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 앨범:[[Eat Me, Drink Me]] 다음 앨범:[[Born Villain]] [[파일:external/images-na.ssl-images-amazon.com/41IeMNlGggL.jpg]] [목차] == 개요 == [[마릴린 맨슨(밴드)]]의 7번째 정규 앨범. 2009년 발매되었다. 전설의 [[트위기 라미레즈]]가 다시 돌아왔으나 평가는 여전히 좋지 못하다. 작곡과 프로듀싱이 영 아니올시다라는 평이 대세. 좀더 나아가서 메시지와 가사, 컨셉도 무슨 얘기를 하려는건지 모르겠다는 평이 자자하다. 제작진 부분을 좀더 살펴보자면, 2004년부터 드럼 세션으로 활약하던 [[크리스 브레나]]가 정식으로 제작에 참여했다. 크리스 브레나는 이미 맨슨 초창기부터 [[나인 인치 네일스]]를 통해 맨슨을 도왔으니 어찌보면 트위기와 함께 맨슨의 전후반기를 모두 아우르는 몇 안되는 인물인 셈.[* 다만 하필이면 맨슨에서 크리스의 비중이 가장 높을때랑 맨슨의 암흑기랑 정확하게 일치해서 잘 언급은 안된다.... 지못미] 사운드적 특징을 살펴보자면, 맨슨색이 시들해진 후기작 중에서도 가장 맨슨다운 맛이 빠진 앨범으로 몇몇 넘버를 제하면 Eat Me Drink Me 보다도 말랑말랑한 발라드로 도배가 되어 있다. 이 시기에 제작된 뮤비가 좀 특이한데, Arma-Goddamn-Motherfuckin-Geddon 같은 경우 이전까지 맨슨이 시도한 모든 컨셉을 짬뽕한 느낌이고 Running to the Edge of the World는 여자를 쥐어패는 부분이 있어서 논란이 되었다. WOW는 처음부터 끝까지 한 여자가 회전하다가 끝나는데 정식 뮤비가 맞나 의심스럽다. 15번 트랙 [[15]]의 경우 맨슨이 중시하는 숫자를 타이틀로 딴 경우. 1월 5일이 맨슨의 생일이다. 영 좋지 못한 음악적 평가와는 반대로 상업적으로는 꽤 선빵해서 [[빌보드 200]] 4위에 올랐다. 어차피 요즘 [[빌보드 200]]이 예전만 못한거 다 아는 사실이지만... 제목은 [[구로사와 아키라]]의 [[천국과 지옥]] High and Low 에서 따왔고 폰트도 그 영화의 포스터에서 따왔다. 다음작은 ~~일본에서 한국으로 건너가~~ 태극의 4괘를 타이틀 폰트에 활용했다. 물론 한국을 의식한건 아니겠지만. 이 앨범을 끝으로 맨슨은 [[인터스코프]]와 작별한다. ~~할일없는사람은~~ 이 문서의 리그베다위키 버전도 읽어보자. http://rigvedawiki.net/w/The%20High%20End% 20of%20Low == 트랙 리스트 == 1. Devour 2. Pretty as a Swastika 3. Leave a Scar 4. Four Rusted Horses 5. [[Arma-goddamn-motherfuckin-geddon]] 6. Blank and White 7. Running to the Edge of the World 8. I Want to Kill You Like They Do in the Movies 9. WOW 10. Wight Spider 11. Unkillable Monster 12. We're from America 13. I Have to Look Up Just to See Hell 14. Into the Fire 15. 15 === 디럭스 에디션 === 1. Arma-goddamn-motherfuckin-geddon (Teddy Bears Remix) 2. Leave a Scar (Alternate Version) 3. Running to the Edge of the World (Alternate Version) 4. Wight Spider (Alternate Version) 5. Four Rusted Horses (Opening Titles Version) 6. I Have to Look Up Just to See Hell (Alternate Version) [[분류:마릴린 맨슨(밴드)/음반]][[분류:미국의 록 음반]][[분류:2009년 음반]][[분류:얼터너티브 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