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AKB48 그룹)] [include(틀:SKE48)] ||<#f8b500> {{{#ffffff '''[[SKE48|[[파일:SKE48 흰색 워드마크.svg|height=15]]]] 관련 둘러보기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ZEST)] ---- }}} || ||<-2><#f8b500>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KE48 2021.jpg|width=100%]]}}} || ||<-2><#f8b500> {{{#fff 2021년 '''SKE48''' 재적멤버}}} || ||<-2><#fff,#191919><:>{{{#!folding 【31st Single】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45deg,#77AECE, #AFB7EF)" '''{{{#FFFFFF 31st Single}}}'''[br][[好きになっちゃった|{{{+4 '''{{{#FFFFFF 好きになっちゃった}}}'''}}}]]}}} || || {{{#!wiki style="margin: -5px -10px" [[好きになっちゃった|[[파일:SKE48_31st_ARTIST.webp|width=100%]]]]}}} || }}}|| ||<-3> {{{#!wiki style="margin: -10px -10px" || [[파일:SKE48 로고.svg|height=90]]||{{{#f8b500 {{{+2 '''SKE48'''}}}[br]에스케이이포티에잇[br]{{{-2 エスケーイーフォーティーエイト}}}}}} || }}} || || '''국적''' ||<-2>[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 || '''결성일''' ||<-2>[[2008년]] [[8월 23일]][br]{{{-2 (결성일로부터 '''[dday(2008-08-23)]일''', '''[age(2008-08-23)]주년''')}}} || || '''데뷔일''' ||<-2>[[2009년]] [[8월 5일]][br]{{{-2 (데뷔일로부터 '''[dday(2009-08-05)]일''', '''[age(2009-08-05)]주년''')}}} || || '''데뷔 공연''' ||<-2>{{{-4 {{{#!html 팀S 1st Stage}}}}}}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8b500; font-size: 0.8em" [[PARTYが始まるよ#s-3.3|{{{#fff '''PARTYが始まるよ'''}}}]]}}}[* [[2008년]] [[10월 5일]]부터 [[2009년]] [[2월 8일]]까지 4개월간 진행되었다.] || || '''데뷔 음반''' ||<-2>{{{-4 {{{#!html 싱글 1집}}}}}}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8b500; font-size: 0.8em;" [[強き者よ|{{{#fff '''強き者よ'''}}}]]}}} || || '''장르''' ||<-2>[[J-POP]] || || '''총캡틴''' ||<-2>[[사이토 마키코]][* 1대 [[나카니시 유카]] 2대 [[사이토 마키코]]]|| || '''소속사''' ||<-2>[[J TRUST|ZEST]] || ||<|2> '''유통사'''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에이벡스 그룹|에이벡스엔터테인먼트]] ||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카카오엔터테인먼트/뮤직부문|카카오엔터테인먼트]] || || '''팬덤''' ||<-2>[[https://ske48family.com/|[[파일:SKE48 Family 로고.svg|width=80]]]] || || '''공식 사이트''' ||<-2>[[http://www.ske48.co.jp/|[[파일:SKE48 워드마크.svg|width=40]]]] [[https://store.plusmember.jp/ske48/|공식샵]] || || '''링크''' ||<-2>[[https://ameblo.jp/ske48official/|[[파일:Ameba 아이콘.svg|width=22]]]] [[https://www.youtube.com/user/SKE48|[[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ske48official, 크기=22)] [[https://www.dmm.com/lod/ske48/?utm_medium=dmm_affiliate&utm_source=ske48officia-003|DMM]] || [목차] [clearfix] == 개요 == [[2009년]] [[8월 5일]] 데뷔한[* 정식 음반 데뷔는 [[2009년]] [[8월]]에 하였지만 극장 데뷔와 활동은 [[2008년]] [[8월]]부터 시작하였다.] [[AKB48 그룹]] 소속 [[아이치현]] 거점의 아이돌 그룹이다. 