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일본의 e스포츠]][[분류:리듬게임/e스포츠 팀]] [include(틀:BPL SEASON 3 참가팀)] ||<-2> '''{{{+1 {{{#000 실크 햇}}}}}}''' || ||<-2> {{{+1 {{{#e60012 '''SILK HAT'''}}}}}} || ||<-2> [[파일:silkhat_cut.png|width=50%]] || || '''창단일''' || [[2021년]] [[4월]][* BPL 시작 월 기준] || || '''소재 지역'''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5]] [[일본]] || || '''모기업''' || [[https://matahari-entertainment.co.jp|주식회사 마타하리 엔터테인먼트]] || ||<|3> '''종목''' || [[SILK HAT/e스포츠/beatmania IIDX|beatmania IIDX]] || || [[SILK HAT/e스포츠/사운드 볼텍스|사운드 볼텍스]] || || [[SILK HAT/e스포츠/DanceDanceRevolution|DanceDanceRevolution]] || || '''웹사이트''' || [[https://twitter.com/@SILKHAT_BPL|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height=20&theme=light]][[파일:X Corp 아이콘(화이트).svg|height=20&theme=dark]]]][*통합] [[https://twitter.com/SILKHAT_BPL2|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height=20&theme=light]][[파일:X Corp 아이콘(화이트).svg|height=20&theme=dark]]]][*SDVX BPL S2 사운드 볼텍스 종목 전달용 계정이나, 동 시즌 종료 후 기존 계정으로의 통합을 발표했다.] [[https://www.youtube.com/channel/UCrl01htJ3o8ouZCoM7INRrA| [[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팀 컬러''' || {{{+5 {{{#fff ■}}} {{{#c7c8c8 ■}}} {{{#e60012 ■}}}}}} || [목차] [clearfix] == 개요 == > '''매지컬·미라클·일루전!''' > - 팀 소개 문구 일본의 오락실 체인점 [[SILK HAT]]의 프로게임단으로, BEMANI PRO LEAGUE에 출전하고 있다. == 스폰서 == || [[파일:final_logo.svg|width=200]] || || || || [[final|{{{#000 '''final'''}}}]] || {{{#000 '''호텔 엔미치'''}}} || {{{#000 '''원조 뉴 탄탄멘 본점'''}}} || == 운영 중인 프로게임단 == ||<-4>
[[SILK HAT/e스포츠|[[파일:silkhat_cut.png|width=125]]]] || ||<-4> '''{{{#000 운영 중인 프로게임단}}}''' || || [[beatmania IIDX|[[파일:logo_iidx_all_white.png|height=50]]]] || [[사운드 볼텍스|[[파일:SDVXLogo.png|height=50]]]] || [[DanceDanceRevolution|[[파일:ddr_logo.png|height=50]]]] || || [[SILK HAT/e스포츠/beatmania IIDX|'''{{{#000,#c7c8c8 SILK HAT}}}''']] || [[SILK HAT/e스포츠/사운드 볼텍스|'''{{{#000,#c7c8c8 SILK HAT}}}''']] || [[SILK HAT/e스포츠/DanceDanceRevolution|'''{{{#000,#c7c8c8 SILK HAT}}}''']] || == 여담 == * 은근히 BPL 공식 또는 실크 햇 팀의 공식 트위터 계정 등지에서 팀 표기가 띄어쓰기가 있는 "SILK HAT"과 띄어쓰기가 없는 "SILKHAT"이 자주 혼용되고 있다. 