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린토시테시구레)] ||<-3> [[파일:tk_sigure_solo_logo_white.svg|width=300]]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TK_FirstDeath_profile.jpg|width=100%]]}}} || ||<-2> '''{{{#white 활동명}}}''' ||<-2> '''TK''' ---- TK from 凛として時雨[br]TK from Ling Tosite Sigure^^{{{-2 ([[영어]])}}}^^[br]TK from 린토시테시구레^^{{{-2 ([[한국어]])}}}^^ || ||<-2> '''{{{#white 본명}}}''' ||{{{#white 키타지마 토오루([ruby(北, ruby=きた)][ruby(嶋, ruby=じま)] [ruby(徹, ruby=とおる)])}}}[* 활동명인 TK는 본명을 영문 표기한 Toru Kitajima의 이니셜을 따왔다.]|| ||<|2><-2> '''{{{#white 출생}}}''' ||[[1982년]] [[12월 23일]],,([age(1982-12-23)]세),, || ||[[일본]] [[도쿄도]] [[마치다시]][* 밴드 멤버 중 유일하게 사이타마 출신이 아니다.] || ||<-2> '''{{{#white 소속밴드}}}''' ||[[린토시테시구레]] || ||<-2> '''{{{#white 학력}}}''' ||[[토요대학]]|| ||<-2> '''{{{#white 사이트}}}''' ||[[http://tkofficial.jp/| [[파일:tk_sigure_solo_logo.png|width=120]]]] | [[https://tkofficial.jp/s/n150/page/fc-top?ima=2423| [[파일:kalappo lab_logo.png|width=100]]]] {{{-3 공식 팬클럽}}}[br] [[https://www.facebook.com/tkfromlingtositesigure.official|[[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4]]]] | [[https://www.instagram.com/tk_snsfakeshow/|[[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4]]]] | [[https://m.weibo.cn/u/6365924339|[[파일:시나 웨이보 아이콘.svg|width=24]]]] || [목차] == 소개 == '''TK'''는 일본의 3인조 혼성 밴드 '린토시테시구레(凛として時雨)'에서 기타 연주와 보컬을 맡고 있으며, 솔로활동도 겸하는 가수이자 기타리스트이다. 밴드와 솔로 활동의 모든 노래를 자신이 직접 작사, 작곡을 하고 있으며 곡의 믹싱, 마스터링 등에도 직접 참여하고 있다. 그 외에 타 아티스트에게 곡을 제공하는 작곡가이자 프로듀서이기도 하다. == 데뷔 이전 == 어렸을 땐, 부모님으로부터 피아노와 습자 등을 교육받았으나, 억지로 시작한 것이었기에 조금 싫은 감이 있었다고. 그래도 그 뒤로도 피아노를 종종 치곤 했다고 한다. 기타를 시작하게 된 건 고등학생 때로, 본래 가곡에선 보컬의 멜로디밖에 인식하지 못했는데, [[LUNA SEA]]의 [[SUGIZO]]의 기타 연주를 보고 기타 반주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고 한다. 처음 연주한 기타는 포크 밴드를 하고 있던 아버지의 어쿠스틱 기타였다고 한다. 일렉기타는 나중에 아버지와 함께 오챠노미즈에 있는 악기점에 가서 샀다고. 그리고 [[B'z]] 또한 음악관에 큰 영향을 끼쳤다고 한다. 그 외 음악적 근원을 말하자면, 밴드를 막 시작했을 무렵, 누나가 영국으로 유학을 갔을 때 부모님께서 사회 공부를 하고 오라고 본인도 같이 보냈는데 영어도 못하고 지루하게 느껴져 즐겁진 않았으나, 돌아와보니 본 적 없는 걸 봤다는 위화감과 마음에 차갑게 무언가가 꽂혀 있는 느낌이 있었고, 그것이 린토시테시구레의 음의 근원이 되어 있었다고 한다. == 솔로 활동 == 2011년부터 '''TK from 凛として時雨'''[* 일본에선 TK from의 일본식 발음인 てけふろ라는 약칭으로 부르기도 한다.]라는 이름으로 솔로 활동을 시작하였다. 이는 시구레와는 다른 방향성의 음악을 하고 싶어서였기도 하지만 당시 피에르의 부상으로 밴드활동을 잠시 쉬어야 했던 것이 제일 큰 동기이다. TK는 이때도 보컬과 기타 연주를 동시에 담당하며 피아노를 연주할 때도 가끔 있다. 솔로 활동 시 레코딩과 라이브 공연에서 같이 악기들을 연주해주는 멤버가 있으며 대략적인 편성은 다음과 같다. || 드럼 || BOBO[* [[미야비(가수)|미야비]]의 서포트 드러머로 가장 잘 알려져있으며, 이외에도 후지패브릭, [[쿠루리]], [[Vaundy]] 등을 서포트하고 있다.] || ||<|4> 베이스 || 히나타 히데카즈(日向秀和)[* Art-school과 ZAZEN BOYS에서 활동했으며, [[STRAIGHTENER]]와 [[Nothing's Carved In Stone]]의 현 베이시스트. 애칭은 ひなっち(히낫치). 