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c00> {{{+3 '''SVNS'''}}} || || '''정식 명칭''' ||'''HSBC SVNS'''[* "세븐스"라고 읽는다] || || '''이전 명칭''' ||'''IRB 세븐스 월드 시리즈'''(1999~2014)[br]'''세븐스 월드 시리즈'''(2014~2015)[br]'''월드 럭비 세븐스 시리즈'''(2015~2023) || || '''창설''' ||1999년 || || '''종목''' ||[[7인제 럭비]] || || '''주관''' ||[[월드 럭비]] || || '''팀 수''' ||12팀[* 남자부, 여자부 각 12팀] || || '''최근 우승국''' ||[[파일:뉴질랜드 국기.svg|width=30]] '''뉴질랜드''' (2022-23시즌) || || '''최다 우승국''' ||[[파일:뉴질랜드 국기.svg|width=30]] '''뉴질랜드''' (14회) || || '''하위 대회''' ||[[월드 럭비 세븐스 챌린저 시리즈]] || [목차] [clearfix] == 개요 == '''SVNS''', 또는 세븐스는 2023년 [[월드 럭비]]가 새롭게 명칭을 변경한 7인제 럭비 세계 최고 대회다. 대회는 매년 개최되며, 상비군 개념인 7인제 대표팀들은 12월부터 이듬해 6월까지 진행되는 시즌에 8개의 지역 대회를[* 두바이, 케이프타운, 퍼스, 밴쿠버, LA, 홍콩, 싱가폴, 마드리드] 치르고, 각 대회 순위에 따라 점수를 종합하여 시즌 우승자를 가린다. 즉, 각 대회를 우승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꾸준히 성적을 유지해서 시즌 우승을 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 8개 대회 중에서 [[홍콩 세븐스]]는 7인제에서 가장 권위 있고 인지도 높은 대회로 손꼽힌다. 브랜드 명칭이 변경되기 전인 2022-23시즌까지는 16팀 체제로 한 시즌은 9~10개의 시리즈로 이루어졌었다. 7인제 럭비의 최강자는 남아공, 뉴질랜드, 피지다. 남아공은 선수들 개개인의 신체 능력이 굉장히 뛰어나고 뉴질랜드는 능력치가 꽉 찬 다이아몬드라 꾸준히 잘하는데, 피지는 마치 운동장 위에서 노는 어린아이들 같아서 기복이 심하지만 잘할 때는 스포츠의 경지를 넘어 신들린 듯한 묘기를 보여주며 상대팀의 강함에 상관 없이 제멋대로 갖고 놀기도 혼다. 큰 대회 결승에선 대부분 피지가 이긴다. 실제로 2012년부터 2022년까지 뉴질랜드는 메이저 대회(월드시리즈, 올림픽, 월드컵) 결승에서 피지를 만나면 무조건 졌다. 2022년 월드시리즈 마지막 대회에서 비로소 피지를 꺾는다. 2014년부터 [[HSBC]] 그룹이 후원하고 있다. 경기 일정이 매우 짧은 7인제 대회의 특성상 여자부도 남자부와 같은 시기 같은 장소에서 대회가 치러지지만 본 문서는 아직 남자부에 대해서만 서술하고 있다. == 역사 == 최초의 7인제 국제 대회는 [[스코틀랜드]]에서 [[스코틀랜드 럭비 유니언]] 결성 100주년을 기념해 1973년에 열렸다[* 럭비의 원조는 [[잉글랜드]]지만 7인제는 스코틀랜드에서 시작되었다]. 7개국이 참가했고, 결승에서 잉글랜드가 아일랜드를 22:18로 꺾고 우승했다. 1976년 [[홍콩]]에서 [[홍콩 세븐스]]가 처음으로 개최되었고, 이때를 기점으로 많은 7인제 국제 대회가 우후죽순 생겨났다. 1999년엔 비로소 7인제 월드 시리즈가 개막했다. 첫 해는 10개 시리즈 중 8개 시리즈에서 뉴질랜드와 피지가 결승에서 만났다고 한다. 결국 뉴질랜드가 마지막 대회에서 이기며 근소하게 우승했다. 이후 뉴질랜드는 2005년까지 여섯 시즌을 연달아 우승한다. == 참가국 == 2022-23시즌 팀 구성은 호주, 남아프리카 공화국, 피지, 아르헨티나, 아일랜드, 미국, 프랑스, 뉴질랜드, 사모아, 스페인, 케냐, 캐나다, 일본, 영국[* 그레이트 브리튼], 우루과이다. 우루과이는 2022년 승급전 우승으로 올라왔다. 2021년부터 잉글랜드, 스코틀랜드, 웨일스는 영국 단일팀으로 출전하고 있다. 대한민국도 가끔 초청되어 참가했었다. 가장 최근으로는 2019-20시즌 LA세븐스에 초청되었고[* 원래 그 시즌에 일본이 초청팀 주제에 고정적으로 출전하고 있었는데 LA세븐스만 대한민국이 대신 참가했다.] 16위로 마감했다. 최고 성적으로는 2000-01시즌 11위. == 승급전 == 2012-13시즌 이후로 최하위 팀은 다음 시즌에 배제하는 승급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그래서 매 시즌 한 팀이 강등되고 승급전 우승팀이 그 자리를 대신한다. 2019년까지는 매년 [[홍콩 세븐스]]에서 별도로 예선 토너먼트를 진행했지만 2020년부터 별도로 대회를 분리하고 있다. 자세한 것은 [[월드 럭비 세븐스 챌린저 시리즈]] 참조. 