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SV 베르더 브레멘/역대 시즌]] [include(틀:상위 문서, top1=SV 베르더 브레멘)] [include(틀:관련 문서, top1=SV 베르더 브레멘/역사)] ||<-5><:>[[SV 베르더 브레멘|[[파일:SV 베르더 브레멘 로고.svg|height=50]]]] [br] [[SV 베르더 브레멘|,,{{{#ffffff SV 베르더 브레멘 정규 시즌 }}},, ]] || ||<:> [[SV 베르더 브레멘/2019-20 시즌|2019-20 시즌]] ||<:> {{{+1 →}}} ||<#ffffff><:> '''{{{#034694 2020-21 시즌}}}''' ||<:> {{{+1 →}}} ||<:> [[SV 베르더 브레멘/2022-23 시즌|2022-23 시즌]] || ||<#ffffff> [[SV 베르더 브레멘|[[파일:SV 베르더 브레멘 로고.svg|width=50]]]][br],,'''{{{#00a665 SV 베르더 브레멘 2020-21 시즌}}}''',, ||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4>
<#ffffff> '''{{{#00a665 감독 및 주장단}}}''' || || 회장 ||<#FFF> 마르코 보데 (Marco Bode) || 단장 ||<#ffffff> [[프랑크 바우만]] (Frank Baumann) || || 감독 ||<#FFF> [[플로리안 코펠트]] (Florian Kohfeldt) || 주장 ||<#FFF> [[니클라스 모이산데르]] (Niklas Moisander) || [include(틀:SV 베르더 브레멘/시즌 상황)] ||
<#007f45> [[DFB-포칼|[[파일:DFB-포칼 로고.svg|height=40]]]][br][[DFB-포칼|,,{{{#fff '''DFB-포칼'''}}},, ]] || ||<:><#FFFFFF> {{{#000000 '''2라운드 진출'''}}}|| }}} || [목차] == 스쿼드 == [include(틀:SV 베르더 브레멘)] == [[파일:분데스리가 로고.svg|width=40]] [[분데스리가]] == === 전반기 === 개막전에서 [[헤르타]]에 홈에서 1-4 대패를 당했다. 수비가 완전히 무너지는 모습을 보이며 8400명의 홈 관중에게 저번 시즌의 악몽을 다시금 떠올리게 하였다. 2라운드 샬케 원정에서 [[니클라스 퓔크루크]]의 해트트릭에 힘입어 3-1 승리를 거뒀고(샬케의 감독[[다비트 바그너]]는 이 경기 패배로 경질되었다.) 3라운드 [[아르미니아 빌레펠트]]전 홈경기에서 1-0으로 2연승했다. 이후 프라이부르크-호펜하임-프랑크푸르트-쾰른을 상대로 4연속 1-1 무승부를 기록했다. ~~무레멘~~ 11월 21일 [[바이에른 뮌헨]] 원정에서 1-1로 비기며 10년 만에 바이에른 뮌헨전에서 22연패 끝에 승점을 따냈다. 또한 1980/81 시즌 레버쿠젠의 5연속 무승부 기록과 동률을 이뤘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와망기투카인성1.gif|width=100%]] [br] [[파일:와망기투카인성2.gif|width=100%]] [br] [[파일:와망기투카인성3.gif|width=100%]]}}} || 10라운드 [[VfB 슈투트가르트]]전 [[외메르 토프락]]과 [[이르지 파블렌카]] 골키퍼의 사인미스로 빈 골대에 그대로 공을 헌납했고, 이를 [[사일러스 와망기투카]]가 골대 바로앞에서 잡으며 희망이 없는 상황에서 모든 선수들이 보고만 있었는데, 와망기투카가 조롱하듯 가만히 있다가 파블렌카가 달려가자 과장되게 차넣으며 베르더 선수들을 자극했다. [[데이비 젤케]]가 바로 달려가 강력하게 항의했고, 와망기투카와 젤케가 옐로카드를 받았다. 이후 젤케가 만회골을 넣었으나 경기는 2대1 패배. 