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애니메이션 == === 개요 === [youtube(eztsKIL20hY)] 밴드 The Baits[* 이 영상에서는 음악만 맡았지만 The Baits 자체가 현역 애니메이션 업계 관계자들이 모여서 만든 3인조 밴드이다. 실제로 보컬인 J의 블로그에는 J가 감독을 맡은 몇몇 작품도 올라와 있다.]의 온라인 배포 싱글 Sunshine Girl을 사용해 만든 5분짜리 단편 국산 애니메이션. 단편임에도 영상미, 노래, 스토리가 잘 어우러진 수작으로 평가된다. 2010 서울 창작 애니메이션 우수상 수상작. === 스토리 플롯 === 사랑하는 소녀를 위해 공연을 준비한 소년들, 불의의 사고[* 횡단보도를 건너다가 차에 치였다.]로 소녀는 오지 못하고 소년들은 슬픔 속에서 70년이란 세월을 보내버렸다. 어느 날 갑자기 눈앞에 나타난 그때 그 모습의 소녀, 70년의 세월을 넘어 아직 식지 않은 뜨거운 사랑의 노래가 터져 나온다. === 제작진 === ==== 애니메이션 ==== 윤정욱, 이승진, 정진철, 안신홍, 유보미 이상 다섯 명의 작품이다. 위 인원에 The Baits는 포함되어 있지 않다.[* 일본 니코동에 올라 주목받았던 단편 [[후미코의 고백]]과 거의 비슷한 수의 인원. 단, 이쪽은 사운드에 The Baits가 붙으면서 인원이 좀 더 늘어나긴 했다.] 윤정욱 감독은 The Baits의 전신 '졸래논 밴드'의 기타리스트였으며[* 현재는 탈퇴] 본 곡에도 기타로 참여했다고 작곡 및 보컬을 맡은 J가 밝혔다. ==== 음악 ==== 음악 제작[* 이유는 모르나 윤정욱 감독이 기타를 맡았다고 J 블로그상에 밝혀져 있음에도 음악 제작에 이름을 넣지 않았다.윤정욱 감독 홈페이지가 출처라 본인 이름을 굳이 한 번 더 쓸 필요 없어서 그렇다고 본 걸지도.] :The Baits-J, 이창식, 이정열 제작 참여- J, 이창식, 지태(The White), 이재원, Roi, 윤정욱, 김여정 === 기타 === 알려지긴 2011년에 알려졌으나, 실상 제작연도는 2009년.[* 출처 : 윤정욱 감독 홈페이지] SBS에서 2009년 당시에 이미 창작 애니메이션 대상을 수상한 바가 있으므로 뒷북도 어지간한 뒷북이 아닌 셈이다. 이렇게 뒷북이 된 이유는 웹 공개를 더 늦게 했기 때문. 원래는 2009년에 세종대학교를 졸업하면서 낸 졸업 작품이라고 하는데 웹 공개를 2011년 초에 하기까지 대략 1년 남짓 한 시간 동안 대대적으로 곡을 편곡하고 영상의 퀄리티를 높였다고 한다. 주인공이 노인 네 분이란 점 때문에 [[미스터 칠드런]]의 쿠루미(くるみ) 뮤직비디오를 연상시킨다는 반응이 간간이 보인다. 그 외 주인공 4인방의 젊은 시절 모습이 [[훈남]]이라 몇몇 여성들 사이에서 '감동적이기도 하지만 할아버지들이 정말 잘생겼네요. 멋있다!' 하는 사람들이 몇몇 보이기 시작했다. 감독인 윤정욱의 경우 애니메이션과를 나와서 테일즈 위버 일본용 일러스트레이터 등도 맡는 등 애니메이터와 게임 원화가 등을 아우르는 다채로운 경력이 특기할만한 사항. == [[moumoon]]의 7번째 싱글이자 그 타이틀곡 == === 개요 === [[파일:external/ec2.images-amazon.com/410KMC6bZsL._SL500_AA300_.jpg]] 싱글 음반 재킷 --[[설리(1994)|설리]]?-- [youtube(r3mIpbGD-xw)]PV 영상 2010년 5월 12일에 싱글이 발매되었다. 조용하면서도 맑은 느낌의 곡. 