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바이오로이드[br]{{{+2 '''T-4 케시크'''}}}[br]'''Kheshig''' || ||<-4> [[파일:BR_Kheshig_0_O.png|width=70%&align=center]] || || '''번호''' || 040 ||<:><|2> '''등급''' ||<|2><#FFF2CC> [[파일:SRankRoleSurpporter.png|width=100]] || || '''부대''' ||<:><#000000> [[앵거 오브 호드|[[파일:UI_TeamIcon_AngerOfTheHorde_cr.png|width=100]][br]{{{#ffffff {{{+2 '''앵거 오브 호드'''}}}}}}]] || || '''기업''' || 부대 소속기업 || '''타입''' || 경장형 || || '''제조사''' || - || '''역할''' || 지원기 || || '''최초 제조지''' || - || '''신장''' || 169cm || || '''Class''' || [[서포터|Supporter]] || '''체중''' || 55kg || || '''무장''' || CT-11 Automatic Shotgun || '''신체 연령''' || || || '''아이콘''' || [[파일:TbarIcon_BR_Kheshig_N.png|width=100]] || [[파일:white_marriage_lastorigin.png|width=20]] '''서약대사''' || O || || [[파일:l2dwhite_lastorigin.png|width=20]] '''기본 L2D''' || X || [[파일:whitedamaged_lastorigin.png|width=20]] '''기본 중파''' || X || || '''성우'''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미공개[br][[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미즈하시 카오리]][* 우로부치가 각본을 맡은 [[마법소녀 마도카☆마기카]]에 등장하는 [[토모에 마미]]의 성우. 실제로 이벤트 스토리에서 해당 캐릭터의 명대사를 연상하는 대사도 나오는 걸 보아 거의 대놓고 노린 캐스팅.[[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의 [[아키카와 야요이]]를 맡은 적도 있었다.] || '''일러스트''' || [[라스트오리진/스태프#s-3.1.6|MAR10]] || >처음 뵙겠습니다, 사령관님! T-4 케시크라고 합니다. 이렇게 뵙게 되어 굉장히 영광입니다! > >1차 연합전쟁 때, 저는 병참 관리와 부상병 구호를 담당했어요. 전선에 서는 동포의 생존율을 1%라도 높이 향상시켜 >임무에 전념할 수 있도록 서포트하는 게 제 역할이랍니다. 가능한 많은 동료들과 집단으로 행동할 수 있는 쪽이 제 능력을 >백분 발휘할 수 있다고 생각해요. 반대로... 단독 행동은 많이 서툴러서 가능하면 제외해 주셨으면... >물론 어떤 임무가 주어져도 완수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 >저어... 그런데 혹시, 제가 뭔가 잘못한 게 있나요? > >왠지 아까부터 [[신속의 칸|저쪽의 미녀분]]께서 노려보셔서... 저도 모르는 사이에 실례라도 저지른 건...! [목차] == 개요 == 모바일 게임 [[라스트오리진]]에 등장하는 S급 [[라스트오리진/전투원/경장형 지원기|경장형 지원기]] [[바이오로이드(라스트오리진)|바이오로이드]]. == 상세 == [[https://cafe.naver.com/lastorigin/1006478|공식 카페 소개문]] 2022년 5월 24일 공개된 앵거 오브 호드의 전투원으로 스카라비아 이후로 약 3개월만에 출시된 호드 소속이다. 이름의 유래는 몽골과 원나라의 근위 기병이었던 [[케시크]]. 후방에서 병참/의무를 담당하는 지원병이며 옷 바꿔 입었다고 다른 캐릭터 취급하는 게임으로 치자면 칸의 이격 캐릭터이다. [[신속의 칸]]의 프로토타입 격인 바이오로이드로서 오르카의 칸은 본래는 이 기종이었다가 승격해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는 설정이 있었다. 즉 칸의 설정상에만 존재하던 바이오로이드가 이번에 인게임으로 추가된 셈인데, 갑작스러운 추가는 아니고 GM 질답란에서 본래 케시크는 생산되고 있었다는 설정의 [[https://bbs.ruliweb.com/community/board/184992/read/75825|답변]]이 있었다. 칸보다 먼저 존재한 전투원답게 칸(041)의 바로 앞 도감번호(040)을 가졌다. 