 벤자민이 네 손을 잡았을때 E-lec-tri-ci-tee! 전기를 느꼈네! When Alexander called 알렉산더가 널 부를땐 He said he rang your chimes. 초인종을 울렸다 했고 Christopher discovered 크리스토퍼는 알아챘지 You're way ahead of your times! 네가 너무 앞서간다는걸! [Chorus] [J5:] Slow down. 진정해 Slow down. 진정해 Slow down. 진정해 Slow down. 진정해 [Michael:] S is for "Save it" S는 "지키는 것" T is for "Take it slow" T는 "진정해" O is for "Oh, no!" O는 "오, 안돼!" P is for "Please, please, don't go!" P는 "제발, 제발 떠나지 마!" [Jermaine:] The love you save may be your own... 네가 지킨 사랑은 네것이니까 [Michael:] Some day you may be all alone... 언젠가 넌 혼자가 될거야 [Jermaine:] Stop it! 멈춰! [Michael:] Save it, girl! 지켜야 해! [Jermaine:] Or some day you'll be all alone. 안그러면 언젠가 혼자가 돼버릴걸 [Michael:] You'd better stop! the love you save may be your own! 멈춰야 해! 네가 지켜온 사랑은 네것이니까! [Jermaine:] Please, please 제발, 제발 Or some day, some day baby, 그러지 않으면 언젠가, 언젠가는 You'll be all alone 외톨이가 돼버릴걸 Those other guys will put you down as soon as they succeed. 저 남자들은 사귀자마자 널 실망시킬거야 [Michael:] Stop! The love you save may be your own... 멈춰! 네가 지켜온 사랑은 네것이니까|| == 차트 성적 == [[빌보드 R&B 차트]]에서 1970년 6월 셋째 주부터 7월 넷째 주까지 6주 연속 1위, [[빌보드 핫 100]]에서 1970년 6월 넷째 주부터 7월 첫째 주까지 2주 연속 1위를 기록했다. [[1970년 빌보드 핫 100 연말 차트]]에선 16위에 올랐다. [[분류:잭슨 파이브]][[분류:모타운 음반]][[분류:빌보드 핫 100 1위 노래]][[분류:빌보드 R&B 차트 1위 노래]][[분류:1970년 노래]][[분류:1970년 싱글]][[분류:버블검 팝]][[분류:소울 음악]][[분류:베리 골디]][[분류:프레디 페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