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에미넴 디스코그래피)] ||
<#000><-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820b0b, #0f0f0f 40%, #0f0f0f 60%, #820b0b)" '''[[에미넴|[[파일:EminemShop.png|height=50]]]][br]에미넴의 역대 스튜디오 앨범'''}}} || ||<#555> '''[[The Marshall Mathers LP|{{{#fff {{{-2 2000년 5월 23일}}}[br]3집 {{{#fff The Marshall Mathers LP}}}}}}]]''' || → ||<#921d23> '''[[The Eminem Show|{{{#D99F4E {{{-2 2002년 5월 26일}}}[br]{{{#fff 4집}}} {{{#fff The Eminem Show}}}}}}]]''' || → ||<#094d81> '''[[Encore|{{{#fff {{{-2 2004년 11월 12일}}}[br]5집 {{{#fff Encore}}}}}}]]''' || ||<-5><#921d23> '''{{{#fff The Eminem Show 주요 수상 {{{#D99F4E 및}}} 성과}}}''' || ||<-5>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연도별 최다 판매 앨범(2000년 - 2019년))] ---- ||<-5> '''{{{+1 [[그래미 어워드|[[파일:Grammy.svg|width=20]] {{{#000,#fff 그래미 베스트 랩 앨범}}}]]}}}''' || || 2002 || || '''2003''' || || 2004 || || ''[[Stankonia]]'' [[아웃캐스트|{{{-2 {{{#8086a0 OutKast}}}}}}]] || {{{+1 →}}} || ''' ''The Eminem Show''[br][[Eminem|{{{-2 {{{#8086a0 Eminem}}}}}}]]''' || {{{+1 →}}} || ''[[Speakerboxxx/The Love Below]]'' [[아웃캐스트|{{{-2 {{{#8086a0 OutKast}}}}}}]] || ---- [include(틀:빌보드 선정 2000년대 200대 명반, 순위=3)] ---- [include(틀:슬랜트 선정 2000년대 100대 명반, 순위=132)] ---- [include(틀:빌보드 연말 차트 1위 앨범(2000~2019))] ---- [include(틀:RIAA 다이아몬드,pt=12)] ---- [include(틀:멜론 선정 명반,음반명=The Eminem Show)] ---- ||||<#fff,#191919><-5> '''{{{+1 [[빌보드 200]] {{{#b2a529 역대 1위 앨범}}}}}}''' || || ''{{{-3 P. Diddy & Bad Boy Records Present...}}}[br]We Invented The Remix'' {{{-2 {{{#8086a0 VA}}}}}} || {{{+1 →}}} || ''' ''The Eminem Show''[br][[Eminem|{{{-2 {{{#8086a0 Eminem}}}}}}]]''' || {{{+1 →}}} || ''Nellyville'' [[Nelly|{{{-2 {{{#8086a0 Nelly}}}}}}]] || ---- [include(틀:어클레임드 뮤직 선정, 항목=올타임 명반, 순위=1616)] ---- [include(틀:로큰롤 명예의 전당 선정 200대 앨범, 순위=63)] ---- [include(틀:롤링 스톤 선정 500대 명반,연도=2003,순위=317)] ---- [include(틀:FNAC 선정 1000대 명반,순위=703)] ---- [include(틀:Rock NYC 선정 2000년대 231대 명반)] ---- }}} || |||| '''{{{#fff {{{+1 ''The Eminem Show''}}}[br] 디 에미넴 쇼}}}''' || ||||{{{#!wiki style="margin:-6px -10px" [[파일:EMTES.jpg|width=100%]]}}}|| ||||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CD 내부 앨범 아트 {{{#!wiki style="margin:5px -10px 0" [[파일:EMTES2.jpg|width=96%]]}}}}}}}}} || || '''아티스트''' || [[에미넴]] || || '''발매''' || [[2002년]] [[5월 