도감번호가 대체로 같은 부대 내에서 먼저 생산한 순서대로 부여된 아이샤의 답변대로면 설정을 반영한 번호이다. 재밌게도 자기 소개 부분을 읽어보면 본인의 임무를 서포트로 생각하고 집단 행동이 본인에게 맞으며 단독 행동이 많이 서툴다고 하는데 신속의 칸은 지휘관들 중에서도 특이하게 적진에 선두로 돌진하는 역할을 맡으며 공격적인 행동을 하고 집단 행동보다는 단독 행동을 주로 하는 경우가 많아 상당히 대조적이다. 하지만 칸의 그런 행동은 나 혼자 다 해먹으려고 그러는게 아니라 동포들을 구하기 위해 하는 것이니 어떻게 보면 케시크와 같은 성격이 맞다고 볼 수 있다. 실제 스펙상으로도 칸보다 작고, 칸과 비교해서 상당히 앳된 외모를 가지고 있다. 또한 선택대사에서 잔뜩 긴장한채 "숙지하겠습니다!" 라고 한다던가, 전투 승리모션에서 '''총기안전검사 후 격발이 돼서(…)''' 당황하는 장면이 랜덤하게 나오는 등, 칸의 원본이라고는 상상조차 할 수 없는 미숙함을 보여준다. 이러한 케시크가 승급해 칸이 된 만큼 애기 칸, 칸 릴리 등의 별명이 나오는 중이다. --탈론 페더는 아예 [[로리]] 칸이라고 불렀다.(…)-- 성격의 경우, 첫 등장 이벤트에서 스틸 라인이나 앵거 오브 호드등의 바이오로이드 군대가 생기던 초창기에 어떤 바이오로이드가 군대에 적합한지에 대한 실험을 겸해서 조정된 것 같다는 작중 묘사가 나온다. '모든 것을 제쳐두고 아군을 지원할 것' 이라는 목적을 위해 아군의 피탄에 대한 극도의 공포심을 지니고 있도록 설계되었다고 한다. 그후 T-20S 노움이 나오고 바이오로이드를 소모품으로 하는 전략이 확립되면서 케시크 같은 의무병과는 아예 없어졌다는 모양. 워울프는 갈려나가는 것을 전제로 만들어진 멘탈코어에 대한 혐오감을 드러냈다. 또한 이벤트에서 블랙 리버의 연구시설에서 발견된 삼안의 바이오로이드 데이터에서 발견되었는데, 칸도 만든 기업이 삼안이라고 되어 있는 걸로 봐서는 바이오로이드를 전쟁에 투입하던 초창기에 삼안에서 케시크를 개발해서 블랙리버에 납품했던 것으로 보이며, 납품된 이후 케시크 자체가 쓸모 없어지는 와중에 연합전쟁중에 데이터가 소실되어 버렸고, 그나마 남아 있던 케시크는 전쟁통에 죽거나 칸으로 개조되었기에 케시크 자체는 다시 생산되는 일 없이 데이터만 보관되고 있었던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닥터는 개조 처치에 대한 연구를 위해 남겨둔 백업 데이터였을 거라고 추측했다.] == 작중 행적 == === [[분노의 늑대 송곳니]] === 오르카 연합은 구 블랙리버의 연구시설을 발견, 거기에 T-4 케시크의 유전자 데이터가 보존되어있다는 것을 확인한다. 그러나 이 연구소의 방어시설은 철충의 침입을 조금도 허용치않을 정도로 완강해 지휘관들은 위험을 감수해서까지 회수할 가치가 케시크에게 있는지 신속의 칸[* 케시크에 대해선 오르카에 기록이 거의 없지만 칸이 케시크를 개조해서 만들어진 모델이라는 기록은 남아있었고, 오르카의 칸이 바로 케시크 모델에서 칸 모델로 개조된 당사자이기에 현 오르카에서 케시크라는 기종을 가장 잘 알고 있는 존재였다.]을 호출해 자문을 구하게 된다. 신속의 칸은 케시크는 현 오르카에 유효한 전력이 되지 못한다는 의견을 제시하지만,[* 이는 케시크 모델이 자신만한 가치가 있는가에 대한 문제점과 칸이 만든 지금의 앵거 오브 호드에 적응하기 힘들단 이유 때문이었다. 전자의 경우, 레오나가 조사를 한 결과 칸이 제작된 뒤에도 케시크 모델과 칸 모델이 같이 운용된 사례를 통해 '케시크가 모두 유능했으면 모두 칸으로 개조되었을 것이니 오르카의 칸은 돌연변이가 아니었을까'란 결론을 냈기 때문이며, 칸 또한 자신이 케시크로서 기대되는 운용에 벗어난 존재이기 때문에 개조된 것임을 인정했다. 후자의 경우, 100년 전과 달리 신속의 칸이라는 강력한 대장이 단독으로 싸우며 다른 부대원들이 이를 보조한다는 기이한 형태의 부대가 되어버렸기 때문. 케시크의 원래 성격설정도 알고 있을테니 더더욱...] 닥터는 지금까지 사령관이 어떤 바이오로이드도 가치가 없다고 여긴적 없음을 피력, 데이터로만 남기는 건 좋지 않다며 회수해줄 것을 요청한다. 이에 사령관은 해당 시설이 지금까지 철충의 침입을 모조리 격퇴할 정도인 만큼 물자 등도 충분할 거라 판단해 연구시설을 공략하기로 결정하게 된다. 그렇게 데이터가 회수되어 복원된 케시크는 예리한 칼과 같은 신속의 칸과는 상반된 상당히 여린 모습이라 사령관 등을 당황시켰고, 공유 기억 갱신이 제1차 연합전쟁에서 멈춰 있어 칸 모델을 알지 못했다. 그런 케시크를 칸은 자신의 부대인 앵거 오브 호드에 배치하게 된다. 칸 모델의 전신인 케시크의 복원에 그 성능을 기대한 앵거 오브 호드 부대원들은 그대로 시뮬레이션 훈련에 들어가는데, 케시크는 100년 동안 달라진 호드에 따라가기 힘들어했고, 호드 부대원들은 자신들이 생각한 것과는 완전히 다른 케시크의 모습에 당황했다.