장소와 시기만 달라진 것이고 예선전 참가 자격은 전세계 6개 지역(아시아, 오세아니아, 아프리카, 유럽, 북미, 남미) 세븐스 대회 성적에 따라 결정된다. || '''시즌''' || '''고정 참가팀''' || '''강등''' || '''승급''' || || '''2011-12''' || 12팀 || 팀 증편으로 없음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5]] 캐나다[br][[파일:포르투갈 국기.svg|width=25]] 포르투갈[br][[파일:스페인 국기.svg|width=25]] 스페인 || || '''2012-13''' ||<|8> 15팀 ||<-2><#f0f0f0> 승강 미실시 || || '''2013-14''' ||[[파일:스페인 국기.svg|width=25]] 스페인 ||[[파일:일본 국기.svg|width=25]] 일본 || || '''2014-15''' ||[[파일:일본 국기.svg|width=25]] 일본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5]] 러시아 || || '''2015-16''' ||[[파일:포르투갈 국기.svg|width=25]] 포르투갈 ||[[파일:일본 국기.svg|width=25]] 일본 || || '''2016-17''' ||[[파일:일본 국기.svg|width=25]] 일본 ||[[파일:스페인 국기.svg|width=25]] 스페인 || || '''2017-18'''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5]] 러시아 ||[[파일:일본 국기.svg|width=25]] 일본 || || '''2018-19''' ||[[파일:일본 국기.svg|width=25]] 일본 ||[[파일:IRFU 로고.png|width=25]] 아일랜드 || || '''2019-20''' ||<#f0f0f0> 팀 증편으로 없음 ||[[파일:일본 국기.svg|width=25]] 일본 || || '''2021''' ||<|2> 16팀 ||<-2><#f0f0f0> 승강 미실시 || || '''2021-22''' ||<#f0f0f0> 영국팀 통합으로 없음 ||[[파일:우루과이 국기.svg|width=25]] 우루과이 || || '''2022-23''' || 15팀 ||[[파일:케냐 국기.svg|width=25]] 케냐[br][[파일:우루과이 국기.svg|width=25]] 우루과이[br][[파일:일본 국기.svg|width=25]] 일본 ||<#f0f0f0> 팀 감편으로 없음 || || '''[[2023-24 SVNS|2023-24]]''' || 12팀 || || || --일본의 눈물겨운 생존기-- 코로나19가 확산된 이후 2019-20시즌은 조기 종료됐고, 따라서 별도로 강등팀을 선정하지 못했다. 2021년 이후 웨일스, 잉글랜드, 스코틀랜드는 '''그레이트 브리튼''' 단일팀으로 출전하게 되어 2자리가 비게 됐는데, 고정 출전 팀을 원래대로 16개에서 15개로 줄이고 한 팀을 승급시킴으로써 강등을 하지 않았다. (아일랜드는 북아일랜드와 단일팀으로 그대로 출전) 2022-23시즌에 이르러서야 다시 원래 방식대로 돌아왔다. 2023-24시즌은 15+1팀에서 12팀 체제로 변경하며 3팀이 챌린저 시리즈로 강등되었다. == 역대 대회 순위 == || '''시즌''' || '''시리즈 수''' || '''우승''' || '''준우승''' || '''3위''' || '''4위''' || || 1999-00 || 10개 ||[[파일:뉴질랜드 국기.svg|width=25]] 뉴질랜드 ||[[파일:피지 국기.svg|width=25]] 피지 ||[[파일:호주 국기.svg|width=25]] 호주 ||[[파일:사모아 국기.svg|width=25]] 사모아 || || 2000-01 || 9개 ||[[파일:뉴질랜드 국기.svg|width=25]] 뉴질랜드 ||[[파일:호주 국기.svg|width=25]] 호주 ||[[파일:피지 국기.svg|width=25]] 피지 ||[[파일:사모아 국기.svg|width=25]] 사모아 || || 2001-02 || 11개 ||[[파일:뉴질랜드 국기.svg|width=25]] 뉴질랜드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width=25]] 남아공 ||[[파일:잉글랜드 국기.svg|width=25]] 잉글랜드 ||[[파일:피지 국기.svg|width=25]] 피지 || || 2002-03 || 7개[* 사스로 대회 중단] ||[[파일:뉴질랜드 국기.svg|width=25]] 뉴질랜드 ||[[파일:잉글랜드 국기.svg|width=25]] 잉글랜드 ||[[파일:피지 국기.svg|width=25]] 피지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width=25]] 남아공 || || 2003-04 || 8개 ||[[파일:뉴질랜드 국기.svg|width=25]] 뉴질랜드 ||[[파일:잉글랜드 국기.svg|width=25]] 잉글랜드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width=25]] 아르헨티나 ||[[파일:피지 국기.svg|width=25]] 피지 || || 2004-05 || 7개 ||[[파일:뉴질랜드 국기.svg|width=25]] 뉴질랜드 ||[[파일:피지 