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hite '''{{{+3 KE7}}}'''[br]''Király-End model 7''[br]''키랄리-엔드 모델 7''}}}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ig_ke7.jpg|width=100%]]}}}||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ke7-2.jpg|width=100%]]}}}|| || '''종류''' ||[[경기관총]] || || '''원산지''' ||[[파일:스위스 국기.svg|width=23]] [[스위스]] || ||<-2> {{{#!folding 【펼치기 · 접기】 ||<-2>
{{{#White '''이력'''}}} || || '''역사''' ||[[1929년]]~[[1945년]] || || '''개발''' ||팔 키랄리[br]고타드 엔드 || || '''개발년도''' ||[[1929년]] || || '''생산''' ||[[SIG]] || || '''생산년도''' ||[[1929년]]~[[1938년]] || || '''사용국''' ||[[파일:대만 국기.svg|width=23]] [[중화민국]] || || '''사용된 전쟁''' ||[[국공내전]][br][[중일전쟁]][br][[스페인 내전]][br][[6.25 전쟁]] || ||<-2> {{{#White '''제원'''}}} || || '''탄약''' ||[[7.92 mm#s-2.1|7.92×57mm]] || || '''급탄''' ||25발, 50발짜리 박스탄창 || || '''작동방식''' ||반동작동식 || || '''총열길이''' ||800mm || || '''전장''' ||1,190mm || || '''중량''' ||8.2kg || || '''발사속도''' ||550RPM ||}}}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uyR4w7MkSco)]}}} || || [[Forgotten Weapons]]의 리뷰 영상 || SIG KE7는 [[스위스]] [[SIG]]에서 생산한 [[경기관총]]이다. == 상세 == [[SIG]]사에서 일하던 총기 제작자였던 팔 키랄리와 고타드 엔드가 공동 개발하였으며[* 총기의 이름에 KE는 Király-End 를 따와 지었다.] 기본적으로 양각대가 부착되어 있다. 대부분의 스위스제 무기처럼, [[스위스]]에 위치한 공장에서 개발되고 생산되었으나 정작 [[스위스군]]이 공식적으로 채용한 기록이 없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602285_257807537654876_1728469934_n.jpg|width=100%]]}}} || || KE7을 사용하는 [[국민혁명군]] 기관총사수 || 다만 군의 화력을 강화해 줄 무기들을 물색하고 있던 [[국민혁명군]]이 눈독을 들이며 생산 첫 해인 [[1929년]]부터 생산량의 대부분을 사들여 [[중일전쟁]]에서 [[일본군]]을 상대로 사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국민혁명군이 사용한 KE7은 [[7.92 mm#s-2.1|7.92×57mm 마우저탄]]이었고 그 외에 [[라틴아메리카]]의 소수의 국가 혹은 [[에티오피아]]에 수출하기 위해 다른 탄약을 사용하도록 개조한 생산품도 있다. [[1930년]], [[영국군]]도 [[루이스 경기관총]]을 대체하기 위해 테스트를 치룬 적이 있지만 알다시피 영국군은 [[브렌 경기관총]]을 채용했다. == 둘러보기 == [include(틀:스페인 내전/공화군 보병장비)] [include(틀:2차 세계대전/중화민국 보병장비)] [include(틀:보병장비 둘러보기)] [[분류:기관총]][[분류:보병 무기/세계 대전]][[분류:SIG]][[분류:1929년 출시]][[분류:1938년 단종]][[분류:스위스군/장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