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미국의 영화, rd1=시리아나, other2=네이버 웹툰 노블레스의 등장인물, rd2=자르가 시리아나)] [목차] ||<-2>
[[DJMAX 시리즈|[[파일:DJMAX 로고(블랙).svg|width=100&theme=light]][[파일:DJMAX 로고(화이트).svg|width=100&theme=dark]]]]|| ||<-2>{{{#!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60c8Wap854I)]}}} || || {{{-1 '''수록 정보'''}}} ||{{{-1 [[DJMAX Portable 2]]}}} {{{-3 (2007)}}} || || {{{-1 '''장르'''}}} ||{{{-1 Urban Funk}}} || || {{{-1 '''BPM'''}}} ||{{{-1 135}}} || || {{{-1 '''작곡'''}}} ||{{{-1 [[BEXTER]]}}} || || {{{-1 '''작사'''}}} ||{{{-1 [[3rd Coast|JC]]}}} || || {{{-1 '''편곡'''}}} ||{{{-1 BEXTER / [[PlanetBoom]]}}} || || {{{-1 '''보컬'''}}} ||{{{-1 JC(랩)}}} || || {{{-1 '''BGA'''}}} ||{{{-1 [[Ache]]}}} || ||<-2> {{{#!folding [ 가사 보기 ] Let's go, let me enter your dome. My cypher lesson known, pass it on. No captives, back to back. We gonna rap this. Act quick, make you drown like a baptist. Tap your phones, I snatch your thrones. I gonna get it movin', detach your clones. I top the right spot. Fools on my block, when you get'em ready, let's go, let'em know now! It's almost time you know got to move it! For your right, you know got to prove it! Don't look back, you know it let's do it! Do that, do that! Now let's bomb first!(x2) It's almost time you know got to move it! For your right, you know got to prove it! Don't look back, you know it let's do it! Do that, do that! Now let's bomb first!(x2)}}} || == 개요 == [[DJMAX Portable 2]]의 PV [[BGM]]으로 사용되면서 등장, PV가 공개되자마자 곡에 대한 반응이 굉장했다. [[BEXTER]]가 만들어낸 강력한 기타 사운드를 깔아놓고 JC의 파워풀한 랩을 얹어 만들어낸 박력과 속도감이 일품인 곡. 덕분에 '그저 그런 작곡가' 정도로 인식되어왔던 BEXTER는 이 곡 하나만으로 리듬게이머들에 대한 인지도를 대폭 상승시켰다. BGA를 [[Ache]]가 제작했는데, 연출된 내용을 작곡가에게 보여주면서 제작에 반영하여 BGA와 곡이 완전히 같이 노는 완벽한 궁합을 자랑한다. 원래 없던 성당에서의 종 울리는 소리(초반부)라든가 타이어 마찰음이나 총 쏘는 소리와 같은 효과음들은 이러한 과정에서 추가된 것이라고.[* 해당 효과음들이 없는 버전은 [[S4리그]]의 주크박스에서 들어볼 수 있다.] DJMax Live Miracle Concert에서는 JC가 불참한 자리를 채워준 Mike Blunck가 이 곡을 [[Out Law]]에 이어서 불렀다.(둘다 JC가 부른 곡이다) 다만 약간 불미스러운 일도 있었는데, 시작에 나오는 개를 본딴 심볼은 [[미와 시로]]의 작품, [[DOGS]]를 위한 것인데 그것을 무단도용했다는 것. 한때 상당히 들끓어올랐던 얘기로, 원작자가 직접 언급하기까지 했을 정도.[* 또한, 클래지콰이 에디션 이후, 모든 [[Ache]]의 비주얼에는 그 심볼이 사라졌다. 단, 리스펙트 기준 트럭에 그려진 심볼은 지워지지 않았다.] 그런데 두 사람 모두 해외 타투 사이트에서 이미지를 인용한 듯 하나 단순한 우연이라기엔 찝찝한 부분. 어쨌든 BEXTER의 유명세를 한몫 거들은 인기곡. 누군가가 제작한 [[몬데그린|독음 가사]]가 꽤나 압박적이다. [[https://blog.naver.com/hawrim/90016986844|링크]] 물론, 원래 가사는 멀쩡하다. --서비스타임! 돈까스 두 배!!-- 우연의 일치지만, 제목을 일어로 읽으면 엉덩이 구멍(尻穴(しりあな))이 된다. --[[Ang?]]-- == 수록 정보 == === [[DJMAX Trilogy]] === |||||||||||| 곡 난이도 || || 패턴 ||{{{#85DF61 '''NM'''}}}||{{{#59A5D9 '''HD'''}}}||{{{#EAA945 '''MX'''}}}||{{{#BF5EC9 '''SC'''}}}|| || 4K || 8 || 10 || || || || 5K || 8 || || || || || 6K || 8 || 12 || || || || 7K || 11 || || || || || 8K || 9 || 12 || || || === [[TAP SONIC]] === [[TAP SONIC]]에 수록되었다. 처음에 6라인 레전드 기준 7레벨이었으나 7레벨 초반 정도의 난이도를 보였다. 2012년 5월 14일에 패턴이 업그레이드되면서 예전보다 더 어려워졌고, 레벨도 8로 뛰어올랐다. --동시에 TAP SONIC에서 세 번째로 [[La Campanella : Nu Rave]]를 울린 곡이 되어버렸다.