국기.svg|width=25]] 피지 ||[[파일:잉글랜드 국기.svg|width=25]] 잉글랜드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width=25]] 남아공 || || 2005-06 || 8개 ||[[파일:피지 국기.svg|width=25]] 피지 ||[[파일:잉글랜드 국기.svg|width=25]] 잉글랜드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width=25]] 남아공 ||[[파일:뉴질랜드 국기.svg|width=25]] 뉴질랜드 || || 2006-07 || 8개 ||[[파일:뉴질랜드 국기.svg|width=25]] 뉴질랜드 ||[[파일:피지 국기.svg|width=25]] 피지 ||[[파일:사모아 국기.svg|width=25]] 사모아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width=25]] 남아공 || || 2007-08 || 8개 ||[[파일:뉴질랜드 국기.svg|width=25]] 뉴질랜드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width=25]] 남아공 ||[[파일:사모아 국기.svg|width=25]] 사모아 ||[[파일:피지 국기.svg|width=25]] 피지 || || 2008-09 || 8개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width=25]] 남아공 ||[[파일:피지 국기.svg|width=25]] 피지 ||[[파일:잉글랜드 국기.svg|width=25]] 잉글랜드 ||[[파일:뉴질랜드 국기.svg|width=25]] 뉴질랜드 || || 2009-10 || 8개 ||[[파일:사모아 국기.svg|width=25]] 사모아 ||[[파일:뉴질랜드 국기.svg|width=25]] 뉴질랜드 ||[[파일:호주 국기.svg|width=25]] 호주 ||[[파일:피지 국기.svg|width=25]] 피지 || || 2010-11 || 8개 ||[[파일:뉴질랜드 국기.svg|width=25]] 뉴질랜드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width=25]] 남아공 ||[[파일:잉글랜드 국기.svg|width=25]] 잉글랜드 ||[[파일:피지 국기.svg|width=25]] 피지 || || 2011-12 || 9개 ||[[파일:뉴질랜드 국기.svg|width=25]] 뉴질랜드 ||[[파일:피지 국기.svg|width=25]] 피지 ||[[파일:잉글랜드 국기.svg|width=25]] 잉글랜드 ||[[파일:사모아 국기.svg|width=25]] 사모아 || || 2012-13 || 9개 ||[[파일:뉴질랜드 국기.svg|width=25]] 뉴질랜드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width=25]] 남아공 ||[[파일:피지 국기.svg|width=25]] 피지 ||[[파일:사모아 국기.svg|width=25]] 사모아 || || 2013-14 || 9개 ||[[파일:뉴질랜드 국기.svg|width=25]] 뉴질랜드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width=25]] 남아공 ||[[파일:피지 국기.svg|width=25]] 피지 ||[[파일:잉글랜드 국기.svg|width=25]] 잉글랜드 || || 2014-15 || 9개 ||[[파일:피지 국기.svg|width=25]] 피지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width=25]] 남아공 ||[[파일:뉴질랜드 국기.svg|width=25]] 뉴질랜드 ||[[파일:잉글랜드 국기.svg|width=25]] 잉글랜드 || || 2015-16 || 10개 ||[[파일:피지 국기.svg|width=25]] 피지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width=25]] 남아공 ||[[파일:뉴질랜드 국기.svg|width=25]] 뉴질랜드 ||[[파일:호주 국기.svg|width=25]] 호주 || || 2016-17 || 10개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width=25]] 남아공 ||[[파일:잉글랜드 국기.svg|width=25]] 잉글랜드 ||[[파일:피지 국기.svg|width=25]] 피지 ||[[파일:뉴질랜드 국기.svg|width=25]] 뉴질랜드 || || 2017-18 || 10개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width=25]] 남아공 ||[[파일:피지 국기.svg|width=25]] 피지 ||[[파일:뉴질랜드 국기.svg|width=25]] 뉴질랜드 ||[[파일:호주 국기.svg|width=25]] 호주 || || 2018-19 || 10개 ||[[파일:피지 국기.svg|width=25]] 피지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미국 ||[[파일:뉴질랜드 국기.svg|width=25]] 뉴질랜드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width=25]] 남아공 || || 2019-20 || 6개 ||[[파일:뉴질랜드 국기.svg|width=25]] 뉴질랜드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width=25]] 남아공 ||[[파일:피지 국기.svg|width=25]] 피지 ||[[파일:호주 국기.svg|width=25]] 호주 || || 2021 || 2개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width=25]] 남아공 ||[[파일:영국 국기.svg|width=25]] 영국 ||[[파일:케냐 국기.svg|width=25]] 케냐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5]] 캐나다 || || 2021-22 || 9개 ||[[파일:호주 국기.svg|width=25]] 호주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width=25]] 남아공 ||[[파일:피지 국기.svg|width=25]] 피지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width=25]] 아르헨티나 || || 2022-23 || 11개 ||[[파일:뉴질랜드 국기.svg|width=25]] 뉴질랜드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width=25]] 아르헨티나 ||[[파일:피지 국기.svg|width=25]] 피지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프랑스 || || [[2023-24 SVNS|2023-24]] || 8개 ||<-4>|| 2023년 아르헨티나는 처음으로 준우승에 올랐으며, 프랑스도 처음으로 4위권에 등극했다. 잉글랜드는 최고인 적은 없지만 정말 꾸준하게 해왔다. 최근 들어 팀 통합을 했음에도 신통치 않은 모습이다. 의외로 15인제에서는 월드컵 예선 턱걸이인 미국도 상당히 잘 한다. 2015년부터 고정적으로 종합 6위 안에 들고 있다. 15인제에 비해 인원수도 적어서 소수의 유능한 인재로도 충분히 좋은 성적을 낼 수 있고, 무엇보다 미국이기 때문에 "소수의 인재"들의 질이 굉장히 높기 때문. [[케냐]], [[캐나다]]도 7인제 강팀이다. 반대로 [[통가]]는 인구가 워낙 작아 저변이 약해 7인제까지 투자할 여력이 없는것 같다. === 시즌 우승 횟수 === || '''팀''' || '''우승''' || '''준우승''' || '''3위''' || '''4위''' || ||[[파일:뉴질랜드 국기.svg|width=30]] '''뉴질랜드''' || 14회 || 1회 || 4회 || 3회 ||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width=30]] '''남아공''' || 4회 || 9회 || 1회 || 4회 || ||[[파일:피지 국기.svg|width=30]] '''피지''' || 4회 || 6회 || 8회 || 5회 || ||[[파일:호주 국기.svg|width=30]] '''호주''' || 1회 || 1회 || 2회 || 3회 || ||[[파일:사모아 국기.svg|width=30]] '''사모아''' || 1회 || - || 2회 || 4회 || ||[[파일:잉글랜드 국기.svg|width=30]] '''잉글랜드''' || - || 4회 || 5회 || 2회 ||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width=30]] '''아르헨티나''' || - || 1회 || 1회 || 1회 || ||[[파일:영국 국기.svg|width=30]] '''영국''' || - || 1회 || - || - || ||[[파일:미국 국기.svg|width=30]] '''미국''' || - || 1회 || - || - || ||[[파일:케냐 국기.svg|width=30]] '''케냐''' || - || - || 1회 || - ||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30]] '''캐나다''' || - || - || - || 1회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30]] '''프랑스''' || - || - || - || 1회 || === 시리즈 우승 횟수 === || '''팀''' || '''횟수 (최근)''' || ||[[파일:뉴질랜드 국기.svg|width=30]] '''뉴질랜드''' || 67회 (2023년) || ||[[파일:피지 국기.svg|width=30]] '''피지''' || 44회 (2022년) ||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width=30]] '''남아공''' || 39회 (2023년) || ||[[파일:잉글랜드 국기.svg|width=30]] '''잉글랜드''' || 19회 (2017년) || ||[[파일:사모아 국기.svg|width=30]] '''사모아''' || 11회 (2023년) || ||[[파일:호주 국기.svg|width=30]] '''호주''' || 9회 (2023년) ||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width=30]] '''아르헨티나''' || 6회 (2023년) || ||[[파일:미국 국기.svg|width=30]] '''미국''' || 3회 (2019년) ||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width=30]] '''스코틀랜드''' || 2회 (2017년) ||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30]] '''캐나다''' || 1회 (2017년) || ||[[파일:케냐 국기.svg|width=30]] '''케냐''' || 1회 (2016년)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30]] '''프랑스''' || 1회 (2005년) || 이걸 보면 뉴질랜드, 피지, 남아공 세 팀이 얼마나 적폐 수준인지 알 수 있다. == 상훈 == 매 시즌 최다 득점자, 최다 트라이, 그리고 올해의 선수를 각 1명씩 선정한다. || '''시즌''' || '''시리즈 수''' || '''최다 득점''' || '''최다 트라이''' || '''최우수 선수''' || || 1999-00 || 10 ||[[파일:피지 국기.svg|width=25]] 와이살레 세레비(684점) ||[[파일:피지 국기.svg|width=25]] 빌리모니 델라사우(83회) || - || || 2000-01 || 9 ||[[파일:뉴질랜드 국기.svg|width=25]] 다미안 카라우나(262점) ||[[파일:뉴질랜드 국기.svg|width=25]] 칼 테 나나(42회) || - || || 2001-02 || 11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width=25]] 브렌트 러셀(450점)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width=25]] 브렌트 러셀(46회) || - || || 2002-03 || 7 ||[[파일:피지 국기.svg|width=25]] 나소니 로코(321점) ||[[파일:피지 국기.svg|width=25]] 나소니 로코(39회) || - || || 2003-04 || 8 ||[[파일:잉글랜드 국기.svg|width=25]] 벤 골링스(394점)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width=25]] 파비앙 주리스[br][[파일:잉글랜드 국기.svg|width=25]] 롭 설비(39회) ||[[파일:잉글랜드 국기.svg|width=25]] 사이먼 아모 || || 2004-05 || 7 ||[[파일:뉴질랜드 국기.svg|width=25]] 오레네 아이(308점) ||[[파일:사모아 국기.svg|width=25]] 데이빗 레미(46회) ||[[파일:뉴질랜드 국기.svg|width=25]] 오레네 아이 || || 2005-06 || 8 ||[[파일:잉글랜드 국기.svg|width=25]] 벤 골링스(343점) ||[[파일:사모아 국기.svg|width=25]] 티모테오 이오수아(40회) ||[[파일:사모아 국기.svg|width=25]] 우알레 마이 || || 2006-07 || 8 ||[[파일:피지 국기.svg|width=25]] 윌리엄 라이더(416점) ||[[파일:사모아 국기.svg|width=25]] 미카엘레 페사미노(43회) ||[[파일:뉴질랜드 국기.svg|width=25]] 아펠레케 펠레니세 || || 2007-08 || 8 ||[[파일:뉴질랜드 국기.svg|width=25]] 토마시 카마(319점)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width=25]] 파비앙 주리스(49회) ||[[파일:뉴질랜드 국기.svg|width=25]] 디제이 포브스 || || 2008-09 || 8 ||[[파일:잉글랜드 국기.svg|width=25]] 벤 골링스(260점) ||[[파일:케냐 국기.svg|width=25]] 콜린스 인제라(42회) ||[[파일:잉글랜드 국기.svg|width=25]] 올리 필립스 || || 2009-10 || 8 ||[[파일:잉글랜드 국기.svg|width=25]] 벤 골링스(332점) ||[[파일:사모아 국기.svg|width=25]] 미카엘레 페사미노(56회) ||[[파일:사모아 국기.svg|width=25]] 미카엘레 페사미노 || || 2010-11 || 8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width=25]] 세실 아프리카(381점)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width=25]] 