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EXO)] ||<-5>
{{{#E9A011 '''[[EXO|{{{#E9A011 EXO}}}]] 음반 리스트'''}}} || || {{{#fff '''겨울 3집'''[br]'''[[For Life|{{{#!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color: #fff; font-size: 0.865em; color: #9B9BA5; letter-spacing: -0.2px" '''For Life'''}}}]]'''[br]{{{-2 (2016)}}}}}} || → || {{{#fff '''정규 4집'''[br]'''[[THE WAR|{{{#!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color: #fff; font-size: 0.865em; color: #fff; letter-spacing: -0.2px" '''{{{#50A164 THE}}} {{{#E28513 WAR}}}'''}}}]]'''[br]{{{-2 (2017)}}}}}} || → || {{{#ffec01 '''정규 4집 리패키지'''}}}[br][[The Power of Music|{{{#!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color: #ffec01; font-size: 0.865em; color: #283583; letter-spacing: -0.2px" '''The Power of Music'''}}}]][br]{{{#ffec01 (2017)}}} || ||<-3>
'''{{{#439356 [[파일:the war logo.png|height=50]][br]{{{#E9A011 The 4th Album}}}}}}'''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THE WAR (Korean Ver.).jpg|width=100%]]}}} || ||<-3> '''{{{#439356 EXO 정규 4집}}}''' || || '''{{{#439356 발매일}}}''' ||<-2> [[2017년]] [[7월 18일]] || || '''{{{#439356 프로듀서}}}''' ||<-2> [[이수만]] || || '''{{{#439356 기획사}}}''' ||<-2> [[SM엔터테인먼트|{{{#!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1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color: #ffffff" [[파일:SM엔터테인먼트 로고.svg|width=50]]}}}]] || || '''{{{#439356 유통사}}}''' ||<-2> [[드림어스|{{{#!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1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color: #ffffff" [[파일:드림어스 로고.svg|height=20]]}}}]] || ||<|2> '''{{{#439356 곡수}}}'''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2> 9곡 || || [include(틀:국기, 국명=중국, 출력= )] || || '''{{{#439356 재생시간}}}''' ||<-2> 1:02:44 || ||<|2> '''{{{#439356 타이틀곡}}}'''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 '''Ko Ko Bop''' || || [include(틀:국기, 국명=중국, 출력= )] || '''叩叩趴 (Ko Ko Bop)''' || || '''{{{#439356 리패키지}}}''' ||<-2> [[The Power of Music|THE WAR: The Power of Music]] || [목차] [clearfix] == 개요 == [[2017년]] [[7월 18일]]에 발매된 [[EXO]]의 네 번째 정규 앨범이다. 7월 25일 초동 60만장으로 당시 역대 아이돌 초동 1위를 기록하였다. 또한 8월 14일 한국어판과 중국어판을 합산해 가온차트 기준으로 '''판매량이 100만장을 돌파'''함으로써 4장의 정규 앨범이 연속으로 100만장을 돌파한 '''쿼드러플 밀리언셀러(Quadruple Million Seller)'''를 기록하였다. 이 음반은 기존과 달리 리패키지 음반의 합산 없이 이루어낸 밀리언셀러라 그 의미가 더 컸다.[[http://m.entertain.naver.com/read?oid=076&aid=0003136754|기사]] == 앨범 소개 == || {{{#50A164,#fff ''' ‘왕의 귀환’ 글로벌 대세 EXO 컴백!''' '''정규 4집 앨범 ‘THE WAR’ 공개!''' {{{-1 초특급 글로벌 대세 EXO가 정규 4집 앨범 ‘THE WAR’로 컴백, 또 한번 가요계 평정에 나선다. EXO는 정규 4집 앨범 ‘THE WAR’의 전곡 음원을 공개하고 본격적인 활동에 돌입할 예정이어서, 글로벌 음악 팬들의 폭발적인 호응을 얻을 전망이다. 특히, 정규 4집 ‘THE WAR’는 데뷔 때부터 이어오던 EXO 세계관의 새로운 시작을 알리는 앨범으로, EXO의 색다른 음악 스타일을 만날 수 있는 타이틀 곡 ‘Ko Ko Bop’을 비롯한 총 9곡이 수록되어 있어, EXO의 새로운 음악과 무대에 대한 궁금증이 증폭되고 있다. 또한 이번 앨범에는 'Monster', ‘늑대와 미녀’, ‘중독’ 등을 통해 EXO와 환상적인 호흡을 보여준 인기 작곡가 켄지(kenzie)와 세계적인 프로듀서팀 더 언더독스(The Underdogs), 영국 출신 핫 프로듀서팀 런던노이즈(LDN Noise), 미국 출신 프로덕션팀 마즈뮤직(MARZ Music), ‘Jason Derulo’, ‘Flo Rida’ 등 해외 유명 아티스트의 곡을 작업한 미국 출신 프로듀서 듀오 더 플립톤즈(The Fliptones), 실력파 싱어송라이터 헨리 등 히트메이커들이 함께 작업함은 물론, 멤버 첸, 찬열, 백현도 작사에 참여해 앨범의 완성도를 한층 높였다. 더불어 EXO는 정규 1, 2, 3집 모두 앨범 판매량 100만장을 돌파해 트리플 밀리언셀러에 등극했음은 물론, 발표하는 앨범마다 국내외 각종 음원 및 음반 차트, 음악 방송 1위 싹쓸이, 가요 시상식에서 4년 연속 ‘대상’을 석권하는 기염을 토했으며, ‘으르렁 (Growl)’, ‘중독 (Overdose)’, ‘CALL ME BABY’, ‘Monster’, ‘늑대와 미녀 (Wolf)’ 등 5개의 뮤직비디오가 유튜브 조회수 1억뷰를 돌파하는 등 눈부신 기록들을 세우고 있다. EXO의 색다른 음악 스타일을 만날 수 있는 타이틀 곡 ‘Ko Ko Bop’! 멤버 첸, 찬열, 백현 작사 참여! 타이틀 곡 ‘Ko Ko Bop’은 리드미컬한 레게 기타와 무게감 있는 베이스 사운드의 조화가 매력적인 에너제틱한 레게 팝 곡으로, 멤버 첸, 찬열, 백현이 작사에 참여, 피할 수 없는 운명적인 전쟁을 앞둔 밤, 수줍어하지 말고 리듬에 따라 춤추며 마지막 이 밤을 함께 하자는 내용을 가사에 담았다. 또한 ‘전야 (前夜) (The Eve)’는 일렉트로 팝 장르의 곡으로, EXO의 새로운 세계관이 시작되는 전쟁의 서막을 알리는 곡이며, 청량한 분위기가 돋보이는 ‘What U do?’는 사랑하는 이에 대한 마음을 솔직 담백하게 표현한 가사가 인상적이다. 더불어 ‘Forever’는 중독성 있는 시그니처 사운드와 808베이스, 강렬한 신디사이저가 인상적인 곡으로, 영원한 사랑한 대한 이야기를 가사에 담았으며, 힙합 R&B 장르의 ‘다이아몬드 (Diamond)’는 인간의 가치를 영원히 변하지 않는 속성을 지닌 다이아몬드에 빗대어 표현한 가사가 눈길을 끈다. 게다가 첸이 작사에 참여한 댄스 곡 ‘너의 손짓 (Touch It)’은 좋아하는 이성의 ‘손짓’ 하나에 어쩔 줄 몰라하는 남자의 모습을 표현한 가사가 돋보이며, 멤버 찬열이 작사와 랩 메이킹에 참여한 ‘소름 (Chill)’은 R&B 댄스 곡으로, 가사에는 한 여인의 아름다움에 끌려 벗어나지 못하는 남자의 마음을 ‘소름이 돋는다’고 재치있게 표현해 듣는 재미를 배가시킨다. 이밖에도 사랑하는 이와 단둘이, 잊고 있던 기억을 따라 걷는 새벽을 그린 가사가 인상적인 팝 R&B 곡 ‘기억을 걷는 밤 (Walk On Memories)’, EXO 두 번째 단독 콘서트 'EXO PLANET #2 - The EXO`luXion -'에서 영상으로 선공개되어 화제를 모은 R&B 댄스 곡 ‘내가 미쳐 (Going Crazy)’ 등 다채로운 장르의 총 9곡이 수록되었다. }}}}}} || == 프로모션 == ## 티저 이미지 공개 시간 기준은 공식 트위터 기준. || {{{#439356 {{{+1 '''THE WAR 프로모션'''}}}}}}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날짜''' || '''시간''' || '''내용''' || '''비고''' || || 2017년 7월 9일 || 00:00 || 공식 홈페이지 변경 || || ||<|2> 2017년 7월 10일 || 00:00 || [[카이(EXO)|카이]] 티저 영상 및 메이킹 공개 || {{{-3 [[https://youtu.be/iwd8N6K-sLk|[[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15]]^^다이아몬드 (Diamond)^^]] [[https://twitter.com/weareoneEXO/status/884066612587839489?s=20|[[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width=15&theme=light]][[파일:X Corp 아이콘(화이트).svg|width=15&theme=dark]]]]}}} || || 10:00 || [[카이(EXO)|카이]] 티저 이미지 공개 || {{{-3 [[https://twitter.com/weareoneEXO/status/884215916321316865?s=20|[[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width=15&theme=light]][[파일:X Corp 아이콘(화이트).svg|width=15&theme=dark]]]]}}} || ||<|2> 2017년 7월 11일 || 00:00 || [[백현]] 티저 영상 및 메이킹 공개 || {{{-3 [[https://youtu.be/Vhg1_wKWnd0|[[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15]]^^Forever^^]] [[https://twitter.com/weareoneEXO/status/884427279643811842?s=20|[[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width=15&theme=light]][[파일:X Corp 아이콘(화이트).svg|width=15&theme=dark]]]]}}} || || 10:00 || [[백현]] 티저 이미지 공개 || {{{-3 [[https://twitter.com/weareoneEXO/status/884578098494136320?s=20|[[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width=15&theme=light]][[파일:X Corp 아이콘(화이트).svg|width=15&theme=dark]]]]}}} || ||<|3> 2017년 7월 12일 || 00:00 || [[찬열]] 티저 영상 및 메이킹 공개 || 소름 (Chill) || || 10:00 || [[찬열]] 티저 이미지 공개 || || || 12:00 || 앨범 사양 공개 || {{{-3 [[http://socdn.smtown.com/upload/starhome/layout/exo/ver12/071212/albumdetails_exo.jpg| ]]}}} || ||<|2> 2017년 7월 13일 || 00:00 || [[세훈]] 티저 영상 및 메이킹 공개 || {{{-3 [[https://youtu.be/S9e8w2gvvvw|[[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15]]^^전야 (前夜) (The Eve)^^]] [[https://twitter.com/weareoneEXO/status/885151838772674560?s=20|[[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width=15&theme=light]][[파일:X Corp 아이콘(화이트).svg|width=15&theme=dark]]]]}}} || || 10:00 || [[세훈]] 티저 이미지 공개 || {{{-3 [[https://twitter.com/weareoneEXO/status/885302793556303876?s=20|[[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width=15&theme=light]][[파일:X Corp 아이콘(화이트).svg|width=15&theme=dark]]]]}}} || ||<|2> 2017년 7월 14일 || 00:00 || [[수호(EXO)|수호]] 티저 영상 및 메이킹 공개 || {{{-3 [[https://youtu.be/Jrq90YnttBE|[[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15]]^^What U do?