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Wish You Were Here)] [Include(틀:어클레임드 뮤직 선정 올타임 노래, 순위=643)] ||<-2><#ECE6D8> '''{{{#7DA8E4 {{{+1 Shine on You Crazy Diamond}}}}}}'''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54W8kktFE_o, width=100%, height=200)]}}}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wE2GZ2Vpqjo, width=100%, height=200)]}}} || || '''발매일''' ||[[1975년]] [[9월 12일]] || || '''수록 앨범'''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eae4d6; font-size: .9em" [[Wish You Were Here|'''{{{#7DA8E4 Wish You Were Here}}}''']]}}} || || '''녹음일''' ||[[1975년]] [[1월]] - [[7월]] || || '''녹음실''' ||[[런던]] [[애비 로드 스튜디오]] || || '''장르''' ||[[프로그레시브 록]], [[아트 록]] || || '''작사''' ||[[로저 워터스]] || || '''작곡''' ||[[로저 워터스]], [[릭 라이트]], [[데이비드 길모어]] || || '''프로듀서''' ||[[핑크 플로이드]] || || '''러닝 타임''' ||26:03^^(전체)^^[br]13:33^^(파트 1-5)^^[br]12:30^^(파트 6-9)^^[* 스트리밍 사이트 음원 기준.] || || '''레이블''' ||[[하베스트 레코드|[[파일:harvest records logo.png|width=100]]]], 콜럼비아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싱글 커버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2> [[파일:Have a Cigar.jpg|width=100%]] || }}}}}}}}} || [목차] [clearfix] == 개요 == [[영국]]의 [[프로그레시브 록]]밴드 [[핑크 플로이드]]가 발매한 음반 [[Wish You Were Here]]의 1번째, 5번째 트랙에 수록된 곡이다. 밴드의 전 멤버 [[시드 바렛]]을 회상하는 곡으로, ‘크레이지 다이아몬드’라는 표현 자체가 시드에 대한 비유이며, 곡 제목부터가 SYD라는 두문자어로 나타낼 수 있다. 총 9개의 파트로 나뉘어져 있는 총 25분 길이의 대곡으로, 음반 상에는 파트 1부터 5, 그리고 파트 6부터 9까지 약 13분 길이의 두곡으로 나뉘어져 수록되어 있다. 가사는 [[로저 워터스]]가 썼으며, [[데이비드 길모어]], 로저 워터스, [[리처드 라이트(음악가)|리처드 라이트]]가 작곡했다. 다만 마지막 파트인 파트 9은 리처드 라이트가 단독으로 작곡했다. == 파트별 구성 == LP나 CD에선 이 파트의 분류가 묘사되어 있지 않다.[* 다만 이와 별개로 파트별 작곡자는 앨범 디스크에 기록되어 있다] 아래의 분류는 이후 출판된 ''Wish You Were Here'' 앨범 악보집의 파트 분류를 기준으로 작성한것이다. 