세실 아프리카(40회)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width=25]] 세실 아프리카[* 최초의 싹쓸이 수상] || || 2011-12 || 9 ||[[파일:뉴질랜드 국기.svg|width=25]] 토마시 카마(390점) ||[[파일:잉글랜드 국기.svg|width=25]] 맷 터너(38회) ||[[파일:뉴질랜드 국기.svg|width=25]] 토마시 카마 || || 2012-13 || 9 ||[[파일:잉글랜드 국기.svg|width=25]] 댄 노튼(264점) ||[[파일:잉글랜드 국기.svg|width=25]] 댄 노튼(52회) ||[[파일:뉴질랜드 국기.svg|width=25]] 팀 미켈슨 || || 2013-14 || 9 ||[[파일:잉글랜드 국기.svg|width=25]] 톰 미첼(358점) ||[[파일:피지 국기.svg|width=25]] 사미소니 비리비리(52회) ||[[파일:피지 국기.svg|width=25]] 사미소니 비리비리 || || 2014-15 || 9 ||[[파일:피지 국기.svg|width=25]] 오샤 콜리니사우(312점)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width=25]] 세아벨로 세나틀라(47회)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width=25]] 워너 콕 || || 2015-16 || 1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매디슨 휴스(331점)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width=25]] 세아벨로 세나틀라(66회)[* 최초의 2연속 최다 트라이]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width=25]] 세아벨로 세나틀라 || || 2016-17 || 1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페리 베이커(285점)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페리 베이커(57회)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페리 베이커 || || 2017-18 || 10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5]] 네이선 히라야마(334점)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칼린 아일스(49회)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페리 베이커[* 최초의 2연속 수상] || || 2018-19 || 10 ||[[파일:뉴질랜드 국기.svg|width=25]] 앤드류 뉴스텁(307점)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칼린 아일스(52회) ||[[파일:피지 국기.svg|width=25]] [[제리 투와이]] || || 2019-20 || 6 ||[[파일:피지 국기.svg|width=25]] 나폴리오니 볼라카(159점) ||[[파일:IRFU 로고.png|width=25]] 조던 콘로이(30회) || - || || 2021 || 2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width=25]] 로널드 브라운(91점)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width=25]] 물러 두 플레시(13회)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width=25]] 마르코스 모네타 || || 2021-22 || 9 ||[[파일:뉴질랜드 국기.svg|width=25]] 디트리치 로치(343점) ||[[파일:IRFU 로고.png|width=25]] 테리 케네디(50회) ||[[파일:IRFU 로고.png|width=25]] 테리 케네디 || || 2022-23 || 11 ||[[파일:뉴질랜드 국기.svg|width=25]] 아쿠일라 로콜리소아(415점) ||[[파일:사모아 국기.svg|width=25]] 바아 아펠루 말리코(50회)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width=25]] 로드리고 이스그로 || || [[2023-24 SVNS|2023-24]] || 8 ||<-3>|| == 개인 기록 == 현재 출전 중인 선수는 볼드체. * '''최다 출전''' || '''순위''' || '''이름''' || '''횟수''' || || 1 ||[[파일:잉글랜드 국기.svg|width=25]] 댄 노튼 || 470회 || || 2 ||[[파일:뉴질랜드 국기.svg|width=25]] 팀 미켈슨 || 464회 || || 3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width=25]] '''가스톤 