26일]] || || '''녹음''' || [[2001년]] [[7월]] ~ [[2002년]] [[4월]] || || '''장르''' || [[힙합 음악|힙합]], 랩 록, 폴리티컬 힙합 || || '''{{{#cd9445 재생 시간}}}''' || 77:30 + 76:24^^{{{#cd9445 Expanded Edition}}}^^ || || '''곡 수''' || 20 + 18^^{{{#cd9445 Expanded Edition}}}^^ || || '''프로듀서''' || [[에미넴]], [[닥터 드레]], 제프 바스, 미스터 포터 || || '''레이블''' || [[Aftermath]], Shady, [[Interscope]] || [목차] [clearfix] == 개요 == ||
<#000><-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45deg, #820b0b, #0f0f0f, #0f0f0f, #820b0b)" || [[에미넴|[[파일:EminemShop.png|height=60]]]]||'''[[틀:에미넴 디스코그래피|{{{#820b0b {{{+3 EMINEM}}}}}}[br] {{{#820b0b {{{+1 Chronology}}}}}}]]''' ||}}} || ||<#555> '''[[The Marshall Mathers LP|{{{#fff {{{-2 2000년 5월 23일}}}[br]정규 {{{#fff The Marshall Mathers LP}}}}}}]]''' || → ||<#921d23> '''[[The Eminem Show|{{{#D99F4E {{{-2 2002년 5월 26일}}}[br]{{{#fff 정규}}} {{{#fff The Eminem Show}}}}}}]]''' || → ||<#094d81> '''[[Encore|{{{#fff {{{-2 2004년 11월 12일}}}[br]정규 {{{#fff Encore}}}}}}]]''' || 2002년 5월 28일 발매된 [[에미넴]]의 4번째 정규 앨범이다. == 소개 == ''[[The Marshall Mathers LP]]''와 함께 에미넴 최고의 앨범이자 힙합 역사상 가장 위대한 앨범 중 하나로 꼽힌다. 2002년 미국에서 가장 많이 팔린 앨범이며 발매 첫 주 판매량은 132만장. 2003 그래미 시상식에서 올해의 앨범 후보에 올랐다. 다이아몬드 인증을 받은 앨범이기도 하다. 총 판매량은 2700만 장을 달성하며 21세기에 가장 많이 팔린 앨범 2위에 위치해 있다.[* [[https://en.wikipedia.org/wiki/List_of_best-selling_albums_of_the_21st_century|#]]][* 1위는 [[아델(가수)|아델]]의 ''[[21(음반)|21]]''이다. [[노라 존스]]의 ''[[Come Away With Me]]''가 TES의 판매량과 동률로 공동 2위에 올랐다.] 발매된 지 20여년이 지났음에도 [[빌보드 200]]에서 무려 '''436주간 차트인'''하고 있는 괴물같은 앨범.[[https://www.billboard.com/music/eminem/chart-history/billboard-200/song/421009|#]] 그리고 2011년, 미국 본토에서의 판매량이 1000만장이 넘으면서 다이아몬드 앨범에 등극했다.[* [[The Marshall Mathers LP|전작]]과 함께 힙합 앨범 판매량의 톱에 위치하고 있다.] 전작 ''[[The Marshall Mathers LP]]''에서 보여주던 분노, 광기는 전체적으로 사그라들었다. 앨범 전체를 관통하는 주제는 유명인으로써, 그리고 힙합에 몸담고 있는 아티스트로써의 고민과 에미넴이라는 인간의 내면으로 "Soldier"와 "[[Till I Collapse]]"같은 곡에서 보여주는 죽을 때까지 랩을 그만두지 않겠다는 열정, "[[Sing For The Moment]]"에서 보여주는 본인의 가사가 사회에 가져오는 영향력에 대한 생각, "Say Goodbye Hollywood"에서 보여주는 인간으로써의 내면과 "[[Without Me]]", "[[White America]]"에서 보여주는 사회 비판까지 전작들에 비해 보다 더 성숙한 자세로 이야기를 끌어나가고 있다. 또한 앨범 프로듀싱의 대부분은 본인이 하였다는 점에서, 에미넴의 프로듀싱 능력까지 볼 수 있는 앨범이다. 앨범의 제목인 ''The Eminem Show''의 모티브는 영화 '[[트루먼 쇼]]'이다. 에미넴 본인의 말로는 자신이 유명인이 되고 난 후, 마치 자신이 트루먼 쇼의 [[짐 캐리]]처럼 세상에게 자신의 모든 게 공개되는 느낌이었다고 한다. 