[* 칸 모델의 프로토타입이니 칸에 비견되는 강함을 지녔을거라 생각한 부대원이 많았는데 복원된 케시크는 전형적인 후방지원담당이었기 때문. 그런 그들의 반응에 연합전쟁보다 나중에 [[신속의 칸|굉장한 케시크]]가 나왔던거냐고 케시크가 질문하자 호드 부대원들은 이걸 어떻게 말해야하는 건지 난감해했다.] 이런 케시크를 보면서 칸은 회의적인 반응을 보이나 사령관을 보조하던 아르망은 케시크는 잘 적응할 거라고 대답한다.[* 다만 아르망은 그 과정에 안좋은 미래가 있을 것도 예지했는지 표정이 좋지 않았고, 칸에게 시선을 주지 못했다.] 이후 훈련에선 흔들리지 않고 적응하나 했지만, 성격이 아군의 피탄에 매우 민감하도록 설정되있는 탓[* 이를 파악한 워울프는 다른 이의 상처를 가장많이 봐야할 위생병 포지션한테 이런 성격을 설정했다며 이건 그냥 망가지란 소리지 않냐며 구시대의 인간들을 깐다.]에 워울프의 피탄에 매우 흔들린다. 그 후 작전에선 호드 부대가 철충의 함정으로 고립되고 전파도 차단되자 칸은 이대로 돌파한다 지시하고 다른 부대원들도 찬성한다. 하지만 그 사이에서 케시크에 신경쓰는 눈빛들을 느끼고 자신이 걸림돌이 되는 것이냐 한탄한다. 어떻게 추격을 따돌렸지만, 그 과정에서 하이에나가 움직일 수 없는 부상을 입어버린다. 이에 칸은 케시크와 샐러멘더에게 하이에나의 간호를 맡기고 탈론페더는 공중에서 돌파, 자신과 워울프, 카멜은 지상에서 돌파해 둘 중 한쪽이라도 돌파하는 쪽이 전파방해에서 벗어나 구조를 요청하는 방식으로 작전을 수정한다. 그에 따라 케시크는 하이에나, 샐러맨더와 함께 남아 하이에나를 살핀다.[* 샐러맨더가 남게 된 건 칸 일행의 행동이 수월할 수 있도록 자청해 자신의 장비를 미끼로 썼기 때문이다.] 그렇게 샐러맨더와 함께 하이에나를 간호하던 중. 하이에나는 샐러맨더에게 마취제를 맞고[* 도박을 통해 일부러 하이에나의 수류탄을 전부 따고, 마지막에 져줘서 마취제를 전투자극제라고 속여 투여시킨다. 이렇게 하지 않으면 절대안정이란 말을 절대 듣지 않을 거라서.] 잠들자 샐러맨더와 함께 정찰대 철충들을 상대하기 위해 부비트랩을 설치한다. 그러다가 샐러맨더가 겨우 움직일 정도의 부상을 입자 자책하는 성향이 터져서 어째서 자신을 다시 세상에 나오게 한 것인가 까지 생각하며 자책하던 중, 탈론페더의 "너는 혼자가 아니다" 라는 신호와 안드바리와 그렘린의 살아달라는 메시지가 담긴 보급을 보고 마음을 다잡고, 샐러맨더의 상태를 살피고 보급된 '''칸이 장비하던 리볼버 캐논을 들고''' 철충들을 상대하기 시작한다.[* 칸의 무기는 워울프도 들려다 포기했을 정도로 엄청난 무게를 자랑하는데, 그런 캐논을 들고 전장을 종횡무진 뛰어다녔다는 점에서 케시크도 칸 못지않은 스펙을 지녔음을 알 수 있다. 애초에 모의전의 실수도 샐러맨더에 의하면 동료들의 피탄을 너무 신경써서 문제가 된 것이지, 그 외에는 실수 없이 잘 했다고 한다.][* 칸의 무기를 잡은 이유는 우연찮게도 당시 잡을 수 있는 유일한 무기가 칸의 무기였기 때문이다. 1부에서 하이에나가 화난 장면에서 볼 수 있듯 호드의 무기는 개인의 취향과 전투스타일이 들어간 커스텀 모델이라 민감한 편인데 유일하게 칸은 자신의 전투에 버틸 수 있게끔 총의 구조를 단순하고 튼튼하게 만들었기 때문. 안드바리와 그렘린도 전장 한가운데에 보급함을 던지는 것이라 내용물이 파손될 것을 우려하여 이동식 컨테이너에 부스터를 달아 대량으로 보내는 방법으로 보내야했는데 그중에서 유일하게 쓸 수 있었던 게 칸의 총이었던 것이다. 어느 의미에서는 참으로 얄궂은 운명.] >이젠 우는 소리 하지않을 거야. 지금 여기는 나 혼자서 지킬 수밖에 없어. 샐러맨더 씨도 믿어줬으니까. >......해보겠습니다. 모처럼 복원시켜 주신 사령관님께 은혜를 갚아야죠. >한 번 더 저에게 동료를. 싸울 장소를 주셔서 감사합니다. [[토모에 마미|저는 이제 두렵지 않아요]]. >---- > EV2-7 전투 시작전 케시크의 독백 >나는 바이오로이드. 만들어진 생명. 이런 꼴사나운 모조품, 신께서 보신다면 분노하실지도 모른다. >하지만 부디, 정말로 당신께서 자비로우시다면- 부디 이 불쌍한 가짜의 기도를 들어주소서, >'''저를 늑대로 만들어주소서, 지치않고 달리는 네다리와 부러지지 않을 송곳니를 내려주소서. 무리를 지킬 수 있는 짐승의 본능을. 그 외엔 아무것도 바라지 않습니다.''' [* 신속의 칸이 케시크 시절 상관의 죽음을 보며 올린 기도와 비슷한 기도를 올린다.] >그래, 저렇게─[* 홀로 싸우던 케시크 옆에 칸이 나타난다] >[[신속의 칸|꿈꾸던 이상적인 모습이 내옆을 달리고 있다.]] >아름답고, 빠르며, 날카로운─ 그야말로 유능제강의 기세를 지닌─ 고독한 늑대, >그 환각을 향한 동경에 가슴이 크게 뛴다. 