^^]] [[https://twitter.com/weareoneEXO/status/885514270426910721?s=20|[[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width=15&theme=light]][[파일:X Corp 아이콘(화이트).svg|width=15&theme=dark]]]]}}} || || 10:00 || [[수호(EXO)|수호]] 티저 이미지 공개 || {{{-3 [[https://twitter.com/weareoneEXO/status/885665236769845248?s=20|[[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width=15&theme=light]][[파일:X Corp 아이콘(화이트).svg|width=15&theme=dark]]]]}}} || ||<|2> 2017년 7월 15일 || 00:00 || [[시우민]] 티저 영상 및 메이킹 공개 || {{{-3 [[https://youtu.be/A0j4AmxntAM|[[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15]]^^너의 손짓 (Touch It)^^]] [[https://twitter.com/weareoneEXO/status/885876613333753856?s=20|[[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width=15&theme=light]][[파일:X Corp 아이콘(화이트).svg|width=15&theme=dark]]]]}}} || || 10:00 || [[시우민]] 티저 이미지 공개 || {{{-3 [[https://twitter.com/weareoneEXO/status/886027598177853440?s=20|[[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width=15&theme=light]][[파일:X Corp 아이콘(화이트).svg|width=15&theme=dark]]]]}}} || ||<|2> 2017년 7월 16일 || 00:00 || [[첸(EXO)|첸]] 티저 영상 및 메이킹 공개 || 내가 미쳐 (Going Crazy) || || 10:00 || [[첸(EXO)|첸]] 티저 이미지 공개 || || ||<|2> 2017년 7월 17일 || 00:00 || [[디오(EXO)|디오]] 티저 영상 및 메이킹 공개 || {{{-3 [[https://youtu.be/uhbJ42NYHW8|[[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15]]^^기억을 걷는 밤 (Walk On Memories)^^]] [[https://twitter.com/weareoneEXO/status/886601424020176897?s=20|[[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width=15&theme=light]][[파일:X Corp 아이콘(화이트).svg|width=15&theme=dark]]]]}}} || || 10:00 || [[디오(EXO)|디오]] 티저 이미지 공개 || {{{-3 [[https://twitter.com/weareoneEXO/status/886752384562614272?s=20|[[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width=15&theme=light]][[파일:X Corp 아이콘(화이트).svg|width=15&theme=dark]]]]}}} || ||<|5> 2017년 7월 18일 || 00:00 || 'Ko Ko Bop' MV Teaser || {{{-3 [[https://youtu.be/GAwpIEEK5dU|[[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15]]^^한국어 버전^^]][br][[https://youtu.be/1p-uj3gXo4o|[[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15]]^^중국어 버전^^]]}}} || || 10:00 || 티저 이미지 공개 || {{{-3 [[https://twitter.com/weareoneEXO/status/887114764589182976?s=20|[[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width=15&theme=light]][[파일:X Corp 아이콘(화이트).svg|width=15&theme=dark]]]]}}} || || 18:00 || 음원 및 뮤직비디오 발매 || {{{-3 [[https://youtu.be/IdssuxDdqKk|[[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15]]^^MV^^]]}}} || || 19:00 || 중국어 버전 뮤직비디오 발매 || {{{-3 [[https://youtu.be/60hlfqSe4ZM|[[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15]]^^MV^^]]}}} || || 20:00 || EXO 2017 한 여름밤의 코코밥 || {{{-3 [[https://www.vlive.tv/video/35621|[[파일:V LIVE 아이콘.svg|width=15]]]]}}} || || 2017년 7월 19일 || 00:00 || 오프라인 음반 발매 || || }}}}}}}}} || == 수록곡 == === 한국어판 === ||<-5>
'''{{{#e35e25 The 4th Album (Korean Ver.)}}}[br]{{{#439356 {{{+1 THE WAR}}}}}}''' || ||<-5> {{{#000000 '''[[2017년|{{{#e35e25 2017년}}}]] [[7월 18일|{{{#e35e25 7월 18일}}}]]''' {{{#e35e25 '''발매'''}}}}}} || || {{{#439356 '''트랙'''}}} || {{{#439356 '''곡명'''}}} || {{{#439356 '''작사'''}}} || {{{#439356 '''작곡'''}}} || {{{#439356 '''편곡'''}}} || || '''01''' || 전야 (前夜) (The Eve) || {{{-2 황유빈}}} || {{{-2 Mike Woods, Kevin White, Andrew Bazzi, MZMC, [[헨리(가수)|헨리]]}}} || {{{-2 Rice n` Peas}}} || || '''02''' || '''Ko Ko Bop'''[br]{{{-4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fff,#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e35e25;" TITLE}}}}}} || {{{-2 [[첸(EXO)|첸]], [[찬열]], [[백현]], JQ, 현지원}}} || {{{-2 Kaelyn Behr, Tay Jasper, Shaylen Carroll, MZMC}}} || {{{-2 Styalz Fuego}}} || || '''03''' || What U do? || {{{-2 [[KENZIE]]}}} || {{{-2 [[KENZIE]], Ronny Svendsen, Justin Stein}}} || {{{-2 Ronny Svendsen}}} || || '''04''' || Forever || {{{-2 [[KENZIE]]}}} || {{{-2 [[KENZIE]], LDN Noise, Adrian Mckinnon}}} || {{{-2 LDN Noise}}} || || '''05''' || 다이아몬드 (Diamond) || {{{-2 [[조윤경(작사가)|조윤경]]}}} ||<-2> {{{-2 Harvey Mason Jr., Michael `R!ot` Wyckoff, Britt Burton, Patrick J. Que Smith, Dewain Whitmore}}} || || '''06''' || 너의 손짓 (Touch It) || {{{-2 [[첸(EXO)|첸]], [[조윤경(작사가)|조윤경]]}}} ||<-2> {{{-2 Carlos Battey, Steven Battey, David Delazyn (The Fliptones), Chaz Mishan (The Fliptones), Denzil Remedios, Ryan S.Jhun}}} || || '''07''' || 소름 (Chill) || {{{-2 [[찬열]], [[서지음]]}}} || {{{-2 Darius Bryant, Julien Maurice Moore, [[G.Soul]], Tay Jasper, Otha `Vakseen` Davis III, MZMC}}} || {{{-2 Droyd}}} || || '''08''' || 기억을 걷는 밤 (Walk On Memories) || {{{-2 이스란}}} || {{{-2 Justin Reinstein, Wassily Gradovsky}}} || {{{-2 Mussashi, Wassily Gradovsky}}} || || '''09''' || 내가 미쳐 (Going Crazy) || {{{-2 JQ, 서림}}} || {{{-2 [[심재원(안무가)|심재원]], SHAUN, Wilbart `Vedo` McCoy III, Paul `MARZ` Thompson, MZMC, Otha `Vakseen` Davis III}}} || {{{-2 [[심재원(안무가)|심재원]], SHAUN}}} || ==== 전야 (前夜) (The Eve) ==== || {{{-2 {{{#e35e25 '''Track 1 〈전야 (前夜) (The Eve)〉'''}}}}}} || || {{{-1 {{{#fff '''‘전야 (前夜) (The Eve)’는 기타 사운드와 묵직한 베이스 등 락의 요소가 무게감을 더하는 일렉트로 팝 장르로, EXO의 새로운 세계관이 시작되는 전쟁의 서막을 알리는 곡이며, 가사에는 과거의 문제를 바로 잡고 스스로의 힘으로 더 나은 내일을 만들어 가겠다는 의지를 담았다. 실력파 싱어송라이터 헨리를 비롯, Rice n Peas, Andrew Bazzi, MZMC 등이 곡 작업에 함께 참여했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gK8YC0nxNe0)]}}} || || {{{#!folding [ 가사 보기 ] [br]^^''' ALL {{{#1e1a6f 시우민}}} {{{#c3c1ff 수호}}} {{{#ba0f0a 백현}}} {{{#c1b72c 첸}}} {{{#e75fc2 찬열}}} {{{#3f2400 디오}}} {{{#0f620a 카이}}} {{{#e94c00 세훈}}}'''^^ {{{#3f2400 똑바로 봐 What’s the situation 당황한 너의 시선 너머}}} {{{#c1b72c 끝내 무너지는 성벽 차츰 밝아오는 새벽 Yeah uh}}} {{{#e75fc2 끝없이 이어지고 있어 무딘 칼날 끝에 잘라내지 못해}}} {{{#0f620a 계속 반복되는 문제 Yeah 미처 풀지 못한 숙제}}} {{{#ba0f0a 높은 벽 앞에 스러지던 작고 약한 바람 소리가}}} {{{#c3c1ff 뒤엉켜 폭풍처럼 몰아치는 소릴 들어봐}}} {{{#3f2400 깨고 부딪쳐야 해 우릴 볼 수 있도록}}} {{{#0f620a 크게 소리쳐야 해 멀리 번져가도록}}} {{{#c1b72c 여린 빛들이 번져가 긴 어둠을 다 몰아낸 순간}}} {{{#1e1a6f 다시 깨어나야 해 Uh 새로워진 아침에 Oh}}} {{{#ba0f0a 오만한 시선들로 날 봐 이미 다른 출발선 위에 앉아}}} {{{#e94c00 까마득한 거리 Yeah 닿지 않을 듯한 외침}}} {{{#3f2400 짓밟힌 채로 자라나던 간절한 수많은 꿈들이}}} {{{#1e1a6f 보란 듯 담장 너머 피워낸 풍경을 바라봐}}} {{{#c1b72c 깨고 부딪쳐야 해 우릴 볼 수 있도록}}} {{{#e75fc2 크게 소리쳐야 해 멀리 번져가도록}}} {{{#c3c1ff 여린 빛들이 번져가 긴 어둠을 다 몰아낸 순간}}} {{{#3f2400 다시 깨어나야 해}}} {{{#c1b72c (다시 깨어나야 해)}}} {{{#3f2400 새로워진 아침에 Ah}}} {{{#e94c00 왜곡되는 진실 가르쳐진 거짓}}} {{{#ba0f0a 변화의 목소리 파도가 일어}}} {{{#3f2400 전부 집어삼킬 바다를 만든 건 It’s you}}} {{{#c3c1ff 깨고 부딪쳐야 해}}} {{{#3f2400 (해)}}} {{{#c3c1ff 우}}}{{{#3f2400 릴}}} {{{#c3c1ff 볼}}} {{{#3f2400 수}}} {{{#c3c1ff 있}}}{{{#3f2400 도}}}{{{#c3c1ff 록}}} {{{#c1b72c 크게 소리쳐야 해}}} {{{#3f2400 (크게 소리쳐야 해)}}} {{{#c1b72c 멀리 번져가도록}}} {{{#3f2400 (멀리 번져 가도록)}}} {{{#ba0f0a 여린 빛들이 번져가 긴 어둠을 다 몰아낸 순간}}} {{{#3f2400 (빛이 번져 가 몰아낸 순간)}}} {{{#0f620a 다시 깨어나야 해}}} {{{#3f2400 (Yeah)}}} {{{#0f620a 새로}}}{{{#3f2400 워}}}{{{#0f620a 진}}} {{{#3f2400 아}}}{{{#0f620a 침}}}{{{#3f2400 에}}} {{{#0f620a Oh}}} [br]}}} || * 수록곡임에도 댄스 커버 영상이 많이 올라오는 곡이며 엑소의 안무 연습 영상 중 유일하게 '''1억뷰'''를 넘었다. ===== 안무 영상 ===== ||
