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hite '''{{{+3 Mk.153 SMAW}}}'''[br]''Shoulder-launched Multipurpose Assault Weapon''[br]''견착식 다목적 로켓발사기''}}}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www.imfdb.org/Mk153SMAW.jpg|width=100%]]}}}|| || '''종류''' ||[[대전차 로켓|다목적 로켓발사기]] || || '''원산지''' ||[[파일:미국 국기.svg|width=23]] [[미국]] || ||<-2> {{{#!folding 【펼치기 · 접기】 ||<-2>
{{{#White '''이력'''}}} || || '''역사''' ||[[1984년]]~현재 || || '''개발''' ||[[맥도널 더글라스]] || || '''생산''' ||나모-탈리 디펜스 시스템 || || '''생산년도''' ||[[1984년]]~현재 || || '''단가''' ||$13,000 || || '''사용국''' ||[[파일:미국 국기.svg|width=23]] [[미국]][br][[파일:파키스탄 국기.svg|width=23]] [[파키스탄]][br][[파일:대만 국기.svg|width=23]] [[대만]][br][[파일:레바논 국기.svg|width=23]] [[레바논]][br][[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width=23]] [[우크라이나]] || || '''사용된 전쟁''' ||[[파나마 침공]][br][[걸프 전쟁]][br][[미국-아프가니스탄 전쟁]][br][[이라크 전쟁]][br][[예멘 내전]][br][[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 ||<-2> {{{#White '''기종'''}}} || || '''원형''' ||[[B-300]] || || '''파생형''' ||Mk.153 Mod.0[br]Mk.153 Mod.1[br]Mk.153 Mod.2[br][[M141 BDM]] || ||<-2> {{{#White '''세부사항'''}}} || || '''탄약''' ||83.5mm[br][[고폭탄|이중목적고폭탄(HEDP)]][br][[대전차고폭탄|대전차고폭탄(HEAA)]][br][[열압력탄두|열압력탄(SMAW-NE)]] || || '''급탄''' ||단발식 || || '''총열길이''' ||760mm || || '''전장''' ||1,371mm || || '''중량''' ||7.69kg || || '''탄속''' ||220m/s || || '''유효사거리''' ||이중목적고폭탄(HEDP) - 200m[br]대전차고폭탄(HEAT) - 500m || || '''최대사거리''' ||1,800m ||}}}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053554aa7d26211161be749d9b7269346a59b59a4046e249b7bc6af8e2529610.jpg|width=100%]]}}} || || 2010년 [[페루]]에서의 POA/SE-10 연합훈련 중에 SMAW를 조준하는 [[미 해병대|제 24 미 해병연대]] 소속 부대원의 모습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bwf1B1iMZn4)]}}} || || 발사 영상 || SMAW(견착식 다목적 로켓발사기, Shoulder-launched Multipurpose Assault Weapon)는 [[IMI]] 사의 [[B-300]]을 기반으로 하는 [[미 해병대]]의 제식 로켓발사기이다. == 상세 == === 역사 === [[파일:external/www.militaryfactory.com/m141-bdm-smawd_2.jpg|width=580]] 1984년 [[미 해병대]]는 당시의 새로운 위협으로 떠오른 [[소련군]]의 [[T-72]] [[주력전차]]에 맞설 수 있는 [[대전차화기]]로 [[IMI]] 사의 [[B-300]] 로켓발사기를 [[맥도널 더글라스]] 사에서 면허 생산되는 Mk.153 Mod.0 제식명으로 도입하였으며, 이후 [[미 육군]]에서는 파생형인 [[M141 BDM]]을 대신 채택하였다. [[파일:external/s30.postimg.org/160608-_M-_DY697-008.jpg|width=580]] 한때는 [[FGM-172 SRAW]] [[대전차 미사일]]이 대체자로 점쳐졌었으나 단기간만[* [[위키피디아]]에서의 FGM-172 문서 내용에 따르면 2002년부터 2006년까지로 보고 있다.