그래서 앨범 크레딧 영문 표기를 보면 HINATCH라고 적혀있다.][* 우연히도 시구레와 NCIS는 애니메이션 [[PSYCHO-PASS]] 1기의 오프닝 노래를 사이좋게 나눠 불렀다.] || || 야마구치 히로 || || TOKIE[* 일본의 전설적인 여성 베이시스트로, [[RIZE]]의 초창기 멤버로도 알려져 있다.] || || 요시다 이치로 불가촉 세계관(吉田一路不可触世界観)[* 히낫치와 마찬가지로 ZAZEN BOYS의 전 베이시스트이다. ZAZEN BOYS를 그만둔 지 얼마 지나지 않아 TK로부터 서포트 제안을 받았다고.] || ||<|6> 피아노/키보드/코러스 || 히라이 마미코 (平井真美子) || || [[https://twitter.com/harupiano|오고 하루나(大古晴菜)]] || || 카타기 키에(片木 希依)[* 재즈밴드 jizue의 피아니스트.] || || 찬마리(ちゃんMARI)[* [[게스노키와미오토메]]의 키보디스트.] || || 카마노 아이(鎌野愛) || || 와쿠이 사라(和久井沙良) || ||<|2> 바이올린/신시사이저 || [[http://www.honoka-sugar.com/|사토 호노카(佐藤帆乃佳)]] || || 스하라 안즈(須原杏) || || 첼로 || 우치다 키린(内田麒麟) || 물론 이 밖의 다른 뮤지션들도 자주 참여하고, 기존 멤버 대신 공연을 하는 경우도 있다. 사실 이 정도면 솔로 활동이 아니라 거의 밴드를 새로 결성했다고 봐도 무방할 정도. 라이브 때, 특히 연말 공연인 경우, 본인 솔로곡 외에도 밴드의 노래를 어쿠스틱으로 재편곡해서 부를 때도 많다. 본인 작곡/작사 명의이니 딱히 문제될 건 없지만. === 라이브 === * 2013년, 에비스 LIQUIDROOM에서 [[amazarashi]]와 대반 라이브를 했다. 아마자라시로선 첫 투맨 공연이었다. * 2017년 Rising Sun Rock Festival에선 [[붐 붐 새틀라이츠]]의 나카노 마사유키[* 후에 밴드의 곡인 [[abnormalize]], [[Enigmatic Feeling]], 그리고 'Who What Who What’의 리믹스를 담당한다.]와 [[http://rsr.wess.co.jp/2017/artists/lineup/profile/83|PANDAS]]라는 그룹을 결성해 프로그래밍 및 보컬을 맡았다. * 2019년 7월 8일 존경하던 [[SUGIZO]]의 탄생 50주년 콘서트에 게스트로 참여했다.[[https://spice.eplus.jp/articles/246375|기사]] * 2019년 8월엔 무려 6년 만에 ROCK IN JAPAN FESTIVAL에 참여했고, 얼마 지나지 않아 Spotify on Summer Sonic 2019에도 참여했다. * [[파일:tk_bi-phase_brain.jpg|width=300]] 2019년 하반기엔 솔로 투어 '''Bi-Phase Brain'''를 'L side'와 'R side'로 나누어 진행했다. 'L side'는 [[도쿄구울]]의 주제가를 맡은 적이 있던 [[오스트라이히]][* 2기 오프닝 '''無能''' (보컬: 카마노 아이(鎌野愛)), re: 2기 엔딩 '''楽園の君''' (보컬: [[cinema staff]]의 이이다 미즈키(飯田瑞規))][* österreich로서는 첫 라이브였다. 이 공연에는 두 보컬을 포함해 [[cinema staff]]의 베이시스트 미시마 소헤이(三島想平)도 서포트로 참여했다.], [[Cö shu Nie]][* re: 1기 오프닝 '''asphyxia''']와 대반 라이브를 했다. --사실상 도쿄구울 정모-- 'R side'는 과거 솔로곡들과 린토시테시구레를 어쿠스틱으로 재편성해서 공연했으며 게스트 보컬로 안도 유코(安藤裕子)가 참여했다. * 2020년 8월 8일, 코로나 바이러스로 투어가 무기한 연기되면서 '''TK from 凛として時雨 Studio Live for "SAINOU" '''란 이름으로 유료 온라인 라이브를 하였다. 일본 한정으로 단기간 극장 상영도 하였다. * 비정기적으로 error for 0라는 제목으로 대반 라이브를 개최한다. || vol. 1 || 2016 || [[the HIATUS]] || || vol. 2 ||<|2> 2017 || [[Aimer(가수)|Aimer]] || || vol. 3 || [[Syrup16g]] || || vol. 4 || 2018 || ACIDMAN || ||<|3> vol. 5 ||<|3> 2022 || [[SiM(밴드)|SiM]] || || [[yama]] || || XIIX || === 미디어 === * 2020 * 2021 * 2022 == 음악적 특징 == === 보컬 === 보통은 두성으로 내는 고음역대를 높은 믹스보이스로 낸다.[* 두성은 가성의 음색으로 쓰는 것으로 보이며, 여기서의 믹스보이스는 일반인 기준 두성과 중성 사이의 성대를 갖다가 F4~C5를 흉성처럼 내는 것 같은 발성을 말한다. 기본적인 믹스보이스 발성으로 두성음역대를 내면 목소리가 가늘어지고 후두가 끝까지 올라가 막히는 듯한 음색이지만 TK의 경우엔 중성, 가성의 음색을 사용하여 음을 더 자연스럽게 올리는 발성을 선택한 것으로 보인다.] 믹스보이스가 가성같은 음색을 가지고 있지만 흉성의 음색과 괴리감이 크지 않다. 아마도 중성의 영향인 듯하다. 가성의 사용빈도가 꽤나 높다, 음색이 날카로워질 때가 많지만 기본적으로는 부드러운 음색을 쓴다. 스크리밍, 데스 보이스를 자주 이용하며 데뷔 이후 15년이 지난 지금까지 음색에 큰 변화가 없는 것이 대단하다. 이 창법과 장르의 특성상 대부분이 고음역대로, [[unravel(노래)|unravel]]만 해도 A#5이다. 곡들의 평균 음역대들이 매우 크게 대조되는 경우가 많다. 