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ff Sh2-5의 천체 목록 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5><:> [[샤플리스 목록|{{{#FFFFFF '''샤플리스 천체'''}}}]] || ||<:> [[Sh2-4|{{{+1 '''Sh2-4'''}}}]][br]전갈자리의 발광성운 ||<:> {{{+1 ←}}} ||<:> {{{#000000 {{{+1 '''Sh2-5'''}}}[br]전갈자리의 발광성운 }}} ||<:> {{{+1 →}}} ||<:> [[Sh2-6|{{{+1 '''Sh2-6'''}}}]][br]전갈자리의 행성상성운 || ||<-5><:> [[RCW 목록|{{{#FFFFFF '''RCW 천체'''}}}]] || ||<:> [[RCW 122|{{{+1 '''RCW 122'''}}}]][br]전갈자리의 발광성운 ||<:> {{{+1 ←}}} ||<:> {{{#000000 {{{+1 '''RCW 123'''}}}[br]전갈자리의 발광성운 }}} ||<:> {{{+1 →}}} ||<:> [[벌레 성운|{{{+1 '''RCW 124'''}}}]][br]전갈자리의 행성상성운 || ||<-5><:> [[Gum 목록|{{{#FFFFFF '''Gum 천체'''}}}]] || ||<:> [[Sh2-3|{{{+1 '''Gum 58'''}}}]][br]전갈자리의 발광성운 ||<:> {{{+1 ←}}} ||<:> {{{#000000 {{{+1 '''Gum 59'''}}}[br]전갈자리의 발광성운 }}} ||<:> {{{+1 →}}} ||<:> [[벌레 성운|{{{+1 '''Gum 60'''}}}]][br]전갈자리의 행성상성운 || }}} || ||||<-3>
<:> {{{#FFFFFF {{{+3 '''Sh2-5'''}}}}}} || ||<-3> [[파일:SH2-3-5 2021-05-10_int_SHO (2).jpg|width=100%]] [br] [* 중심에 있는 성운이 Sh2-5으로 오른쪽에 있는 작은 성운은 Sh2-3(녹색 고리 성운)이다. ] || ||<-3> {{{#FFFFFF '''관측 정보'''}}} || ||<|3> {{{#FFFFFF '''위치'''}}} || {{{#FFFFFF 적경}}} || 17h 20m 13s || || {{{#FFFFFF 적위}}} || −38° 29′ 03″ || || {{{#FFFFFF 별자리}}} || [[전갈자리|{{{#3366aa 전갈자리}}}]] || ||<-3> {{{#FFFFFF '''물리적 성질'''}}} || ||<-2><:> {{{#FFFFFF '''형태'''}}} || [[발광성운|{{{#3366aa 발광성운}}}]] [br][[전리수소영역|{{{#3366aa 전리수소영역}}}]] || ||<-2> {{{#FFFFFF '''거리'''}}} || 8,800 [[광년|{{{#3366aa 광년}}}]] [br]2,700 [[파섹|{{{#3366aa 파섹}}}]] || ||<-3> {{{#FFFFFF '''광학적 성질'''}}} || ||<-2> [[겉보기 등급|{{{#FFFFFF '''겉보기 등급'''}}}]] || -[* 알려지지 않았다.] || ||<-3> {{{#FFFFFF '''규모'''}}} || ||<-2> {{{#FFFFFF '''크기'''}}} || 1° || ||<-3> {{{#FFFFFF '''명칭'''}}} || ||<-3> [[Sh2|]]-5, [[RCW]] 123, [[Gum]] 59[* RCW 123과 Gum 59의 위치가 Sh2-5와 대략 40'정도 차이가 있지만 성운의 크기가 무려 1도나 되기 때문에 사실상 같은 성운이라고 받아들여지는 중이다.] || ==== 개요 ==== {{{+1 Sh2-5/RCW 123}}} Sh2-5는 [[전갈자리]]방향으로 약 8,800 광년 떨어진 [[발광성운]]이다. ==== 상세 ==== 근처에 있는 [[발광성운]]들인 Sh2-4(RCW 121), RCW 122와 함께 9,500 광년에서 12,700 광년 사이정도만큼 떨어져 있는 Havlen-Moffat(HM) 1[* 태양이 위치한 오리온자리 팔이 아니라 용골자리-궁수자리 팔이라는 다른 나선팔에 속해 있는 성단으로 [[용골자리 성운]]의 [[트럼플러 16]]에 버금갈 정도로 밝다. 일단 기본적으로 소속 항성들의 질량은 태양질량의 20배를 넘어가며 대부분의 구성 항성들이 [[O형 주계열성]]인데다 WR 89와 WR 87로 명명된 2개의 [[볼프-레이에 별]]이 포함되어 있다. 이렇게나 밝고 무거운 [[산개성단]]임에도 불구하고 잘 알려지지 않은 것은 성단이 회피대에 위치해 있기 때문이며 만약 회피대에 위치하지 않을 경우 성단이 최대 5등급까지 밝아질 수 있다고 한다.]에 의해 이온화되며 이 성운과 Sh2-4, RCW 122는 같은 분자운에 속해 있다고 한다. 하지만 성운의 거리가 대략 8천 광년에서 1만 광년 사이쯤임에도 무려 겉보기 크기가 1도일 정도로 큰 성운이기 때문에 HM1 성단이 성운의 전체를 이온화시키지 못한다는 결과가 나와 이 성운중 일부는 HM1 성단에 의해 이온화되는 성운과는 별개의 성운이 아니냐는 말이 있다. 이게 사실일 경우 Sh2-5는 최소 2개 이상의 성운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대략 4,500 광년 거리에 있는 서너개의 [[청색 초거성]]이 더 가까이 있는 성운을 이온화시키고 있을 것이다. == 찾는 방법 == [[전갈자리 람다]]와 [[전갈자리 웁실론]]에서 북동쪽으로 대략 2도정도에 위치해 있으며 성운은 안시관측으로는 보는 것이 불가능하며 장노출로 촬영해도 성운의 모습이 흐릿하게나마 나온다. == 관련 문서 == * [[전갈자리]] * [[샤플리스 목록]] [[분류:성운]][[분류:나무위키 천문학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