위키 백과를 포함한 몇몇 다른 해설에선 맨 처음부터 길모어의 기타 솔로까지 파트 1, 시드 테마부터 분위기가 가라앉기 전까지를 파트 2, 분위기가 가라앉는 라이트의 신디사이저 솔로와 길모어의 기타솔로를 파트 3, 보컬이 시작하는 부분을 파트 4, 마지막에 색소폰 솔로를 파트 5로 분류하기도 한다. === Pts. 1-5 ===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cWGE9Gi0bB0, height=250)]}}} || || '''뮤직 비디오''' || ====# Part 1 #==== '''0:00 ~ 2:11''' [[리처드 라이트(음악가)|릭 라이트]], [[로저 워터스]], [[데이비드 길모어]] 작곡. * 다중 녹음된 와인 잔 소리와[* 밴드가 음반 작업 초에 실행한 Household Object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녹음된 [[https://youtu.be/q-eh0iZOnWg|Wine Glasses]]라는 곡의 흔적이 남아있는 것이다.] 라이트의 [[ARP#s-2]] 스트링 앙상블 신디사이저 + [[하몬드 오르간]]의 Gm 화음과 EMS VCS3 신디사이저의 전자 효과로 페이드 인 되면서 라이트의 호른 소리와 유사한 [[Minimoog]] 신디사이저 솔로로 이어진다. ====# Part 2 #==== '''2:11 ~ 3:50''' 데이비드 길모어, 로저 워터스, 릭 라이트 작곡. * 라이트의 신디사이저 솔로가 끝나고, 길모어의 일렉 기타인 [[스트라토캐스터]] 솔로가 시작되며, 위에 Gm 화음이 Dm - Cm - Gm로 진행 되고, 다시 Dm - Cm - Dm - Gm로 화음이 바뀌며 기타솔로가 끝나며 파트 2가 끝난다. ====# Part 3 #==== '''3:50 ~ 6:28''' 로저 워터스, 데이비드 길모어, 릭 라이트 작곡. * 위에 Gm 화음이 살짝 페이드 아웃 되면서 길모어가 스트라토캐스터로 일명 “시드 테마”로 알려진 4 노트 테마(B♭, F, G(낮은), E)를 몇번 연주하다가, 메이슨의 6/8 드럼 연주를 시작으로 분위기가 전환되고, 워터스의 베이스와, 라이트의 하몬드 오르간이 음악을 받쳐주면서 길모어의 기타 솔로로 이어진다. ====# Part 4 #==== '''6:28 ~ 8:43''' 데이비드 길모어, 릭 라이트, 로저 워터스 작곡. * 기타 솔로가 끝나고, 라이트의 Minimoog 신디사이저 솔로가 시작되면서 파트3 막바지에 고조되었던 분위기가 가라앉는다. * 이부분에서 라이트가 연주한 피아노 파트는 라이브로 믹스됐기 때문에, 멀티트랙 마스터에 존재하지 않았다고 한다. 그래서 후일 멀티트랙 마스터를 사용했던 SACD와 다중 채널 믹스 재발매판은 라이트가 2008년 [[뵈젠도르퍼]] 피아노로 새로 녹음한 믹스를 사용했다. * 라이트의 신디사이저 솔로가 끝나고, 같은 분위기로 길모어의 기타솔로가 이어진다. 이 부분 같은 경우 1987년[[A Momentary Lapse of Reason]] 투어부터 빠지는 경우가 많다. ====# Part 5 #==== '''8:43 ~ 13:33''' 로저 워터스 작사/ 로저 워터스, 데이비드 길모어, 릭 라이트 작곡.[* 인쇄 오류인지 정확한 원인을 알수 없으나, 1980년대, 1990년대 초 CD반에는 워터스 단독작곡으로 표기되어 있다.] * 워터스의 보컬로 노래가 시작된다. * 노래가 끝나고 딕 패리의 바리톤 [[색소폰]] 솔로가 시작되며, 길모어의 기타가 [[아르페지오]] 주법으로 바뀌고 라이트의 하몬드 오르간이 13코드를 집는등 화음이 더 복잡해 진다. 이후 박자가 12/8로 바뀌면서 테너 색소폰으로 악기가 바뀌며 분위기가 더 빨라지다가, 끝에 Gm 코드로 돌아오면서 ARP 스트링 신디사이저와 함께 페이드 아웃되면서 노래가 끝난다. === Pts. 6-9 === ====# Part 6 #==== '''0:00 ~ 4:39''' 릭 라이트, 로저 워터스, 데이비드 길모어 작곡. * [[Wish You Were Here(노래)|Wish You Were Here]] 끝에서 이어진 바람 소리와 함께 워터스의 베이스 기타가 시작되고, Part 5 피날레의 ARP 스트링 앙상블 신디사이저 멜로디가 연주된다. 그후 몇마디뒤 드럼이 들어오고 바로 라이트의 Minimoog 신디사이저 솔로가 시작된다. * 라이트의 솔로가 끝나고 길모어의 스틸 기타 솔로로 연결된다. ====# Part 7 #==== '''4:39 ~ 6:03''' 로저 워터스 작사/로저 워터스, 데이비드 길모어, 릭 라이트 작곡. * 워터스의 보컬로 노래가 시작된다. 