저렇게 되고싶다. 저것이야말로 내가 바라는 모든─ >(중략)[* 어째서 환각이 진짜로 적을 해치우는거냐며 놀라다 환각이 아니라 진짜 임을 깨닫는다.] >꿈꾸던 이상이 인도하는 대로, 나는 적을 제거해 간다. >아아, 감사합니다. 신이시여... >기도를, 들어주셨군요. >---- >EV2-7 전투중 케시크의 기도 그렇게 철충들을 상대하며 '[[토모에 마미|저는 이제 두렵지 않아요]].' 라는 --사망플래그와-- 말과 함께 철충들과 전투를 시작한다. 마침 칸이 보급을 마치고 돌아와 둘이 같이 그 많은 철충의 군세들을 물리치는데 성공한다.[* 칸을 뒤쫓아온 브라우니는 호드의 신병이 어마어마한 괴물이었다며 감탄을 금치 못했다.][* 2-7의 배경으로 볼 수 있는데 비록 킬로그가 느리긴 하지만 그 칸을 따라가면서 본인도 킬을 내고 있다.] 이후엔 호드에 성공적으로 녹아들어 호드의 일원이 되었다. 호드에선 보급관과 같은 포지션으로, 전용 장비는 자신이 정비한다는 법칙이 있는 호드대원들이 믿고 맡길 정도로 신뢰받고 있다.[* 단, 그 탓에 하이에나의 폭탄을 직접 손봐주었는데 평소 하이에나의 폭탄이 바닥에 닿기만 해도 폭발하는 수준이라 직접 정비 후 그 이상은 안 된다며 엄포를 넣었다. 결국 하이에나가 물러나 작전을 다시 짜야겠다고 툴툴대는건 덤.~~사실 늘 써와서 그렇지 하이에나의 폭탄이 최소한의 안전장치도 없어서 상상 이상으로 위험한건 넘어가자~~] == 성능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4>
'''성능''' || || '''공격력''' || '''방어력''' || '''속도''' || '''지구력''' || || C || C || +B || +A || ||<-2> '''공격 빈도''' ||<-2> '''보조 능력''' || ||<-2> C ||<-2> +A || ||<-4> '''기본 능력치(100렙 풀링크 능력치)''' || || '''체력''' || 175() || '''전투력''' || 128() || || '''공격력''' || 38() || '''치명타''' || 2% || || '''방어력''' || 12() || '''적중률''' || 148% || || '''행동력''' || 3.95 || '''회피율''' || 5% || ||<-4> '''운영 비용(코어링크 당)''' || || '''부품''' ||<-3> 13 / 15 / 16 / 18 / 20 / {{{#orange '''23'''}}} || || '''영양''' ||<-3> 22 / 24 / 27 / 30 / 34 / {{{#lightgreen '''39'''}}} || || '''전력''' ||<-3> 04 / 05 / 05 / 06 / 07 / {{{#skyblue '''08'''}}} || ||<-4> '''장비 슬롯''' || || '''Lv. 20''' || '''Lv. 40''' || '''Lv. 60''' || '''Lv. 80''' || || 칩 || 칩 || OS || 보조장비 || ||<-4> '''코어링크 당 보너스''' || || '''체력''' || '''공격력''' || '''행동력''' || '''획득 경험치''' || || +20% || +20% || +0.02 || +4% || ||<-4> '''획득 방법''' || || '''제작 시간''' ||<-3> || || '''드랍''' ||<-3> || || '''기타''' ||<-3> [[분노의 늑대 송곳니]] Ev 1-5 클리어 보상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5>
'''선택 가능한 풀 링크 보너스''' || || 출격 비용-20% || 스킬 위력+30% || 적중률+75% || 버프/디버프 효과Lv+2 || 행동력+0.1 || }}} ##아래의 스킬 표에서 '효과 범위' 란은 위키 스킨 설정에서 글꼴 크기를 '매우 크게'로 설정한 값을 기준으로 잡았습니다. 이 미만의 수치로는 수정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아군 버프 스킬은 사거리 표시를 {{{#8CDCFF ■}}}로 합니다. ||<-6> {{{#ffffff 스킬}}} || || 분류 || 이름 || 효과 || 사거리 || 소모AP || 효과[br]범위 || || 액티브1 || '''액티브 1 스킬 이름''' || 액티브 1 스킬 내용[br]{{{#a1a1a1 “액티브 1 스킬 설명 대사”}}} || 사거리 수치 || 소모 AP 수치 || □ {{{#f4b084 ■}}} {{{#c65911 ■}}}[br]{{{#f4b084 ▨}}} {{{#f4b084 ■}}} {{{#c65911 ■}}}[br]□ {{{#f4b084 ■}}} {{{#c65911 ■}}} || || 액티브2 || '''액티브 2 스킬 이름''' || 액티브 2 스킬 내용[br]{{{#a1a1a1 “액티브 2 스킬 설명 대사”}}} || 사거리 수치 || 소모 AP 수치 || □ {{{#f4b084 ■}}} {{{#c65911 ■}}}[br]{{{#f4b084 ▨}}} {{{#f4b084 ■}}} {{{#c65911 ■}}}[br]□ {{{#f4b084 ■}}} {{{#c65911 ■}}} || || 패시브1[br] || '''패시브 1 스킬 이름''' || 패시브 1 스킬 내용[br]{{{#a1a1a1 “패시브 1 스킬 설명 대사”}}} || 사거리 수치 || 소모 AP 수치 || □ {{{#8cdcff ■}}} {{{#7fb6f8 ■}}}[br]◎ {{{#8cdcff ■}}} {{{#7fb6f8 ■}}}[br]□ {{{#8cdcff ■}}} {{{#7fb6f8 ■}}} || || 패시브2[br] || '''패시브 2 스킬 이름''' || 패시브 2 스킬 내용[br]{{{#a1a1a1 “패시브 2 스킬 설명 대사”}}} || 사거리 수치 || 소모 AP 수치 || □ {{{#8cdcff ■}}} {{{#7fb6f8 ■}}}[br]◎ {{{#8cdcff ■}}} {{{#7fb6f8 ■}}}[br]□ {{{#8cdcff ■}}} {{{#7fb6f8 ■}}} || || 패시브3[br](SS급 승급) || '''패시브 3 스킬 이름''' || 패시브 3 스킬 내용[br]{{{#a1a1a1 “패시브 3 스킬 설명 대사”}}} || 사거리 수치 || 소모 AP 수치 || □ {{{#8cdcff ■}}} {{{#7fb6f8 ■}}}[br]◎ {{{#8cdcff ■}}} {{{#7fb6f8 ■}}}[br]□ {{{#8cdcff ■}}} {{{#7fb6f8 ■}}} || ##피해량은 적을 필요 없음. ex)대상에게 2832 피해를 주고 x 대상에게 피해를 주고 o ##특정 레벨에서 스킬의 범위가 증가하는 경우 액티브 2 스킬 템플릿 참고 하세요. {{{#!wiki style="word-break: keep-all" ||<-4>
'''액티브 1 스킬''' || || '''이름''' || '''사거리''' || '''소모 AP''' || '''범위''' || || [[스킬 아이콘 이미지|width=50px]][br]'''스킬 이름''' || - || - || □ □ □[br]□ {{{#red ■}}} □[br]□ □ □ || || Lv. 10 ||<-2> 10레벨 스킬 능력치 || 단일, 십자 범위, 전체 || ||<-4> {{{#!wiki style="text-align: center; margin: -5px -10px; padding: 5px 0px" {{{#!folding [ 스킬 Lv. 1~9 상세 정보 열기 / 닫기 ] ||
Lv. 1 ||<-2> 1레벨 스킬 능력치 ||<|9> □ □ □[br]□ {{{#red ■}}} □[br]□ □ □[br]단일 || || Lv. 2 ||<-2> 2레벨 스킬 능력치 || || Lv. 3 ||<-2> 3레벨 스킬 능력치 || || Lv. 4 ||<-2> 4레벨 스킬 능력치 || || Lv. 5 ||<-2> 5레벨 스킬 능력치 || || Lv. 6 ||<-2> 6레벨 스킬 능력치 || || Lv. 7 ||<-2> 7레벨 스킬 능력치 || || Lv. 8 ||<-2> 8레벨 스킬 능력치 || || Lv. 9 ||<-2> 9레벨 스킬 능력치 || }}}}}} || ||<-4> 인게임 스킬 설명 ---- {{{#a1a1a1 "플레이버 텍스트."}}} || ||<-4> '''액티브 2 스킬''' || || '''이름''' || '''사거리''' || '''소모 AP''' || '''범위''' || || [[스킬 아이콘 이미지|width=50px]][br]'''스킬 이름''' || - || - || □ {{{#red ■}}} □[br]{{{#red ■}}} {{{#red ■}}} {{{#red ■}}}[br]□ {{{#red ■}}} □ || || Lv. 10 ||<-2> 10레벨 스킬 능력치 || 십자 일반 || ||<-4> {{{#!wiki style="text-align: center; margin: -5px -10px; padding: 5px 0px" {{{#!folding [ 스킬 Lv. 1~9 상세 정보 열기 / 닫기 ] ||