어떤 곡은 3, 2후반 옥타브만 사용하기도 하며, 어떤 곡은 F2까지 내리기도 하고, 진성의 최저음보다 가성의 최저음이 낮은 곡도 있다. 고음역대를 매우 자주 쓰는 것으로 유명하며, [[abnormalize]]만 해도 최고음이 A5다. 덕분에 일본 남성 고음역대 보컬리스트를 꼽으면 늘 순위에 들어간다. 그러나 인터뷰나 메이킹에서 들을 수 있는 그의 실제 목소리는 상당히 낮은 편이다 [[https://twitter.com/pet_anime/status/1212316379539525634?s=20|실제 목소리]]. 사실 그가 이런 날카로운 음색을 갖게 된 원인은 다름 아닌 [[345(린토시테시구레)|345]]이다. 어느 날 합주 도중 345가 TK에게 목소리가 잘 안 들린다고 말을 했더니 TK가 목소리를 한 옥타브 높여서 부르기 시작했다고 한다. 그 이후 계속 이 창법으로 부르고 있다고. 본인도 본인의 이런 특이한 음색을 인지하고 있어서, 다른 아티스트와 협업하는 게 힘들다고 한다. 그래서 듀엣을 하더라도 주로 여가수와 하지, 남가수와 하는 경우는 극히 드물다. 다만 [[NICO Touches the Walls]]의 미츠무라 타츠야와 함께 [[https://www.youtube.com/watch?v=zJbEx50eKfI| NICO Festival에서 ‘aurora(prelude)’를 불렀고]], 그 후 공식적으로 처음 맞이한 남자 게스트 보컬은 掌の世界 셀프 커버를 같이 부른 [[UNISON SQUARE GARDEN]]의 사이토 코스케로 둘 다 여자로 착각할 정도로 하이톤에 각 밴드에서 기타 보컬을 맡고 있다는 공통점이 있다. 2022년 기준 가장 최근에 [[이나바 코시]]를 게스트 보컬을 맞이하였다. 본인 음역대를 고려하여 게스트 보컬을 섭외할 땐 여자는 알토, 남자는 테너 또는 이나바[* 이나바의 경우 팬심이 크게 작용하였지만.]와 같은 테너에 가까운 바리톤 음역대를 소유한 가수를 선호하는 듯하다. 데뷔 초반에는 본인 왈, 노래방에서 연습한 정도가 다여서 노래를 마냥 내지르는 듯이 불러서 가창력이 좋다고 하긴 힘들었다. 애초에 모태가 되는 밴드에서 보컬을 맡았던 건 [[345(린토시테시구레)|345]]였기에 상대적으로 불안정할 수 밖에 없었다. 하지만 성량 조절과 호흡법을 제대로 익혔는지 점점 나아져서 현재의 날카로우면서도 몽환적인 창법을 갖추게 되었다. 그의 특징적인 창법으론 속삭이듯 부르는 위스퍼 창법과 스크리밍 창법이 있다. 극단적으로 대비되는 창법을 구사하지만 라이브에서도 안정적으로 소화해낸다. 흠이 있다면 라이브 때 발음이 좀 굴려 들어가고 끝음처리가 약간 불안하다는 점이지만, 복잡한 기타 연주를 하면서도 안정적으로 노랠 부른다는 걸 감안하면 크게 거슬리는 요소는 아니다. 여담으로 고음을 내거나 샤우팅을 할 때에는 머리를 왔다 갔다 흔드는 경향이 있다. 최근에는 얌전한 편이지만. 그의 음역대를 자세히 알아보고 싶으면 다음 영상들을 참고.[*주의 다만 정확하지 않을 수도 있다.] || [youtube(mPlN--s4SOk)] || [youtube(PdnqmWkqnWI)] || [youtube(Mix1CFvplV0)] || || 1집 flowering || 2집 Fantastic Magic || 3집 white noise || === 기타 연주 === 보컬로서의 목소리 뿐만 아니라 기타리스트로서도 대단하다는 평을 받는다. 딜레이를 사용하여 표현하는 그의 기타톤은 [[U2]]의 [[디 에지|The Edge]]를 떠올리게 하면서도 The Edge보다는 디지털 딜레이의 색깔이 강한 느낌이다. 모던한 크런치톤을 내는 [[Telecaster]]에서 나오는 사운드는 기존 한국에서는 빈티지 텔레캐스터의 사운드가 인기 많았던 점을 고려하면 상당히 새로운 느낌을 주는 기타톤이라 할 수 있다. 또한 빠른 스트로킹을 하다가도 바로 태핑을 바로 하는 주법을 보면 기존의 기타리스트들은 잘 하지 않았기에 참신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어쿠스틱, 일렉 기타 가리지 않고 엄청난 속주가 특징인데, MIYAVI의 서포트 드러머인 BOBO는 속주로는 일본 기타리스트 중에서도 탑클래스일 거라고 평가할 정도이다. 서포트 베이시스트인 요시다 이치로의 말에 따르면 관객들 중 그의 기타 속주를 보고 빠르다고 감탄하는 경우가 많다고. 라이브 도중에 텔레캐스터와 어쿠스틱 기타, 그리고 12현 기타[* haze를 부를 때 주로 사용하는데 일반적인 어쿠스틱 기타 톤을 내나 곡 후반부에선 일렉트릭 기타를 연상케 하는 속주를 하는 것이 특징이다.]를 번갈아가면서 써서 곡의 전개를 바꾸는 것도 특징이다. 최근에는 H9 에펙터를 활용한 특이한 톤도 잘 활용하는데, 대표적으로 laser beamer의 도입부에서 들리는 특이한 소리는 별개의 프로그래밍을 거치지 않고 기타 이펙터로만 뽑아낸 톤이다.[* 여담으로 해당 톤은 어느날 이펙터가 자동으로 그렇게 맞춰져 있어서 만들어졌다고 한다.] 그의 기타 연주의 경지는 like there is tomorrow의 후반부 기타 솔로에서 돋보인다. [youtube(xQMkJpjzhSQ)] 텔레캐스터에 대한 애정이 큰데, 이는 그가 작곡,작사한 노래인 'abnormalize'의 가사 중 'telacastic tac tic'에서와, 노래 'テレキャスターの真実(텔레캐스터의 진실)'과 'Telecastic Fake Show'의 제목에서 알 수 있다. 그 외에도 뜬끔없이 가사에 'Telecaster'라는 단어를 많이 넣는다. 