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border: 2px solid #000000; padding: 8px 13px 8px 13px; background-color: #F2F2F2,#191919; margin-bottom: 0px; border-radius: 4px" '''[주의!]''' [[나무위키:편집지침/특정 분야/인문사회#학교 관련 문서|특정 분야 편집지침]]에 따라 아래의 규정을 적용받는다. 다음과 같은 서술은 작성 시 [[나무위키:기본방침/이용자 관리 방침#편집권 남용|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다. * 현황과 역사를 불문하고 학교 간 우열이나 서열을 확정·조장하는 서술과 학교 수준을 비하하는 서술은 금지한다.[* 예: (A대학, B대학, C대학이) 탑3다, 탑5다, 업계에서 인정받는 대학이다, A대학보다 낫다, B대학이 강세이다, 학교 이름의 첫 글자를 따서 몇 개씩 묶어 부르는 행위, 상급 학교 진학 실적 등.] * 단, 대학교 서열화라는 사회 현상 자체에 대한 문서, SKY(대학교) 문서는 예외적으로 작성을 허용하며, 이 두 경우에도 문서 내에 있는 학교 간의 우열이나 서열을 비교하는 내용의 서술은 금지한다. * 단, 대학교 문서에서의 대학평가기관[* 예: 중앙일보 대학평가, 정부의 대학구조개혁평가 등.]이 발표한 순위, 등급 등의 평가 결과 소개는 허용한다. * 해당 서술은 평가 결과 소개에 그쳐야 하며, 평가 결과를 통해 타 학교와 비교하거나 서술자의 주관적인 평을 덧붙여서는 안 된다.[* 예: 대학평가기관이 발표한 순위를 소개한 뒤, '따라서 A대학은 삼류 대학이다', '따라서 A대학이 B대학보다 낫다고 할 수 있다.', 'A대학, B대학, C대학을 탑3로 보면 된다.' 등의 평을 덧붙이는 행위.] }}} [include(틀:교육 관련 문서)] ---- || '''{{{#fff SKY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서울대학교)] ---- [include(틀:고려대학교)] ---- [include(틀:연세대학교)] }}} || [[파일:SKY 대학.svg|width=100%]] [목차] [clearfix] == 개요 == [[서울대학교]](Seoul Nat'l Univ.), [[고려대학교]](Korea Univ.), [[연세대학교]](Yonsei Univ.) 로마자 표기명의 앞글자 'S', 'K', 'Y'를 따서 만들어진 [[속어]]다. [[학벌]]의 대명사로 주로 쓰이는 [[대학 서열화]] 용어다. 최초로 쓰인 시기는 정확히 알 수 없으나, 네이버 뉴스라이브러리를 검색해보면 [[1982년]] 기사에서 나타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82090600099209001&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82-09-06&officeId=00009&pageNo=9&printNo=5079&publishType=00020|#]] [[위키백과]]에는 [[영어]], [[독일어]], [[일본어]], [[프랑스어]], [[포르투갈어]], [[러시아어]], [[중국어]], [[민남어]], [[베트남어]] 등 9개 언어로 등재되어 있으며, 한국의 대학, 고등교육을 다루는 해외 각국의 언론사[* [[http://edu.qlwb.com.cn/1114/250716_2.shtml|#1]] [[http://www.zakzak.co.jp/society/foreign/news/20151022/frn1510221540008-n2.htm|#2]] [[https://webronza.asahi.com/business/articles/2019042100001.html|#3]] [[https://www.businessinsider.my/angelina-jolies-son-maddox-moves-to-south-korea-to-study-at-one-of-its-most-prestigious-universities/|#4]] [[http://www.economist.com/blogs/banyan/2013/11/test-taking-south-korea|#5]]]에도 등장하는 말이다. 