{{{#439356 ''''전야 (前夜) (The Eve)' Dance Practice'''}}}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b6ycw7p9-bE)]}}}|| ==== Ko Ko Bop ==== || {{{-2 {{{#e35e25 '''Track 2 〈Ko Ko Bop〉'''}}}}}} || || {{{-1 {{{#fff '''영미권 어린이들의 리듬놀이 ‘Down Down Baby’에서 모티브를 얻어 탄생한 이번 타이틀 곡 ‘Ko Ko Bop’은 리드미컬한 레게 기타와 무게감 있는 베이스 사운드의 조화가 매력적인 에너제틱한 레게 팝 곡이다. 멤버 첸, 찬열, 백현이 작사에 참여, 피할 수 없는 운명적인 전쟁을 앞둔 밤, 수줍어하지말고 리듬에 따라 춤추며 마지막 이 밤을 함께 하자는 내용을 담은 가사가 돋보인다.[br]또한 곡명 ‘Ko Ko Bop’은 재미있는 발음을 가진 ‘Ko Ko’와 음악에 맞춰 추는 춤을 의미하는 ‘Bop’이 결합된 단어로, 리듬에 맞춰 신나게 추는 춤이라는 뜻을 부여해 눈길을 끈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J9HqEvgm3CA)]}}} || || {{{#!folding [ 가사 보기 ] [br]^^''' ALL {{{#1e1a6f 시우민}}} {{{#c3c1ff 수호}}} {{{#ba0f0a 백현}}} {{{#c1b72c 첸}}} {{{#e75fc2 찬열}}} {{{#3f2400 디오}}} {{{#0f620a 카이}}} {{{#e94c00 세훈}}}'''^^ {{{#3f2400 Hmm hmm}}} {{{#ba0f0a Shimmie shimmie Ko Ko Bop I think I like it 긴장은 Down down 부끄러 말고}}} {{{#3f2400 어지러운 맘속에 내가 들어가 익숙한 듯 부드럽게 네게 번져 가}}} {{{#1e1a6f Ah woo}}} {{{#c3c1ff 고요한 밤이야}}} {{{#1e1a6f Ah woo}}} {{{#c3c1ff 널 위한 밤이야}}} {{{#0f620a 참을 수가 없어 빠져 가 Yeah yeah 너의 몸짓에 난 취해 가 Yeah yeah}}} {{{#e75fc2 니가 알던 뻔한 모습의 나를 잊어 오늘 숨겨 둔 본능이 Shimmie up}}} {{{#c1b72c It goes down down baby}}} {{{#3f2400 리듬에 온몸을}}} {{{#c1b72c It goes down down baby}}} {{{#3f2400 맡기고}}} {{{#c3c1ff 소}}}{{{#3f2400 리}}}{{{#c3c1ff 쳐}}} {{{#c3c1ff Oh oh oh 우린 Oh oh oh}}} {{{#0f620a We going Ko Ko Bop}}} {{{#e75fc2 Hey}}} {{{#1e1a6f Shimmie shimmie Ko Ko Bop I think I like it 조금씩 Down down 수줍어 말고}}} {{{#e94c00 누가 뭐래도 넌 신경 쓰지 말어 지금 이대로 아름답기만 해 멈춰 버렸음 해 Baby are you down}}} {{{#ba0f0a Ah woo}}} {{{#c1b72c 마지막 밤이야}}} {{{#ba0f0a Ah woo}}} {{{#c1b72c 둘만의 밤이야}}} {{{#c3c1ff 긴장하지 말고 다가와 Yeah yeah 니 모든 걸 내게 맡겨 봐 Yeah yeah}}} {{{#e75fc2 점점 풀려 가는 고삐 더 내려놔 오늘 눈치 보지 말고 Shakin' up}}} {{{#ba0f0a It goes down down baby}}} {{{#c3c1ff 리}}}{{{#c1b72c 듬}}}{{{#c3c1ff 에}}} {{{#c1b72c 온}}}{{{#c3c1ff 몸}}}{{{#c1b72c 을}}} {{{#ba0f0a It goes down down baby}}} {{{#c3c1ff 맡기고 소}}}{{{#c1b72c 리}}}{{{#c3c1ff 쳐}}} {{{#c1b72c Oh oh oh 우린 Oh oh oh}}} {{{#e94c00 Break it down now}}} {{{#e75fc2 Hey}}} {{{#0f620a We go down now}}} Listen {{{#3f2400 밤은 깊어도 더 빛나는 너}}} {{{#3f2400 너의 그 눈빛이}}} {{{#e75fc2 (Yo yo)}}} {{{#3f2400 다 내게 말해}}} {{{#e75fc2 (Yo yo)}}} {{{#c1b72c 기분 좋은 밤 넌 원하고 있어}}} {{{#e75fc2 (Uh uh uh uh uh)}}} {{{#c1b72c 알아 It's ok 이제 시작해}}} {{{#0f620a (Let's go)}}} {{{#e94c00 It's about to go go}}} {{{#1e1a6f Down down baby}}} {{{#e75fc2 (It's going down)}}} {{{#ba0f0a 리듬에 온몸을}}} {{{#1e1a6f It goes down down baby}}} {{{#e75fc2 (It's going down)}}} {{{#ba0f0a 맡기고 소}}}{{{#c1b72c 리}}}{{{#ba0f0a 쳐}}} {{{#c1b72c Oh oh oh}}} {{{#e75fc2 (Oh)}}} {{{#c1b72c 우린 Oh oh oh}}} {{{#e75fc2 (Oh)}}} {{{#c1b72c G}}}{{{#e75fc2 o}}}{{{#c1b72c i}}}{{{#e75fc2 n}}}{{{#c1b72c g}}} {{{#e75fc2 K}}}{{{#c1b72c o}}} {{{#e75fc2 K}}}{{{#c1b72c o}}} {{{#e75fc2 B}}}{{{#c1b72c o}}}{{{#e75fc2 p}}} {{{#3f2400 Down down baby}}} {{{#0f620a (Down, down, yeah, yeah)}}} {{{#c3c1ff 귓가에 속삭여}}} {{{#3f2400 It goes down down baby}}} {{{#0f620a (We’re going down, yeah)}}} {{{#c3c1ff 내 맘을 불}}}{{{#ba0f0a 태}}}{{{#c3c1ff 워}}} {{{#ba0f0a Oh oh oh}}} {{{#0f620a (Oh)}}} {{{#ba0f0a 미쳐 Oh oh oh}}} {{{#0f620a (Uh)}}} G{{{#0f620a o}}}i{{{#0f620a n}}}g {{{#0f620a K}}}o {{{#0f620a K}}}o {{{#0f620a B}}}o{{{#0f620a p}}} [br]}}} || * 2017년 7월 8일 SM 콘서트 'SMTOWN LIVE WORLD TOUR VI' 서울 공연에서 Ko Ko Bop의 [[https://youtu.be/R_K6lWfxhXE|티저]]가 최초로 공개되었다. ===== 뮤직비디오 ===== ||
{{{#439356 '''Ko Ko Bop MV'''}}} || {{{#439356 '''叩叩趴 (Ko Ko Bop) MV'''}}}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IdssuxDdqKk)]}}}||{{{#!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60hlfqSe4ZM)]}}}|| ====== 티저 ====== ||
{{{#439356 '''Ko Ko Bop MV Teaser'''}}} || {{{#439356 '''叩叩趴 (Ko Ko Bop) MV Teaser'''}}}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GAwpIEEK5dU)]}}}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1p-uj3gXo4o)]}}} || ==== What U do? ==== || {{{-2 {{{#e35e25 '''Track 3 〈What U do?〉'''}}}}}} || || {{{-1 {{{#fff '''경쾌한 기타 사운드와 전자음이 돋보이는 일렉트로 팝 곡 ‘What U do?’는 히트 작곡가 켄지(kenzie)가 작곡에 참여했으며, 가사에는 사랑하는 이에 대한 마음을 솔직 담백하게 표현했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FMPzSr8Qlts)]}}} || || {{{#!folding [ 가사 보기 ] [br]^^''' ALL {{{#1e1a6f 시우민}}} {{{#c3c1ff 수호}}} {{{#ba0f0a 백현}}} {{{#c1b72c 첸}}} {{{#e75fc2 찬열}}} {{{#3f2400 디오}}} {{{#0f620a 카이}}} {{{#e94c00 세훈}}}'''^^ {{{#c1b72c Yeah I want it, yeah I need it 예고 없이 내 품에 안겨 온 너}}} {{{#ba0f0a 니 멋대로 날 놀리면 바보처럼 웃게 되는 나인 걸}}} {{{#c3c1ff 널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 넌 달라 You 너무나 You}}} {{{#3f2400 그 많은 웃음과 너의 버릇도 사랑스러워 Say yeah yeah yeah yeah yeah}}} What U do? {{{#0f620a 이렇게 사랑해}}} What U do? {{{#1e1a6f Got me like, got me like}}} {{{#c1b72c Love you right Baby 둘만의 시간}}} {{{#3f2400 (Time yeah)}}} What U do? {{{#e94c00 이렇게 사랑해}}} {{{#e75fc2 변치 말아 니 전부 다 항상 그 눈빛으로 날 봐 줘}}} {{{#3f2400 이유는 필요 없어 나는 딱 너 하나면 돼 Baby we can go higher}}} {{{#1e1a6f 너만의 생각 또 긴긴 얘기도 나누자 You 내게만 You}}} {{{#ba0f0a 이 밤에 기대 널 감싸고 싶어 조심스럽게 Say yeah yeah yeah yeah yeah}}} What U do? {{{#3f2400 (U do)}}} {{{#e75fc2 이렇게 사랑해}}} What {{{#3f2400 (What)}}} U do? {{{#c1b72c Got me like, got me like}}} {{{#0f620a Love you right Baby 둘만의 시간}}} {{{#c1b72c (Let’s stay up all night)}}} What U do? {{{#c3c1ff 이렇게 사랑해}}} {{{#c1b72c (사랑해)}}} {{{#3f2400 넌 대체 누구야 어지럽게 해 Baby you’re so beautiful}}} {{{#c1b72c 더 가까이 와 봐 좀 더 느낄 수 있게 난 더 가고 싶은데 Ooh}}} What U do? {{{#3f2400 (U do)}}} {{{#ba0f0a 이렇게 사랑해 사랑해 사랑해}}} What {{{#c1b72c (What)}}} U do? {{{#0f620a Got me like, got me like}}} {{{#ba0f0a (Hoo)}}} {{{#c3c1ff Love you right Baby 둘만의 시간}}} {{{#ba0f0a (Let’s stay up all night)}}} What U do? {{{#1e1a6f 이렇게 사랑해}}} {{{#e75fc2 사랑해}}} {{{#ba0f0a Love you right Let’s stay up all night, what}}} {{{#3f2400 사랑해 사랑해 Yeah yeah ooh ooh}}} [br]}}} || ==== Forever ==== || {{{-2 {{{#e35e25 '''Track 4 〈Forever〉'''}}}}}} || || {{{-1 {{{#fff '''‘Forever’는 중독성 있는 시그니처 사운드와 808베이스, 강렬한 신디사이저가 인상적인 일렉트로 팝 장르의 곡으로, ‘Monster’, ‘Lucky One’, ‘Lotto’ 등 EXO의 히트곡을 작곡한 영국 출신 핫 프로듀서팀 런던노이즈(LDN Noise)와 히트 메이커 켄지(kenzie)가 함께 작곡에 참여했으며, 영원한 사랑에 대한 이야기를 가사에 녹여냈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ypsQ-2BMLDU)]}}} || || {{{#!folding [ 가사 보기 ] [br]^^''' ALL {{{#1e1a6f 시우민}}} {{{#c3c1ff 수호}}} {{{#ba0f0a 백현}}} {{{#c1b72c 첸}}} {{{#e75fc2 찬열}}} {{{#3f2400 디오}}} {{{#0f620a 카이}}} {{{#e94c00 세훈}}}'''^^ {{{#c1b72c You could be my only star You could be the moonlight 이대로 우리 영원하자 Forever}}} {{{#ba0f0a Forever Forever}}} {{{#e75fc2 Girl you know you got me up 난 믿어 미쳐 뛰는 Heart 그건 나의 덤}}} {{{#e94c00 Yeah 어딜 방황했어}}} {{{#e75fc2 찾아낸 핀볼}}} {{{#e94c00 Make me feel so 그 무엇도}}} {{{#e75fc2 너완 비교 못할 거라고}}} {{{#1e1a6f 이 우주 그 끝은 몰라도 신기한 일이야 니가 느껴져}}} {{{#c3c1ff No matter where you are}}} {{{#3f2400 'Cause you You could be my only star You could be the moonlight 난 세상에 너 하나면 돼 Forever}}} {{{#ba0f0a 네게 달려가 어둠을 뚫고 미친 그 질주로 널 안을게 Let’s make it forever, ever}}} {{{#c1b72c 사라지지 마 이게 끝인데 다시는 이런 사랑 없는 걸}}} {{{#0f620a Don’t break my soul 그 눈빛과 말 모든 것 다 Forever Forever}}} {{{#c3c1ff 새벽이 우릴 찾아오면 내 온몸으로 널 따스히 덮어 줄게 너도 날 안아 줘}}} {{{#1e1a6f 태양이 떠올라도 니가 없이 난 춥다}}} {{{#ba0f0a (No matter where you are)}}} {{{#1e1a6f 비가 온몸을 적셔도 목이 말라 말라}}} {{{#c1b72c 네게 달려가 어둠을 뚫고 미친 그 질주로 널 안을게 Let's make it forever, ever}}} {{{#3f2400 사라지지 마 이게 끝인데 다시는 이런 사랑 없는 걸}}} {{{#ba0f0a Don't break my soul 그 눈빛과 말 모든 것 다 Forever}}} {{{#c3c1ff 나만 볼 수 있게 해 줘 누구도 손댈 수 없게 내 품에서}}} {{{#c1b72c 안게 해 줘 이대로 영원하자 Forever}}} {{{#0f620a Forever Forever}}} {{{#e75fc2 Yo, nice