실제로 그는 레코딩, 라이브 모두 텔레캐스터만 사용한다. 사실상 TK=Telecaster 라는 공식이 자리 잡았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 가사 === 가사에 '찌른다', '새디스틱', '12[* CD의 지름이라는 추측이 있다. ]', '오렌지'와 같은 알 수 없는 단어를 많이 사용한다. 감각에 맡겨서 가사를 쓰기 때문에 이렇게 본인만 이해할 수 있는 단어들이 많다고 한다. 하지만 팬들에게 그 의미를 강요하고 싶지않고, 자신의 감각을 표현만 할 수 있다면 그걸로 됐다고. 아마 기본적으로 보컬도 밴드의 악기로 취급해서 그런 모양이다. 그래도 기본적으로 가사를 많이 신경쓰고 있다고 하며 오히려 가사를 쓰는 데에 시간이 많이 들어서 고민이라고. 솔로 작품의 가사는 밴드의 곡보단 가사가 좀 더 직설적인 편이다. 타이업 곡의 경우엔 작품과 연결된 말장난을 많이 넣는다. || 곡명 || 타이업 작품 || 가사 || 해설 || || [[Enigmatic Feeling]] || [[PSYCHO-PASS 2]] || 紙一重だろう ('''카미'''히토에다로오 / 종이 한 장이잖아)[br]境界線 神は1人なの?(쿄우카이센 '''카미'''와 히토리나노 / 경계선에 신은 혼자인 거야?) || 종이(紙)와 신(神)의 발음(카미)이 똑같은 걸 이용한 언어유희 || || DIE meets HARD || [[시모키타자와 다이하드]] || '''see more guitars''' (시모기타즈) || 시모기타즈 = '''[[시모키타자와]]'''(下北沢) || || Neighbormind || [[스파이더맨: 파 프롬 홈]] 일본 더빙판 주제가 || 走り出せ '''Tornado Neat Star'''[br]달려나가라 Tornado Neat Star || Tornado Neat Star = '''[[토니 스타크]]''' || || [[will-ill]] || 15주년 기념방송 [[코드 기어스: 반역의 를르슈]] 엔딩 테마 || 失意は共犯[br][ruby(실의, ruby=시츠이)]는 공범 || [[C.C.(코드 기아스)|'''C.C.''']]의 일본식 발음은 "시츠(シーツー)" || [[will-ill]]에선 [[고로아와세]]를 활용한 가사가 돋보인다. >'''七'''つ(''나나''츠, '''7''') → '''禄'''でもない(''로쿠''데모나이, '''6''' → '''命'''(''메이'', '''5''')→ '''失意'''(''시''츠이, '''4''')」 → 「'''見'''つめて(''미''츠메테, '''3''')」、「'''服'''従(''후''쿠슈우, '''2''') → '''意'''識(''이''시키, '''1''')→ 零(''제로'', '''0''') > ---- >'''11'''って冒涜かい? →'''位置'''(''이치니'', 1과 2='''12''') → '''意味'''(''이미'', 1과 3='''13''') → '''意識'''(''이시''키, 1과 4='''14''') → 無限(무한) 1절에선 [[고로아와세]]를 활용해 7부터 시작하여 0까지 카운트다운을 나타내었고, 반대로 2절에선 11부터 15, 즉 무한까지 카운트업을 했다. === 그 외 === 기본적으로 앨범을 '만드는 것'이 아니라 '지금까지 만든 것을 정리하는 것'이라고 여기고 있다. 게다가 본인이 만족하지 않으면 곡을 내놓지 않는다. 앨범이 자주 나오지 않는 것은 거의 이 사람이 원인이다.[* 밴드의 맏형인 [[피에르 나카노]]가 [[https://natalie.mu/music/pp/shigure04|i'mperfect 발매 당시 한 인터뷰]]에서 팬에게서 앨범이 왜 안 나오냐는 질문을 받는 것보다 TK의 기대에 부응할 수 있을까에 더 압력을 받는다고 할 정도니 여간 까다로운 게 아닌 모양이다.][* [[https://natalie.mu/music/pp/tk02/page/1|나탈리와의 'Fantastic Magic' 발매 기념 인터뷰]]에서 취재자가 2014년에는 세 작품(EP contrast, 싱글 unravel, 앨범 Fantastic Magic)을 발매한 것을 언급하자 '지금까지 적었던 것뿐일지도 모른다'고 대답하며 본인도 자각하고 있다는 것을 밝혔다.] 1년에 앨범이 한 개씩 나오고 싱글도 여러 장 나오는 다른 일본 밴드보다는 느린 편이지만 영미권 밴드를 기준으로 보면 평균 정도이다. 작사, 작곡 외에 엔지니어로서도 상당한 실력자이다. 데뷔 때부터 곡의 마스터링과 믹싱에 꾸준히 참여해왔다.[* 믹싱과 마스터링은 음악적 역량과는 별개로 음향 관련 분야이기 때문에 주로 엔지니어가 담당해야 한다. 믹싱은 기술의 발전으로 아티스트 본인이 담당하는 경우가 많아졌지만 마스터링은 여전히 별개의 분야다.] 최근 들어 마스터링 같은 경우에는 전문 엔지니어에게 맡기는 편이지만 그래도 마스터링과 믹싱 과정에서 그의 비중은 상당하다. 밴드와 솔로곡뿐만 아니라 타 아티스트에게 제공한 곡에도 당당히 마스터링 크레딧에 이름을 올렸고[* [[Aimer(가수)|Aimer]]에게 제공한 'us'의 경우, 마스터링 크레딧은 TK 단독이다.], 밴드 멤버인 [[345(린토시테시구레)|345]]가 속한 ti-ti.uu의 EP 'door'의 전곡과 [[피에르 나카노]]가 사이드 프로젝트로 결성한 밴드의 일부 곡의 엔지니어링을 담당했다. 싱글컷된 곡이나 베스트 앨범에 재수록되는 곡들을 앨범에 재수록될 때 리믹스까지는 아니더라도 조금씩 믹싱에 수정을 가해서 넣는데, 자세히 들어보면 사운드나 새로운 악기 라인이 추가된 걸 들을 수 있다. 