이 앨범을 녹음하는 동안 [[8 마일(영화)|8 마일]] 촬영과 동시에 보컬 트레이닝을 받아 발성법이 바뀌었기 때문에, 이 앨범을 기점으로 에미넴이 데뷔 초의 앵앵거리는 학생같던 목소리를 어느 정도 탈피했다. 또한 이번 앨범에선 [[Dr. Dre]]가 프로듀싱한 3개의 곡만을 제외하고 나머지 모든 트랙에서 에미넴이 프로듀싱에 참여하면서 지분을 늘렸고 그에 따라 전작들에 비해 스타일이 바뀌면서 좀더 대중친화적인 작품이 되었다. 에미넴의 독자적인 프로듀싱 능력이 빛을 발한 앨범이라고 할수있다. 한정판 보너스 DVD도 있다. == 평가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음악),album=the-eminem-show,artist=eminem,critic=75,user=9.0)] ''[[The Slim Shady LP]]'', ''[[The Marshall Mathers LP]]''와 더불어 초창기 에미넴을 대표하는 트릴로지를 완성하는 앨범으로, 힙합 역사상 가장 상업적으로 성공한 앨범 중 하나[* 사실상 상업적 성공으로 보자면 에미넴의 다른 앨범들을 제외하면 TES를 확실하게 넘는 성공을 거둔 힙합 앨범은 거의 없다 봐도 무방하다.]임과 동시에 매우 높은 평가를 받는 앨범이기도 하다. 당장 에미넴하면 떠오르는 명곡들인 Without Me, Sing For The Moment, Till I Collapse, Superman 등이 실려있는, 상업적 성과와 인기, 평론까지 모두 챙기며 2000년대 초반 에미넴의 전성기 시절의 마지막을 상징하는 명반이다. 네티즌 평점이 무려 ''[[The Marshall Mathers LP]]''와 같은 수치인 9.0점에 달하며 이는 무려 랩 부분 전체의 유저 메타크리틱 점수 중 2위에 해당하는 엄청난 점수이다. 평론가들이 유독 에미넴에게 박한 점수를 주는 것을 생각해 보았을 때, 평론가 점수 75점 또한 매우 높은 수치이다. 에미넴의 앨범들 중에선 두번째로 평론가 점수가 높은 앨범.[* 사실 이 평균 점수도 Salon지가 20점이라는 터무니 없이 낮은 점수를 줘서 낮은거지 대부분 70점 이상을 주었고 특히 에미넴의 앨범에 타 평론가들 처럼 박한 평가를 내리는 피치포크가 무려 '''9.1점'''을 주고 2002년 올해의 앨범 38위에 들어가는 등 평론가들로 부터도 인정받는 앨범인셈.] 이러한 긍정적인 평가를 바탕으로 2003년에 발표된 [[롤링 스톤 선정 500대 명반]] 리스트에도 317위로 뽑혔으나, 당시 발매된 지 햇수로 1년밖에 되지 않은 앨범을 뽑는 건 너무 이르다는 의견[* 참고로 이러한 비판은 2012년, 2020년 리스트 발표 당시에도 어김없이 나왔던 비판으로, 이러한 비판과는 반대로 잘 뽑힌 명반이면 발매된 년도가 무슨 상관이냐는 의견 역시 존재한다.]과 다른 힙합 클래식들보다 높은 순위였기에[* 대표적으로 동부 힙합의 바이블로 평가받는 ''[[Illmatic]]''(400위)과 ''[[Enter the Wu-Tang (36 Chambers)]]''(386위)가 TES보다 낮은 순위로 선정되었으며, 이들과 버금가는 동부 힙합 명반으로 평가받는 ''[[The Infamous]]''와 ''Only Built 4 Cuban Linx''는 해당 년도에 선정되지도 않았다.] 너무 고평가 받은 순위가 아니냐는 평을 받았었다. 또한 ''TES''가 대중적으로 어마어마한 성공을 거두었지만, ''SSLP''와 ''MMLP''에 비해 너무 대중성만 의식했다는 평가가 있기도 하였다.[* 실제로 본작은 에미넴의 앨범 중 ''[[Recovery]]''와 더불어 가장 이지리스닝을 하기 쉬운 작품으로 꼽히는 앨범이다. 물론 단순한 수작을 넘어 힙합 장르 내에서도 매우 큰 의미를 가지는 앨범인 ''SSLP''와 ''MMLP''에 비해서 대중적인 것이고, 현재에 와서는 ''TES''도 단순히 대중성만 의식한 앨범이 아닌 작품성까지 확실히 인정받은 명반이라고 평가받고 있다.] 