[[https://en.wikipedia.org/wiki/FGM-172_SRAW|참조]]] 사용되었고, 이후 새로 개시된 대체 사업을 통해 2008년에는 과도기형이라 할 수 있는 SMAW II [[뱀|서펜트(Serpent)]]로 개량을 거쳐 조준부가 주로 갱신된 Mk.153 Mod.2가 앞으로의 SMAW로서 사용될 전망이다. === 특징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tonnel-ufo.ru/smaw_4.jpg|width=100%]]}}} || || '''제식명''' || '''용도''' || || Mk.3 Mod.0 || [[이중목적고폭탄|이중목적고폭탄(HEDP)]] || || Mk.4 Mod.0 || 훈련용 Mk.3 Mod.0(CPR) || || Mk.6 Mod.0 || [[대전차고폭탄|대전차고폭탄(HEAA)]] || || Mk.7 Mod.0 || 훈련용 Mk.7 Mod.0 || || Mk.80 Mod.0 || [[열압력탄|열압력탄(NE)]]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Defense.gov_photo_essay_090604-M-6334M-347.jpg|width=580]] Mk.153 발사기는 주요 탄약인 [[로켓]]과 따로 분리되어 있어 재활용이 가능한 것은 물론, 단순히 로켓을 교체하는 것만으로 다양한 유형의 목표물을 상대할 수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에 반해 로켓 추진으로 인한 [[후폭풍]]이 상당하기 때문에 뒤따르는 [[소음]]과 매연이 심할 뿐만 아니라 피해범위 또한 최소 90m로 잡혀 있을 만큼 사용 상의 까다로운 단점이 있었으나 최근에 등장한 SMAW-II부터는 이를 대폭 축소시킨 실내발사형(CS) 탄약이 적용되기도 하였다. == 종류 == === Mk.153 Mod.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s10.postimg.io/wm_BDP.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media.defense.gov/141211-M-PK171-111.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i186.photobucket.com/P1000210.jpg|width=100%]]}}} || || Mk.153 Mod.0 발사기 || Mk.217 Mod.0 동축 소총(하단) || 9x51mm [[예광탄]]과 [[탄창]] || [[파일:external/22ac99010265731bbcbb355c47827fe0db043cf31590e2e47c18c20c4c81012f.jpg|width=580]] 바탕이 된 [[IMI]] 사의 [[B-300]]에 가장 가까운 원형으로, 기본적으로 Mk.153 Mod.0 발사기와 탄착 지점 확인을 위한 9x51mm[* 7.62x51mm NATO 규격의 [[탄피]]를 공용하나 작약량은 훨씬 적다.] [[예광탄]] 발사용 Mk.217 Mod.0 [[스포팅 라이플]]로 구성되어 있다. [[파일:external/s30.postimg.org/untitled.png|width=580]] 조준에는 자체적으로 구비되어 있는 [[기계식 조준기]]를 포함하여 Mk.42 Mod.0 3.8배율 주간조준경과 AN/PVS-17B 2.25배율 [[야간투시경|야간]]조준경이 주로 쓰이며, 최근에는 부착대에 [[피카티니 레일]]이 적용되어 제식소총 전용의 [[ACOG|TA31RCO-M4CP]] 4배율 조준경이 부착되기도 한다. === Mk.153 Mod.1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i2.guns.ru/2017070.jpg|width=100%]]}}} || || 초기형 (ESMAW)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s29.postimg.org/Raytheon_SMAW_II-_Serpent_2012_Special_Operations.jpg|width=100%]]}}} || || 중기형 (SMAW-II 서펜트) || [[파일:external/media.defense.gov/100928-M-4756O-022.jpg|width=580]] 2002년에 개시된 FOTS(SMAW 계승, Follow-On-To SMAW) 계획에 따라 [[레이시온|레이시온(Raytheon)]] 사와의 기술 협력을 통해 개발된 ESMAW, SMAW-II 서펜트(Serpent) 별칭의 개량형으로, 