레볼''' || 456회 || || 4 ||[[파일:뉴질랜드 국기.svg|width=25]] 디제이 포브스 || 450회 || || 5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width=25]] 브랑코 두프레즈 || 431회 || || 6 ||[[파일:케냐 국기.svg|width=25]] 콜린스 인제라[br][[파일:잉글랜드 국기.svg|width=25]] 제임스 로드웰 || 424회 || || 8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조나탕 로젤''' || 401회 || || 9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폴라우 니우아 || 387회 || || 10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width=25]] 크리스 드라이 || 373회 || * '''최다 득점''' || '''순위''' || '''이름''' || '''점수''' || || 1 ||[[파일:잉글랜드 국기.svg|width=25]] 벤 골링스 || 2,652점 || || 2 ||[[파일:뉴질랜드 국기.svg|width=25]] 토마시 카마 || 2,028점 || || 3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5]] 네이선 히라야마[* 일본계 캐나다인으로 2006년부터 2021년까지 활동하다 은퇴했다] || 1,859점 || || 4 ||[[파일:잉글랜드 국기.svg|width=25]] 댄 노튼 || 1,804점 || || 5 ||[[파일:잉글랜드 국기.svg|width=25]] 톰 미첼 || 1,595점 || || 6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매디슨 휴스 || 1,510점 || || 7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width=25]] 세실 아프리카 || 1,462점 || || 8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width=25]] 브란코 두프리즈 || 1,447점 || || 9 ||[[파일:케냐 국기.svg|width=25]] 콜린스 인제라 || 1,443점 || || 10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width=25]] 콜린 그리거 || 1,345점 || * '''최다 트라이''' || '''순위''' || '''이름''' || '''횟수''' || || 1 ||[[파일:잉글랜드 국기.svg|width=25]] 댄 노튼 || 358회 || || 2 ||[[파일:케냐 국기.svg|width=25]] 콜린스 인제라 || 279회 || || 3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페리 베이커''' || 263회 || || 4 ||[[파일:뉴질랜드 국기.svg|width=25]] 팀 미켈슨 || 235회 || || 5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width=25]] 세아벨로 세나틀라[br][[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width=25]] 산티아고 고메스 코라 || 230회 || || 7 ||[[파일:잉글랜드 국기.svg|width=25]] 벤 골링스 || 220회 || || 8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칼린 아일스 || 217회 || || 9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width=25]] 세실 아프리카[br][[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width=25]] 파비앙 주리스 || 179회 || == 기타 == 남아프리카 공화국 대표팀은 스프링복스가 아닌 블리츠복스(Blitzboks)라고 불린다. 7인제에서 유명한 선수들은 대부분 100m를 10초 중반에 뛰는 괴물들이거나, 아니면 럭비 센스나 유연성이 탈인간급이다. 탈인간급 재능으로 유명한 사람이 피지 주장 제리 투와이다. 15인제의 [[앙투안 뒤퐁]]같은 인물. * 피지 - [[제리 투와이]](Jerry Tuwai) * 미국 - 칼린 아일스(Carlin Isles)[* 100m 기록 10.13초], 페리 베이커(Perry Baker)[* 100m 개인 기록 10.58초]. 칼린 아일스와 함께 2010년대 중반부터 미국 7인제 럭비의 쌍두마차로 팀을 견인하고 있다. 양쪽에 괴수급 스프린터가 있고, 그 사이를 범용성이 좋은 선수들이 받쳐주는 것이 미국의 스타일이었다. * 잉글랜드 - 댄 노튼(Dan Norton) * 남아공 - 세아벨로 세나틀라(Seabelo Senatla) [[분류:SV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