이러한 비판을 인식이라도 한 듯이 롤링 스톤지는 2012년과 2020년 리스트에 해당 앨범을 선정하지 않았다. == 트랙리스트 == [include(틀:The Eminem Show)] ||<-3><#921d23> '''{{{#fff 트랙리스트}}}''' || || '''#''' || '''제목''' || '''길이''' || || 1 || Curtains Up (Skit) || 0:30 || || 2 || [[White America]][*Platinum [include(틀:RIAA 플래티넘,pt=1)]] || 5:24 || || 3 || [[Business]][*Gold [include(틀:RIAA 골드)]] || 4:11 || || 4 || [[Cleanin' Out My Closet]][*3xPlatinum [include(틀:RIAA 플래티넘,pt=3)]] || 4:58 || || 5 || Square Dance || 5:24 || || 6 || The Kiss (Skit)[* 7번 트랙과 연결된다.] || 1:16 || || 7 || Soldier[*Gold] || 3:46 || || 8 || Say Goodbye Hollywood || 4:33 || || 9 || Drips {{{-2 (feat. Obie Trice)}}} || 4:45 || || 10 || [[Without Me]][* 인트로에 Obie Trice가 잠시 나온다. 뮤비에도 같이 출연하는건 덤.][*7xPlatinum [include(틀:RIAA 플래티넘,pt=7)]] || 4:50 || || 11 || Paul Rosenberg (Skit)[* 6번 트랙 및 15번 트랙과 연관지어 생각해보면 흥미롭다.] || 0:23 || || 12 || [[Sing For The Moment]][* [[에어로스미스]]의 ''Dream On''을 샘플링했다.][*2xPlatinum [include(틀:RIAA 플래티넘,pt=2)]] || 5:40 || || 13 || [[Superman(에미넴)|Superman]][*2xPlatinum] {{{-2 (feat. Dina Rae)}}} || 5:50 || || 14 || Hailie's Song[* 본래 [[비틀즈]]의 [[The Beatles|화이트 앨범]] 수록곡인 [[While My Guitar Gently Weeps]]를 샘플링하려 했으나 작곡자 [[조지 해리슨]]의 유족이 거절해서 무산되었다. 그래서 멜로디가 최소한의 표절시비가 안붙을 정도로 비슷한 것. 또한 에미넴이 랩보다 보컬을 더 많이 하는 몇 안되는 곡이기도 하다.][*Gold] || 5:21 || || 15 || Steve Berman (Skit)[* 여담으로 배경음악으로 작게 재생되는 곡은 에미넴이 소속되어있는 그룹 [[D12]]의 It Ain't Nuthin But Music이다.] || 0:33 || || 16 || When The Music Stops {{{-2 (feat. [[D12]])}}} || 4:29 || || 17 || Say What You Say {{{-2 (feat. [[Dr. Dre]])}}} || 5:09 || || 18 || [[Till I Collapse]][* 영화 [[리얼 스틸]]의 주제곡이다.][* 또한 게임 [[콜 오브 듀티: 모던 워페어 2]]의 광고 음악으로도 쓰였다.][*8xPlatinum [include(틀:RIAA 플래티넘,pt=8)]] {{{-2 (feat. [[Nate Dogg]])}}} || 4:57 || || 19 || My Dad's Gone Crazy[*Gold] {{{-2 (feat. [[헤일리 J. S. 매더스|Hailie Jade]])}}} || 4:28 || || 20 || Curtain's Close (Skit) || 1:01 || ===# 크레딧 #=== ||<-5><#921d23> '''{{{#fff 트랙리스트}}}''' || || '''#''' || '''제목''' || '''보컬 참여''' || '''프로듀서''' || '''길이''' || || 1 || Curtains Up (Skit) || || {{{-3 [[Eminem]]}}} || 0:30 || || 2 || [[White America]] || {{{-3 Dina Rae}}} || {{{-3 [[Eminem]], Luis Resto, Jeff Bass}}} || 5:24 || || 3 || [[Business]] || {{{-3 Barbara Wilson, Conesha Monet Owens,[br] Traci Nelson, Shy Felder}}} || {{{-3 [[닥터 드레|Dr. Dre]]}}} || 4:11 || || 4 || [[Cleanin' Out My Closet]] ||<|2> ||<|2> {{{-3 [[Eminem]], Jeff Bass}}} || 4:58 || || 5 || Square Dance || 5:24 || || 6 || The Kiss (Skit) || {{{-3 Lynette Purdy, Gary Kozlowski}}} ||<|3> {{{-3 [[Eminem]]}}} || 1:16 || || 7 || Soldier ||<|2> || 3:46 || || 8 || Say Goodbye Hollywood || 4:33 || || 