중량 및 단가 절감을 위해 [[로켓]]이 통합된 1회용 설계를 따를 뿐만 아니라 전용 조준기 또한 통합되었다. [[파일:external/www.nammo.com/smaw_crop1.jpg|width=580]] SMAW-T로 불리는 후기형은 2008년에 공개된 초기형과는 달리 로켓 교체를 포함해 재사용이 가능한 것으로 보이며, 2011년 말에 진행된 실전에서의 성능 실험을 거쳐 2012년부터 총 1,717정이 전력화될 예정에 있었으나 2017년을 기준으로 이와 관련된 아무런 소식이 전해지지 않고 있다. === Mk.153 Mod.2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pbs.twimg.com/CYisIDvWwAAARwM.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farm8.static.flickr.com/16280394962_2ee0170689.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s28.postimg.org/anpsq-23.jpg|width=100%]]}}} || || Mk.153 Mod.2의 [[3차원|3D]] 모델링 || AN/PAS-13E(V3) HTWS || AN/PSQ-23A STORM-PI || [[파일:external/media.defense.gov/131125-M-ZW180-178.jpg|width=580]] [[미 해병대|미 해병]]시스템사령부(MCSC)와 [[미 해군]]해상전연구소 직속의 달그렌(NSWC Dahlgren) 부문이 함께 개발한 개량형으로, 기존의 Mk.217 Mod.0 동축 소총 대신에 [[레이시온]] 사의 AN/PAS-13E(V3) 열화상 탄도조준경과 인사이트 사의 AN/PSQ-23A [[GPS]] 연동식 거리측정기가 장착되어 전체 중량이 5.9kg으로 줄어들었다. [[파일:external/marinecorpsconceptsandprograms.com/3.5.1_FOTS_new.jpg|width=580]] 이는 Mk.153 Mod.0의 뒤를 잇는 실질적인 FOTS 기종이며, 2016년에는 제 1 미 해병원정군(I MEF)에 56정 조달이 시작되어 2020년 10월까지 완전 대체를 위한 1,249정이 지속적으로 도입될 예정이다.[[http://www.marcorsyscom.marines.mil/News/Press-Release-Article-Display/Article/509587/marines-test-smaw-mod-2-with-new-modular-ballistic-sight/|참조]] === [[M141 BDM|M141 BDM(SMAW-D)]] === [[파일:external/www.nammo.com/smaw_crop.jpg|width=580]] [[미 육군]]에서 기존 SMAW 바탕의 진지파괴용화기(BDM, Bunker Defeat Munition)로 도입한 것으로, 제조사는 동일한 나모-탈리 디펜스 시스템 사이며 BDM 사업에서 FFV 사의 [[AT4|AT8]]과의 경쟁 끝에 선정되었다. 기존의 로켓 교체식에서 1회용으로 바뀌었고 최대 1,400mm에서 810mm까지 신축이 가능하다. == 등장 매체 == 고증에 충실하게 미 해병대가 나오니 등장하는 작품도 있고, 그냥 대전차로켓이니 등장하는 작품도 있다. 조준경 재현을 안한 작품이 많은 편이다. 미 해병대가 등장한 작품은 ☆로, 조준경을 재현한 작품은 ★를 추가 표시. === 게임 === [youtube(JJGrh_wOALI)] * [[라라 크로프트와 빛의 수호자]] * [[메달 오브 아너: 워파이터]] - 멀티플레이에서는 데모 클래스가 부무장으로 사용가능하다. * [[배틀필드 시리즈]] * [[배틀필드 2: 모던 컴뱃]] - 미군 공병의 무기로 등장한다. ☆ * [[배틀필드 3]] - 미군 엔지니어의 1번 '''장비'''로 등장. 러시아군의 RPG-7V2와 같이 포물선을 그리며 날아가며, 전체적인 성능은 RPG-7V2와 비슷비슷하며, 위력은 탱크를 3발, IFV를 2발에 부술 만큼 강력하다. 물론 후방을 맞출 경우엔 이보다 빠르게 격파가 가능하다. ☆ * [[배틀필드 4]] - [[RPG-7|RPG-7V2]]와 같이 공병 병과의 사용 가능한 가젯으로 등장한다. RPG에 비교하면 데미지가 약하지만, 탄환의 속도가 더 빠르고, 탄낙차가 적기 때문에 전작보다 적 공중장비를 잡기가 더 쉬워졌다. ☆ * [[배틀필드 하드라인]] - 노획 무기로 등장한다. 