彩脳의 melt와 katharsis 그리고 egomaniac feedback의 Fantastic Magic 등에서 이와 같은 특징이 두드러지는 편. == 사용 악기/장비 == === 기타 === [[파일:TR-PT-LTD.jpg|width=600]] [[쉑터]]에서 제작된 시그네처 프로토 타입(TR-PT-LTD)을 메인으로 사용하고 있다. [[파일:ac_tk_te_wh_sig.png|width=600]] [[쉑터]]에서 나온 자신의 시그네처 프로토 타입에서 무게를 조금 줄여서 제작된 시그네쳐 기타(AC-TK-TE)이다 [[파일:Taylor-712ce.png|width=600]] 어쿠스틱 기타는 [[테일러(악기)|Taylor]] 712ce를 이용한다. [[파일:taylor_655ce.jpg|height=450]] Tremolo +A와 haze를 부를 때 자주 사용하는 12현 기타는 [[테일러(악기)|Taylor]] 655ce이다. [[파일:gibson es 330.jpg|width=600]] [[unravel(노래)|unravel]] n-buna from ヨルシカ Remix 뮤비에서 사용된 [[깁슨]] ES-330으로, 처음으로 텔레캐스터가 아닌 일렉기타를 사용한 케이스이다. 다만 TK 소유는 아니고 n-buna가 뮤비 촬영을 위해 자신의 기타를 빌려준 것. === 이펙터 === TK의 페달보드는 매번 앨범을 낼 때 마다 이펙터가 바뀐다. 따라서 자주 업데이트가 필요한 항목이다. [[파일:tk_pedal.png|width=600]]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tk_pedalboard.png|width=600]]}}} || ||<-3> '''{{{#white 연결순서}}}''' || ||<-2> '''{{{#white 01번}}}''' || Shigemori Muse Overdrive || ||<-2> '''{{{#white 독립}}}''' || Korg DT-10 Digital Pedal Tuner || ||<-2> '''{{{#white 02번}}}''' || Boss LS-2 Line Selector (WAXX Modified) 파란불 || ||<-2> '''{{{#white 02-1}}}''' || TC Electronic Nova Delay || ||<-2> '''{{{#white 03번}}}''' || Boss LS-2 Line Selector (WAXX Modified) 초록불 || ||<-2> '''{{{#white 03-1}}}''' || Boss DA-2 Adaptive Distortion (WAXX Modified) || ||<-2> '''{{{#white 03-2}}}''' || Barbarossa Uranus Overdrive || ||<-2> '''{{{#white 04번}}}''' || Boss LS-2 Line Selector (WAXX Modified) 주황불 || ||<-2> '''{{{#white 04-1}}}''' || Barbarossa Gargoyle Distortion || ||<-2> '''{{{#white 05번}}}''' || Arion SPH-1 Stereo Phaser (WAXX Modified) || ||<-2> '''{{{#white 06번}}}''' || DigiTech XDD DigiDelay || ||<-5>
{{{#white '''정규 4집 彩脳 당시 페달'''}}} || ||<-5>{{{#!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TK_Pedalboard_2020.jpg|width=600]]}}}|| || '''{{{#white 파워 서플라이}}}''' ||<-2> '''{{{#white 멀티 이펙트}}}''' || '''{{{#white [[오버드라이브]]}}}''' || '''{{{#white 튜너}}}''' || || VITAL AUDIO VA-08 MK-11 ||<-2> EVENTIDE H9 || VEMURAM Jan Ray || KORG DT-10RW || || '''{{{#white [[딜레이]]}}}''' || '''{{{#white 페이저}}}''' || '''{{{#white 오버드라이브}}}''' || '''{{{#white 오버드라이브}}}''' || '''{{{#white 루팅박스}}}''' || || DIGITECH Digidelay || ARION SPH-1 WAXX Mod || IBANEZ/VEMURAM TSV808 || 오리지널 오버드라이브 || PROVIDENCE P-4TB || ||<-5> * H9는 P-4TB와 샌드 앤 리턴 방식으로 연결되어 있음 || ||<-2>