9 || Drips || {{{-3 Obie Trice}}} || {{{-3 [[Eminem]], Jeff Bass}}} || 4:45 || || 10 || [[Without Me]] ||<|3> || {{{-3 [[Eminem]], Jeff Bass, DJ Head}}} || 4:50 || || 11 || Paul Rosenberg (Skit) || {{{-3 [[Eminem]], [[닥터 드레|Dr. Dre]]}}} || 0:23 || || 12 || [[Sing For The Moment]] ||<|2> {{{-3 [[Eminem]], Jeff Bass}}} || 5:40 || || 13 || [[Superman(에미넴)|Superman]] || {{{-3 Dina Rae}}} || 5:50 || || 14 || Hailie's Song ||<|2> || {{{-3 [[Eminem]]}}} || 5:21 || || 15 || Steve Berman (Skit) || {{{-3 [[닥터 드레|Dr. Dre]]}}} || 0:33 || || 16 || When The Music Stops || {{{-3 [[D12]]}}} || {{{-3 [[Eminem]], Mr. Porter}}} || 4:29 || || 17 || Say What You Say || {{{-3 [[닥터 드레|Dr. Dre]]}}} || {{{-3 [[닥터 드레|Dr. Dre]]}}} || 5:09 || || 18 || [[Till I Collapse]] || {{{-3 [[Nate Dogg]]}}} || {{{-3 [[Eminem]]}}} || 4:57 || || 19 || My Dad's Gone Crazy || {{{-3 [[헤일리 J. S. 매더스|Hailie Jade]]}}} || {{{-3 [[닥터 드레|Dr. Dre]]}}} || 4:28 || || 20 || Curtain's Close (Skit) || || {{{-3 [[Eminem]]}}} || 1:01 || === 싱글 === ||<-3><#921d23> '''{{{#fff 싱글 리스트}}}''' || || '''제목''' || '''발매''' || '''앨범 아트''' || || [[Without Me]] || 2002년 5월 14일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EMW.jpg|width=100%]]}}}|| || [[Cleanin' Out My Closet]] || 2002년 9월 17일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옷장비우기.jpg|width=100%]]}}}|| || [[Superman(에미넴) | Superman]] || 2003년 1월 27일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EminemSuperman.jpg|width=100%]]}}}|| || [[Sing For The Moment]] || 2003년 2월 25일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EMSFTM.png|width=100%]]}}}|| || [[Business]] || 2003년 7월 22일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EMB.png|width=100%]]}}}|| == 20주년 기념반 == |||| '''{{{#cd9445 {{{+1 ''The Eminem Show''}}}[br] Expanded Edition}}}''' || ||||{{{#!wiki style="margin:-6px -10px" [[파일:eminem-the-eminem-show-Cover-Art.webp|width=100%]]}}}|| || {{{#cd9445 '''아티스트'''}}} || [[에미넴]] || || {{{#cd9445 '''발매''' }}} || [[2022년]] [[5월 26일]] || [clearfix] 2022년 5월 26일에 20주년이 된 기념으로 기념반을 냈다. 