이름의 어원은 SKE48의 극장이 있는 나고야시 사카에(栄 - '''S'''A'''K'''A'''E''')에서 따왔다. == 구성원 == === [[SKE48/전 멤버 일람|전체 인원]]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SKE48/전 멤버 일람)] === [[SKE48/멤버 일람|재적 인원]]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SKE48/멤버 일람)] === [[AKB48/팀 셔플|팀 셔플]] === || '''차수''' || '''명칭''' || '''일시''' || '''장소''' || '''비고''' || || 1차 || [[SKE48 1차 팀 셔플]] || 2013.04.13 || 가이시 홀 || 첫 팀 셔플 || || 번외 || [[대조각 마츠리]] || 2014.2.26 || Zepp Tokyo || [[AKB48 그룹]] 전체 조각 || == 활동 == === [[SKE48/역사|활동 역사]]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SKE48/역사)] === [[SKE48/디스코그래피|발매 음반]]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SKE48/디스코그래피)] === [[SKE48/미디어 출연|미디어 출연]]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SKE48/미디어 출연)]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SKE48/미디어 출연/멤버)] == 극장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KE48 劇場.png|width=100%]]}}}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lgalYKwhLJg, width=100%)]}}} || ||<-2> {{{#Black [[아이치현|{{{#Black 아이치현}}}]] [[나고야|{{{#Black 나고야}}}]] 션샤인 사카에 2층에 위치한 극장에서 매번 팀 마다 다른 세트리스트로[* 조각[* 멤버들을 다른 팀으로 겸임을 시키거나 다른 팀으로 배치하거나 하는 구조조정 같은 개념이다]때 마다 바뀐다.] 라이브 공연을 한다.}}} || ||<-2> {{{#ffffff '''SKE48 진행 중인 세트리스트'''}}} || || {{{#ffffff '''마츠모토 팀 S'''}}} ||[[愛を君に、愛を僕に|사랑을 너에게, 사랑을 나에게]] || || {{{#ffffff '''오오타 팀 Kll '''}}} ||[[時間がない|시간이 없어]] || || {{{#ffffff '''사토 팀 E'''}}} ||[[声出していこーぜ!!!|소리내며 가자구!!!]] || || {{{#ffffff '''연구생'''}}} ||We're Growing Up~2nd~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SKE48 Theater, 너비=100%, 높이=100%)]}}} || === 세트 리스트 === [include(틀:SKE48 오리지널 세트리스트)] === [[SKE48/콘서트|개최 콘서트]]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SKE48/콘서트)] === 리퀘스트 아워 === || '''연도''' || '''명칭''' || '''1위곡''' || || 2010 || [[SKE48/리퀘스트 아워/2010년|SKE48 리퀘스트 아워 세트리스트 베스트 30 2010]] ||<|2> [[制服の芽|枯葉のステーション]] || || 2011 || [[SKE48/리퀘스트 아워/2011년|SKE48 리퀘스트 아워 세트리스트 베스트 50 2011]] || || 2012 || [[SKE48/리퀘스트 아워/2012년|SKE48 리퀘스트 아워 세트리스트 베스트 50 2012]] || [[ごめんね、SUMMER|羽豆岬]] || || 2013 || [[SKE48/리퀘스트 아워/2013년|SKE48 리퀘스트 아워 세트리스트 베스트 50 2013]] || [[PARTYが始まるよ|あなたとクリスマスイブ]] || || 2014 || [[SKE48/리퀘스트 아워/2014년|SKE48 리퀘스트 아워 세트리스트 베스트 242 2014]] ||<|2> [[逆上がり|虫のバラード]] || ||<|2> 2015 || [[SKE48 리퀘스트 아워 극장 공연 악곡 세트리스트 베스트 30 2015]] || || [[SKE48 리퀘스트 아워 싱글, 앨범 수록 악곡 세트리스트 베스트 30 2015]] || [[美しい稲妻|夕立の前]] || || 2018 || [[SKE48/리퀘스트 아워/2018년|SKE48 리퀘스트 아워 세트리스트 베스트 100 2018]] || [[賛成カワイイ!