{{{#white '''TORNADO Fx'''}}} || ||<-2>{{{#!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VdMMeePCwJc)]}}}|| ||<|2> '''{{{#white [[오버드라이브]]}}}''' || TORNADO Drive Brass || || TORNADO Drive Aluminium || ||<-2> [[https://www.onecontrol.jp/pages/tornadofx|공식 홈페이지]] || TK 감수 하에 이펙터 제작사 One Control에서 발매한 시그니처 모델 오버드라이브 페달 라인. 사운드 디자인은 스웨덴의 제작사인 BJF에서 담당하였다. === 앰프 === [[파일:65_twin_reverb.jpg|width=450]] Fender '65 Twin Reverb을 메인으로 사용한다. == [[TK(린토시테시구레)/음반 목록|솔로 음반 목록]]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TK from 린토시테시구레/음반 목록)] == 저서 == || 제목 || 출판일 || 출판사 || 비고 || || '''ゆれる''' || 2023.06.21 || [[KADOKAWA]] || 에세이집 || == 악곡 제공/ 프로덕션 참여 == || {{{#000000 아티스트명}}} || {{{#000000 곡명}}} || {{{#000000 참여 내역}}} || {{{#000000 비고}}} || ||<|2> [[acid android]] || Mode Inversion || 기타 || || || Switch (TK Remix) || 리믹스 || || || 나스 아사코 {{{-3 (南壽あさ子)}}} || みるいろの星 || 사운드 프로듀스, 편곡, 스트링스 편곡[* 서포트 바이올리니스트인 사토 호노카와 공동 편곡], 기타, 프로그래밍, 레코딩, 믹싱 || || || Spangle Call Lilli Line || Nano(TK Kaleidoscope Remix) || 리믹스, 기타 || || || [[DIR EN GREY#s-4.1|sukekiyo]] || Zephyr(TK Remix) || 리믹스 참여, 기타 || || ||<|2> [[SMAP]] || 掌の世界[br]{{{#9e9e9e {{{-3 손바닥의 세계}}}}}} || 작사, 작곡, 프로듀싱 || || || Dramatic Starlight || 작사, 작곡, 프로듀싱 || || ||<|3> [[Aimer(가수)|Aimer]] || [[daydream(Aimer)#us|us]] || 작곡, 작사, 편곡, 프로듀싱, 레코딩 및 믹싱, 프로그래밍, 기타, 마스터링, 코러스 || || || [[daydream(Aimer)#声色|声色]][br]{{{-3 {{{#9e9e9e 음색}}}}}} || 작곡, 작사, 편곡, 프로듀싱, 레코딩 및 믹싱, 프로그래밍, 기타 || || || Stand By You || 작곡, 작사, 편곡, 프로듀싱, 레코딩, 믹싱, 프로그래밍, 기타, 코러스 || || ||<|2> [[안도 유코]] || Last Eye || 작곡, 프로듀싱 || || 空想の恋人[br]{{{#9e9e9e {{{-3 공상의 연인}}}}}} || 기타 || || || [[오모리 세이코]] || Draw (A) Drow || 작곡, 편곡, 프로듀싱, 기타 || || || 眩暈SIREN || image _____ || 편곡, 음향 엔지니어링 || [[펫(만화)|pet]] TVA 엔딩 주제가 || || [[εpsilonΦ]] || 光の悪魔 [br]{{{-3 {{{#9e9e9e 빛의 악마}}}}}} || 작사, 작곡, 편곡 || [* 곡이 선공개되었고 4월 29일 유튜브 라이브로 작곡, 작사 참여한 것이 공개되었다.] || || [[리부]] || unforever || 작사, 작곡, 편곡, 프로듀싱 || [[요괴인간 벰#s-4|극장판 BEM ~BECOME HUMAN~]] 엔딩 주제가 || || [[하야미 사오리]] || Awake || 작곡, 편곡 || [[RWBY 빙설제국]] 엔딩 주제가 || || [[토야마 나오]] || de messiah || 작곡, 작사, 편곡 || [[기가P|Giga]]와 공동 편곡[br][[용사, 그만둡니다(애니메이션)|용사, 그만둡니다(애니메이션)]] 8화 엔딩 주제가 || || [[Afterglow(BanG Dream!)|Afterglow]][* 악곡 제공 이전 [[unravel(노래)|unravel]]이 [[Morfonica]]에 의해 커버된 적이 있다. 공교롭게도 해당 밴드의 바이올리니스트인 [[Ayasa]]는 2016년 Secret Sensation라는 곡의 바이올린 세션으로 참여한 적이 있다.] || [[独創収差]] || 작곡, 작사, 편곡 || || || [[BiSH|아이나 디 엔드]] || Red:birthmark || 작곡, 작사, 편곡 || [[기동전사 건담 수성의 마녀]] 시즌 2 엔딩 주제가 || || [[모리 칼리오페]] || six feet under || 작곡, 일본어 작사[* 랩파트와 영어 작사는 모리 칼리오페가 맡았다.], 편곡 || || || [[ALKALOID]] || Black Out See Saw || 작곡, 작사, 편곡 || || 상기된 목록 이외 더 자세한 참여작 목록은 [[https://tkofficial.jp/s/n150/diary/works/list?ima=3939|링크]] 참조. == 타이업 == || {{{#000000 곡명}}} || {{{#000000 타이업 작품}}} || {{{#000000 비고}}} || || kalei de scope || JRA 2013 CM || || ||<|3> [[unravel(노래)|unravel]] || [[도쿄 구울/애니메이션]] 1기 오프닝 테마 || || || [[도쿄 구울/애니메이션|도쿄구울 루트에이]] 최종화 삽입곡 || 어쿠스틱 버전 || || [[이시다 스이]]전[ 東京喰種 ▶ [[JACKJEANNE]] 테마송 || [[n-buna]] 리믹스 || || Fantastic Magic || [[닌자 슬레이어 프롬 애니메이시욘]] 15화 엔딩 주제가 || || [[https://m.youtube.com/watch?v=BhcjTfyBnNI|kanazawan]] || suzuki