skirt 나를 밀어 올린 Mound Pitcher go, she the baddest one around the town Put it work 넌 메탈처럼 빛이 나 왠지 그녀 앞 난 항상 피상적}}} {{{#e94c00 She get it all 그년 이 밤의 Celeb Hit me and we going hard 자 Official 내 거라 떠들어 대 시퍼런 색의 날 것}}} {{{#e75fc2 Hold up 가진 전부 던져 버려 너야 남은 거라곤 끝까지 가 보자 Rock and roller 같은 운명 오래전에 던진 Quarter 단지 니가 나를 움직인 Controller Feel our soul 난 영원히 네게 달려}}} {{{#0f620a 네게 달려가 어둠을 뚫고}}} {{{#3f2400 (Oh yeah yeah)}}} {{{#0f620a 미친 그 질주로 널 안을게}}} {{{#3f2400 (안을게)}}} {{{#0f620a Let's make it forever, ever}}} {{{#3f2400 (Forever oh)}}} {{{#ba0f0a 사라지지 마 이게 끝인데}}} {{{#c1b72c (이게 끝인데)}}} {{{#ba0f0a 다시는 이런 사랑 없는 걸}}} {{{#c1b72c (다시는 이런 사랑 없어)}}} {{{#3f2400 Don't break my soul 그 눈빛과 말 모든 것 다 Forever}}} [br]}}} || ==== 다이아몬드 (Diamond) ==== || {{{-2 {{{#e35e25 '''Track 5 〈다이아몬드 (Diamond)〉'''}}}}}} || || {{{-1 {{{#fff '''세계적인 프로듀서 팀 더 언더독스(The Underdogs)가 작곡한 힙합 R&B 장르의 ‘다이아몬드 (Diamond)’는 인간의 가치를 영원히 변하지 않는 속성을 지닌 다이아몬드에 빗대어 표현한 가사가 특징이며, 무게감이 느껴지는 베이스, 드럼을 비롯해 이국적인 음색을 느낄 수 있는 기타와 호른이 더해져 곡의 매력을 배가시킨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vGWA1ikLPRI)]}}} || || {{{#!folding [ 가사 보기 ] [br]^^''' ALL {{{#1e1a6f 시우민}}} {{{#c3c1ff 수호}}} {{{#ba0f0a 백현}}} {{{#c1b72c 첸}}} {{{#e75fc2 찬열}}} {{{#3f2400 디오}}} {{{#0f620a 카이}}} {{{#e94c00 세훈}}}'''^^ {{{#ba0f0a 더 깊이 타오른 Fire 멈출 줄 모르고 온몸에 뜨거운 열기 시간을 견디고}}} {{{#c3c1ff 다시 태어나는 느낌}}} {{{#1e1a6f 눈부시게 Shining}}} {{{#c3c1ff 모두 손을 뻗어 오지만 보여 줄게 네게만 Oh}}} {{{#e75fc2 Hee 가치를 재}}} {{{#e94c00 (가치를 재)}}} {{{#e75fc2 더 확실한 Chance}}} {{{#e94c00 (Wooh)}}} {{{#e75fc2 어딜 비교해}}} {{{#e94c00 (Uh huh)}}} {{{#e75fc2 날 감당 못해}}} {{{#3f2400 Blow up}}} {{{#e75fc2 (Blow up)}}} {{{#3f2400 지금 니 눈앞에}}} {{{#3f2400 We glow up}}} {{{#e75fc2 (Glow up)}}} {{{#3f2400 모두가 날 원해}}} {{{#c1b72c We drive 'em crazy crazy We do it daily daily}}} {{{#0f620a 우린 빛나지 두 눈이 멀어지게 We be}}} {{{#ba0f0a Shinin' shinin' just like a diamond Blindin' blindin' you like a diamond}}} {{{#1e1a6f S}}}{{{#e75fc2 h}}}{{{#1e1a6f i}}}{{{#e75fc2 n}}}{{{#1e1a6f i}}}{{{#e75fc2 n}}}{{{#1e1a6f '}}} {{{#e75fc2 s}}}{{{#1e1a6f h}}}{{{#e75fc2 i}}}{{{#1e1a6f n}}}{{{#e75fc2 i}}}{{{#1e1a6f n}}}{{{#e75fc2 '}}} {{{#1e1a6f j}}}{{{#e75fc2 u}}}{{{#1e1a6f s}}}{{{#e75fc2 t}}} {{{#1e1a6f l}}}{{{#e75fc2 i}}}{{{#1e1a6f k}}}{{{#e75fc2 e}}} {{{#1e1a6f a}}} {{{#e75fc2 d}}}{{{#1e1a6f i}}}{{{#e75fc2 a}}}{{{#1e1a6f m}}}{{{#e75fc2 o}}}{{{#1e1a6f n}}}{{{#e75fc2 d}}} {{{#1e1a6f B}}}{{{#e75fc2 l}}}{{{#1e1a6f i}}}{{{#e75fc2 n}}}{{{#1e1a6f d}}}{{{#e75fc2 i}}}{{{#1e1a6f n}}}{{{#e75fc2 '}}} {{{#1e1a6f b}}}{{{#e75fc2 l}}}{{{#1e1a6f i}}}{{{#e75fc2 n}}}{{{#1e1a6f d}}}{{{#e75fc2 i}}}{{{#1e1a6f n}}}{{{#e75fc2 '}}} {{{#1e1a6f y}}}{{{#e75fc2 o}}}{{{#1e1a6f u}}} {{{#e75fc2 l}}}{{{#1e1a6f i}}}{{{#e75fc2 k}}}{{{#1e1a6f e}}} {{{#e75fc2 a}}} {{{#1e1a6f d}}}{{{#e75fc2 i}}}{{{#1e1a6f a}}}{{{#e75fc2 m}}}{{{#1e1a6f o}}}{{{#e75fc2 n}}}{{{#1e1a6f d}}} {{{#0f620a Shinin' shinin' just like a diamond {{{#e75fc2 (Whoa)}}} Blindin' blindin' you like a diamond}}} {{{#e75fc2 (Ay)}}} {{{#3f2400 피할 생각은 없어 {{{#e75fc2 (No no)}}} 부딪히고 깨질수록 투명함에 빛을 더해 날 완성해 나가는 걸}}} {{{#c1b72c 더없이 화려해진}}} {{{#c3c1ff 내 모습은 이제}}} {{{#c1b72c 영원토록 너의 곁에서 변치 않을 거라고 Oh}}} {{{#e94c00 Hee 완성해 내}}} {{{#e75fc2 (완성해 내)}}} {{{#e94c00 더 완벽하게}}} {{{#e75fc2 (더 완벽하게)}}} {{{#e94c00 다 방심한 새}}} {{{#e75fc2 (What?)}}} {{{#e94c00 난 상식을 깨}}} {{{#ba0f0a Blow up}}} {{{#e94c00 (Blow up)}}} {{{#ba0f0a 지금 니 눈앞에}}} {{{#ba0f0a We glow up}}} {{{#e94c00 (Glow up)}}} {{{#ba0f0a 진짜를 가려내}}} {{{#c3c1ff We drive 'em crazy crazy We do it daily daily}}} {{{#e75fc2 우린 빛나지 두 눈이 멀어지게 We be}}} {{{#3f2400 Shinin' shinin' just like a diamond {{{#e94c00 (Uh huh)}}} Blindin' blindin' you like a diamond}}} {{{#e94c00 (Lego!)}}} {{{#c3c1ff S}}}{{{#c1b72c h}}}{{{#c3c1ff i}}}{{{#c1b72c n}}}{{{#c3c1ff i}}}{{{#c1b72c n}}}{{{#c3c1ff '}}} {{{#c1b72c s}}}{{{#c3c1ff h}}}{{{#c1b72c i}}}{{{#c3c1ff n}}}{{{#c1b72c i}}}{{{#c3c1ff n}}}{{{#c1b72c '}}} {{{#c3c1ff j}}}{{{#c1b72c u}}}{{{#c3c1ff s}}}{{{#c1b72c t}}} {{{#c3c1ff l}}}{{{#c1b72c i}}}{{{#c3c1ff k}}}{{{#c1b72c e}}} {{{#c3c1ff a}}} {{{#c1b72c d}}}{{{#c3c1ff i}}}{{{#c1b72c a}}}{{{#c3c1ff m}}}{{{#c1b72c o}}}{{{#c3c1ff n}}}{{{#c1b72c d}}} {{{#e75fc2 (Shine)}}} {{{#c3c1ff B}}}{{{#c1b72c l}}}{{{#c3c1ff i}}}{{{#c1b72c n}}}{{{#c3c1ff d}}}{{{#c1b72c i}}}{{{#c3c1ff n}}}{{{#c1b72c '}}} {{{#c3c1ff b}}}{{{#c1b72c l}}}{{{#c3c1ff i}}}{{{#c1b72c n}}}{{{#c3c1ff d}}}{{{#c1b72c i}}}{{{#c3c1ff n}}}{{{#c1b72c '}}} {{{#c3c1ff y}}}{{{#c1b72c o}}}{{{#c3c1ff u}}} {{{#c1b72c l}}}{{{#c3c1ff i}}}{{{#c1b72c k}}}{{{#c3c1ff e}}} {{{#c1b72c a}}} {{{#c3c1ff d}}}{{{#c1b72c i}}}{{{#c3c1ff a}}}{{{#c1b72c m}}}{{{#c3c1ff o}}}{{{#c1b72c n}}}{{{#c3c1ff d}}} {{{#e75fc2 (Ah-ha)}}} {{{#ba0f0a Oh 원한다면 baby}}} {{{#0f620a (원한다면)}}} {{{#3f2400 Baby 난 널 위해}}} {{{#c1b72c 스스로 증명해}}} {{{#ba0f0a 내 가친 영원해}}} {{{#c3c1ff 내 자릴 찾은 걸}}} {{{#e75fc2 (찾은 걸)}}} {{{#c1b72c Shine on, shine on}}} {{{#1e1a6f 내 자릴 찾은 걸}}} {{{#e75fc2 (찾은 걸)}}} {{{#c1b72c Shine on, shine on}}} {{{#1e1a6f 그 빛은 Only one}}} {{{#e75fc2 (Shine on)}}} {{{#c1b72c Shine on, shine on, shine on}}} {{{#0f620a Hee 완성해 내}}} {{{#3f2400 (완성해 내)}}} {{{#0f620a 더 완벽하게}}} {{{#3f2400 (더 완벽하게)}}} {{{#0f620a 다 방심한 새}}} {{{#3f2400 (So what?)}}} {{{#0f620a 난 상식을 깨}}} {{{#c1b72c Blow up}}} {{{#ba0f0a (Blow up)}}} {{{#c1b72c 지금 니 눈앞에}}} {{{#c1b72c We glow up}}} {{{#ba0f0a (Glow up)}}} {{{#c1b72c 모두가 날 원해}}} {{{#ba0f0a (Hey)}}} {{{#1e1a6f We drive 'em crazy crazy {{{#ba0f0a (Hey)}}} We do it daily daily}}} {{{#3f2400 우린 빛나지 두 눈이 멀어지게 We be}}} {{{#0f620a Shinin' shinin' just like a diamond}}} {{{#e75fc2 (Like a what hey)}}} {{{#0f620a Blindin' blindin' you like a diamond}}} {{{#e75fc2 (Like a what hey)}}} {{{#c3c1ff S}}}{{{#3f2400 h}}}{{{#c3c1ff i}}}{{{#3f2400 n}}}{{{#c3c1ff i}}}{{{#3f2400 n}}}{{{#c3c1ff '}}} {{{#3f2400 s}}}{{{#c3c1ff h}}}{{{#3f2400 i}}}{{{#c3c1ff n}}}{{{#3f2400 i}}}{{{#c3c1ff n}}}{{{#3f2400 '}}} {{{#c3c1ff j}}}{{{#3f2400 u}}}{{{#c3c1ff s}}}{{{#3f2400 t}}} {{{#c3c1ff l}}}{{{#3f2400 i}}}{{{#c3c1ff k}}}{{{#3f2400 e}}} {{{#c3c1ff a}}} {{{#3f2400 d}}}{{{#c3c1ff i}}}{{{#3f2400 a}}}{{{#c3c1ff m}}}{{{#3f2400 o}}}{{{#c3c1ff n}}}{{{#3f2400 d}}} {{{#0f620a (What we be)}}} {{{#c3c1ff B}}}{{{#3f2400 l}}}{{{#c3c1ff i}}}{{{#3f2400 n}}}{{{#c3c1ff d}}}{{{#3f2400 i}}}{{{#c3c1ff n}}}{{{#3f2400 '}}} {{{#c3c1ff b}}}{{{#3f2400 l}}}{{{#c3c1ff i}}}{{{#3f2400 n}}}{{{#c3c1ff d}}}{{{#3f2400 i}}}{{{#c3c1ff n}}}{{{#3f2400 '}}} {{{#c3c1ff y}}}{{{#3f2400 o}}}{{{#c3c1ff u}}} {{{#3f2400 l}}}{{{#c3c1ff i}}}{{{#3f2400 k}}}{{{#c3c1ff e}}} {{{#3f2400 a}}} {{{#c3c1ff d}}}{{{#3f2400 i}}}{{{#c3c1ff a}}}{{{#3f2400 m}}}{{{#c3c1ff o}}}{{{#3f2400 n}}}{{{#c3c1ff d}}} {{{#ba0f0a Shinin' shinin' just like a diamond}}} [br]}}} || ==== 너의 손짓 (Touch It) ==== || {{{-2 {{{#e35e25 '''Track 6 〈너의 손짓 (Touch It)〉'''}}}}}} || || {{{-1 {{{#fff '''멤버 첸이 작사에 참여한 댄스 곡 ‘너의 손짓 (Touch It)’은 좋아하는 이성의 ‘손짓’ 하나에 어쩔 줄 몰라하는 남자의 모습을 표현한 가사가 돋보이는 곡으로, 리드미컬한 베이스 리프와 경쾌한 브라스, 함께 노래할 수 있는 캐치한 멜로디가 인상적이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tS_JKmxfhNM)]}}} || || {{{#!folding [ 가사 보기 ] [br]^^''' ALL {{{#1e1a6f 시우민}}} {{{#c3c1ff 수호}}} {{{#ba0f0a 백현}}} {{{#c1b72c 