|ここで一発]] || == 팬덤 == === [[SKE48/사이리움|사이리움]]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SKE48/사이리움)] === [[SKE48/파생 유닛|파생 유닛 및 동호회]]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SKE48/파생 유닛)] === [[/팬 활동 정보와 팁|팬 활동 정보와 팁]]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SKE48/팬 활동 정보와 팁)] == [[/논란 및 사건 사고|논란 및 사건 사고]]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SKE48/논란 및 사건 사고)] == 여담 == * 첫 [[AKB48]] 참전 음반은 [[大声ダイヤモンド]]. * 대중들에게 인식되는 그룹의 주요 이미지는 '''활발함,''' '''열정적,''' '''체육계'''로 대표될 수 있다. * SKE48 오디션 및 드래프트 출신들은 일부 멤버를 제외하고는 모든 멤버가 ZEST에 소속되어 있다. * AKB48처럼 팀으로 나뉘어 활동한다. SKE의 경우 팀S, 팀KⅡ[* AKB48에 이미 팀K가 있기 때문에 구분], 팀E의 세 팀으로 나뉘어 있다. 팀S는 SKE 결성 당시 유일했던 팀이며 팀KⅡ는 2009년 5월 25일, 팀E는 2010년 12월 6일에 결성하였다. * SKE48을 제외한 다른 그룹들은 각 팀을 이끄는 멤버를 '캡틴'이라고 부르지만 SKE48에서는 각 팀을 이끄는 멤버를 '''리더''', SKE48 전체를 이끄는 멤버를 '''캡틴'''이라고 부른다. * 레슨이 굉장히 엄격한 편이기 때문에 멤버들이 온 힘을 다해 춤을 추며, 극장 공연에서 열기가 높다. * [[48그룹]]에서도 극장 MC가 매우 재미난 편이다. [[오오바 미나]], [[야마우치 스즈란]], [[마츠무라 카오리]], [[타니 마리카]] 같은 입담이 좋은 멤버들이 즐비하고 공연내에서의 MC에서 선후배의 격식없이 모두까기가 나와서 상당히 꿀잼이다. * [[미네기시 미나미]]의 말에 따르면 '몸이 부숴질 듯한' 격렬한 춤이 AKB48과 다른 특징이라고 한다. * 과거 [[SKE48]]의 지방조 멤버들이 사는 SKE하우스가 있었다. 기숙사 형태인데 [[마츠무라 카오리]], [[카네코 시오리]] 같은 타 지방에서 올라온 멤버들이 그 하우스에서 같이 살았다. SKE하우스는 하나만 있던 것은 아니고 2개 정도가 있었다. 다만 초기 멤버들이 졸업하고 SKE에 지방 멤버들이 사라질 즈음해서 SKE하우스는 폐쇄되었다. 현재는 지방에서 올라온 멤버들은 1인 기숙사 형태의 원룸에서 산다. * 다른 그룹들에 비해 그룹 전체에 애착이 깊은 하코오시[* 자신이 응원하는 오시가 소속된 그룹 자체를 응원하는 팬]가 많은 편이다. 실제 AKB로 이적한 [[키자키 유리아]]는 이적 후 기존 팬이 대거 이탈하였고 졸업 전 방송에서 > SKE는 팬들이 잘 인정을 안해줘요. 좀 빡세거든요. 제가 AKB로 왔을 때도 "유리아가 SKE가 아니면 응원 안 해." 라는 이야기를 들은 적도 있었죠. SKE라는 것 자체를 좋아하는거에요. 그게 어려운 거예요. 라는 말을 남기기도 하였다. 반대로 본점에서 SKE로 넘어왔던 [[키타하라 리에]]나 [[오오바 미나]]는 SKE 팬들의 인정(?)을 받기 위해 부단히 노력하기도. * 다른 [[48그룹]]들에 비해 극장 공연 식사가 잘 나온다고 한다. NMB를 제외한 다른 지점에서는 도시락을 먹는 반면에 선샤인 사카에 빌딩에서 뷔페를 만들어 준다고. 팀별로 뭘 먹고 싶은지 앙케이트를 하며 여름에는 장어덮밥[* [[시즈오카현]]은 장어로 유명하다.]이 나올때도 있다고 한다. * 멤버들이 생탄제에서 스피치를 아주 길게 하기로 유명하다. ~~명불허전 롱스피치 사카에~~ 2019년 기준으로 [[48그룹]] 스피치 길이 상위 20명 중 4자리를 제외하고 모두 SKE 멤버가 차지하였다. 1위는 [[소다 사리나]]로 15분 18초.[[http://akb48-blog.net/seitansai-list-2019/|#]] * 가끔가다 "'''SKE48에서 그다지 중요하지 않은 발표를 할테니 보지 않아도 괜찮습니다. 하지만 봐 주셨으면 합니다.'''"라는 쇼룸 예정 공지를 내걸때가 있다. 이때 발표는 중요하지 않은 내용도 있지만[* 예를 들면 그날 점심 메뉴라던지.] '''새 싱글 발표'''나 전국투어와 같은 중대한 내용도 함께 발표하니 놓지지 말도록 하자. * 2016년부터 한국에서의 디지털 음원 유통을 [[에이벡스]]의 협력사인 [[SM엔터테인먼트]]가 담당하고 있다. 덕분에 최신곡을 국내 음원사이트에서 쉽게 들을 수 있으며, 2022년까지도 꾸준히 디지털음원을 유통 중이다. 