Lv. 1 ||<-2> 1레벨 스킬 능력치 ||<|4> □ {{{#red ■}}} □[br]□ {{{#red ■}}} □[br]□ {{{#red ■}}} □[br]중열 일반 || || Lv. 2 ||<-2> 2레벨 스킬 능력치 || || Lv. 3 ||<-2> 3레벨 스킬 능력치 || || Lv. 4 ||<-2> 4레벨 스킬 능력치 || || Lv. 5 ||<-2> 5레벨 스킬 능력치 ||<|5> □ {{{#red ■}}} □[br]{{{#red ■}}} {{{#red ■}}} {{{#red ■}}}[br]□ {{{#red ■}}} □[br]십자 일반 || || Lv. 6 ||<-2> 6레벨 스킬 능력치 || || Lv. 7 ||<-2> 7레벨 스킬 능력치 || || Lv. 8 ||<-2> 8레벨 스킬 능력치 || || Lv. 9 ||<-2> 9레벨 스킬 능력치 || }}}}}} || ||<-4> 인게임 스킬 설명 ---- {{{#a1a1a1 "플레이버 텍스트."}}} || ||<-4> '''승급 시 신규 패시브 1 스킬''' || || '''이름''' || '''사거리''' || '''소모 AP''' || '''범위''' || || [[스킬 아이콘 이미지|width=50px]][br]'''패시브 스킬 이름''' || - || - || □ □ □[br]□ {{{#8cdcff ■}}} □[br]□ □ □ || || Lv. 10 ||<-2> 10레벨 스킬 능력치 || 단일 || ||<-4> {{{#!wiki style="text-align: center; margin: -5px -10px; padding: 5px 0px" {{{#!folding [ 스킬 Lv. 1~9 상세 정보 열기 / 닫기 ] ||
Lv. 1 ||<-2> 1레벨 스킬 능력치 ||<|9> □ □ □[br]□ {{{#8cdcff ■}}} □[br]□ □ □[br]단일 || || Lv. 2 ||<-2> 2레벨 스킬 능력치 || || Lv. 3 ||<-2> 3레벨 스킬 능력치 || || Lv. 4 ||<-2> 4레벨 스킬 능력치 || || Lv. 5 ||<-2> 5레벨 스킬 능력치 || || Lv. 6 ||<-2> 6레벨 스킬 능력치 || || Lv. 7 ||<-2> 7레벨 스킬 능력치 || || Lv. 8 ||<-2> 8레벨 스킬 능력치 || || Lv. 9 ||<-2> 9레벨 스킬 능력치 || }}}}}} || ||<-4> 인게임 스킬 설명 ---- {{{#a1a1a1 "플레이버 텍스트."}}} || }}} === 숙련도 === ||<-6> 액티브 || || '''Lv''' || - || - || || 1 || +-.:%[br] || - || || 2 || - || - || || 3 || - || - || || 4 || - || - || || 5 || - || - || || 6 || - || - || || 7 || - || - || || 8 || - || - || || 9 || - || - || || 10 || - || - || ||<-6> 패시브 || || '''Lv''' || - [br](A급 승급) || - [br](S급 승급) || - [br](SS급 승급) || || 1 || +-.:%[br] || - || - || || 2 || - || - || - || || 3 || - || - || - || || 4 || - || - || - || || 5 || - || - || - || || 6 || - || - || - || || 7 || - || - || - || || 8 || - || - || - || || 9 || - || - || - || || 10 || - || - || - || === 관련 영상 === ##액티브 1 스킬 시연 동영상 {{{#!html }}} ##액티브 2 스킬 시연 동영상 {{{#!html }}} === 패치노트 === || 패치노트[br]{{{#!folding 【 펼치기 · 접기 】 ||[[https://cafe.naver.com/lastorigin/게시글 번호|20**.**.**]] ####해당 전투원의 패치 내용 ---- [[https://cafe.naver.com/lastorigin/게시글 번호|20**.**.**]] ####해당 전투원의 패치 내용 ---- ####{{{#009e25 버프}}} ####{{{#ff0000 너프}}} ####{{{#7030a0 혼합}}} ||}}} || === 전용 장비 === === 평가 === 아군의 생존력을 높여주는 능력이 눈에 띄는 독특한 콘셉트의 서포터. 패시브 1 응급처치는 전투속행이 없는 아군에게 HP 3의 전투속행을 부여하고, 만일 이 전투속행이 발동할 경우 다음 라운드에 해당 아군에게 피해 최소화(해제 불가)를 영구적으로 걸어준다. 해로운 효과 해제와 효과 저항은 덤이다. 피해 최소화는 적의 공격을 1로 만들어주고, HP가 3인 상태로 라운드를 시작하므로 어떤 공격이든 3번까지는 버티기 때문에 발동만 한다면 횟수제한은 있지만 높은 생존력을 얻을 수 있다. 다만 점화나 부식 같은 고정 피해는 피해 최소화를 무시하기 때문에 완전한 무적은 아니므로 해당 공격을 하는 적을 우선적으로 제거할 필요가 있다. 