나무위키 내에서는 BPL 시즌 2 부터의 공식 홈페이지에 기재된 표기 및 본 문서가 생기기 전부터 많이 사용된 띄어쓰기가 있는 표기를 주로 사용하였다. * 팀 이름답게 [[실크 햇]]이 팀의 상징 아이템으로 자리잡았으며, 소속 선수들의 사진이나 선수 소개를 할 때도 실크 햇을 들고 있다. 당연히 팀의 상징 이모지도 실크 햇 이모지인 🎩가 되었다. * 팀의 상징 제스쳐는 실크 햇 모자를 쓰는 손동작으로, 경기 도입부에서 실크 햇 선수들의 소개가 끝난 직후에는 선수들 모두 실크 햇 모자를 벗으며 인사하는 제스쳐를 취한다는 점도 특징이다. 아예 가끔씩 선수 소개할 때 선수들이 실제 실크 햇 모자를 들고 나오기도 한다. * 시즌 초기에는 [[SUPERNOVA Tohoku]]와 함께 드래프트가 잘 안 풀리는 축에 속했는데, BPL S2 사볼 종목까지 중복입찰을 총 7번[* 2021 시즌 3번, 시즌 2 투덱 1번, 시즌 2 사볼 3번.]을 치러서 이긴 적이 2번[* 2021 시즌 [[RKS-32]], [[NORI]] 영입.]밖에 없고, 그 이긴 두 번 마저 함정픽(...)이 되며[* RKS-32가 훌륭한 승점자판기로 전락하고, NORI도 RKS-32보다 조금 나았을 뿐 패배를 많이 쌓아 큰 비판을 받는 동안 이 둘을 놓친 라운드 원과 게임 패닉은 대신 데려간 [[KUREI]]와 [[#MA3##]]가 준수한 경기력을 보여주면서 팀에 보탬이 되었고, KUREI는 거기에 개인 시상까지 따냈다. 게다가 라운드 원이 BPL S2 사볼 종목에서 RKS-32를 감독으로 취임시키면서 영입 쪽에서도 실크 햇을 이기게 되었다(...)] 추첨 입찰에서 진 팀이 더 큰 이득을 보는 황당한 결과가 나왔다. 그러다 BPL S2 DDR 종목에서 1지명 선수를 한방에 데려오고, 3지명 선발에서도 추첨 입찰 승리를 한번 더 기록하며 드디어 큰 행운을 맛보게 되었다. * 거기다 선수 보는 눈도 썩 좋지는 않은지 초기에는 팀에 영 힘을 못 쓰는 선수가 한 명 이상 나오고 있고, 드래프트에서 2지명 이하 선수들의 기준치를 너무 낮게 잡고 지명하는 듯한 모습을 비추기도 했다. 그러나 모든 종목의 1지명 선수들은 예외적으로 경쟁에서 밀리고 재지명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경기력이 좋아 호평과 주목을 많이 받다보니 후순위까지 정해놓고 굉장히 빡빡하게 잡는 모습을 보여준다. 1지명이 부실하고 대신 아랫지명이 탄탄한 [[SUPERNOVA Tohoku]]와는 거의 반대 성향. * BPL 초기에는 선수 선발 능력이 영 좋지 못해 대회 성적이 다른 팀들에 비해 부족한 편이었고, 특히 2021 시즌과 시즌 2 IIDX 종목에서의 안습한 성적 때문에 '''실[[한화 이글스|화 이글스]]'''라는 멸칭으로 자주 불렸었다. 그래도 BPL S2 사볼 종목에서 선수 개인 시상을 추가했고, 출전팀들 중 혼자만 없었던 세미파이널 진출 경험도 BPL S2 DDR 종목에서 이루고 더 나아가 준우승까지 기록하는 등 타 종목을 통해 점점 경쟁력을 쌓았다. * 묘하게 다른 BPL 팀들보다 사건사고에 자주 휘말리고 있는데, 2021 시즌 당시 '''영입한 선수가 사고를 쳐서''' 계약 해지 후 새 선수를 영입한 건 이미 잘 알려진 이야기고, 계약 해지까지 가진 않았지만 2021 시즌 당시 선수 중 한 명이 경기 외적으로 물의를 일으켜 팀에게 피해를 줬음이 뒤늦게 알려지기도 했으며, 심지어 창단 이래 제일 성적이 좋았던 시즌 2 DDR 종목에서도 선수 한 명이 소동을 일으키는 등 고생거리가 많은 편이다. * 어째 2지명 선수들의 '''잔혹사'''가 다른 팀들에 비해서도 유독 심하기로 유명(?)하다. [[RKS-32]]나 [[Seatrus|SEATRUS]]처럼 경기력이 영 좋지 못해 구멍으로 전락하는 사례도 있지만, [[EXIT(프로게이머)|EXIT]]나 [[VELVET(프로게이머)|VELVET]]처럼 평가는 나쁘지 않지만 환장할 대진운으로 실력 대비 성적이 매우 좋지 못한 사례도 있다. 그나마 GINXYASU(긴야스)가 특기를 나름 발휘하면서 예외 케이스에 들어갔으나, 긴야스 역시 결승전에서 맥이 빠져버리는 바람에 준우승에 일부 일조하는 등 씁쓸한 부진은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