논란이 있던 [[VfB 슈투트가르트]]전을 포함해 볼프스부르크-슈투트가르트-라이프치히-도르트문트라는 지옥의 일정에서 모두 패배하면서 4라운드 [[SC 프라이부르크]]전부터 12라운드까지 무승행진을 이어나갔고, 어느새 강등권 바로 위까지 가라앉았다. 그러나 크리스마스 이전의 두 경기인 13라운드 마인츠와의 리그 경기, 하노버와의 포칼경기 모두 클린시트 승리를 거두며 기분좋은 2020년 마무리를 했다. 다음 상대는 '돌풍' [[우니온 베를린]]. 역시나 [[베르더]]는 그 돌풍을 막을 수 없었다. 전반 두 골을 허용하면서 그대로 0대2 패배를 기록한다. [[바이어 레버쿠젠]] 원정을 떠난 15라운드, [[외메르 토프락]]이 친정팀에 한 방을 꽂으며 앞서나간다. 끈덕진 수비를 선보인 [[베르더]]는 비록 [[파트리크 시크]]에게 동점골을 허용했지만 역전까지는 허락하지 않았다. 다만, 레버쿠젠 팬들은 후반 추가시간 [[장마누엘 음봄]]의 핸드볼 파울이 불리지 않은것에 대한 억울함을 토로하기도 하였다. 16라운드에서는 [[FC 아우크스부르크]]를 홈으로 불러들였다. 왼쪽 측면 공격, 수비의 핵이라 할 수 있는 [[루드비그 아우구스틴손]]이 허벅지 부상으로 당분간 경기에 나오지 못할 예정이기 때문에 [[펠릭스 아구]]가 엉겁결에 기회를 잡게 되었다. 그리고 그는 그 기대에 완벽히 부응했다!! 후반 42분 쐐기골을 기록하며 아우크스부르크를 침몰시킨다. 최종 스코어 2-0. === 후반기 === 18라운드 헤르타 베를린과의 원정경기에서 젤케, 토프락, 비텐코트, 사전트의 연속 골로 4-1로 대승하며 개막전에서의 패배를 그대로 되갚아주었다. 헤르타 베를린은 이 경기의 패배로 [[브루노 라바디아]] 감독이 경질되었다. 19라운드 최하위 [[FC 샬케 04|샬케 04]]를 상대로 전반전에 최악의 졸전을 펼치며 [[오마르 마스카렐]]에게 선제골을 내주며 샬케04의 부활에 날개를 달아주는 듯 했으나, 후반전에 맹렬한 공격을 펼치며 케빈 뫼발트가 동점골을 넣으며 간신히 1-1로 비겼다. 21라운드 프라이부르크와의 홈 경기에서 짠물수비를 보여주며 브레멘 경기에서는 보기 힘든 0-0 무승부를 기록했다. 22라운드 호펜하임과의 원정 경기에서 수비 조직력의 와해로 0-4로 대패하였으며, 헤르타전 이후 세 경기에서 최하위 샬케04를 상대로 넣은 뫼발트의 동점골이 유일할 정도로 골 가뭄에 시달리고 있어, 강등권인 16위 빌레펠트와의 승점차가 5점에 불과한 점을 감안하면 결코 잔류를 안심할 수 없는 상황에 이르렀다. 공격력의 개선이 없다면 [[FC 샬케 04]]와 함께 강등권으로 밀려나는 최악의 상황까지 각오해야 할 것이다. 23라운드 프랑크푸르트와의 홈 경기에서 경기 시작 9분만에 [[안드레 실바]]에게 선제골을 허용하였으나, 후반 시작과 함께 게브르 셀라시에가 넣은 골이 오프사이드 판정을 받았다가 VAR 판독으로 골로 인정되어 승부를 원점으로 돌렸고, 15분 후 [[조슈아 서전트]]가 절묘하게 오프사이드를 뚫고 역전골을 넣어 2-1로 승리하였다. 프랑크푸르트는 최근 리가 11경기에서 9승 2무로 4위를 기록하며 챔피언스리그 진출을 노리고 있었고, 이 경기 직전에 바이에른 뮌헨을 상대로 2-1로 승리한 터라 절대다수가 프랑크푸르트의 승리를 예상하였지만, 중하위권의 브레멘에게 덜미를 잡히고 말았다. 24라운드 쾰른과의 원정 경기에서 [[조슈아 서전트]]가 선제골을 넣었으나 헥토르에게 동점골을 내주며 1-1로 비겼고, 폭설로 인하여 3월 10일로 연기되어 치러진 20라운드 빌레펠트와의 원정 경기에서는 슈팅수에서 26대 5로 압도적으로 밀렸음에도 불구하고 서전트와 뫼발트의 연속 골로 2-0으로 승리하였다. 이 경기의 승리로 브레멘은 분데스리가 통산 800승 고지를 달성했다. 베르더가 빌레펠트 원정에서 승리를 거둔 건 2006년 1월 29일 1-0 승리 이후 15년 만이다.