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 태광산업과 흥국생명을 계열사로 두고 있는 기업집단, rd1=태광그룹, other2=강관 제조 기업, rd2=태광)] ||<-2><:> '''{{{+2 티케이지태광주식회사}}}'''[br]티케이지泰光株式會社[br]TKG TAEKWANG Co., Ltd.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TKG태광 CI.svg|width=100%]]}}} || || '''설립일''' ||[[1980년]] [[12월 30일]] || || '''업종''' ||신발 제조업 || || '''대표자''' ||박주환, 김재민 || || '''기업구분''' ||[[중견기업]] || || '''상장여부''' ||비상장 기업 || || '''직원 수''' ||886명^^(2022년 9월 30일 기준)^^ || || '''자본금''' ||9억 5,542만원^^(2021년 기준)^^ || || '''매출액''' ||연결: 2조 1,417억 4,830만 2,652원^^(2021)^^[br]별도: 1조 8,756억 8,483만 9,525원^^(2021)^^ || || '''영업이익''' ||연결: 1,256억 9,561만 9,597원^^(2021)^^[br]별도: 1,021억 2,982만 5,941원^^(2021)^^ || || '''순이익''' ||연결: 969억 3,175만 1,699원^^(2021)^^[br]별도: 649억 722만 3,993원^^(2021)^^ || || '''자산총액''' ||연결: 2조 6,122억 5,623만 7,847원^^(2021)^^[br]별도: 1조 5,809억 8,680만 178원^^(2021)^^ || || '''부채총액''' ||연결: 1조 3,868억 7,382만 9,271원^^(2021)^^[br]별도: 7,208억 2,331만 5,933원^^(2021)^^ || || '''부채비율''' ||연결: '''113.18%'''^^(2021년 기준)^^[br]별도: 83.80%^^(2021년 기준)^^ || ||<|2> '''자회사''' ||[[TKG에코머티리얼]] || ||{{{#!folding 그 외 자회사 목록 보기 TKG TAE KWANG VINA INDUSTRIAL JOINT STOCK COMPANY[* 구 Tae Kwang Vina Industrial Joint Stock Company][br]TKG TAEKWANG VIETNAM MOC BAI JOINT STOCK COMPANY[* 구 Vietnam Moc Bai Joint Stock Company][br]TKG TAE KWANG MTC VINA CO., LTD[* 구 Tae Kwang MTC Vina Co., Ltd.][br]TKG TAE KWANG MOLD VINA CO.,LTD[* 구 Tae Kwang Mold Vina Co., Ltd.][br]TKG TAE KWANG CAN THO COMPANY LIMITED[* 구 TAE KWANG CAN THO COMPANY LIMITED][br]Qingdao Tae Kwang Shoes Co., Ltd.[br]PT TKG TAEKWANG INDUSTRIAL INDONESIA[* 구 PT TK INDUSTRIAL INDONESIA][br]KOREA-VIETNAM FERTILIZER CO., LTD[br]TKG ECO MATERIAL VINA CORPORATION[* 구 JSI VINA CO. LTD][br]TKG ECO MATERIAL USA INC.[* 구 Jeongsan International USA INC.][br]정산개발[br]Jeongsan Vina Co., Ltd.[br]태광파워서비스[br]HIEP THANH INVESTMENT COMPANY LIMITED[br]TAEKWANG POWER NAM-DINH 1 PTE. LTD.[br]TKG애강[* 구 정산애강][br]TAE KWANG MYANMAR COMPANY LIMITED[br]TAE KWANG MYANMAR DEVELOPMENT CO., LTD[br]TMTC INDUSTRIAL ZONE DEVELOPMENT COMPANY LIMITED[br]A Sung Company Limited[br]J&D DAI AN Company Limited[br]태광파워홀딩스[br]TKG TAEKWANG Binh Phuoc Co., LTD[* 구 C&K VINA Co., LTD][br]PT TKG TAEKWANG Cirebon[* 구 PT TAEKWANG GLOBAL INDONESIA][br]TKG TAEKWANG JIN HEOUNG VINA CO., LTD[* 