takayuki[* TK의 의상을 담당하는 디자이너] 콜라보 || [* TK 솔로 라이브 SE로도 활용되는 BGM이다.] || || Signal || [[91Days]] 오프닝 주제가 || || ||<-2> [[소니 아이보]]X아티스트 콜라보 No.4 || [[https://www.instagram.com/p/CC0MPb6h5Hf/|영상 링크]] || || [[katharsis]] || 도쿄구울 re: TVA 최종장 오프닝 테마 || || || 蝶の飛ぶ水槽 || pet TVA 오프닝 테마 || || || P.S. RED I || 스파이더맨: 뉴 유니버스 일본개봉판 주제가 || || || Dramatic Slow Motion (Reconstructed 2020) || 콘텐츠 스튜디오 CHOCOLATE Inc. feat.CARS 프로젝트 타이업 || || || [[https://headstokyo.com/4207|Home And Dry]] || HEADS TOKYO 영상작품 || || || [[will-ill]] || [[코드 기어스: 반역의 를르슈]] 15주년 재방송 엔딩 주제가 || || || [[https://headstokyo.com/6443|ECHO]] || HEADS TOKYO 영상작품 || || || [[Scratch (with 이나바 코시)]] || [[매직 더 개더링]] [[카미가와: 네온 왕조]] [[https://youtu.be/Z7oS2IjkJEI|일본판 CM]]송 || [[이나바 코시]] 게스트 보컬 || || [[first death]] || [[체인소 맨/애니메이션|체인소 맨]] 8화 엔딩 주제가 || || == 여담 == * 자신이 작곡한 음악의 분위기와는 달리 본인은 격렬한 음악은 잘 듣지 않는다고 한다. 오히려 [[오다 카즈마사]] 같은 대중적인 음악을 자주 듣는다고 한다. 그리고 보컬이 없는 피아노 곡을 주로 듣는다고. 이에 대해 본인은 '듣고 즐기는 음악과 연주하는 음악은 별개'라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그래서인지 솔로 명의로 낸 앨범에서는 발라드의 비중이 큰 편이다. 덧붙여 서양 음악도 그다지 좋아하지 않는다고 밝힌 적이 있다. 물론 어디까지나 자국 음악을 더 선호한다는 거지, 보편적으로 음악 취향은 열려있다. 최근에는 스트리밍으로 셔플해서 다양한 장르의 음악을 접한다고. 최근 들어 [[방탄소년단]]의 [[Dynamite]]가 좋았는지 인스타 스토리에 올리고 굿즈명에 인용하기도 했다. * 기타와 피아노, 베이스를 연주할 줄 앎에도 불구하고 희한하게도 악보는 볼 줄 모른다고 한다. 사실 악보를 볼 줄 모르는 뮤지션은 꽤 많지만 피아노도 친다는 점에선 상당히 특이한 점이다. * [[팬케이크]]와 커피를 매우 좋아한다. 매번 인스타그램에 팬케이크를 구운 사진을 올리고 작업할 땐 꼭 커피를 마신다고. * 2010년 이후로 [[애니메이션 음악]]을 만들고 성우나 버츄얼 유튜버에게 곡 제공을 하는 등 서브컬처에서 많은 곡 작업을 하나, 정작 본인은 만화나 애니메이션에 그다지 흥미가 없다고 한다. 때문에 [[PSYCHO-PASS]]의 관련 기획을 처음 전달 받았을 때는 깜짝 놀랐다거나, [[도쿄 구울]]의 작가인 [[이시다 스이]]의 오퍼를 받았을 때는 접해본 적이 없는 작품이라 곧장 원작을 읽는 것부터 시작했다고 밝히기도 했다. 반대로 밴드 내 멤버인 피에르는 상당한 덕력을 가졌다. * 상술한 애니메이션 외에도 TV도 잘 안 보고 책도 안 읽는 편이라고 한다. [[KADOKAWA]] 편집부 직원으로부터 에세이 출판을 제안받았을 때 의아할 정도였다고. * 친한 뮤지션으로는 동창생이기도 한 Art-school과 [[MONOEYES]]의 기타리스트인 토다카 마사후미(戸高賢史)가 있다. 배우 [[아야노 고]]와도 친해서 가끔씩 인스타그램에 서로를 언급하는 편. 이 외에도 코미디언 겸 작가인 마타요시 나오키와도 교류가 있다. * 크레딧에 이름을 올리진 않았지만 영화 음악감독을 맡아본 적이 있다고 한다.[* 이외에도 半分の月がのぼる空라는 영화의 극중 음악 제공을 한 적이 있다.] * 사인이 매우 특이하게 생겼다. 345는 본인 얼굴을 그린 거고, 피에르는 드럼을 두들기는 포즈를 그린 거지만, TK는 정체모를 인면견을 그려놓았다. * 취미는 사진 촬영. 공식 홈페이지에 따로 포토로그를 만들어 둘 정도로 꽤나 좋아하는 것 같다. 가사에 필름이란 단어도 많이 들어가고 곡을 만들 때는 사진 찍을 때의 감각도 살려서 한다고 한다. 실력도 상당한 편이라서 앨범 가사집의 배경에는 항상 TK가 찍은 사진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첫 번째 솔로 EP인 'contrast'에서는 직접 찍은 사진이 아예 [[앨범 아트]]로 사용되었으며, 종종 음반의 한정반 특전으로 증정되는 포토 북은 대부분 TK가 찍은 사진을 실은 것이다. 그리고 멤버들 중 가장 늦게 인스타그램 계정을 만들면서[* 꾸준한 음악 활동과는 별개로 다른 멤버와는 달리 소셜 미디어 쪽으로는 소식이 전무해서 스태프한테서 한소리 들었다고.] 사진을 --신나게-- 올리고 있다. 특이하게도 [[이안 반사식 카메라]]를 사용하는 모습이 많이 보인다. * 솔로 작품의 경우엔 주로 해외 스튜디오에서 작업하기도 하고, 해외 여행이 취미이기도 해서 해외 풍경 사진도 많이 올린다. * [[펭귄]]을 매우 좋아한다. 인디시절 블로그에 적힌 바로는 사랑에 빠졌다고. 공식 굿즈(기타 피크, 스티커, 티셔츠 [[https://twitter.com/sigure_official/status/1179267425101066241|LINE 스티커]] 등)에 펭귄이 그려져 있는 경우가 많다. [[Aimer(가수)|Aimer]]가 합동 공연 "error for 0 vol.2"에서 말하기로는, 스튜디오 곳곳에 펭귄이 있었다고 한다. 급기야 아예 공식 굿즈로 20cm짜리 펭귄 인형을 프로듀스하였다.[* 워낙 맘에 들었는지 한동안 彩脳 프로모션 기간에 이 인형을 가지고 온갖 영상을 찍었다(...)] 참고로 이 펭귄의 이름은 TKPG('''TK''' '''P'''EN'''G'''UIN) ||