첸}}} {{{#e75fc2 찬열}}} {{{#3f2400 디오}}} {{{#0f620a 카이}}} {{{#e94c00 세훈}}}'''^^ {{{#0f620a Yeah yeah yeah uh 어떤 말도 너를 대신할 수 없는 걸}}} {{{#e94c00 필요 없을 걸}}} {{{#0f620a 표현할 수 없는 걸}}} {{{#e75fc2 딴 건 필요 없어 그저 너만 있으면}}} {{{#1e1a6f 다른 어떤 것도}}} {{{#e75fc2 그래 너만 있으면}}} {{{#ba0f0a 아찔한 너의 실루엣 넌 그림자마저 아름다워}}} {{{#c3c1ff 날 미치게 만드는}}} {{{#e94c00 저 작은 행동까지 다}}} {{{#3f2400 살짝 머릴 쓸어 올린 저 Sexy한 손짓 손짓 Baby 니 손짓 손짓}}} {{{#c1b72c 네게 끌린 맘을 들킨 길을 잃은 손짓 손짓 Baby 내 손짓 손짓}}} {{{#0f620a Ay and she goes like}}} Nana nana nanana Nana nana nanana {{{#0f620a Ay all the girls go}}} Nana nana nanana Nana nana nanana {{{#3f2400 Oh yeah}}} {{{#e75fc2 Uh 니가 내 앞에 지금 완전 Feeling good now}}} {{{#1e1a6f (Feeling good now)}}} {{{#e75fc2 Yeah I’m feeling good now}}} {{{#e94c00 근데 머릿속은 Boom 무슨 말을 할까}}} {{{#0f620a What what 머릿속은 Black out uh}}} {{{#c3c1ff 상상력을 일깨워 수백 가지 모습의 너를 그려 작은 몸짓이}}} {{{#e75fc2 전부 니 목소리 같아}}} {{{#ba0f0a 살짝 머릴 쓸어 올린 저 Sexy한 손짓 손짓 Baby 니 손짓 손짓}}} {{{#3f2400 (조심스레 끌린)}}} {{{#1e1a6f 네게 끌린 맘을 들킨 {{{#3f2400 (Oh woo)}}} 길을 잃은 손짓 손짓 Baby 내 손짓 손짓}}} {{{#c1b72c All my ladies say yeah}}} Nana nana nanana {{{#e75fc2 Ay 한 목소리로 Feel me}}} Nana nana nanana {{{#c1b72c All my ladies say yeah}}} Nana nana nanana {{{#e75fc2 (Yo yo)}}} {{{#c1b72c Sing it again}}} Nana nana nanana 이유가 뭐 그리 대단할 필욘 없잖아 {{{#3f2400 사소한 니 손짓 하나로도 나를 쥐고 흔들잖아}}} {{{#ba0f0a (흔들어 놔 Babe)}}} {{{#1e1a6f Oh you got what I want}}} {{{#e75fc2 (Ay ay)}}} {{{#e94c00 내겐 너만 있으면 돼}}} {{{#ba0f0a (그게 다야 Babe)}}} {{{#3f2400 Oh you got what I want}}} {{{#e75fc2 (Ay ay)}}} {{{#0f620a 내 옆에만 있으면 돼}}} {{{#3f2400 (Ah)}}} {{{#c1b72c 후회하고 싶진 않잖아 I can't help myself 괜히 덤덤한 척 아닌 티를 내 봐도}}} {{{#c3c1ff 자꾸 나도 몰래}}} {{{#1e1a6f 빠져 너에게}}} {{{#c3c1ff 점점 너도 몰래}}} {{{#1e1a6f 너의 두 눈이}}} {{{#ba0f0a 나를 향해 있는 걸 모르는 줄 알았니 Yeah}}} {{{#c1b72c (Tell me if you want me)}}} {{{#3f2400 살짝 머릴 쓸어 올린 {{{#c1b72c (Oh yeah)}}} 저 Sexy한 손짓 손짓 Baby 니 손짓 손짓}}} {{{#c3c1ff 네게 끌린 맘을 들킨 길을 잃은 손짓 손짓 Baby 내 손짓 손짓}}} {{{#3f2400 Sing it, sing it baby}}} Nana nana nanana {{{#3f2400 Nana nana nanana}}} Nana nana nanana {{{#e94c00 (Ay)}}} {{{#c3c1ff C’mon c’mon do it again}}} Nana nana nanana {{{#c3c1ff 나와 함께해}}} Nana nana nanana {{{#c1b72c (하얀 손끝이)}}} {{{#1e1a6f Oh 나를 유혹해 낼 듯이 또 때론 무심하단 듯이}}} {{{#c1b72c (Oh)}}} {{{#e75fc2 니 손짓 손짓 내게 날 아찔 아찔하게}}} {{{#ba0f0a (좀 더 너를 보여 줘)}}} {{{#c3c1ff Oh 너를 지나쳐 갈 듯이}}} {{{#ba0f0a (Watch it baby)}}} {{{#c3c1ff 어쩌면 다가가는 듯이}}} {{{#ba0f0a (Watch it baby woo)}}} {{{#0f620a 난 손짓 손짓 네게 넌 멈칫 멈칫}}} [br]}}} || ==== 소름 (Chill) ==== || {{{-2 {{{#e35e25 '''Track 7 〈소름 (Chill)〉'''}}}}}} || || {{{-1 {{{#fff '''멤버 찬열이 작사와 랩 메이킹에 참여한 ‘소름 (Chill)’은 레트로한 느낌의 신디사이저와 펑키한 드럼이 돋보이는 R&B 댄스 곡으로, 한 여인의 아름다움에 끌려 벗어나지 못하는 남자의 마음을 ‘소름이 돋는다’고 재치있게 표현한 가사가 돋보인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mhoGX-10k7Y)]}}} || || {{{#!folding [ 가사 보기 ] [br]^^''' ALL {{{#1e1a6f 시우민}}} {{{#c3c1ff 수호}}} {{{#ba0f0a 백현}}} {{{#c1b72c 첸}}} {{{#e75fc2 찬열}}} {{{#3f2400 디오}}} {{{#0f620a 카이}}} {{{#e94c00 세훈}}}'''^^ {{{#c1b72c Tonight 이유를 모르게 기분이 이상해 Oh no}}} {{{#0f620a 순간 희미한 불빛에 나타난 실루엣}}} {{{#ba0f0a 굳어 버려 몸이}}} {{{#3f2400 난 지금이 아니면 절대 널 벗어날 수가 없을 것만 같은 느낌 Yeah}}} {{{#c1b72c 온 힘을 다해서 달아나 봐도 안 돼 What I do do do do do}}} {{{#1e1a6f 아름다워 그래서 두려워 깊은 함정 나를 보는 너 나는 이미}}} {{{#ba0f0a 두 발이 묶인 채로 또 너에게로}}} {{{#c3c1ff 널 보면 널 보면}}} (Yeah) (널 보면) {{{#c3c1ff 널 보면}}} {{{#ba0f0a 자꾸}}} {{{#3f2400 갑자기 오싹 소름이 돋아}}} {{{#1e1a6f 난 사랑보다 좀 더 훨씬 위험한 걸 느껴}}} {{{#0f620a Yeah 내 앞에 닥쳐올}}} {{{#c3c1ff 아무 표정이 없는 얼굴과 그 아이 같은 웃음 사이}}} {{{#ba0f0a 아찔한 그 온도 차 감히 내가 널 다 감당할 수 있을까}}} {{{#0f620a 아름다워 그래서 두려워 깊은 함정 나를 보는 너 나는 이미}}} {{{#c1b72c 두 발이 묶인 채로 또 너에게로}}} {{{#3f2400 널 보면 널 보면}}} {{{#ba0f0a (널 보면)}}} {{{#3f2400 널 보면}}} (널 보면) {{{#3f2400 자꾸}}} {{{#1e1a6f Yeah 갑자기 오싹 소름이 돋아}}} {{{#e75fc2 Yeah 어둠이 짙을수록}}} {{{#c3c1ff 좋아}}} {{{#e94c00 다 나타나 Show ya Show ya show ya Show ya show ya}}} {{{#c3c1ff show ya}}} {{{#e94c00 Baby baby baby baby Show ya show ya Show ya show ya}}} {{{#e75fc2 Yeah 그런 표정으로 웃지 마 널 보면 나의 머릿속을 읽힌 듯이 자꾸 돋아 소름이 차가운 말로 너를 밀어도 밀리지 않아 계속 널 원해 내 마음이}}} {{{#e94c00 Ay 이미 중독된 듯이 계속해서 파고들어 마치 미로처럼 출구가 없지 억지로 반대로 달리려 해도 결국 너에게로 가}}} {{{#e75fc2 You hovering over my head like blanche 마치 홀리듯 스치는 너의 손길 조금 위험해 위험한 걸 알아도 나 빠져나올 수 없어 Caffeine같이 이젠 받아들여 말하는 듯한 눈빛 몸짓 말투 목소리 다 헤어 나올 수 없지 정신을 차리면 또 다시 니 옆에서 너를 부르짖어}}} {{{#c1b72c 아름다워 그래서 두려워 깊은 함정 나를 보는 너 나는 이미}}} {{{#3f2400 두 발이 묶인 채로 또 너에게로}}} [br]}}} || ==== 기억을 걷는 밤 (Walk On Memories) ==== || {{{-2 {{{#e35e25 '''Track 8 〈기억을 걷는 밤 (Walk On Memories)〉'''}}}}}} || || {{{-1 {{{#fff '''‘기억을 걷는 밤 (Walk On Memories)’은 섬세한 멜로디와 아름다운 피아노 선율이 돋보이는 팝 R&B 곡으로, 심플한 피아노 루핑을 기반으로 진행되다 마지막 후렴구에서 보여지는 모험적인 변화가 인상적이다. 사랑하는 이와 단둘이, 잊고 있던 기억을 따라 걷는 새벽을 그린 가사가 더해져 몽환적인 분위기를 더욱 고조시킨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rUbOiD192iU)]}}} || || {{{#!folding [ 가사 보기 ] [br]^^''' ALL {{{#1e1a6f 시우민}}} {{{#c3c1ff 수호}}} {{{#ba0f0a 백현}}} {{{#c1b72c 첸}}} {{{#e75fc2 찬열}}} {{{#3f2400 디오}}} {{{#0f620a 카이}}} {{{#e94c00 세훈}}}'''^^ {{{#ba0f0a 어느 날 빛으로 네게 닿은 목소리 입 맞추듯 몰래 너를 깨운 속삭임에}}} {{{#c3c1ff 살며시 열리던 꿈을 담은 니 눈빛 날 기다린 듯이 넌 미소 지었지 Yeah}}} {{{#c1b72c 너의 곁에 사뿐히 앉아 인살 건네 아름다웠던 그때로 돌아가려 해}}} {{{#0f620a 어느새 희미해져 가는 기억을 따라 오늘 밤 널 데려갈게}}} {{{#3f2400 하얗게 빛난 별들이 가득 쏟아진 설레는 이 길을 함께 걸어가}}} {{{#1e1a6f 니 눈동자에 선명히 비친 잠든 이 세상이 눈뜨기 전에}}} {{{#ba0f0a 아무도 몰래}}} {{{#c3c1ff D}}}o {{{#c3c1ff i}}}t {{{#c3c1ff d}}}o {{{#c3c1ff i}}}t {{{#c3c1ff d}}}o {{{#c3c1ff i}}}t {{{#c3c1ff d}}}o {{{#c3c1ff i}}}t {{{#c3c1ff d}}}o {{{#c3c1ff i}}}t {{{#c3c1ff d}}}o {{{#c3c1ff i}}}t {{{#ba0f0a 밤새 걸어 봐}}} {{{#c3c1ff D}}}o {{{#c3c1ff i}}}t {{{#c3c1ff d}}}o {{{#c3c1ff i}}}t {{{#c3c1ff d}}}o {{{#c3c1ff i}}}t {{{#c3c1ff d}}}o {{{#c3c1ff i}}}t {{{#c3c1ff d}}}o {{{#c3c1ff i}}}t {{{#c3c1ff d}}}o {{{#c3c1ff i}}}t {{{#3f2400 발걸음 닿는 곳마다 환히 펼쳐진 그 길 따라 너와 걷고 싶은 아름다운 밤}}} {{{#e75fc2 널 그리워하며 보낸 시간의 터널 지나 다시 내게 너에게 돌아갈 기횔 준 거야}}} {{{#1e1a6f 여전히 넌 기억 속 그대로}}} {{{#e94c00 사랑스런 목소리 새벽 같은 니 눈빛도}}} {{{#ba0f0a 너의 작은 손등에 살짝 입맞춤 해 새로운 여행을 다시 시작하려 해}}} {{{#3f2400 멀리 선명히 들려오는 선율을 따라 오늘 밤 널 데려갈게}}} {{{#c1b72c 하얗게 빛난}}} {{{#ba0f0a 별}}}{{{#c1b72c 들}}}{{{#ba0f0a 이}}} {{{#c1b72c 가득 쏟아진}}} {{{#ba0f0a (Hmm)}}} {{{#c1b72c 설레는 이 길을 함께 걸어가}}} {{{#c3c1ff 니 눈동자에 선명히 비친}}} {{{#ba0f0a (Yeah)}}} {{{#c3c1ff 잠든 이 세상이 눈뜨기 전에}}} {{{#0f620a 아무도 몰래}}} D{{{#e94c00 o}}} i{{{#e94c00 t}}} d{{{#e94c00 o}}} i{{{#e94c00 t}}} d{{{#e94c00 o}}} i{{{#e94c00 t}}} d{{{#e94c00 o}}} i{{{#e94c00 t}}} d{{{#e94c00 o}}} i{{{#e94c00 t}}} d{{{#e94c00 o}}} i{{{#e94c00 t}}} {{{#ba0f0a (Whoa yeah)}}} {{{#0f620a 밤새 걸어 봐}}} D{{{#e94c00 o}}} i{{{#e94c00 t}}} d{{{#e94c00 o}}} i{{{#e94c00 t}}} d{{{#e94c00 o}}} i{{{#e94c00 t}}} d{{{#e94c00 o}}} i{{{#e94c00 t}}} d{{{#e94c00 o}}} i{{{#e94c00 t}}} d{{{#e94c00 o}}} i{{{#e94c00 t}}} {{{#ba0f0a (Whoa yeah)}}} {{{#c1b72c 발걸음 닿는 곳마다 환히 펼쳐진 그 길 따라 너와 걷고 싶은 아름다운 밤}}} {{{#3f2400 점점 가까워지는 이 길 끝에 아주 오랜 기도가 닿은 그때}}} {{{#c3c1ff 꿈꿔 온 내일이 우리 앞에 환하게 밝아 올 테니}}} 눈부신 금빛 햇살이 가득 쏟아져 {{{#3f2400 (Oh)}}} 환하게 빛난 너 아름다워서 {{{#c1b72c (빛난 너 아름다워 Yeah)}}} 내 눈동자에 선명히 담아 {{{#3f2400 (담아)}}} 잠든 이 세상이 눈뜨기 전에 {{{#3f2400 (Oh oh oh)}}} {{{#c1b72c (전에)}}} {{{#e75fc2 이제 눈을 떠}}} D{{{#0f620a o}}} i{{{#0f620a t}}} d{{{#0f620a