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SK텔레콤이 개발한 소프트웨어]] [include(틀:관련 문서, top1=SK텔레콤/요금제)] [include(틀:SK텔레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T스팸필터링 아이콘.png|width=100%]]}}}|| [목차] [clearfix] == 개요 == [[SK텔레콤|[[파일:T스팸필터링 화면 (2).png|align=center&width=400px]]]] '''T스팸필터링'''은 [[SK텔레콤]] 가입자에게 제공되는 [[스팸메일|스팸 문자]] 차단 앱이다. == 이용 방법 == [[T world]] 앱이나 사이트에서 '''문자 스팸 필터링''' 부가서비스가 가입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먼저 가입을 한다. 무료로 제공된다. [[http://www.tworld.co.kr/normal.do?serviceId=S_PROD2001&viewId=V_PROD7070&prod_id=NA00002121&uCode=u1_2|#]] 그 다음에 휴대폰에 T스팸필터링 앱을 설치하여 스팸 문자에 대해서 필터링 규칙을 추가하면 된다.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에 신고하는 기능이 있으며 스팸 문자 차단 알림 기능, 자동으로 스팸 문자를 차단하는 기능 (상/중/하/off)을 설정할 수 있다. 자동 차단 기능은 큰 효과는 없으며 극히 일부의 스미싱 및 피싱 문자에 대해서는 효과가 있다. 스팸 문자함에서 필터링된 스팸 문자를 확인할 수 있다. 보관 기간은 대략 2개월 정도로 추정된다. == 동작 방식 == T스팸필터링 앱에서 번호, 문구 등의 필터링 규칙을 추가하면 통신사 전산에 반영되어 자동으로 [[문자메세지]]에 대해서 필터링이 이루어진다. 필터링된 문자들은 해당 회선의 휴대폰으로 발송되지 않고 통신사 내의 '''스팸문자함'''에 저장된다. 발송자에게는 문자가 수신된 것으로 처리가 된다. == 버그 및 문제점 == * 특정 국번을 기준으로 문자를 차단할 경우 최대 20개의 국번까지 필터에 등록할 수 있다는 한계가 있다. [[국제전화]] 번호로 오는 문자를 차단할 때에는 001, 002, 006으로 시작하는 패턴을 일일이 등록해야 하므로 많이 아쉽다. * 2022년 기준으로 [[RCS(메시지 전송 방식)|RCS 문자]] 차단이 제대로 되지 않고 있다. 특히,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앞두고 정치 관련 문자를 차단하는 사람들이 늘어나자 일부 정치인들이 '''채팅+''' (국내 전용 RCS)를 통해 홍보 문자를 보내 SKT의 스팸 필터링 기능을 회피하는 꼼수를 쓰고 있다. 이 문제가 해결될 때까지 문자 앱에서 채팅+ 기능을 해지하거나 아이폰으로 기기변경 하는거 말고는 대응책이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