구성은 오리지널 트랙들과 새로 18개의 트랙이 추가되었다. === 트랙리스트 === ||<-3><#232d35> '''{{{#cd9445 트랙리스트}}}''' || || '''#''' || '''제목''' || '''길이''' || || {{{#cd9445 21}}} || {{{#cd9445 Stimulate}}} || {{{#cd9445 5:04}}} || || {{{#cd9445 22}}} || {{{#cd9445 The Conspiracy Freestyle}}} || {{{#cd9445 2:51}}} || || {{{#cd9445 23}}} || {{{#cd9445 Bump Heads}}}[br] {{{-3 {{{#cd9445 feat. Tony Yayo, 50 Cent, Lloyd Banks}}}}}} || {{{#cd9445 4:41}}} || || {{{#cd9445 24}}} || {{{#cd9445 Jimmy, Brian and Mike}}} || {{{#cd9445 3:22}}} || || {{{#cd9445 25}}} || {{{#cd9445 Freestyle #1}}} {{{-3 {{{#cd9445 Live From Tramps, New York / 1999}}}}}} || {{{#cd9445 1:18}}} || || {{{#cd9445 26}}} || {{{#cd9445 Brain Damage}}} {{{-3 {{{#cd9445 Live From Tramps, New York / 1999}}}}}} || {{{#cd9445 1:25}}} || || {{{#cd9445 27}}} || {{{#cd9445 Freestyle #2}}} {{{-3 {{{#cd9445 Live From Tramps, New York / 1999}}}}}} || {{{#cd9445 0:53}}} || || {{{#cd9445 28}}} || {{{#cd9445 Just Don't Give A Fuck}}} {{{-3 {{{#cd9445 Live From Tramps, New York / 1999}}}}}} || {{{#cd9445 3:16}}} || || {{{#cd9445 29}}} || {{{#cd9445 The Way I Am}}}[br] {{{-3 {{{#cd9445 feat. Proof}}}}}} {{{-3 {{{#cd9445 Live From Fuji Rock Fastival, Japen / 2001}}}}}} || {{{#cd9445 3:43}}} || || {{{#cd9445 30}}} || {{{#cd9445 The Real Slim Shady}}}[br] {{{-3 {{{#cd9445 feat. Proof}}}}}} {{{-3 {{{#cd9445 Live From Fuji Rock Fastival, Japen / 2001}}}}}} || {{{#cd9445 4:45}}} || || {{{#cd9445 31}}} || {{{#cd9445 Business}}} {{{-1 {{{#cd9445 instrumental}}}}}} || {{{#cd9445 4:12}}} || || {{{#cd9445 32}}} || {{{#cd9445 Cleanin' Out My Closet}}} {{{-1 {{{#cd9445 instrumental}}}}}} || {{{#cd9445 5:42}}} || || {{{#cd9445 33}}} || {{{#cd9445 Square Dance}}}[br] {{{-1 {{{#cd9445 instrumental}}}}}} || {{{#cd9445 6:18}}} || || {{{#cd9445 34}}} || {{{#cd9445 Without Me}}}[br] {{{-1 {{{#cd9445 instrumental}}}}}} || {{{#cd9445 4:48}}} || || {{{#cd9445 35}}} || {{{#cd9445 Sing for the Moment}}}[br] {{{-1 {{{#cd9445 instrumental}}}}}} || {{{#cd9445 6:24}}} || || {{{#cd9445 36}}} || {{{#cd9445 Superman}}}[br] {{{-1 {{{#cd9445 instrumental}}}}}} || {{{#cd9445 7:02}}} || || {{{#cd9445 37}}} || {{{#cd9445 Say What You Say}}}[br] {{{-1 {{{#cd9445 instrumental}}}}}} || {{{#cd9445 5:06}}} || || {{{#cd9445 38}}} || {{{#cd9445 Till I Collapse}}}[br] {{{-1 {{{#cd9445 instrumental}}}}}} || {{{#cd9445 5:45}}} || [[분류:빌보드 연말 차트 1위 앨범]][[분류:2002년 음반]][[분류:미국 힙합 음반]][[분류:에미넴의 음반]][[분류:빌보드 1위 앨범]][[분류:오피셜 차트 1위 앨범]][[분류:중서부 힙합]][[분류:랩 록]][[분류:폴리티컬 힙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