물론 한국의 대학서열화, 학력위주 사회를 안타깝게 보는 취지의 기사가 많다. 2015년 부산국제영화제에서 상영된 한국의 교육현실에 관한 다큐멘터리 '[[http://movie.daum.net/moviedb/main?movieId=96727|공부의 나라]]'의 영어 제목도 [[https://www.youtube.com/watch?v=TVc3VP6T1D0|Reach for the SKY]]이다. 현재는 위의 학력위주 비판 문제 뿐만 아니라 한국으로 교환학생이나 유학을 오려는 외국의 많은 대학생들에게도 SKY라는 약자가 많이 사용된다. [[고려대학교]]와 [[연세대학교]]는 [[연고전|서로 엮일 경우]] 서로 [[나 먼저 원리|자기네 대학이 먼저 오도록 순서를 바꿔 부르는데]], 이 [[역 두문자어|SKY만은 예외적이라 할 수 있다]]. 알다시피 SKY라는 단어는 고려대가 먼저 오는 단어인데, SKY(하늘)이라는 영어 단어가 있는 만큼 자연스럽게 SKY라는 표현으로 굳어졌기 때문.[* 연세대 쪽 입장에서는 SKY는 서울대학교, [[한국과학기술원|카이스트]], 연세대학교 또는 서울대, 그리고 연세대라는 변화형도 존재하긴 한다. 고려대는 서울대, 고려대, [[육군사관학교]] 또는 서울대 고려대 입니다 라고 하기도 한다. 물론 다 우스갯소리. 2023년 정기전에서는 고려대 응원단 쪽에서 [[스탠퍼드]], 코리아, [[예일]]이라는 변화형까지 나왔다.] 현재 SKY에 재학 중인 학생 중 80% 정도는 [[한국장학재단|국가장학금]] 미신청자[* [[국가장학금]]을 받을 가능성이 굉장히 적거나 없어서 신청을 하지 않은 것으로 경제적으로 9분위 이상인 계층으로 보고 있다. 아니면 평균[[평점]](GPA) 미달로 인하여 수혜 자격이 없거나..]이거나 9, 10분위라고 한다.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923692661|관련 기사]] [[파레토 법칙|이는 소득+재산이 상위 20%인 집안 출신의 학생이 SKY 학생의 80%를 점유하고 있다는 것]]으로 사회구조가 경제적으로 윤택하지 않으면 자녀 교육에 신경을 써주지 못하는 구조로 점점 바뀌어가고 있다는 방증이라고 볼 수 있겠다.[* 당시 고려대 총장이었던 [[염재호]] 총장의 학교 개혁 중 성적장학금 폐지 및 저소득층 장학금 도입에는 이러한 이면이 있다. 금수저 비율이 압도적이다보니 역으로 학교가 저소득층 학생 위주로 지원할 여력이 생긴 것. 연세대학교도 8분위 학생이 국가장학금+연세장학금(국장2유형 포함)으로 전액장학금이 나오는 경우도 상당히 흔하다.] 실제로도 SKY 대학 신입생들의 고소득층 비율은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https://m-yna-co-kr.cdn.ampproject.org/v/s/m.yna.co.kr/amp/view/AKR20201012036900530?amp_js_v=a6&_gsa=1&usqp=mq331AQKKAFQArABIIACAw%3D%3D#aoh=16413461559676&referrer=https%3A%2F%2Fwww.google.com&_tf=%EC%B6%9C%EC%B2%98%3A%20%251%24s&share=https%3A%2F%2Fwww.yna.co.kr%2Fview%2FAKR20201012036900530|#]] == 각각의 형성 과정 == 우선 [[연세대학교]]의 경우 '''1885년'''에 설립된 광혜원([[제중원]])과 '''1915년'''에 [[호러스 그랜트 언더우드|언더우드]]가 세운 조선기독교대학[* 경신학교 대학부, Chosen Christian College]을 모태로 하여 설립되었다. 