위에 파트 4의 벌스-훅으로 구성되어 있다. ====# Part 8 #==== '''6:03 ~ 9:05''' 데이비드 길모어, 릭 라이트, 로저 워터스 작곡. * 노래가 끝나고 길모어의 파트 5와 동일한 멜로디로 된 아르페지오 기타연주로 박자가 4/4로 바뀌고, 라이트의 [[로즈 일렉트릭 피아노]] 연주로 이어지며 곡 분위기가 [[펑크(음악)|펑크]](Funk) 스타일로 전환된다. * 여기서 라이트의 [[호너 클라비넷]] 반주와 길모어의 스틸 기타 솔로로 연결된다. 그리고 점점 페이드 아웃되면서 파트 1의 Gm 코드의 와인잔 소리로 이어진다. * 초기 믹스(Outtake)를 담은 부틀랙인 Wish You Were Here / Animals Outtakes: The Original Cassette Tapes Transfer [[https://m.youtube.com/watch?v=iMueE2WGfno|음원]]을 들어보면 원곡은 3분 정도하는 이 파트 8가 두배정도 더 길다. 공식 음원에서 아마 너무 길다고 생각해서인지 중간에 자른듯 하다.[* 또 다른 차이점은 원곡에선 라이트가 로즈 일렉피아노를 연주하는데, 이 버전에선 월리처 일렉 피아노로 연주한다.] ====# Part 9 #==== '''9:05 ~ 12:30''' 릭 라이트 작곡. * Gm 화음에서 4/4 비트의 라이트의 피아노 반주와 Minimoog 솔로로 연결된다. 이 부분은 배릿을 향한 찬가로 해석되며, 길모어는 이부분을 [[장송곡]]으로 표현했다. * 이전 파트와는 다르게 길모어의 기타가 전혀 등장하지 않으며, 라이트의 키보드와 신디사이저가 곡 전체를 지배하고 있다. * 솔로가 끝나고, Gm 화음이 G 화음으로 바뀐체 라이트의 Minimoog 신디사이저 솔로가 장조 분위기로 이어지면서 점점 페이드 아웃되면서 곡이 마무리 된다. 특히 페이드 아웃이 시작될 시점에 시드의 곡인 [[See Emily Play]]의 첫 멜로디가 인용되었다.(12:11경) == 가사 == === Parts I-V === ||<#ECE6D8> ---- '''{{{+2 {{{#7DA8E4 Shine on You Crazy Diamond (Parts I-V)}}}}}}''' ---- Remember when you were young, you shone like the sun 네가 어렸을 때를 기억해 봐, 너는 태양처럼 빛이 났었지 Shine on you crazy diamond 계속 빛나라, 미치광이 다이아몬드여 Now there's a look in your eyes, like black holes in the sky 이제 너의 눈빛은, 마치 하늘에 있는 블랙홀 같아 Shine on you crazy diamond 계속 빛나라, 미치광이 다이아몬드여 You were caught in the crossfire of childhood and stardom 너는 어린 시절과 명성의 사선에 갇히고 말았어 Blown on the steel breeze 강철의 바람에 휘날리면서 Come on you target for faraway laughter 이리로 오라, 머나먼 웃음소리의 희생양아 Come on you stranger, you legend, you martyr 이리로 오라, 이방인이여, 전설이여, 순교자여 And shine! 그리고 빛나라! You reached for the secret too soon, you cried for the moon[* cry for the moon: 이루어질 수 없는, 불가능한 일을 바라다.] 너는 너무 빨리 비밀에 도달해버렸어, 넌 불가능한 일을 바랬지 Shine on you crazy diamond. 