-- === [[DJMAX RAY]] === |||||||||| [[DJMAX RAY]]의 SledgeHammer 팩 수록곡 || || [[Nightmare]] || '''Syriana''' || [[Higher]] || [[On Da Floor]] || [[SINister Evolution]] || |||||||||||| [[DJMAX RAY]] 난이도 체계 || || 패턴 || 난이도 || 비고 || ||<#FFFF00> NM || 4 || || ||<#0000FF> {{{#white HD}}} || 8 || || ||<#FF0000> MX || 8 || || DJMAX RAY의 Sledgehammer 뮤직팩에 수록되었다. === [[DJMAX RESPECT]] & [[DJMAX RESPECT V|V]] === [include(틀:DJMAX RESPECT/PORTABLE 2)]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yriana_1.png|width=100%]]}}} ||<-4>{{{#!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3366 25%, #ff3333 75%)" '''{{{#730731 PORTABLE 2}}}'''}}} || ||<-4>'''{{{+5 Syriana}}}''' || || 모드 || NM || HD || MX || '''SC''' || || 4B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6 [br] {{{-5 420}}}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9 [br] {{{-5 690}}} || - || - || || 5B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6 [br] {{{-5 399}}}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9 [br] {{{-5 597}}} || - || [[파일:djmaxsc10.png|width=16]] {{{#purple,#f21cc7 '''7'''}}} [br] {{{-5 959}}} || || 6B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6 [br] {{{-5 467}}}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9 [br] {{{-5 609}}}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3 [br] {{{-5 1033}}} || - || || 8B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5 [br] {{{-5 441}}}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9 [br] {{{-5 639}}} || - || [[파일:djmaxsc10.png|width=16]] {{{#purple,#f21cc7 '''7'''}}} [br] {{{-5 1027}}}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2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9eb6, #ff9c9c)" {{{-3 *SC 난이도는 별도 난이도 체계를 사용.}}}}}} || ==== 4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TZM3t_Bc5t4)]}}}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JjCT7IMmjgc)]}}} || ==== 5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gF2130LWPIY)]}}}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Ojn-Zh7WQug)]}}} || || {{{#white '''SC'''}}}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2ULrQF-WRWQ)]}}} || || 5B SC에서는 겹트릴 등 좌우 가변을 요구하는 패턴이 나와 가변을 연습하기 좋다. 노트 밀도도 낮고 패턴도 복잡하지 않아 14레벨 안에서는 최하위권에 위치한다. ==== 6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UpR-3lV2MfE)]}}}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WHVwHYBBtQQ)]}}} || || {{{#white MX}}}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z6dDxcVTqUU)]}}} || || ==== 8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r0qcsr9e_gc)]}}}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ky1nc4dOECY)]}}} || || {{{#white '''SC'''}}}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64sNp8SiblE)]}}} || || 8B SC의 경우 트리거 활용도가 낮고 노트 밀도가 한산하다. 특히 트리거 복합 패턴은 그냥 없는 수준이며, 14레벨 최하위권 수준이면서 아예 8버튼 입문용 패턴으로도 쓸 수 있을 정도. SC 개편 이후의 평가도 크게 다르지 않다. 7레벨로 배정되었으나 [[Never Ending TECHNIKA]] SC와 함께 7레벨 바닥을 깔아주고 있다. == [[Syriana ~Blast Wave Mix~]]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Syriana ~Blast Wave Mix~)] [[분류:DJMAX의 수록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