1886년에 개설된 제중원의학당은 '''국내 최초의 서양의학 교육기관'''이며, 그 후신인 세브란스병원의학교에서 1908년에 7명의 한국 최초의 근대적 면허의사[* 의술개업인허 1번부터 7번][* 다만 이는 '한국 최초의 정식 의사'를 뜻하는 것은 아니다. [[http://snuh.org/board/B001/view.do?bbs_no=53&searchKey=all&searchWord=&pageIndex=1|참조]]]를 배출하였다. 이후 일제강점기에는 조선기독교대학과 세브란스연합의학교가 1917년에 각각 [[연희전문학교]], [[세브란스연합의학전문학교]]로 인가되어 근대 교육기관으로서 역할을 하기 시작했다. 이후 광복이 되면서 각각 연희대학교, 세브란스의과대학이었다가 1956년 양교가 통합되면서 [[연세대학교]]가 설립되었다. [[서울대학교]]의 경우 근대 교육이 최초로 들어온 조선 말기~대한제국 시절에 국립으로 '''1895년'''에 설립된 법관양성소[* 광복 이후 경성제국대학 법학과와 합쳐지며 [[서울대학교/학부/법과대학|서울대학교 법과대학]]으로 계승되었다. 2007년에는 [[로스쿨]] 제도가 도입되며 법학과가 폐지되어 [[서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으로 이어지고 있다.], 한성사범학교, '''1899년'''에 설립된 의학교, '''1904년'''에 설립된 농상공학교 등을 흡수하였다. [[일제강점기]]에 이 교육기관들은 관립[[구제전문학교|전문학교]]가 된 바 있다. 이후 '''1924년'''에 '''조선 유일이자 최초의 근대적 대학으로서 최고 교육기관'''인 [[경성제국대학]]이 개교하였고, 광복 후 1945년 10월 미군정 법령 제15호 1조[* 제1조 경성제국대학의 명칭은 자(玆)에 차(此)를 서울대학이라 변경함]에 의해 명칭이 경성제국대학에서 서울대학(경성대학)으로 변경되었다. 이후 1946년 [[미군정기]]에 수도권 대부분의 국공립전문학교와 경성제국대학이 국립서울대학교안, 이른바 국대안으로 인해 하나로 합쳐지며 오늘날의 [[서울대학교]]가 탄생하였다. [[고려대학교]]의 경우 '''1905년''' [[이용익]]에 의해 '''민족 최초의 근대적 사립고등교육기관'''으로 설립된 [[보성전문학교]]와 '''1928년'''에 설립된 '''국내 최초의 여성 의학교육기관'''인 [[조선여자의학강습소]] 그리고 이를 계승한 '''한국인의 자본에 의한 최초의 사립의학교육기관'''인 [[경성여자의학전문학교]]에 그 뿌리를 두고 있다. 보성전문학교는 일제강점기에 천도교 계열 학교가 되었다가 1921년 전문학교로서 인가되었고, 1932년 [[김성수(1891)|김성수]]가 이를 인수한 후 1946년 4년제 종합 대학인 [[고려대학교]]로 계승된다. 경성여자의학전문학교는 1948년 서울여자의과대학, 1957년 수도의과대학(남녀공학)으로 재편된 후, [[국학대학]](1947년)을 1967년 인수합병하며 4년제 종합대학인 [[우석대학교(서울)|우석대학교]]로 계승되었다가 1971년 [[고려대학교]]와 통합하며 오늘날의 [[고려대학교]]가 완성된다. 이렇게 [[세브란스의학전문학교]]와 [[연희전문학교]]의 후신인 [[연세대학교]], 각 [[구제전문학교|전문학교]][* 경성법학전문학교, 경성사범학교, 경성의학전문학교, 경성공업전문학교, 수원농림전문학교, 경성경제전문학교, 경성약학전문학교, 경성치과의학전문학교, 경성여자사범학교, 경성광산전문학교. 정확히 말하면 이중 경성사범학교, 경성여자사범학교는 전문학교가 아니라 사범학교며 당시는 중등학교, 즉 고등학교 수준이었다.]