구 JIN HEOUNG VINA COMPANY LIMITED][br]THANH CONG PHU QUOC ONE MEMBER LIMITED LIABILITY COMPANY[br]THANH CONG PHU QUOC ONE MEMBERLIMITED LIABILITY COMPANY[br]태광데이터시스템}}} || || '''비전''' ||'''더 나은 미래를 위해 든든한 일상을 만드는 회사''' || || '''소재지''' ||[[경상남도]] [[김해시]] [[김해대로]]2635번길 26 ([[안동(김해)|안동]]) || || '''홈페이지''' ||[[https://tkg.taekwang.com]] || [목차] [clearfix] == 개요 == 한국의 [[신발|신발류]] 개발 및 제조를 담당하는 [[OEM]], [[ODM]] 기업이다. [[박연차]] 회장에 의해 1980년 설립되었다. 자세한 연혁은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92105&cid=40942&categoryId=34657|여기]]를 참고. 본사는 경남 [[김해시]]에 있다. 국내 500대 기업 중 매출 순위로는 215위에 위치하는 [[중견기업]]이다.[[http://m.ceoscoredaily.com/m/m_article.html?no=70341|여기]] 박연차 회장이 2020년 1월 31일 작고하면서 아들인 박주환 [[휴켐스]](TKG그룹 계열사) 회장이 TKG그룹 회장에 취임했다.[[https://www.chosun.com/economy/industry-company/2020/10/20/YBKBOZAMEZEZLJ5522LJ67VELI/|관련기사]] 태광실업그룹의 창립 50주년을 맞아 미래 50년 재도약을 염원하는 그룹사 사명 및 CI 일원화로 '''T'''ae '''K'''wang '''G'''lobal의 약자인 'TKG'를 반영하여 [[2022년]] [[1월]]부로 사명을 'TKG태광'으로 변경했다. == 상세 == 한국이 저임금·노동의존적 산업구조에 머물러 있을 때는 국내에 대규모 생산공장을 보유하고 있었으나, 90년대 이후 인건비의 급격한 상승으로 여느 섬유·피혁 업체들과 마찬가지로 생산기지를 [[베트남]], [[인도네시아]], [[중국]] 등으로 이전하였다. 2002년을 기점으로 국내에서는 연구개발·영업을 담당하며 대부분의 생산 공장은 베트남에 있다. 그룹의 모태이자 핵심 사업회사인 TKG태광은 신발 ODM 업체로 매출의 거의 전부가 [[나이키]]에서 발생하며, 나이키 전체 물량의 12%를 책임진다고 한다. 신발 ODM으로 기반을 닦고 [[농협]]의 자회사였던 정밀화학 회사 [[휴켐스]], [[한국남동발전]] 자회사에서 민영화 된 [[한국발전기술]], [[포스코대우|대우인터내셔널]] 부산공장(현 [[TKG에코머티리얼]]) 등을 인수하며 사세를 키워 현재는 중견그룹으로 거듭났다. 이름이 비슷하거나 겹치는 기업들이 셋이나 있는데 가장 먼저 [[재계서열]] 44위의 [[태광그룹]], 기계 부품류를 제조하는 중견기업 [[태광]], 아예 이름이 똑같은 [[대전광역시]]의 태광실업(이쪽은 부동산 관리 전문이다)까지 모두 전혀 상관이 없다. 헷갈리지 않도록 주의하자. 특히 [[태광그룹]]이나 주식회사 [[태광]]과는 같은 부산, 경남지역에 터를 잡고 있다는 공통점이 있다. == 계열사 == * TKG태광 그룹의 모태이자 핵심 회사. 연구개발·영업을 담당하는 국내 본사에는 대략 1,000여 명이 종사하나 베트남을 중심으로 국외 생산공장을 전부 합치면 무려 70,000명을 고용하고 있다. 사업구조 자체는 [[나이키]] 단일 거래처에 의존하며 2020년 기준 2조 3,000억의 매출에 영업이익 1,800억인 알짜회사다. 한국에서는 [[참여정부]] 당시 [[박연차 게이트|정치 스캔들]]에 연루되어 영 좋지 않은 이미지로 남아있지만, 베트남에서는 공산당 최고지도자가 수시로 방문하며 외국계 기업에 주어지는 온갖 좋은 표창을 두루 수상하는 등 고용 규모만큼이나 대단히 좋은 대접을 받고 있다. 소위 베트남 1세대 한국 기업의 대표주자이며 2010년대 들어서는 신발 제조뿐만 아니라 민자발전·비료 등 베트남 내에서 신사업에도 적극 진출하고 있다. * [[TKG휴켐스]] 농협 [[남해화학]]의 자회사였다가 TKG태광 측에서 인수, 이 인수 건도 말이 좀 많았다. 농협의 자회사였던 남해화학에서 2002년 분리되었으며 2006년 박연차에게 인수되었다. 이때 박연차는 인수대금의 일부를 세종증권 매각비리를 통해 조달했다고 한다. 인수될때도 박연차가 제시한 1,777억에서 322억을 이유없이 깎아줘서 특혜매각 시비가 나왔다. 