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놀면 뭐하니?의 프로젝트 음악, rd1=하현우/디스코그래피, paragraph1=3.6)] ||<-5> [[파일:Bowie.jpg|height=30]][br][[데이비드 보위|{{{#fff '''데이비드 보위의 싱글'''}}}]] || || [[Changes(노래)|{{{#000,#fff Changes}}}]][br]{{{-2 (1971)}}} || → || [[Starman|{{{#000,#fff Starman}}}]][br]{{{-2 (1972)}}} || → || [[John, I'm Only Dancing|{{{#000,#fff John, I'm Only Dancing}}}]][br]{{{-2 (1972)}}} || ---- [include(틀:Ziggy Stardust)] ---- || {{{#!wiki style="margin:-5px -10px;padding:7px 10px;" {{{#e6c349 '''Starman의 주요 수상'''}}}}}} || ||<#fff,#191919>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롤링 스톤 독자 선정 데이비드 보위 10대 명곡)] ---- [include(틀:NME 선정 500대 명곡, 순위=485)] ---- [include(틀:어클레임드 뮤직 선정 올타임 노래, 순위=471)] ---- [Include(틀:Rate Your Music,항목=전체 싱글 차트,순위=29)] ---- }}} || ||<-2><#38344b> '''{{{+1 Starman}}}''' || ||<-2>{{{#!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aBKEt3MhNMM, width=100%, height=200)]}}}|| || '''싱글 발매일''' ||[[1972년]] [[4월 28일]] || || '''싱글 B면''' ||[[Suffragette City]] || || '''녹음일''' ||[[1972년]] [[2월 4일]] || || '''앨범 발매일''' ||[[1972년]] [[6월 6일]] || || '''수록 앨범'''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8344b; font-size: .9em" [[The Rise and Fall of Ziggy Stardust and the Spiders from Mars|{{{#e6c349 '''The Rise and Fall of Ziggy Stardust and the Spiders from Mars'''}}}]]}}} || || '''장르''' ||[[포크 록]], [[글램 록]] || || '''작사/작곡''' ||[[데이비드 보위]] || || '''프로듀서''' ||[[데이비드 보위]], 켄 스콧 || || '''러닝 타임''' ||4:16 || || '''스튜디오''' ||트라이던트 스튜디오 || || '''레이블''' ||[[RCA 레코드|[[파일:RCA 레코드 로고.svg|width=65]]]]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싱글 커버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2> [[파일:스타맨.jpg|width=100%]] || }}}}}}}}}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oOKWF3IHu0I, height=250)]}}} || || '''1972년 [[탑 오브 더 팝스|{{{#e6c349 Top of the Pops}}}]] 공연 영상''' || [[데이비드 보위]]의 노래. 1972년 발매된 정규 5집 앨범 [[The Rise and Fall of Ziggy Stardust and the Spiders from Mars]]의 4번 트랙으로 수록되었다. == 상세 == 밝고 긍정적인 메세지를 가진 보위 최고의 명곡 중 하나로 꼽힌다. 원래 보위는 이 곡을 작곡할 생각이 없었다. 지기 스타더스트 앨범 작업이 거의 끝나갈 때 쯤 만들어졌는데, RCA 레코드의 데니스 래츠가 완성된 앨범을 들어보고 흥행할만한 싱글이 필요하다고 해서 작곡되었다. 원래 Starman 대신 들어갈 곡은 [[척 베리]]의 Round and Round의 커버 버전이었다. 