들과 [[경성제국대학]]의 후신인 [[서울대학교]], 그리고 [[보성전문학교]]와 [[경성여자의학전문학교]]의 후신인 [[고려대학교]]가 현재의 SKY로 이어지게 된다. == 다른 국가들과의 비교 == 국회의원의 숫자로 따져보면 다음과 같다. [[한국]]의 경우 [[제21대 국회의원]](2020년) 기준으로 SKY 합은 112명(37.3%)[* [[서울대]] 63명, [[고려대]] 27명, [[연세대]] 22명]이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1/0002427160?sid=100|출처]] [[일본]]의 경우 2023년 기준 국회의원[* 참고로 일본에서도 상원인 참의원 의원, 하원인 중의원 의원을 합쳐서 국회의원(国会議員)이라고 부른다.] 중 [[도쿄대학]]+[[와세다대학]]+[[게이오기주쿠대학]][* 이른바 東早慶] 출신은 42.7%로 한국 국회의 SKY 비율보다 더 앞선다.[[https://university-rank.com/ranking_dietmember.htm|출처]][* [[제국대학|구제국대]]+[[소케이]] 출신은 373명으로 전체의 52.3%를 차지했다.] [[대만]] 국회의원[* 대만 [[입법원]] 의원]의 경우 상위 5개 대학[* [[국립대만대학]], [[국립칭화대학]], [[국립성공대학]], [[국립양명교통대학]], [[국립정치대학]]. 이른바 台清交成政] 중 대만대, 정치대, 성공대 출신이 전체 113명의 국회의원 가운데 35명(30.9%)을 차지했다.[* [[https://zh.wikipedia.org/wiki/2020%E5%B9%B4%E4%B8%AD%E8%8F%AF%E6%B0%91%E5%9C%8B%E7%AB%8B%E6%B3%95%E5%A7%94%E5%93%A1%E9%81%B8%E8%88%89|출처]], 대만대 20명, 정치대 11명, 성공대 4명. 칭화대, 교통대는 국회의원을 배출하지 못했다.] [[영국]]의 경우 2017년 기준 [[옥스브리지]] 출신이 상원의원은 38%, 국민들이 직접 선출하는 하원의원[* MPs, Members of Parliament]은 24%를 차지했다.[[https://www.gov.uk/government/publications/elitist-britain-2019/elitist-britain-2019-the-educational-pathways-of-britains-leading-people-summary|출처]] 이후 2019년 선거에서 하원의원 중 옥스브릿지 출신은 19%로 낮아졌다.[[https://studee.com/media/mps-and-their-degrees-media/|출처]] 1990~2000년대 보수당 중 50% 가깝게 옥스브릿지 출신이었던 시절에 비하면 갈수록 낮아지고 있다.[[https://www.statista.com/forecasts/1361665/mps-who-attended-oxbridge-by-party-uk|출처]] [[미국]]의 경우 2021년 기준 [[아이비 리그]] 출신은 상원의원 중 14% 하원의원 중 8.6%를 차지했다. 다만 미국은 아이비 리그와 비슷하다고 평가되는 다른 명문대들이 다수 존재하는 케이스다. 실제로 의원수의 대학별 순위를 뽑아보면 아이비 리그가 아닌 [[스탠퍼드 대학교]] 등이 최상위권을 차지하고 있다.[[https://www.statista.com/chart/24598/first-degree-colleges-of-congresspeople/|출처]] == 교류 현황 == 각 대학은 같이 묶이는 만큼 서로간의 교류도 무척 잦은 편이다. [[고려대학교]]와 [[연세대학교]] 간 [[연고전|정기전]]은 가장 유명한 사례고 정기전 외에도 양교간 교류반 행사 등 크고 작은 행사가 많다. 대학 학부에서는 이른바 네트워킹이 중요한 경영계열 학회로 많이 엮이는데 SKY연합학회인 SBA, S&D[* SKY+[[한국과학기술원|KAIST]]], C.STAGE, C-ESI 같은 경우는 물론 물론 학회간 교류인 KUMS[* 각 대학 경영학회인 고려대 MCC, 서울대 MCSA, 연세대 GMT, KAIST MSK의 연합모임], LEAD 연합[* 고려대 FES, 서울대 N-CEO, 연세대 MARP], INSIDERS[* 고려대 & 연세대 연합 실전창업학회. 서울대 창업동아리 SNUSV와 협력중] 등이 있다. 