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2>
[[DJMAX 시리즈|[[파일:DJMAX 로고(블랙).svg|width=100&theme=light]][[파일:DJMAX 로고(화이트).svg|width=100&theme=dark]]]]|| ||<-2>{{{#!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cPI1NYCNi8c)]}}} || || {{{-1 '''수록 정보'''}}} ||{{{-1 [[DJMAX RESPECT]]}}} {{{-3 (2017)}}} || || {{{-1 '''장르'''}}} ||{{{-1 Pop}}} || || {{{-1 '''BPM'''}}} ||{{{-1 142}}} || || {{{-1 '''작사/작곡'''}}} ||{{{-1 ned}}} || || {{{-1 '''보컬'''}}} ||{{{-1 Moa}}} || || {{{-1 '''BGA'''}}} ||{{{-1 [[TARI]](원화) / ENTIA J(모션)}}} || ||<-2> {{{#!folding [ 가사 보기 ] 비가 내리는 기다림 속에 그대를 떠올리네 빛바랜 나의 기억 속에도 그대 보이지 않아 *Take Me To The Light Hold Me In Your Eyes 어둠 속에 지친 나를 데려가줘 **And Take Me To The Light Hold Me In Your Heart 가질 수 없는 그댈 그리며 다시 잠드네 You're Always There I Wish I Could Go Back in Time But What Can I Do... *repeat **repeat}}} || == 개요 == [[DJMAX RESPECT]]의 신곡. [[DJMAX TECHNIKA Q]]에 [[별빛정원]]을 투고했던 vneld가 ned로 명의를 바꾼 뒤 참여한 곡이다. 발매 전 인터뷰에서 별빛정원과 달리 처음부터 보컬곡을 상정하고 지었으며 망부석 설화를 모티브로 하고 있음을 밝혔다. >'''Tari's Comments''' > >새로운 디제이맥스 시리즈의 출시를 환영합니다. >20대를 바쳐 만들었던 디맥이 이제 함께 나이를 먹어가네요^^ >많이 사랑받아 무럭무럭 자라나길! >즐거운 리듬게임 라이프 되세요. [[DJMAX 시리즈]]에 오랫동안 참여했던 [[TARI]]가 BGA에 참여했으며, 내용은 몽환적인 곡 분위기와 잘 맞는 편이지만 조금 섬뜩한 느낌을 주는 잔혹동화 스타일이다. 무슨 이유인지는 알 수 없으나 요정들이 살고 있던 거대한 나무를 사람들이 무자비하게 도끼로 베어내버리고 나무에서 떨어진 요정들을 잡아다가 유리병에 가둬둔다. 가까스로 탈출한 요정 하나가 인간들의 욕심으로 인해 자신들이 살고 있었던 나무가 베어진 걸 보고 눈물을 흘리고, 눈물 방울이 떨어진 그루터기 위에 새싹이 돋아나는 것으로 이야기가 끝이 난다. 인간의 욕심으로 인한 잔혹성을 동화와 같이 표현한 BGA이다. ~~[[나무야 미안해]]~~ Mycin.T가 펑크 스타일로 리믹스한 버전도 있다. [[https://www.youtube.com/watch?v=SFgNguvqNlM|듣기]] == [[DJMAX RESPECT]] & [[DJMAX RESPECT V|V]] == [include(틀:DJMAX RESPECT/RESPECT)]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hadow Flower_1.png|width=100%]]}}} ||<-4>{{{#!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0b405, #f86873)" '''{{{#6c5002 RESPECT}}}'''}}} || ||<-4>'''{{{+5 Shadow Flower}}}''' || || 모드 || NM || HD || MX || '''SC''' || || 4B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3 [br] {{{-5 219}}}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6 [br] {{{-5 428}}} || - || - || || 5B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6 [br] {{{-5 430}}}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9 [br] {{{-5 631}}} || - || - || || 6B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5 [br] {{{-5 403}}}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1 [br] {{{-5 653}}} || - || [[파일:djmaxsc5.png|width=16]] {{{#purple,#f21cc7 '''5'''}}} [br] {{{-5 855}}} || || 8B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6 [br] {{{-5 437}}}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9 [br] {{{-5 683}}} || - || -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2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88e87, #f8c25e)" {{{-3 *SC 난이도는 별도 난이도 체계를 사용.}}}}}} || 2021년 1월 28일 [[DJMAX RESPECT V]] 메이저 업데이트에 6B SC 패턴이 추가되었다. === 4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x5U3cvV2_RM)]}}}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lxfFdszgtFU)]}}} || === 5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9EYszJ3ACrk)]}}}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_iCSjCUM2ME)]}}} || === 6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QxRbhXNmqsQ)]}}}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hz5XQY1v4YA)]}}} || || {{{#white '''SC'''}}}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6zR665NfTqU)]}}} || || 6B HD에서는 따땃-따땃-따하는 박자에 맞춰서 연타 패턴이 나오는데, 정확도를 떨어뜨리기 좋고 후반에 롱노트를 잡은 채 십자패드를 연타해야 하는 부분에서는 콤보도 끊을 수 있기 때문에 아주 거슬린다. 6B SC는 최후반부로 갈수록 허전했던 채보가 완성되는 구조. 특히 후살에서 떨어지는 롱 노트+계단+따닥이는 맥스 콤보를 노릴 때 의외의 복병이 된다. === 8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OJuR4ITCfjU)]}}}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DsSiy86MGlM)]}}} || == [[DJMAX TECHNIKA Q]] == ||<-4>
[[DJMAX TECHNIKA Q|{{{#7df12a '''DJMAX TECHNIKA Q'''}}}]] || || {{{#7df12a '''라인/난이도'''}}} ||<#fff344> '''NM''' ||<#058cf4> '''{{{#white HD}}}''' ||<#e64119> '''{{{#white EX}}}''' || || {{{#7df12a '''2 LINE'''}}} || 2 || 5 || 6 || || {{{#7df12a '''3 LINE'''}}} || 2 || 5 || 6 || || {{{#7df12a '''4 LINE'''}}} || 2 || 5 || 6 || 2018년 12월 20일 업데이트로 수록되었다. == [[TAPSONIC TOP]] == || 난이도 || EASY || NORMAL || HARD || EXPERT || || 레벨 || 4 || 5 || 6 || 7 || || 속성 |||||||| {{{#blue VOCAL}}} || || 해금조건 |||||||| MAIN QUEST 11-1 클리어 || [Youtube(D2W25hJV1YY)] EXPERT 영상 == [[P의 거짓]] == [youtube(oOf7ZgCbvRs)] [[P의 거짓]] OST로도 사용되었다. [[Someday(DJMAX)|Someday]]와 마찬가지로 [[샹송]] 풍의 분위기로 편곡되었다. [[분류:DJMAX의 수록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