[[파일:TKPG_official.jpg|width=100%]] || * 데뷔 이전에는 [[B'z]]의 곡을 카피한 적이 있으며, 일본 아카펠라 그룹인 고스페라즈의 팬 클럽에 가입한 적도 있다. * 해외에서는 [[unravel(노래)|unravel]]의 대흥행으로 밴드 내 멤버 중은 물론이고 일본 아티스트 중에서도 꽤 인지도가 높지만, 정작 일본 내에서는 같은 예명을 쓰는 [[코무로 테츠야|일본 대중 음악계 거물]]이 있어서 마토메나 2ch 등에서 자주 혼동된다. * 제일 처음 만들었던 곡은 시구레의 첫 번째 앨범 [[린토시테시구레/음반 목록#s-3.1|#4]]에 수록된 '선명한 살인(鮮やかな殺人)'이라고 한다. * 오른쪽 귀가 잠깐 안들렸던 적이 있다고 한다. (Secret Sensation 발매 당시 출연한 라디오에서 밝힌 이야기) 귀 수술을 받고 현재는 잘 들린다고. 여담으로 팬들 사이에선 Secret Sensation의 수록곡 ear+f (합치면 fear)가 이 사정을 안고 있는 곡이 아니냐는 추측이 돌았다. * 인생 최저 몸무게는 51kg이라고 한다. 신장은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본인 피셜 172cm인 피에르 나카노가 TK의 키가 자신과 비슷하다고 발언한 적이 있다. [[게스노키와미오토메]]의 ちゃんMARI와 나란히 서서 찍은 [[https://www.instagram.com/p/B86ZnKlhWbb/?img_index=1|사진]]이 있는데 그녀의 키가 148cm쯤이고 사진상 TK가 머리 하나 정도 더 크다커보이는 걸 바탕으로 대충이나마 신장를 추정할 수 있다. == 역대 솔로 프로필 이미지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TK_fAm_profile.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TK_flowering_profile.webp|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TK_contrast_profile.webp|width=100%]]}}} || || || film A moment || flowering || contrast || unravel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tk11.jpg|width=100%]]}}} || || || || || Fantastic Magic || Secret Sensation || Signal・white silence || error for zero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TK_katharsis_profile.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TK_201903.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tk_melt.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tk_2020_profile.jpg|width=100%]]}}} || || katharsis || P.S. RED I || melt || 蝶の飛ぶ水槽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E3EAFD0-64CF-44E0-A655-2AAB00E916EE.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TK_AcoustiqueElectrickNo2.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TK_yesworld.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TK_EgomaniacFeedback_Profile.jpg|width=100%]]}}} || || 彩脳 || Acoustique Electrick Sessions for 0 || yesworld || egomaniac feedback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TK Sigure 2022.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TK_FirstDeath_profile.jpg|width=100%]]}}} || || || || Scratch / As Long As I Love || first death || || || [[분류:TK(린토시테시구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