o}}} i{{{#0f620a t}}} d{{{#0f620a o}}} i{{{#0f620a t}}} d{{{#0f620a o}}} i{{{#0f620a t}}} d{{{#0f620a o}}} i{{{#0f620a t}}} d{{{#0f620a o}}} i{{{#0f620a t}}} {{{#c1b72c (Oh yeah yeah)}}} {{{#e75fc2 잊지 말아 줘}}} D{{{#0f620a o}}} i{{{#0f620a t}}} d{{{#0f620a o}}} i{{{#0f620a t}}} d{{{#0f620a o}}} i{{{#0f620a t}}} d{{{#0f620a o}}} i{{{#0f620a t}}} d{{{#0f620a o}}} i{{{#0f620a t}}} d{{{#0f620a o}}} i{{{#0f620a t}}} {{{#3f2400 (Oh oh oh)}}} {{{#ba0f0a 언젠가 너의 옆에서 발걸음 맞춰}}} {{{#ba0f0a 그 길 따라 함}}}{{{#c1b72c 께}}} {{{#ba0f0a 걷}}}{{{#c1b72c 고}}} {{{#ba0f0a 싶}}}{{{#c1b72c 은}}} {{{#ba0f0a 아름다}}}{{{#c1b72c 운}}} {{{#ba0f0a 밤}}} {{{#ba0f0a 아름다운 밤}}} [br]}}} || ==== 내가 미쳐 (Going Crazy) ==== || {{{-2 {{{#e35e25 '''Track 9 〈내가 미쳐 (Going Crazy)〉'''}}}}}} || || {{{-1 {{{#fff '''‘내가 미쳐 (Going Crazy)’는 EXO 두 번째 단독 콘서트 'EXO PLANET #2 - The EXO`luXion -'에서 영상으로 선공개되어 화제를 모은 R&B 댄스 곡으로, 사랑하는 사람 때문에 괴로워하면서도 끝내 돌아서지 못하는 마음을 표현한 가사가 특징이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_mAtieOz-eI)]}}} || || {{{#!folding [ 가사 보기 ] [br]^^'''{{{#000000 ALL}}} {{{#1e1a6f 시우민}}} {{{#c3c1ff 수호}}} {{{#ba0f0a 백현}}} {{{#c1b72c 첸}}} {{{#e75fc2 찬열}}} {{{#3f2400 디오}}} {{{#0f620a 카이}}} {{{#e94c00 세훈}}}'''^^ {{{#3f2400 Oh oh no Whoa whoa oh}}} {{{#c1b72c 차 오는 안개처럼 밀려와 조여 오는 숨 It's killing me 덧나 버린 상처가 깊어지잖아 자꾸 아려 와}}} {{{#e94c00 (But it was you)}}} {{{#ba0f0a 그날의 악몽이 떠올라 이번만은 절대 아닐 거라고}}} {{{#3f2400 (Oh no)}}} {{{#ba0f0a 희미해져 가는 너 Don't know what you want}}} {{{#c3c1ff 자욱했던 안개가 걷히고 선명해져 필름처럼 스쳐 지난 거짓의 흔적들}}} {{{#000000 I hate you Woo 내가 미쳐}}} {{{#0f620a 내게 너란 짙은 흉터만 남아}}} {{{#3f2400 지울 수도 없게 만들어}}} {{{#ba0f0a 내}}}{{{#000000 가}}} {{{#ba0f0a 미}}}{{{#000000 쳐}}} {{{#1e1a6f 아무렇지 않은 표정 Baby, won't you stop?}}} {{{#e75fc2 소용없어 너 그따위 변명}}} {{{#e94c00 You drive me crazy 깜빡하는 순간 베이지 날카로운 너의 혀끝에 한 순간이지}}} {{{#c1b72c 내 눈과 귀 손과 발 So much more}}} {{{#0f620a 지금껏 뭘 보고 들은 건지 내 몸이 내 건지 통제 안 돼 Oh}}} {{{#3f2400 자욱했던 안개가 걷히고 선명해져}}} {{{#c1b72c (I let you control)}}} {{{#3f2400 필름처럼 스쳐 지난 거짓의 흔적들}}} {{{#c1b72c I}}} {{{#000000 h}}}{{{#c1b72c a}}}{{{#000000 t}}}{{{#c1b72c e}}} {{{#000000 y}}}{{{#c1b72c o}}}{{{#000000 u}}} {{{#000000 Woo 내가 미쳐}}} {{{#c3c1ff 내게 너란 짙은 흉터만 남아}}} {{{#ba0f0a 지울 수도 없게 만들어}}} {{{#1e1a6f 내}}}{{{#000000 가}}} {{{#1e1a6f 미}}}{{{#000000 쳐}}} {{{#0f620a Going crazy Go go going crazy Going crazy}}} {{{#ba0f0a 심장은 터질 듯이 뛰고 있어}}} {{{#3f2400 (Oh)}}} {{{#ba0f0a I wanna know what's next}}} {{{#3f2400 Adrenaline rush 어느새 온몸으로 퍼져 Don't know what you do to me oh}}} {{{#c3c1ff 이성이 알려 준 선택은 하나뿐}}} {{{#c1b72c 흔들리는 건 이 심장 Call me crazy 아직 널 원해}}} {{{#e75fc2 Up and down like a rollercoaster 아직도 난 정신을 차리지 못한 걸까 소용돌이치는 까마득한 늪에 빠져 허우적 세 번 네 번 또 반복되겠지}}} {{{#c1b72c I}}} {{{#000000 h}}}{{{#c1b72c a}}}{{{#000000 t}}}{{{#c1b72c e}}} {{{#000000 y}}}{{{#c1b72c o}}}{{{#000000 u}}} {{{#000000 Woo}}} {{{#c1b72c 내}}}{{{#000000 가}}} {{{#c1b72c 미}}}{{{#000000 쳐}}} {{{#ba0f0a 내게 너란 짙은 흉터만 남아}}} {{{#1e1a6f 지울 수도 없게 만들어}}} {{{#e75fc2 내}}}{{{#000000 가}}} {{{#e75fc2 미}}}{{{#000000 쳐}}} {{{#e94c00 Going crazy}}} {{{#1e1a6f (Go going crazy)}}} {{{#e94c00 Going crazy}}} {{{#1e1a6f (Go go going crazy)}}} {{{#e94c00 Going crazy}}} {{{#1e1a6f (Going crazy)}}} {{{#000000 I hate you Woo}}} {{{#ba0f0a 내}}}{{{#000000 가}}} {{{#ba0f0a 미}}}{{{#000000 쳐}}} {{{#c1b72c Upside down 나를 다 뒤집어 놔}}} {{{#3f2400 나도 이젠 멈출 수 없어}}} {{{#0f620a 내}}}{{{#000000 가}}} {{{#0f620a 미}}}{{{#000000 쳐}}} [br]}}} || * 2015년 3월 7일부터 시작한 엑소의 두번째 단독 콘서트 [[EXO/콘서트 목록#s-2.2|EXO PLANET #2 - The EXO'luXion]]의 [[https://vimeo.com/260179011|VCR]]에 깔린 곡이다. 그로부터 약 2년만에 발매되는 것. ===# 중국어판 #=== ||<-5>
'''{{{#e35e25 The 4th Album (Chinese Ver.)}}}[br]{{{#439356 {{{+1 THE WAR}}}}}}''' || ||<-5> {{{#000000 '''[[2017년|{{{#e35e25 2017년}}}]] [[7월 18일|{{{#e35e25 7월 18일}}}]]''' {{{#e35e25 '''발매'''}}}}}} || || {{{#439356 '''트랙'''}}} || {{{#439356 '''곡명'''}}} || {{{#439356 '''작사'''}}} || {{{#439356 '''작곡'''}}} || {{{#439356 '''편곡'''}}} || || '''01''' || 破風 (The Eve) || {{{-2 王靖雲}}} || {{{-2 Mike Woods, Kevin White, Andrew Bazzi, MZMC, [[헨리(가수)|헨리]]}}} || {{{-2 Rice n` Peas}}} || || '''02''' || '''叩叩趴 (Ko Ko Bop)'''[br]{{{-4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fff,#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e35e25;" TITLE}}}}}} || {{{-2 Arys Chien}}} || {{{-2 Kaelyn Behr, Tay Jasper, Shaylen Carroll, MZMC}}} || {{{-2 Styalz Fuego}}} || || '''03''' || 可愛·可惡 (What U do?) || {{{-2 Arys Chien}}} || {{{-2 [[KENZIE]], Ronny Svendsen, Justin Stein}}} || {{{-2 Ronny Svendsen}}} || || '''04''' || 我加你等於永遠 (Forever) || {{{-2 Lin Xin Ye}}} || {{{-2 [[KENZIE]], LDN Noise, Adrian Mckinnon}}} || {{{-2 LDN Noise}}} || || '''05''' || C樂章 (Diamond) || {{{-2 呂易秋}}} ||<-2> {{{-2 Harvey Mason Jr., Michael `R!ot` Wyckoff, Britt Burton, Patrick J. Que Smith, Dewain Whitmore}}} || || '''06''' || 指語 (Touch It) || {{{-2 李怡萱}}} ||<-2> {{{-2 Carlos Battey, Steven Battey, David Delazyn (The Fliptones), Chaz Mishan (The Fliptones), Denzil Remedios, Ryan S.Jhun}}} || || '''07''' || 寒噤 (Chill) || {{{-2 楊耀程}}} || {{{-2 Darius Bryant, Julien Maurice Moore, [[G.Soul]], Tay Jasper, Otha `Vakseen` Davis III, MZMC}}} || {{{-2 Droyd}}} || || '''08''' || 夢回暮夜 (Walk On Memories) || {{{-2 王靖雲}}} || {{{-2 Justin Reinstein, Wassily Gradovsky}}} || {{{-2 Mussashi, Wassily Gradovsky}}} || || '''09''' || 瘋語者 (Going Crazy) || {{{-2 呂易秋}}} || {{{-2 [[심재원(안무가)|심재원]], SHAUN, Wilbart `Vedo` McCoy III, Paul `MARZ` Thompson, MZMC, Otha `Vakseen` Davis III}}} || {{{-2 [[심재원(안무가)|심재원]], SHAUN}}} || == 앨범 사양 == ||
{{{#FFF '''〈THE WAR〉 Album Detail [Korean ver.] / [Chinese ver.]'''}}} || || {{{#!wiki style="margin: 0 -1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 -11px"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THE WAR_K 앨범사양.jpg|width=100%]]}}} ||}}}}}}}}} || == 앨범 콘셉트 티저 == === 이미지 === ||
{{{#fff '''〈THE WAR〉 티저 이미지'''}}}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fff 단체}}}'''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70718 EXO 1.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o_the_war_02.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70718 EXO 3.jpg|width=100%]]}}} || ||<-2> '''{{{#fff 시우민}}}''' ||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70715 시우민 1.