다만 SMTOWN 홈페이지에선 SKE48이 없다. * AKB48의 최대 행사 중 하나인 [[AKB48/총선거|총선거]]에 강하다는 인식이 있다. 10회 총선거에서는 작년과 동일하게 선발에 5명이나 꽂아 넣었으며 [[마츠이 쥬리나|1위]]와 [[스다 아카리|2위]] 모두 SKE48 멤버들이 차지했다.[* 본래 AKB48 5기생이던 [[사시하라 리노]]를 제외하면 처음으로 지점 출신 멤버가 1위를 차지한 것.] * 그룹에 들어오기 전부터 SKE48 팬이였던 멤버가 많은 편이다. 대표적으로 [[마츠이 쥬리나]] 오시였던 [[후쿠시 나오]], [[마츠이 레나]] 오시였던 [[쿠라시마 아미]], [[노구치 유메]] 오시였던 [[사카모토 마린]] 등이 있다 * 전성기 시절 발매했던 [[オキドキ]], [[パレオはエメラルド]], [[片想いFinally]]가 음원 골드 인증을 받은적이 있다. === 한국에서의 SKE48 === SKE48는 기본적으로 AKB의 자매그룹 취급이기에 팬덤이 겹친다. SKE 팬카페 자체가 활성화 되지 않았고, 팬들도 대체로 AKB관련 커뮤니티에서 같이 활동했었다. 2018년 프로듀스48 방송 이후 기존 48G을 몰랐던 팬들도 유입되면서 그룹마다 독자적인 팬층도 생겼고 SKE도 전문커뮤니티가 생겼다. [[SKE48/팬 활동 정보와 팁#s-5|팬활동/커뮤니티]] 참고 두 번 한국을 방문한 적이 있다. 처음 내한한 것은 2010년 4월 [[MBC]] 드라마 '2009 외인구단’의 일본 버전인 '스트라이크 러브’에 출연하게 되어, 한국 촬영을 위해 [[쿠와바라 미즈키]], [[와카바야시 토모카]], [[키자키 유리아]]가 온 것. 이 때는 노래 부르러 온 것도 아니고 그냥 촬영차 온 것이니 병풍 셋이 왔네(...) 식으로 별 관심이 없었다. 그러나 이 스트라이크 러브 출연은 의외로 역사적인 순간에 기여하게 되었는데... [youtube(3B6OM6jVjes, width=100%)] MBC 드라마를 리메이크했다는 이유로 2010년 9월 SKE48이 여의도에서 열린 MBC 드라마 어워즈에 출연한 것이다. 이 무대에서 부른 [[強き者よ]]와 [[青空片想い]]는 1998년 대한민국의 일본 대중문화개방 이후로 최초로 지상파에서 생방으로 전파를 탄 노래들이다. 더불어 '공식적으로' 그룹 이름을 걸고 처음 방문한 것이 이 때. 내한한 멤버들은 [[무카이다 마나츠]], [[타카야나기 아카네]], [[이시다 안나]], [[키자키 유리아]], [[오기소 시오리]], [[마츠이 레나]], [[와카바야시 토모카(연예인)|와카바야시 토모카]] 등 ~~[[와카바야시 토모카(연예인)|한 명 빼고]]~~ 1군급 멤버들. 학동역 해리츠에서 한국 팬을 위해 팬미팅도 했다. [[https://www.youtube.com/watch?v=xlMeaCPALNY|팬미팅1 자기소개]] [[https://www.youtube.com/watch?v=EJx_oCp4k74|팬미팅2 악수회]] 이외에도 모 기사에서는 [[AKB48|'도쿄 아키하바라에 거점']]과 같은 소개처럼 본점과 헷갈려서 알고 있는 사람들도 있는 듯. ~~그 기사에서 2008년 7월 데뷔'는 맞는다는 게 개그~~ 이 내한에서 자그마한 팬미팅과 함께 향후 한국에서도 공연했으면 좋겠다는 말을 했는데 립서비스인 듯(...) 이후로의 내한 소식은 없다. 그러나 이 내한을 발판으로 [[AKB48]]이 아시아 송 어워즈에 참석하기 위해 공식적으로 찾아오는 등의 움직임으로 이어지긴 했다. 2014년 1월 [[삼성그룹|삼성]] [[갤럭시 노트3]]의 일본 내 전속모델로 SKE48이 선정되었다. 삼성의 일본 점유율이 낮지만 나름 축하할 일.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112&aid=0002517402|국내 인터넷 뉴스에도 나왔다.]] GALAXY of DREAMS라는 홍보용 노래도 불렀다. 이후 2015년 [[마츠이 쥬리나]]가 [[갤럭시 S6 엣지]] 광고모델로 선정되었다. 2018년 3월 [[소다 사리나]], [[오오바 미나]], [[마츠무라 카오리]]가 [[하이트진로]] 일본법인인 진로주식회사의 막걸리 온라인 바이럴광고 모델로 발탁되었다. [[https://www.jinro.co.jp/special/ske48/|링크]] 2019년 5월 9일 SKE 전 멤버 [[사토 세이라]]가 KBS1 TV의 교양 프로그램인 [[생로병사의 비밀]] 공황장애 편에 출연하였다. 다행히 지금은 완치된 상태라고 한다. [[https://theqoo.net/1087293751|링크]] == 관련 문서 == * [[AKB48 그룹]] * [[AKB48]] * [[NMB48]] * [[HKT48]] * [[NGT48]] * [[STU48]] * [[AKB48/카미]] * [[AKB48 그룹/역대 인기 멤버]] * [[AKB48 그룹/푸쉬]] [[분류:SKE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