노래의 후렴구 멜로디가 [[Over the Rainbow]]와 매우 흡사한데 실제로 Over the Rainbow의 후렴부를 따서 작곡했기 때문. 때문에 발매 초기에 Over the Rainbow를 대놓고 표절했다는 의혹 및 비난을 받기도 했는데, 이에 대해 가끔 콘서트에서 Starman의 가사와 Over the Rainbow의 [[https://youtu.be/82aK5JwTsmo?t=142|가사를 섞어 불러]] 후렴구를 따온게 맞다는 걸 간접적으로 인정하기도 했다. 하지만 워낙 명곡이고 애초에 후렴구를 제외하면 완전 다른 노래인데다 원곡가인 보위 본인도 이처럼 간접적으로 Over the Rainbow에서 빌린게 맞다고 깨끗하게 인정하다보니 추후 표절 논란은 없었다. [[https://www.nytimes.com/2011/07/22/books/excerpt-david-bowie-by-paul-trynka.html|관련 기사]] 이후 2015년 영화 [[마션(영화)|마션]]에 수록되기도 했다. 주인공 마크 와트니의 구출을 위해서 미국과 중국의 모두가 협력하는 장면에 삽입됐는데, 장면 자체도 밝고 긍정적인 분위기에 보위의 낙천적인 사운드까지 입혀져 이 영화로 더 많은 사람들이 보위를 접하게 되었다.[* 하지만 이후 미 국가기관의 중국과 협력을 금지하는 법이 통과되면서 중국은 미국 주도의 국제우주프로그램에 참여하지 못하고 있다. 이를테면 [[루나 게이트웨이]]라던가. 다만 영화 자체는 법 통과 전에 제작되어 장밋빛 미래를 그린 스토리이기 때문에 (적어도 당시에는) 오류가 아니긴 했다.] [[2018년]] [[2월 6일]] 미국의 민간우주기업 [[스페이스X]]의 최신형 발사체인 [[팰컨 헤비]]의 초도비행 미션에서 [[일론 머스크]]가 자신의 [[테슬라 로드스터(구)|2008년식 테슬라 로드스터]]를 지구-화성 간 타원궤도로 발사했는데, 해당 차량에 탑재한 마네킹의 이름을 이 노래에서 따와 ‘Starman’이라고 지었다.[* 이 마네킹이 입은 우주복은 후에 [[드래곤 2]]에 탑승하는 우주비행사들의 전용 우주복으로 쓰이고 있는데, '''Starman suit'''라는 이명이 붙었다.] 여담으로 자동차의 오디오에서 데이비드 보위의 [[Space Oddity]]를 연속 재생했으며, [[https://youtu.be/wbSwFU6tY1c?t=1529|발사 당시 라이브 방송]]에서 스타맨이 등장하는 부분에는 [[Life on Mars?]]를 배경음악으로 틀었다. [[금영엔터테인먼트]]에 60692번으로 등록되어 있다. == 가사 == || ---- {{{+2 '''Starman'''}}} ---- Didn't know what time it was, the lights were low 그때가 몇 시인지 몰랐어, 불빛은 어두웠지 I leaned back on my radio 난 라디오에 몸을 기대고 있었어 Some cat[* 여기서 'cat'은 60년대에 쓰이던 은어로, 고양이보다는 '멋진 어른' 정도로 해석된다.] was layin down some rock 'n' roll 'lotta soul', he said 몇몇 잘나가는 어르신들이 로큰롤을 틀어놓고는, '죽여주네'라 하시더군 Then the loud sound did seem to fade 그러더니 시끄러운 소리가 차츰 줄어드는 것 같았고 Came back like a slow voice on a wave of phase 마치 상의 파동을 타는 듯 느릿한 목소리가 다시 돌아왔어 That weren't no DJ, that was hazy cosmic jive 그건 DJ가 아니였지, 막연하고 어마어마한 자이브였어 There's a starman waiting in the sky 하늘에서 스타맨이 기다리고 있어 He'd like to come and meet us 그는 여기로 와 우릴 만나고 싶어하지만 But he thinks he'd blow our minds 저 자신이 우릴 너무 놀라게 할 거라고 생각해 There's a starman waiting in the sky 하늘에서 기다리는 스타맨이 있어 He's told us not to blow it 그는 우리에게 그걸 퍼뜨리지[* 위의 blow our minds와 맞물려 '터뜨리다'라고도 해석할 수 있다.] 