그 외에도 SKY 연합 교육봉사동아리 Probono Publico, SKY 연합 프레젠테이션 학회 Insight Graphy 등이 있고 연합동아리가 아니더라도 동아리간 교류가 매우 잦은 편이다. 그 외 SKY간 행사(MT 등)을 하고 있는 동아리는 UNSA(유엔학생연합) 등이 있다. == 관련 유머들 == 이 문서의 [[유머]]들은 단순히 재미를 위한 이야기들이다. 또한 SKY대학 대부분의 학생들은 이 이야기들로 모욕감을 느끼지 않으며, [[술자리]]에서의 단순한 '''[[농담]]'''용이지 '''진지한 조롱의 의도가 들어있지 않다'''. 세 대학 간의 학풍 차이를 유머스럽게 푼 농담이기도 하다. 물론 대부분 1970년대 이전의 과거형[* 이 이야기 자체가 인구에 회자되던 것을 70년대 초반 모 시사잡지에서 처음 기사화(활자화)한 것이다.]이므로 재학생들도 '이런 게 있었나?'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 만원[* 참고로 당시 만원은 현 시가로 따지면 10만 원이 조금 넘는다.]이 생기면 === [[20세기]] 말 [[1970년대]] ~ [[1980년대]]의 유우머이다. 만원이 생기면 서울대생은 [[책]]을 사 보고, 고려대생은 [[고려대학교/사발식|막걸리]]를 사 먹고[* 옛날 [[고려대학교]] 정문 앞 막걸리골목에서는(현재 풍년집, 고모집 등이 위치한 그 골목) [[막걸리]]를 잔으로 몇십~몇백 원 받고 팔기도 했다.], 연세대생은 새 [[구두]]를 산다.[* [[제비족]] 문서 참조, [[하라는 공부는 안 하고]] 외모 꾸미기에 정신 판다는 말.] 사실 이 유우머는 1960년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2003년 당시 서울대 총동창회 사무총장이었던 서울대 법대 68학번 이세진씨가 말한 바에 따르면 '100원[* CPI 기준 현 시가로 대략 4,000원]이 생기면 서울대생은 책을 사 보고 고려대생은 막걸리를 사 먹고 연세대생은 구두를 닦는다'라는 농담이 그때도 있었다고 한다.[* 월간중앙 2003년 1월자] === 술 회식 자리에서 === 모 대기업의 입사동기 술 회식 자리. 서울대 출신 A씨, 연세대 출신 B씨, 고려대 출신 C씨가 회사 주변 한 식당에서 저녁회식에 참석하여 건배를 하는데... A씨: 우리 회사의 부흥을 위해'''[[서울대학교|서]]'''! B씨: 우리 회사의 부흥을 위하'''[[연세대학교|세]]'''(또는 위하'''[[연세대학교|여]]'''[* '연'의 변형])! C씨: 우리 회사의 부흥을 위하'''[[고려대학교|고]]'''! === 서울대학교 === 옛날 얘기지만, [[서울농대]]가 [[수원시|수원]]에 있을 적, 서울대 ''''수\''''원캠퍼스, ''''관\''''악캠퍼스, ''''연\''''건캠퍼스를 SKY라고 부르기도 했다. 그런데 최근 들어 서울대학교의 시흥캠퍼스 떡밥이 투척되자 ''''시\''''흥, ''''관\''''악, ''''연\''''건으로 SKY를 다시 만들고 있다. === 지역별 SKY === [include(틀:토론 합의, this=문단, 토론주소1=ASaltyAndEntertainingPlate, 합의사항1=예시 작성 금지)] 우스갯소리로 '지역별 SKY'라는 것도 있으며 해당 지역에서 S로 시작하는 대학교, K로 시작하는 대학교, Y로 시작하는 대학교를 한 데 묶어서 그 지역 SKY로 통칭하는 식. 사실 이렇게 묶이는 대학들은 소위 말하는 '[[지잡대]]'인 경우가 많고, 이러한 경우에는 자조적으로 사용되는 말이다. == 관련 문서 == * '''[[대학 서열화]]''' * [[Big Three]] * [[HYPSMC]] * [[아이비 리그]] * [[옥스브리지]] * [[골든 트라이앵글(대학)|골든 트라이앵글]] * [[그룹 오브 에이트]] * [[제국대학]] * [[구교연맹]] * [[학벌]] [각주] [[분류:대학교]][[분류:두문자어]][[분류:대학군]][[분류:학벌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