모든 차량을 1방에 파괴할 수 있으나, 지급되는 탄약이 1발밖에 없다는 단점이 있다. * [[배틀필드 2042/포털]] - BF3의 SMAW가 재등장. ☆ * [[블루 아카이브]] - RL 아이콘 속 무기의 모델로 등장하며, 오토마타 RL 병과가 쓰는 무기의 모티브로 등장한다. * [[소녀전선]] - 5차 국지전 이벤트 보상으로 등장한다. 이름은 [[Mk 153(소녀전선)|Mk 153]]. * [[아이언사이트]] * 오퍼레이션 플래쉬 포인트 시리즈 * [[오퍼레이션 플래쉬 포인트 : 드래곤 라이징]] ☆★ * [[오퍼레이션 플래쉬 포인트 : 레드 리버]] ☆★ * [[워게임: 에어랜드 배틀]] - 미 해병대에 SMAW 운용반이 등장했다. 게임 내 스펙은 최상위권 대전차로켓. 사거리 875m, 명중 13에 AP 20이라는 무시무시한 스펙을 자랑한다. 미 해병대 보병의 대전차전 구세주. ☆ * [[콜 오브 듀티 시리즈]] * [[콜 오브 듀티: 모던 워페어 3]] - 멀티플레이에서 부무장으로 등장한다. 기계식 가늠좌만 장착되어 있으며, 기본 클래스에 장비되어 있다. 성능은 전작의 AT4와 거의 똑같다. 그냥 발사할 수도 있고 락온 유도발사도 가능하다. 싱글플레이 미션에서는 [[독일]] [[함부르크]]에 침공한 러시아군을 막으러 갈때 주인공이 사용한다. 적군 [[T-90]]을 파괴할 때 쓸 수 있지만 많은 게이머들은 쓰임새를 못 느끼고 다른 부무장을 주워서 쓰는듯.--해안을 벗어나 연막속에 러시아군 다섯명이 지나갈때 쏘는 용도-- * [[콜 오브 듀티: 블랙 옵스 2]] - 멀티플레이에서 부무장 발사기 계열의 가장 처음 무기로 등장한다. 전작들의 AT4, LAW처럼 항공기를 록온하여 격추도 가능. * [[프로젝트 리얼리티]] - 이쪽은 [[FPS]]에선 거의 유일하게 [[스포팅 라이플]]까지 구현된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름답게 매우 고증에 충실하다. ☆★ * [[Squad]] - [[프로젝트 리얼리티]]의 정신적 후속작으로 미 해병대 진영의 중대전차사수거 사용한다. 대전차고폭탄, 이중목적고폭탄 총 두발이 지급되고 스포팅 라이플용 탄환 3발이 지급된다. ☆★ * [[ARMA 2]] ☆★ * [[Combat Mission 시리즈|Combat Mission: Shock Force]] - 미해병대 확장팩에서 대전차보병이 들고나온다. 시각적으로는 아니지만 시스템적으로 동축소총의 기능이 구현 되있는데, SMAW를 발사하기전 목표물 근처의 보병이 저격을 받은 제압이 걸리는 현상을 발견했다고 한다. * [[Tower Defense Simulator]] - [[Rocketeer(Tower Defense Simulator)|로켓티어]]가 3레벨 때 장비한다. === 영화 및 드라마 & TV 채널 === * [[나르코스]] - 에스코바르의 동업자인 호세 로드리게즈 가차가 서치 블락팀에게 공격을 받을때 사용한다. * [[킥 애스: 영웅의 탄생]] - 정말 그럴듯하게 만든 레플리카가 등장한다. 발사 장면시 방아쇠 부분을 잘 보면 [[H&K MP5]]의 하부 리시버를 확인 할 수 있다. * [[The A-Team#s-3.1|A-특공대]] - 악역 '파이크'가 후반부에 사용한다. ★ * [[Future Weapons]] - 시즌 2 1화에 등장한다. === 애니메이션 === * [[그리자이아의 과실]] - TVA 최종화에서 일본영해에 무단침입해서 경고방송하는 해상보안청 초계함에게 [[히스 오슬로]]의 부하가 쿨하게 쏴서 중파시킨다.후폭풍이 우려되는데 작중 보면 요트의 선체 쪽을 등지고 있다. * [[마크로스 제로]] - 지구통합군이 사용한다. 그런데 이걸 물 속에 있는 적에게 쏜다. 본격 보병 휴대용 대잠 로켓.(...) * [[바이오하자드: 무한의 어둠]] - 4화에서 연구실에 비치된 비상무기로 등장한다. [[B.O.W.]]를 다루는 대형 연구소라서 이런 열압력화기같은 물건이 비치된 모양이다. 이를 [[레온 S. 케네디]]가 꺼내와서 연구실에서 탈출하려는 B.O.W.를 공격할 때 사용했다. == 둘러보기 == [include(틀:냉전/미국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미국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멕시코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레바논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우크라이나 보병장비)] [include(틀:보병장비 둘러보기)] [[분류:대전차 로켓]][[분류:보병 무기/현대전]][[분류:미군/화기]][[분류:맥도넬 더글라스]][[분류:1984년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