또한, 방어막과의 높은 시너지가 있는데 일종의 외장 HP 개념인 방어막과 피해 최소화가 중첩될 경우 피해를 1만 입는 상태로 한 라운드에 수 백번의 공격을 받지 않는 이상 죽지 않는 반무적 같은 탱킹이 가능해진다. 그러나 약점은 여전히 존재하는데 고정 피해는 방어막을 무시하고 방어막 무시의 공격을 받으면 HP 3으로 공격을 받는 셈이 되버린다. 피해 최소화 조건이 전투속행이 발동한 뒤 다음 라운드까지 생존이기 때문에 자칫 잘못하면 공격을 2회 받고 사망해버릴 수 있는데 호드 덱 특유의 선공 능력으로 위험한 적을 최대한 먼저 제거할 수도 있고 아니면 단순한 보험으로 생각하고 사용하지 않을 수도 있다. 하지만 스스로 능동적으로 사용하고 싶다면 뽀끄루나 레드 후드와 같은 아군에게 피해를 입히는 전투원의 선턴을 잡게 만들고 중파 상태의 전투원+방어막 장비 또는 아군에게 방어막을 부여하는 전투원을 사용하여 아군 전체에게 피해 최소화 부여가 가능하다. 패시브 2는 자신보다 공격력/방어력/회피가 높은 아군 1명 당 자신의 행동력이 증가하는 패시브. 3종류 전부 적용시 스킬 사용 후 AP가 1 증가하는 기능도 있다. 다만 호드덱에서 사용한다면 신속의 칸과 같이 쓰게 될테고 이 경우 능력치에 상관 없이 전부 적용된다. 패시브 3은 자신의 최대 행동 횟수가 1 늘어나고, 패시브 1로 피해 최소화가 적용된 아군에게 현재 HP 반비례 피해 증가 버프를 건다. 피해 최소화가 적용 중이라면 HP 3 상태일테니 실질적으로는 최대 수치로 적용될텐데 이 수치가 무려 55%로 조건은 까다롭지만 그만큼의 메리트가 있다. === 육성 === === 호드 부대 패치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8>
{{{#white '''호드 부대 패치'''}}} || ||<|4><-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UI_Icon_Equip_Sub_OldHordeBadge_T4.webp|width=75%]]}}} ||<-3> '''장비 장착 제한''' ||<-2> '''[[T-4 케시크]]''' || ||<-3> '''장비 종류''' ||<-2> 보조장비 || ||<-3> '''드랍''' ||<-2> '''총력전 장비''' || ||<-3> '''총 강화비용''' ||<-2> - || ||<-8> '''능력치 / 추가 효과''' || || '''Lv.10''' ||<-6> 적중 +30%, 행동력 +0.4, AP+2 || }}} 케시크의 전용장비로 총력전 장비로 추가되었다. 지원기로 필요한 행동력 펌핑을 매우 높게 준다. 이는 보통 지원기가 행동력을 위해 챙겨가는 보조 에너지 팩과 초콜렛을 뛰어넘는 수치이기 때문에 빠르게 행동력을 당겨서 2스킬을 부여해 호드에게 부족한 버프와 보호 무시를 부여해주는게 가능하다. 또한 적중도 챙겨주기에 자체적으로 공격하는데도 도움을 준다. == 스킨 == === 기본 === ||<-2>
'''캐릭터이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통상일러.png|width=50%&align=center]]}}} || [[파일:중파일러|width=50%&align=center]] || || 통상 || 중파 || === 단둘만의 온천 === ||<-12> '''타월 한 장 (케시크)''' || || [[파일:케시크 온천 검열.png|width=100%&align=center]] || [[파일:케시크 온천 미검열.png|width=100%&align=center]] || || 통상(검열) || 통상(미검열) || || [[파일:TbarIcon_BR_Kheshig_NS1.webp|width=64]] || [[파일:참치캔.png|width=30px]]'''114''' || || 아이콘 || 가격 || ||<-2>비어있는 줄 알았던 온천에 들어가니 선객이 반겨... 아니, 심하게 놀라는 것을 보면 환영 인사는 아닌 거 같군요. 하지만 당황도 잠시뿐 각오를 다진 케시크는 당신에게 무언가를 보여주고 싶다고 하네요. 그리고 타월을...|| || 일러스트레이터 || D-log [[https://m.cafe.naver.com/lastorigin/1034925|출처]] || 2022년 9월 5일 추가 되었다. D-log 작가의 두번째 대체 일러스트 스킨이다. 처음 스킨 조각에서는 특유의 똥머리로 인해 [[콘스탄챠 S2|콘스탄챠]]의 스킨으로 추측되었으나,[* 막 종료된 해가 지지 않는 워터파크 이벤트의 배너가 메이드복을 벗고 수영복 차림으로 달려나가는 콘스탄챠 일러스트였다는 점도 추측에 무게를 가했을 것이다.] 수영복도 아닌 케시크의 온천 스킨이었다는게 밝혀져 놀라는 유저들이 많았다. 