싱글은 오리콘 차트 일간 랭킹 최고 순위 6위, 주간 랭킹 최고 순위 10위까지 올랐고, [[애플 레코드]] 사에서 주관한 'iTunes Rewind 2010' J-pop 부문 베스트 송을 수상하였을 정도로 큰 인기를 끌었다. [youtube(_imK4uNbQ3Y)] [[시세이도]] 화장품인 'ANESSA'의 CM에도 사용되었다. 싱글 음반 재킷, PV, CM 모두 일본의 여배우인 [[아오이 유우]]가 출연하였다. [youtube(q0PJa8YZXcQ)] [[영어]] 버전도 있다. === [[BEMANI|BEMANI 시리즈]]에 수록 === [[리플렉 비트 시리즈]]와 [[유비트 시리즈]]에 원곡으로 수록되었다. [[파일:external/ec3.images-amazon.com/41bg5NXpRkL._SL500_AA300_.jpg]] 게임 안에서 쓰는 재킷은 2010년 7월 7일에 발매된 3번째 미니앨범 'SPARK'의 한정판 표지가 사용되었다. ==== [[리플렉 비트 시리즈]] ==== [nicovideo(sm13748553)] |||||||||||||| [[리플렉 비트]] 난이도 체계 || || [[BPM]] |||||||||||| 난이도 || ||<|2> 103 || {{{#green BASIC}}} || {{{#orange MEDIUM}}} || {{{#red HARD}}} || || {{{#green 1}}} || {{{#orange 4}}} || {{{#red 6}}} || || 오브젝트 || {{{#green 51}}} || {{{#orange 135}}} || {{{#red 197}}} || || 수록버전 |||||||| [[리플렉 비트]] || |||||||||| REFLEC BEAT와 난이도 비교 - '''없음'''.|| 리플렉 비트 콜렉트 윈터 시즌에 삭제되었다. ==== [[유비트 시리즈]] ==== ||||||||<:>jubeat saucer 기준|| ||<|2><:>레벨||<:>BASIC||<:>ADVANCED||<:>EXTREME|| ||<:>1||<:>5||<:>8|| ||<:>노트수||<:>127||<:>307||<:>516|| ||<:>BPM||||||<:>103|| ||<:>곡 이력||||||[[유비트 니트 어펜드]]에서 첫 수록[br][[유비트 소서]]에서 출시 전 삭제[br][[유비트 소서]]에서 2013/2/1 재수록[br][[유비트 소서]]에서 2013/6/1 교체[br][[유비트 소서]]에서 2013/12/1 재수록[br][[유비트 소서 풀필]]에서 삭제|| * [[유비트 시리즈/수록곡|곡 목록으로 돌아가기]] [nicovideo(sm15543417)] MS.TNS-Y의 [[여동생]]이 플레이한 [[엑설런트]] 영상..이 있었지만 곡이 삭제돼서 그런지 영상도 삭제됐다 대부분 보컬에 맞춰서 바쁘게 움직여야 하지만 엇박자 파악만 잘 되면 헷갈릴 일 없이 쉽게 점수를 얻을 수 있다. H나 S와 같은 문자 노트도 나오니 참고. 88배치로는 처리할 수 없는 노트도 나오니 그 부분은 암기해 주자. 어드밴스의 경우 레벨에 맞게 굉장히 쉽다. 어드밴스 난이도 중 엑설치기 쉬운 곡으로 TOP10안에 들어갈 정도. 가능하다면 도전해 보자. 베이직은 노트가 띄엄띄엄 나오기 때문에 박자를 잡기 좀 힘들 수도 있다. 타임라인을 보면 알겠지만 노트가 나오는 구간이 1분 20초밖에 안 된다. --채보 제작자가 날로 먹으려고 작정했나 보다-- 다른 곡들에 비해 20~40초가량 짧다...왠지 돈 아깝다는 생각이 강렬하게 들게 만드는 곡(?). [[분류:한국 애니메이션/목록]][[분류:뮤직비디오]][[분류:가요]][[분류:유비트 니트의 수록곡]][[분류:리플렉 비트의 수록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