덤으로 휴켐스 인수 전 휴켐스 주식을 84억원어치를 미리 사들여 시세차익 70억을 얻었다는 미공개정보이용 의혹도 있다. 이런 알짜회사를 농협이 왜 헐값에 매각했는지는 [[박연차]]가 어떤 사람이었는지 보면 알것이다. 참여정부 말에 남해화학 또한 인수하려 시도했으나 2007년 대선 전후로 포기한다. 자세한 사업구조는 [[https://www.snek.ai/alpha/article/108631|이 글을]] 참고하면 좋다. 2021년 기준 연매출 8,610억에 영업이익 930억에 이르는 알짜회사다. 정밀화학을 주력으로 삼고 있으며 주요 생산품으로 DNT, MNB, 질산 등이 있다고 한다. 국내에는 [[여수시]]에 공장이 있다. 2022년 3월부로 사명을 휴켐스에서 TKG휴켐스로 변경했다. * [[TKG에코머티리얼]] 구 대우인터내셔널 부산공장. 구 사명였던 정산인터내셔널에서 정산은 [[박연차]] 회장의 호(號)에서 따왔다고.[[http://www.thebell.co.kr/front/free/contents/news/article_view.asp?key=201401030100004020000258|#]] 섬유와 인공피혁 제품을 생산한다. TKG태광의 본업인 신발류와 사업적 연관성이 매우 밀접한 편. 2021년 기준 1,200억의 매출과 -220억의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2021년 12월부로 사명을 정산인터내셔널에서 TKG에코머티리얼로 변경했다. * [[한국발전기술]] [[한국남동발전]] 자회사였으나 [[민영화]] 되었다. 자세한 내용은 [[http://stock.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14051953831#AA.8685937.1|기사]]를 참고하기 바람. 외형 자체는 그리 크지 않으나 상당한 알짜 회사고 TKG태광이 베트남 화력발전에 진출하면서 중요한 역할을 맡게 될 것으로 추정. == 지배구조 == || 주주명 || 지분율 || 비고 ||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박주환 || 45.74%|| [* 상속세 납부로 인해 일부 지분을 매각하면서 보유 비중이 줄어들었다.] ||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기획재정부]] || 13.72%|| [* [[기획재정부]]가 지분을 보유하고 있는 이유는 [[박연차]] 전 회장의 일가족이 [[상속세]] 절반을 관할당국인 [[기획재정부]]에 현금 대신 증권으로 물납했기 때문이다. 여담으로 2022년 6월 [[기획재정부]]와 [[한국자산관리공사]]가 제3회 국세물납기업 투자설명회에서 TKG태광의 주식을 우량 물납기업 주식으로 소개했다. 하지만 TKG태광 물납 주식은 아직 거래 보류 상태인데, 상속세 최종 확정이 아직 이뤄지지 않아 [[국세청]]에서 거래 보류를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박선영 || 3.41%|| ||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정산장학재단 || 1.63%|| ||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신정화 || 0.02%|| ||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박주영 || 0.01%|| || ||<-3> 2023년 6월 30일 기준.[[https://dart.fss.or.kr/navi/searchNavi.do?naviCrpCik=00153418&naviCrpNm=티케이지태광&naviCode=C001|#]] || == 기타 == 그 외에도 부산 지역에 다수의 [[골프장]]을 운영하고 있는 듯하다. 한국 국내와 해외 진출지역(주로 베트남)의 대우가 극과 극인 기업 중 하나이다. [[인제대학교]] [[인제대학교/캠퍼스|김해캠퍼스]] 내에 위치한 정산재(인현재) 고시원 준공 당시 건축기금의 절반을 기부한 이력이 있다. 대중에게는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한국은 섬유·피혁 [[OEM]] 분야에서 유수의 기업들이 다수 존재하는 국가이기도 한데 TKG태광을 포함해서 비슷한 포트폴리오를 갖춘 유명기업으로는 창신INC 및 [[르까프|화승]](신발)·시몬느액세서리컬렉션(핸드백)·영원무역 및 한세실업(의류) 등이 있다. [[분류:1980년 설립]][[분류:대한민국의 체육용품 제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