바디슈트에 압박되어서 그런지는 몰라도 원본보다 조금 풍만해진듯한 가슴과, 대선배이자 후계기인 [[신속의 칸]] 못지 않은 하체가 특징이다. 같은 온천 스킨을 가진 탈론 페더와 같이 세워두면 상당히 어울린다. 스킨 설명에서 보여주고 싶다고 언급하는 것은 바로 호드 부대의 문신인데, 타월에 가려져 잘 안보이지만 자세히 들여다보면 '''[[자궁문신|매우 절묘한 위치]]'''[* 분노의 늑대 송곳니 2지역 마지막 파트에서 부대 마크를 안보이지만 부끄러운 위치에 새겼다고 했었다.]에 있다! 구글판은 수건 면적이 더 넓고 투명도가 없으며 원스토어 판은 수건의 면적이 좁아지고 투명해져 호드 부대 마크와 유륜이 보인다. 2022년 12월 5일 중파 일러스트가 추가되었다. == 대사 == === 기본 === ## 좌측 정렬로 써 주세요. ||<-4>획득|| || ||<-4>편성|| || ||<-4>리더 지정|| || ||<|5>리더||<-3>스쿼드 선택|| || ||<-3>출격|| || ||<-3>퇴각|| || ||<|2>탐색||<-2>시작|| || ||<-2>완료|| || ||<-4>전투 선택|| || ||<-4>전투 지시|| || ||<-2><|2>액티브||<-2> 1 || || ||<-2> 2 || || ||<-4>전투 불능|| || ||<-4>수복|| || ||<-4>강화|| || ||<-4>장비 장착|| || ||<-4>코어 링크|| || ||<-4>선물|| || ||<|9>부관||<-3>접속|| || ||<-3><|3>일반 터치|| || || || || || ||<-3>특정 터치|| || ||<|4> 호감도 ||<-2>호감[br](40)[br]이상 || || ||<-2>친밀[br](70)[br]이상 || || ||<-2>애정[br](100)[br]이상 || || ||<-2>애정[br](100)[br]특정[br]터치 || || ||<-4>서약|| || ||<-4>서약 후 터치|| || ||<-4>불명|| || === 서약 대사 === ||<-4>편성|| || ||<-4>리더 지정|| || ||<|5>리더||<-3>스쿼드 선택|| || ||<-3>출격|| || ||<-3>퇴각|| || ||<|2>탐색||<-2>시작|| || ||<-2>완료|| || ||<-4>전투 선택|| || ||<-4>전투 지시|| || ||<-2><|2>액티브||<-2> 1 || || ||<-2> 2 || || ||<-4>전투 불능|| || ||<-4>수복|| || ||<-4>강화|| || ||<-4>장비 장착|| || ||<-4>코어 링크|| || ||<-4>선물|| || ||<|5>부관||<-3>접속|| || ||<-3><|3>일반 터치|| || || || || || ||<-3>특정 터치|| || ||<-4>불명|| || === 스킨 대사 === ||<-4>편성|| || ||<-4>리더 지정|| || ||<|5>리더||<-3>스쿼드 선택|| || ||<-3>출격|| || ||<-3>퇴각|| || ||<|2>탐색||<-2>시작|| || ||<-2>완료|| || ||<-4>전투 선택|| || ||<-4>전투 지시|| || ||<-2><|2>액티브||<-2> 1 || || ||<-2> 2 || || ||<-4>전투 불능|| || ||<-4>수복|| || ||<-4>강화|| || ||<-4>장비 장착|| || ||<-4>코어 링크|| || ||<-4>선물|| || ||<|9>부관||<-3>접속|| || ||<-3><|3>일반 터치|| || || || || || ||<-3>특정 터치|| || ||<|4> 호감도 ||<-2>호감[br](40)[br]이상 || || ||<-2>친밀[br](70)[br]이상 || || ||<-2>애정[br](100)[br]이상 || || ||<-2>애정[br](100)[br]특정[br]터치 || || ||<-4>서약|| || ||<-4>서약 후 터치|| || ||<-4>불명|| || == 이벤트 투표 이력 == || 이벤트 종류 || 투표 단위 || 소속 || 결과 || == 둘러보기 == === 구성원 === [include(틀:앵거 오브 호드)] === 일러레 === [include(틀:마리오(MAR10) 전투원)] === 출시순 === ||<-5> '''[[라스트오리진/전투원|{{{#ffffff 라스트오리진의 195번째 전투원}}}]]''' || || 2022/05/16 ||<|2> → || 2022/05/30 ||<|2> → || 2022/06/27 || || SS등급 [[브륀힐드(라스트오리진)|브륀힐드]] || S등급 [[T-4 케시크]] || SS등급 [[바르그]] || === 전투원 일람 === [include(틀:라스트오리진/종류)] [[분류:라스트오리진/전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