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70715 시우민 2.jpg|width=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70715 시우민 4.jpg|width=100%]]}}} ||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70715 시우민 3.jpg|width=100%]]}}} ||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70715 시우민 5.jpg|width=100%]]}}} || ||<-2> '''{{{#fff 수호}}}'''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70714 수호 1.jpg|width=1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70714 수호 2.jpg|width=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70714 수호 4.jpg|width=100%]]}}} ||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70714 수호 3.jpg|width=100%]]}}} ||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70714 수호 5.jpg|width=100%]]}}} || ||<-2> '''{{{#fff 백현}}}'''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70711 백현 1.jpg|width=100%]]}}} ||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70711 백현 2.jpg|width=100%]]}}} ||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70711 백현 3.jpg|width=1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70711 백현 4.jpg|width=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70711 백현 5.jpg|width=100%]]}}} || ||<-2> '''{{{#fff 첸}}}'''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70716 첸 1.jpg|width=100%]]}}} ||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70716 첸 3.jpg|width=100%]]}}} ||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70716 첸 2.jpg|width=1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70716 첸 4.jpg|width=1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70716 첸 5.jpg|width=100%]]}}} || ||<-2> '''{{{#fff 찬열}}}'''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70712 찬열 1.jpg|width=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70712 찬열 4.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70712 찬열 3.jpg|width=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70712 찬열 2.jpg|width=100%]]}}}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70712 찬열 5.jpg|width=100%]]}}} || ||<-2> '''{{{#fff 디오}}}'''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70717 디오 1.jpg|width=100%]]}}} ||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70717 디오 2.jpg|width=100%]]}}} ||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70717 디오 3.jpg|width=1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70717 디오 4.jpg|width=1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70717 디오 5.jpg|width=100%]]}}} || ||<-2> '''{{{#fff 카이}}}'''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70710 카이 1.jpg|width=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70710 카이 2.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70710 카이 3.jpg|width=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70710 카이 4.jpg|width=100%]]}}}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70710 카이 5.jpg|width=100%]]}}} || ||<-2> '''{{{#fff 세훈}}}'''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70713 세훈 1.jpg|width=1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70713 세훈 2.jpg|width=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70713 세훈 3.jpg|width=100%]]}}} ||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70713 세훈 4.jpg|width=100%]]}}} ||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70713 세훈 5.jpg|width=100%]]}}} || }}}}}} || === 영상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To8SnRPNTY0)]}}}||{{{#!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Vhg1_wKWnd0)]}}}||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skrCn2ewgDg)]}}}||{{{#!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S9e8w2gvvvw)]}}}||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Jrq90YnttBE)]}}}||{{{#!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A0j4AmxntAM)]}}}||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njFmc7ITMI)]}}}||{{{#!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uhbJ42NYHW8)]}}}|| == 활동 == ||
'''{{{#e35e25 연도}}}''' || {{{#e35e25 '''날짜'''}}} || '''{{{#e35e25 방송사}}}''' || '''{{{#e35e25 제목}}}''' || '''{{{#e35e25 비고}}}''' || ||<|16> '''2017년''' ||<|2> 7월 20일 ||<|2>M.net [[엠카운트다운]] || [[https://tv.naver.com/v/1878115|전야 (前夜) (The Eve)]] ||<|2> '''컴백''' || || [[https://tv.naver.com/v/1878118|Ko Ko Bop]] || ||<|2> 7월 21일 ||<|2>KBS [[뮤직뱅크]] || [[https://youtu.be/OdBGRc1nqZI|전야 (前夜) (The Eve)]] ||<|2> || || [[https://youtu.be/GuvMBYKer_A|Ko Ko Bop]] || ||<|2> 7월 22일 ||<|2>MBC [[음악중심]] || [[https://tv.naver.com/v/1883453|전야 (前夜) (The Eve)]] || {{{-2 [[https://youtu.be/SbUUM7ZRV_E|직캠]]}}} || || [[https://tv.naver.com/v/1883456|Ko Ko Bop]] || {{{-2 [[https://youtu.be/_wcvDKgVFn0|직캠]]}}} || ||<|2> 7월 23일 ||<|2>SBS [[인기가요]] || [[https://tv.naver.com/v/1884820|전야 (前夜) (The Eve)]] ||<|2> || || [[https://tv.naver.com/v/1884829|Ko Ko Bop]] || || 7월 26일 ||MBC Music [[쇼챔피언]] || [[https://tv.naver.com/v/1895410|Ko Ko Bop]] || '''1위'''[br]{{{-2 [[https://tv.naver.com/v/1911756|멀티캠]] [[https://tv.naver.com/v/1912079|비하인드1]] [[https://tv.naver.com/v/1912056|비하인드2]] [[https://tv.naver.com/v/1912057|비하인드3]] [[https://tv.naver.com/v/1957738|비하인드4]] [[https://youtu.be/4hWRipYUJx0|수상 소감]]}}} || || 7월 27일 ||M.net [[엠카운트다운]] || [[https://tv.naver.com/v/1898789|Ko Ko Bop]] || '''1위'''[br]{{{-2 [[https://youtu.be/zzERl5H0zfo|직캠]] [[https://www.instagram.com/p/BXDJrRKlqa4|[[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15]]]]}}} || || 7월 29일 ||MBC [[음악중심]][* 2017 울산 서머 페스티벌 (7월 24일 녹화분)] || [[https://tv.naver.com/v/1904144|Ko Ko Bop]] || || || 7월 30일 ||SBS [[인기가요]] || [[https://tv.naver.com/v/1905501|Ko Ko Bop]] || '''1위''' || || 8월 3일 ||M.net [[엠카운트다운]] || [[https://tv.naver.com/v/1920241|Ko Ko Bop]] || '''1위'''[br]{{{-2 [[https://tv.naver.com/v/1929701|앵콜]] [[https://youtu.be/AcZezjzq8Y4|앵콜 직캠]]}}} || || 8월 10일 ||M.net [[엠카운트다운]] || [[https://tv.naver.com/v/1943439|Ko Ko Bop]] || '''1위'''[br]{{{-2 [[https://tv.naver.com/v/1953437|앵콜]] [[https://youtu.be/e3144ywlO3w|앵콜 직캠]]}}} || || 8월 12일 ||MBC [[음악중심]] || [[https://tv.naver.com/v/1948873|Ko Ko Bop]] || '''1위'''[br]{{{-2 [[https://tv.naver.com/v/1948880|앵콜]] [[https://youtu.be/o50r6TfoQG4|앵콜 직캠]]}}} || || 8월 13일 ||SBS [[인기가요]] || [[https://tv.naver.com/v/1950356|Ko Ko Bop]] || || == 성적 == === 음반 === * 〈THE WAR〉한,중 ver 합산 '''초동 판매량 602,0**장''' * 〈THE WAR〉한,중 ver 합산 '''총 판매량 1,110,625장 이상''' (2021년 4월 기준) ==== 한국어 버전 ==== ||<-3>
'''{{{#fff 〈THE WAR 한국어버전〉 한터차트 초동 판매량}}}''' || || {{{#fff '''날짜'''}}} || {{{#fff '''일간 판매량'''}}} || {{{#fff '''비고'''}}} || || '''7월 19일'''^^(1일차)^^ || '''210,0**''' || 발매 시작 || || '''7월 20일'''^^(2일차)^^ || '''115,4**''' || || || '''7월 21일'''^^(3일차)^^ || '''56,1**''' || || || '''7월 22일'''^^(4일차)^^ || '''11,9**''' || || || '''7월 23일'''^^(5일차)^^ || '''12,0**''' || || || '''7월 24일'''^^(6일차)^^ || '''64,9''' || || || '''7월 25일'''^^(7일차)^^ || '''83,9''' || || || '''{{{#fff 초동판매량}}}''' ||<-2> '''{{{#50A164 554,6** 장}}}''' || ||<-4>
{{{#fff '''〈THE WAR 한국어버전〉가온차트 음반 판매량'''}}} || ||<-4> {{{#!wiki style="margin: 0 -11px" {{{#!folding 2017년 ||
'''월''' || '''월간 판매량''' || '''누적 판매량''' || '''비고''' || || 7월 || 808,655 || 808,655 || 월간 1위 || || 8월 || 120,046 || 928,701 || 월간 3위 || || 10월 || 11,614 || 940,315 || || || 11월 || 8,694 || 949,009 || || || 12월 || 3,512 || 952,521 || {{{-2 (- 2,694)}}} || ||<-2> '''2017년 누적판매량''' ||<-2> '''949,827'''[* 연간 2위] ||}}}}}} || ||<-4> {{{#!wiki style="margin: 0 -11px" {{{#!folding 2018년 ||
'''월''' || '''월간 판매량''' || '''누적 판매량''' || '''비고''' || || 1월 || 3,341 || 3,341 || || || 2월 || 2,977 || 6,318 || || || 3월 || 3,808 || 10,126 || || || 5월 || 2,479 || 12,779 || || || 6월 || 2,317 || 15,096 || || || 7월 || 1,514 || 16,610 || || || 8월 || 2,077 || 18,687 || || || 9월 || 1,171 || 19,858 || || || 10월 || 1,255 || 21,113 || || ||<-2> '''2018년 누적판매량''' ||<-2> '''21,113'''[* 2018년 10월 월간차트 수치] ||}}}}}} || ||<-4> {{{#!wiki style="margin: 0 -11px" {{{#!folding 2019년 ||