말라고 했어 Cause he knows it's all worthwhile 왜냐하면 그 모든게 가치 있다는 걸 아니까 He told me 그가 내게 말하길 Let the children lose it 아이들이 그것에 빠지게 하자 Let the children use it 아이들이 그걸 쓰게 하자 Let all the children boogie 모든 아이들이 부기춤을 추게 하자 I had to phone someone, so I picked on you 난 누군가에게 전화를 해야 해서 너한테 하기로 했지 Hey, that's far out, so you heard him too 야, 정말 멋진데, 너도 그의 음악을 들었구나 Switch on the TV, we may pick him up on channel two TV를 켜봐, 아마 그가 2번 채널에 나오는 걸 볼지 몰라 Look out your window, I can see his light 창문을 잘 봐, 그 남자의 빛이 보여 If we can sparkle he may land tonight 우리가 반짝일 수 있다면 그가 오늘 밤 내려올지도 몰라 Don't tell your poppa or he'll get us locked up in fright 네 아버지에겐 말하지 마, 말하면 겁에 질리셔서 우릴 가둘 거야 There's a starman waiting in the sky 하늘에서 스타맨이 기다리고 있어 He'd like to come and meet us 그는 여기로 와 우릴 만나고 싶어하지만 But he thinks he'd blow our minds 저 자신이 우릴 너무 놀라게 할 거라고 생각해 There's a starman waiting in the sky 하늘에서 기다리는 스타맨이 있어 He's told us not to blow it 그는 우리에게 그걸 퍼뜨리지 말라고 했어 Cause he knows it's all worthwhile 왜냐하면 그 모든게 가치 있다는 걸 아니까 He told me 그가 내게 말하길 Let the children lose it 아이들이 그것에 빠지게 하자 Let the children use it 아이들이 그걸 쓰게 하자 Let all the children boogie 모든 아이들이 부기춤을 추게 하자 There's a starman waiting in the sky 하늘에서 스타맨이 기다리고 있어 He'd like to come and meet us 그는 여기로 와 우릴 만나고 싶어하지만 But he thinks he'd blow our minds 저 자신이 우릴 너무 놀라게 할 거라고 생각해 There's a starman waiting in the sky 하늘에서 기다리는 스타맨이 있어 He's told us not to blow it 그는 우리에게 그걸 퍼뜨리지 말라고 했어 Cause he knows it's all worthwhile 왜냐하면 그 모든게 가치 있다는 걸 아니까 He told me 그가 내게 말하길 Let the children lose it 아이들이 그것에 빠지게 하자 Let the children use it 아이들이 그걸 쓰게 하자 Let all the children boogie 모든 아이들이 부기춤을 추게 하자 La, la, la, la-la, la, la, la La, la, la, la-la, la, la, la La, la, la, la-la, la, la, la La, la, la, la-la, la, la, la La, la, la, la-la, la, la, la La, la, la, la-la, la, la, la La, la, la, la-la, la, la, la La, la, la, la-la, la, la, la ---- [[데이비드 보위|[[파일:bowie_logo.png|width=100]]]] || == [[커버(음악)|커버]] == * 국내 록 밴드 [[자우림]]이 이 곡을 커버한 적이 있다. * [[토이 스토리]]의 장난감 [[버즈 라이트이어]]의 원본이 된 우주 비행사 캐릭터를 다루는 [[픽사]]의 2022년 영화 [[버즈 라이트이어(애니메이션)|버즈 라이트이어]]의 예고편에 오케스트라로 편곡되어 삽입되었는데 시청자들의 반응이 무척 좋다. * 영화 [[스티브 지소와의 해저 생활]]에서 선원으로 출연한 브라질의 싱어송라이터 '세우 조르지'가 다른 보위 곡들과 함께 스타맨을 포르투갈어로 개사한 어쿠스틱 편곡 버젼으로 부른다. [[분류:1972년 노래]][[분류:글램 록]][[분류:데이비드 보위 노래]][[분류:1972년 싱글]][[분류:The Rise and Fall of Ziggy Stardust and the Spiders from Ma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