계속 빛나라, 미치광이 다이아몬드여 Threatened by shadows at night, and exposed in the light 밤에는 그림자들에게 위협받고, 섬광 속에 노출되었어 Shine on you crazy diamond 계속 빛나라, 미치광이 다이아몬드여 Well you wore out your welcome with random precision 너는 환대를 불규칙적인 정확함으로 헐고 Rode on the steel breeze 강철 산들바람에 올라탄 채 떠났지 Come on you raver, you seer of visions 이리로 오라, 광란의 사나이, 환상을 보는 자여 Come on you painter, you [[The Piper at the Gates of Dawn|{{{#88A8BD piper}}}]], you prisoner 이리로 오라, 화가여[* [[시드 바렛]]은 은퇴 이후 화가로서 살았고 대학교 전공도 미학이었다.], [[The Piper at the Gates of Dawn|피리 부는 사나이여]], 죄수여, And shine! 그리고 빛나라! ---- [[파일:pink-floyd-logo.png|width=150]] || === Parts VI-IX === ||<#ECE6D8> ---- '''{{{+1 {{{#7DA8E4 Shine on You Crazy Diamond (Parts VI-IX)}}}}}}''' ---- Nobody knows where you are, how near or how far 네가 어디 있는지는 아무도 몰라, 얼마나 멀고 얼마나 가까운지 Shine on you crazy diamond 계속 빛나라, 미치광이 다이아몬드여 Pile on many more layers and I'll be joining you there 더 많은 층들이 쌓이게 된다면, 나도 너와 그곳에서 함께할 거야 Shine on you crazy diamond 계속 빛나라, 미치광이 다이아몬드여 And we'll bask in the shadow of yesterday's triumph 그리고 우리는 지난 날 승리의 그림자 속에서 헤엄치겠지 Sail on the steel breeze 강철 같은 산들 바람을 항해하면서 Come on you boy child, you winner and loser 이리로 오라, 꼬마 아이여, 승리자이자 패배자여 Come on you miner for truth and delusion 이리로 오라, 진실과 환상을 캐내는 광부여 And shine! 그리고 빛나라! ---- [[파일:pink-floyd-logo.png|width=150]] || == 참여진 == * [[로저 워터스]] - 리드 보컬, 베이스 기타, 와인 잔, 기타 * [[데이비드 길모어]] - [[스트라토캐스터]] 일렉트릭 기타, 스틸 기타, 백킹 보컬, EMS Synthi 신디사이저, 와인 잔 * [[리처드 라이트(음악가)|릭 라이트]] - [[Minimoog]] 신디사이저, [[하몬드 오르간]], [[로즈 일렉트릭 피아노]], [[호너 클라비넷]], [[스타인웨이]] [[피아노]], EMS VCS3 신디사이저, [[ARP#s-2]] 스트링 앙상블, 와인 잔, 백킹 보컬, [[뵈젠도르퍼]] 피아노(SACD 한정) * [[닉 메이슨]] - 드럼 * 딕 패리 - 바리톤 색소폰, 테너 색소폰 * 블랙베리스(베네타 필즈, 칼레나 윌리엄스) - 백킹보컬 == 여담 == * Part 1~5는 이후에 핑크 플로이드나 워터스, 길모어에 의해 자주 공연되었지만, 파트 6~9를 포함한 모든 파트를 완곡한적은 Wish You Were Here 앨범 전체를 완곡한 1977년 Animals 투어가 유일하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Wish You Were Here, version=171)] [[분류:Wish You Were Here]][[분류:1975년 노래]][[분류:핑크 플로이드 노래]][[분류:로저 워터스 노래]][[분류:릭 라이트 노래]][[분류:데이비드 길모어 노래]][[분류:프로그레시브 록]][[분류:아트 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