'''월''' || '''월간 판매량''' || '''누적 판매량''' || '''비고''' || || 1월 || 1,887 || 1,887 || || || 2월 || 1,091 || 2,978 || || || 8월 || 1,042 || 8,070 || || ||<-2> '''2019년 누적판매량''' ||<-2> '''8,070 '''[* 2019년 8월 월간차트 수치] ||}}}}}} || ||<-4> {{{#!wiki style="margin: 0 -11px" {{{#!folding 2020년 ||
'''월''' || '''월간 판매량''' || '''누적 판매량''' || '''비고''' || || 1월 || 1,278 || 1,278 || || || 2월 || 1,255 || 2,533 || || || 4월 || 1,246 || 4,476 || || ||<-2> '''2020년 누적판매량''' ||<-2> '''4,476'''[* 2020년 4월 월간차트 수치] ||}}}}}} || ||<-4> {{{#!wiki style="margin: 0 -11px" {{{#!folding 2021년 ||
'''월''' || '''월간 판매량''' || '''누적 판매량''' || '''비고''' || || 4월 || 12,999 || 12,985 || {{{-2 (- 14)}}} || ||<-2> '''2021년 누적판매량''' ||<-2> '''12,985'''[* 2021년 4월 월간차트 수치] ||}}}}}} || ||<-4> {{{#fff {{{-1 총 판매량}}} '''975,358장 이상'''[br]{{{-1 (2021년 4월 기준)}}}}}} || ==== 중국어 버전 ==== ||<-3>
'''{{{#fff 〈THE WAR 중국어버전〉 한터차트 초동 판매량}}}''' || || {{{#fff '''날짜'''}}} || {{{#fff '''일간 판매량'''}}} || {{{#fff '''비고'''}}} || || '''7월 19일'''^^(1일차)^^ || ''' 17,1**''' || 발매 시작 || || '''7월 20일'''^^(2일차)^^ || '''9,6**''' || || || '''7월 21일'''^^(3일차)^^ || '''9,9**''' || || || '''7월 22일'''^^(4일차)^^ || '''2,2**''' || || || '''7월 23일'''^^(5일차)^^ || '''8**''' || || || '''7월 24일'''^^(6일차)^^ || '''4,9**''' || || || '''7월 25일'''^^(7일차)^^ || '''2,7**''' || || || '''{{{#fff 초동판매량}}}''' ||<-2> '''{{{#50A164 47,4**장}}}''' || ||<-4>
{{{#fff '''〈THE WAR 중국어버전〉가온차트 음반 판매량'''}}} || ||<-4> {{{#!wiki style="margin: 0 -11px" {{{#!folding 2017년 ||
'''월''' || '''월간 판매량''' || '''누적 판매량''' || '''비고''' || || 7월 || 150,762 || 150,762 || 월간 2위[br]{{{-2 (-15,495)}}} || ||<-2> '''2017년 누적판매량''' ||<-2> '''135,267'''[* 연간 23위] ||}}}}}} || ||<-4> {{{#fff {{{-1 총 판매량}}} '''135,267장 이상'''[br]{{{-1 (2017년 연간차트 기준)}}}}}} || === 음악 방송 === ||
'''{{{#e35e25 연도}}}''' || {{{#e35e25 '''날짜'''}}} || '''{{{#e35e25 방송사}}}''' || '''{{{#e35e25 제목}}}''' || '''{{{#e35e25 비고}}}''' || ||<|11> '''2017년''' ||<|11> '''[[THE WAR|Ko Ko Bop]]'''[br]{{{-2 11회}}} || 7월 26일 ||MBC Music [[쇼챔피언]]|| {{{-2 [[https://youtu.be/4hWRipYUJx0|수상 소감]]}}} || || 7월 27일 ||M.net [[엠카운트다운]]|| {{{-2 [[https://www.instagram.com/p/BXDJrRKlqa4|수상 소감]]}}} || || 7월 28일 ||KBS [[뮤직뱅크]][* 방송 당시 [[SMTOWN]] 도쿄돔 콘서트에 참석 중이어서 방송에서는 1위 후보 소감 사전녹화 영상이 공개되었다.]|| {{{-2 [[https://tv.naver.com/v/1908927|수상 소감]]}}} || || 7월 30일 ||SBS [[인기가요]]|| - || || 8월 2일 ||MBC Music [[쇼챔피언]]|| - || || 8월 3일 ||M.net [[엠카운트다운]]|| {{{-2 [[https://tv.naver.com/v/1929701|앵콜]] [[https://youtu.be/AcZezjzq8Y4|앵콜 직캠]]}}} || || 8월 4일 ||KBS [[뮤직뱅크]]|| - || || 8월 5일 ||MBC [[음악중심]]|| - || || 8월 6일 ||SBS [[인기가요]]|| - || || 8월 10일 ||M.net [[엠카운트다운]]|| '''트리플 크라운'''[br]{{{-2 [[https://tv.naver.com/v/1953437|앵콜]] [[https://youtu.be/e3144ywlO3w|앵콜 직캠]]}}} || || 8월 12일 ||MBC [[음악중심]]|| {{{-2 [[https://tv.naver.com/v/1948880|앵콜]] [[https://youtu.be/o50r6TfoQG4|앵콜 직캠]]}}} || === 시상식 === [include(틀:다른 뜻1, other1=2017년 THE WAR 앨범의 수상경력, rd1=EXO/수상경력)] ||<-5>
[[엠넷|[[파일:엠넷 로고.svg|width=50]]]] '''[[엠넷 아시안 뮤직 어워드|아시안 뮤직 어워드]][br]{{{#000000 올해의 앨범상}}}''' || || [[EXO]][br]<[[EX'ACT]]>[br](2016년) || {{{+1 →}}} || '''EXO[br]<[[THE WAR]]>[br](2017년)''' || {{{+1 →}}} || [[방탄소년단]][br]<[[LOVE YOURSELF 轉 'Tear']]>[br](2018년) || ||<-5>
[[멜론 뮤직 어워드|[[파일:mma_logo_white.png|width=240]]]][br]'''{{{#ffffff 아티스트상}}}''' || || [[EXO]][br](2016년) || {{{+1 →}}} || '''EXO[br](2017년)''' || {{{+1 →}}} || [[방탄소년단]][br](2018년) || == 평가 == '''빌보드 월드디지털송차트 '톱3' ''' '''빌보드 200에서 87위''' '''2017년 MAMA 올해의 앨범상, 멜론 뮤직 어워드 아티스트상 수상''' 사실 Ko Ko Bop은 한국인들에겐 조금 익숙하지 않은 레게 팝 인지라 한국인들의 반응보단 외국인들의 반응이 더 좋다. 하지만 한국인들의 반응이 꼭 나쁜 것만도 아니다. 그냥 쉽게 얘기해서 호불호가 갈리는 곡인건 맞지만 청량함이 덧붙여져 지금까지 엑소가 보여줬던 이미지보다 신선하고 새롭다는 느낌이 많이 든다. [[http://idology.kr/9157|"아이돌로지"]]에서는 앨범의 전반적인 기획, 음악적 성향(레게라는 새로운 카드), 타이틀과 수록곡들에 대해 '느긋하지만 기합이 보인다', '트랙구성이 미끈하게 잘 빠져 있다' 등등 호평들과 두개의 pick을 받았다. [[http://izm.co.kr/contentRead.asp?idx=28636&bigcateidx=8&subcateidx=10&view_tp=1|"izm"]]에서는 타이틀 Ko Ko Bop에 대해 과연 영리한 프로덕션이라 칭찬했고 코러스와 보컬파트를 호평했다. 그러나 래핑이 빈약하고 이것이 곡의 긴장감을 깬다고 지적하기도 하였다. 앨범 전반에 대해서는 계간 문학동네 2017년 가을호에 김영대 음악평론가가 리뷰를 기고했다. "EXO를 여전히 '으르렁'으로 기억하는 이들에게는 불친절한 느낌을 줄 앨범"이라면서, 그 대신 "트렌드를 조합하고 변형하는 등 철저한 초국적 미학에 근거해 자유로운 음악적 실험과 적용을 하고자 했다"고 평하면서 "이번 음반으로 EXO가 시도하고자 한 것은 K-Pop의 오트 쿠튀르(haute couture)[* 프랑스어로 패션업계에서 통용되는 전문 용어. 쿠튀르(couture)는 봉재, 또는 의상점이란 뜻이며 오트쿠튀르(haute couture)는 고급 의상이나 그런 옷을 만드는 의상점을 말한다. 즉, 당대 상류층을 위한 고급 맞춤 의상을 지칭한 것으로 판매하기 위한 옷이 아닌 한 시대의 트렌드를 주도하는 콘셉트를 제시한다는 의미를 담은 작품을 선보인다는 의미가 강하다. 오트 쿠튀르 컬렉션에서 소개된 디자인 요소들에 영감을 얻어 대중들이 입을 수 있는 기성복으로 재 탄생 되는데 이것이 바로 '프레타포르테(pret-a-porter)'이다. 자세한 설명은 [[http://stylem.mt.co.kr/newsPrint.html?no=2014072916051353889&type=1&gubn=sty|여기]]를 참고.] 같은 것은 아닐까"라고 평했다. "가장 명백한 변화는 보컬 편곡으로, 소름, Forever, 내가 미쳐에서 확연히 나타나듯 텍스쳐를 의도적으로 두껍게 가져가는 동시에 전작들 보다 하모니의 비중을 높여서 앨범 전반을 지배하는 극적인 분위기를 강화하고 있다"고도 평했다. 타이틀곡 'Ko Ko Bop'에 대해서는 "이국적인 리듬과 편곡으로 완성된 곡"이라면서 "전통적인 레게 음악 특유의 중의적인 가사를 활용하여 근래 들었던 어떤 아이돌 음악과도 다른 느낌을 준다"고 평했다. 타이틀곡 'Ko Ko Bop'이 해외에서 [[https://youtu.be/VvKZe2L7TP8|"코코밥 챌린지"]]이라는 이름으로 유행하고 있다고 한다. [[필리핀]] [[https://mobile.twitter.com/exosmochi/status/894430487841603584|공영]][[https://mobile.twitter.com/exosmochi/status/894445949463875585|방송]], [[미국]]의 [[스페인어]] [[https://mobile.twitter.com/diIdorado/status/895298869088485379|방송]], [[아르헨티나]] [[https://mobile.twitter.com/Exo_Argentina/status/895452234707808257|뉴스]], 필리핀 [[https://mobile.twitter.com/ultkaiyeol/status/895995897871388674|라디오]], [[가나 공화국|가나]] [[https://mobile.twitter.com/elxiu0408/status/896026222982873088|방송]], 미국 [[캘리포니아]] [[https://youtu.be/e_q5vgCX31s|로컬방송]], [[태국]] [[https://f.ptcdn.info/984/052/000/ouhj1k1ivGvThzSq5ob-o.jpg|신문]], [[말레이시아]] [[https://mobile.twitter.com/dyoseyo/status/896597756118089728|신문]], [[영국]] [[https://mobile.twitter.com/BuzzFeedUK/status/896712121538543616|버즈피드]]에서도 나왔다. 심지어 필리핀 [[https://mobile.twitter.com/BaekHun_TM/status/895616779329748993|국영 뉴스]]에 언급되어 필리핀 전 [[부통령]]이였던 [[앵커]]도 코코밥 춤을 [[https://mobile.twitter.com/baekaeri06/status/895622072931459072|추었으며]] [[미국]] 여자 [[레슬링]] 선수가 [[https://mobile.twitter.com/wrestlingleva/status/896556123414814721|추기]]도 하였다. [[일본]] [[야후]] 에 기사로 언급되기도 하였고 미국에 있는 버즈피드 본사와 미국 [[http://www.teenvogue.com/story/k-pop-dance-challenge-exo-ko-ko-bop/amp|틴 보그]]에도 언급되었다. 이외에 [[볼리비아]], [[호주]], [[페루]], [[인도네시아]] 등 여러나라 뉴스에서도 언급되었으며 [[위키백과]]에 코코밥 챌린지 단어가 등재되었다. [[http://theqoo.net/542794128|코코밥 챌린지 유행 전개 과정]] 이렇듯 현재 세계적으로 Ko Ko Bop의 평가가 상당히 좋은 편이며 엑소가 발전하고 있다는 증거이기도 하다. Ko Ko Bop은 [[가온 차트]] 8월 월간 순위에서 1위를 기록했다. 발매하는 노래마다 월간 차트 2위를 하던 엑소에게 값 진 성과다. 음반 성적 또한 역대 엑소의 앨범 중 가장 높았다. 리패키지 앨범 판매량을 합산하여 밀리언 셀러를 돌파하던 기존 관행을 깨고 [[The Power of Music|리패키지 앨범]]이 발매되기도 전에 'THE WAR' 앨범의 한국어판과 중국어판을 합쳐 100만 장을 돌파했다. == 여담 == * 작곡가가 '코코밥'이 원래 [[Red Velvet]] 노래로 만들었으며 3키 높았다고 밝혔다. [[https://twitter.com/styalzfuego/status/1210350009444519936?s=21|#]] * 중국인 멤버 [[레이(EXO)|레이]]는 중국 현지 활동 때문에 이번 정규 앨범에서는 참여하지 않는다. * 대중들은 엑소가 초능력 컨셉을 버렸다고 알고 있지만 뮤비를 자세히 보면 멤버들의 개인 초능력을 보여주는 장면이 은근스럽게 나온다. [[분류:EXO/음반]][[분류:2017년 음반]][[분류:한국의 음반]][[분류:중국의 음반]][[분류:가온앨범차트 1위/2017년]][[분류:엠넷 아시안 뮤직 어워드/올해의 앨범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