[* 빌레펠트와의 전체적인 역대 전적에서는 21승 4무 10패로 우세이나, 원정경기 전적에서는 6승 3무 9패로 열세를 보이고 있으며, 그 6승 중에도 4승은 1984년 이전 기록이다. 빌레펠트가 90년대 중반부터 2000년대 후반까지 1부리가에 오랫동안 있었던 점을 감안하면 홈 성적과 원정 성적이 상당한 차이를 보인 셈이다.] 이 시점까지 베르더 브레멘의 순위는 12위였는데 16위 [[아르미니아 빌레펠트]]와의 승점차는 11점, 17위 [[마인츠 05]]와의 승점차는 12점이고 오히려 7위 [[우니온 베를린]]과의 승점차는 5점차였다.[[https://www.worldfootball.net/schedule/bundesliga-2020-2021-spieltag/24/|24라운드 기준순위]] '''여기까지만 해도 브레멘이 강등당할 것이라고 예상한 사람은 드물었다.''' 그러나 빌레펠트전 이후 7연패로 급격히 추락하며 강등 위기에 몰렸다. 32라운드 레버쿠젠과의 홈경기에서 0-0으로 비겼으나 33라운드 아우크스부르크 원정에서 0-2로 완패하며 16위로 추락하고 말았다. 결국 [[플로리안 코펠트]] 감독은 전격 경질당했고, [[토마스 샤프]]가 묀헨글라트바흐와의 최종전을 임시 감독으로 맡게 됐다. 마지막 리그 경기에서 묀헨글라트바흐에 무기력하게 4점을 내주면서 끌려갔다. 막판에 2골을 연달아 넣으면서 추격했지만 끝내 2-4로 경기가 끝났고, 같은 시각 쾰른이 샬케를 홈에서 극적으로 1-0으로 잡고 이기면서 순위가 역전되며 17위로 추락하는 바람에 '''1979-80시즌 이후 41년만에 2부 리그로 강등'''됐다. == '''[[파일:DFB-포칼 앰블럼.svg|width=40]] [[DFB-포칼]]''' == === 1라운드 VS [[FC 카를 차이스 예나]] (에른스트 아베 슈포르트펠트) === ||||<:><#ffffff> [[파일:DFB-포칼 로고.svg|width=120]][br]|| ||||<:><#007f45> '''{{{#ffffff DFB-포칼 1라운드 (2020.09.13)}}}'''||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5bac, #FFF, #fff200, #fff200, #fff200, #FFF, #005bac)" '''{{{#ffffff [[에른스트 아베 슈포르트펠트|{{{#ffffff 에른스트 아베 슈포르트펠트}}}]] (독일, 예나)}}}'''}}} || ||<#4f5259> [[파일:FC 카를 차이스 예나 로고.svg|height=120]][br]'''[[FC 카를 차이스 예나|{{{#fff FC 카를 차이스 예나}}}]]''' ||<#007642> [[파일:SV 베르더 브레멘 로고.svg|height=120]][br]'''[[SV 베르더 브레멘|{{{#fff SV 베르더 브레멘}}}]]''' || ||<#ffffff> '''{{{+1 {{{#000 0}}}}}}''' ||<#ffffff> '''{{{+1 {{{#000 2}}}}}}''' || ||<#ffffff> ||<#ffffff> '''{{{#000 49' [[조슈아 서전트]] [br]88' [[타히트 총]]}}}''' || === 2라운드 VS [[하노버 96]] (HDI 아레나) === ||||<:><#ffffff> [[파일:DFB-포칼 로고.svg|width=120]][br]|| ||||<:><#007f45> '''{{{#ffffff DFB-포칼 2라운드 (2020.12.24)}}}'''|| |||| '''{{{#ffffff [[HDI 아레나|{{{#ffffff HDI 아레나}}}]] (독일, 하노버)}}}''' || || [[파일:하노버 96 로고.svg|height=120]][br]'''[[하노버 96|{{{#fff 하노버 96}}}]]''' ||<#007642> [[파일:SV 베르더 브레멘 로고.svg|height=120]][br]'''[[SV 베르더 브레멘|{{{#fff SV 베르더 브레멘}}}]]''' || ||<#ffffff> '''{{{+1 {{{#000 0}}}}}}''' ||<#ffffff> '''{{{+1 {{{#000 3}}}}}}''' || ||<#ffffff> ||<#ffffff> '''{{{#000 30' [[테오도르 게브레 셀라시]] [br]32' [[조슈아 서전트]] [br]60' [[장마누엘 음봄]]}}}''' || === 16강 VS [[SpVgg 그로이터 퓌르트]] (베저 스타디온) === ||||<:><#ffffff> [[파일:DFB-포칼 로고.svg|width=120]][br]|| ||||<:><#007f45> '''{{{#ffffff DFB-포칼 16강 (2021.02.02)}}}''' || ||<-3> '''{{{#ffffff [[베저슈타디온|{{{#ffffff 베저슈타디온}}}]] (독일, 브레멘)}}}''' || || [[파일:SV 베르더 브레멘 로고.svg|width=120]][br]'''[[SV 베르더 브레멘|{{{#fff SV 베르더 브레멘}}}]]''' || [[파일:SpVgg 그로이터 퓌르트 로고.svg|width=120]][br]'''[[SpVgg 그로이터 퓌르트|{{{#fff SpVgg 그로이터 퓌르트}}}]]''' || || '''{{{+1 2 }}}''' || '''{{{+1 0}}}''' || || '''12' [[케빈 뫼발트]][br] 73' [[펠릭스 아구]]''' || || === 8강 VS [[SSV 얀 레겐스부르크]] (HDI 아레나) === ||||<:><#ffffff> [[파일:DFB-포칼 로고.svg|width=120]][br]|| ||||<:><#007f45> '''{{{#ffffff DFB-포칼 8강 (2021.04.07)}}}'''|| |||| '''{{{#ffffff [[아레나 레겐스부르크|{{{#ffffff 아레나 레겐스부르크}}}]] (독일, 레겐스부르크)}}}''' || || [[파일:SSV 얀 레겐스부르크 로고.svg|height=120]][br]'''[[SSV 얀 레겐스부르크|{{{#fff 얀 레겐스부르크}}}]]''' ||<#007642> [[파일:SV 베르더 브레멘 로고.svg|height=120]][br]'''[[SV 베르더 브레멘|{{{#fff SV 베르더 브레멘}}}]]''' || ||<#ffffff> '''{{{+1 {{{#000 0}}}}}}''' ||<#ffffff> '''{{{+1 {{{#000 1}}}}}}''' || ||<#ffffff> ||<#ffffff> '''{{{#000 52' [[오사코 유야]] [br]}}}''' || 당초 일정은 3월 2일이었으나 상대팀인 얀 레겐스부르크 선수단의 코로나19 확진으로 인하여 4월7일로 일정이 변경되었다. === 4강 VS [[RB 라이프치히]] (베저 스타디온) === ||||<:><#ffffff> [[파일:DFB-포칼 로고.svg|width=120]][br]|| ||||<:><#007f45> '''{{{#ffffff DFB-포칼 8강 (2021.02.02)}}}''' || ||<-3> '''{{{#ffffff [[베저슈타디온|{{{#ffffff 베저슈타디온}}}]] (독일, 브레멘)}}}''' || || [[파일:SV 베르더 브레멘 로고.svg|width=120]][br]'''[[SV 베르더 브레멘|{{{#fff SV 베르더 브레멘}}}]]''' || [[파일:RB 라이프치히 로고.svg|width=120]][br]'''[[RB 라이프치히|{{{#fff RB 라이프치히}}}]]''' || || '''{{{+1 1 }}}''' || '''{{{+1 2}}}''' || ||<#ffffff> '''105+1' [[레오나르도 비텐쿠르트]]''' ||<#ffffff> '''{{{#000 93' [[황희찬]] [br]120+1' [[에밀 포르스베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