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영국 관련 문서)] ||||<-2><#0d5600> '''{{{+2 {{{#000000 Special Forces Support Group}}}}}}''' || |||| [[파일:attachment/SFSG/sfsg.jpg|width=180px]] || || {{{#000000 '''기간''' }}} || 2006년~현재 || || {{{#000000 '''국가''' }}} || [[파일:영국 국기.svg|width=23]] [[영국]] || || {{{#000000 '''군종''' }}} || 합동지원부대 || || {{{#000000 '''유형''' }}} || 특수부대 || || {{{#000000 '''역할''' }}} || 특수작전[br]직접타격[br]대테러[br]비정규전 || || {{{#000000 '''규모''' }}} || 1개대대(낙하산 연대 제1대대, 영국 해병대 F 중대, 영국 공군 연대 비행 소대) || || {{{#000000 '''소속''' }}} || 영국 특수전사령부 || [목차] [clearfix] == 개요 == 특수부대지원단은 [[영국군]]의 [[특수부대]]로 이름처럼 다른 특수부대를 돕기 위한 특수부대다. [[SAS]]와 [[SBS(특수부대)|SBS]], 47 스쿼드론 RAF, [[SRR(특수부대)|SRR]] 등 영국군 내 여러 특수부대들이 작전할 때 병력과 화력으로 지원해주는 임무를 맡는다. 국외작전은 물론이고 국내 대테러작전에서도 활약하며 적의 주위를 다른데로 돌리기 위한 견제 공격이나 화력 지원, 작전지역 차단, 감시, 요인 경호, 특수전 훈련 지원 등의 임무를 수행한다. == 창설 배경 == 대개의 특수작전은 특수부대원들만을 은밀히 파견하여 임무를 완수하고 잽싸게 퇴각하는 게 일반적이다. 하지만 상황에 따라서는 소수의 특수부대원들 뿐 아니라, 일반적인 특수부대 작전팀들보다 훨씬 많은 규모의 작전병력과 화력을 가지고 움직이며 특수전에 대한 이해도와 특수부대와의 원활한 합동성까지 갖춘 보병 지원병력이 함께 파견되어 도와줘야 하는 경우도 발생한다. 미군의 경우는 영화 [[블랙 호크 다운]]에서 [[델타 포스]]가 목표를 획득하는 사이 [[제75레인저연대|레인저]]가 이들을 엄호하는 장면이 잘 나타나듯이 [[제75레인저연대|레인저]]가 이 임무를 맡는다. 영국군의 경우에는 미군의 레인저 같은 부대는 없었지만 정규전 부대 중에서 정예라고 할 만한 공수부대와 해병대가 종종 특수부대를 지원하는 보병 지원부대로 작전에 참여했다. 2000년에는 [[시에라리온]]에서 [[게릴라]]들에게 납치된 영국군 병사 6명을 구출하기 위해 육군 SAS와 함께 육군 제1낙하산대대원 130명과 공군 [[CCT]] 대원 몇 명이 작전에 투입되어 공수대대가 게릴라들의 진지를 집중 공격하여 적들의 주의를 끄는 동안 SAS가 인질들을 구출하는 데 성공하는 일도 있었다(바라스 작전). 그러나 공수부대와 해병대는 정예부대이긴 하나 어디까지나 특수전 부대가 아닌 '정규전 부대'이기 때문에 특수전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다는 한계가 있었다. 그래서 영국군은 미군의 레인저같이 특수부대의 작전을 지원할 수 있는 충분한 규모의 작전병력 및 화력과 특수전에 대한 이해도를 동시에 갖춘 새로운 정예보병 지원부대의 필요성을 느꼈다. 그래서 2004년에 '영국판 레인저'를 만들기 위한 계획을 확정하고 마침내 2006년에 3군의 정예부대를 중심으로 구성된 특수부대 지원단이 탄생하게 된다.[* 이후 2021년에 영국 [[레인저연대(영국)|육군 레인저연대]]가 창설되었는데, 이 부대는 미 육군 레인저와 이름만 동일할 뿐 부대 특성은 미 육군 [[그린 베레]]와 동일하다. 부대 성격상 영국판 레인저는 SFSG이다.] == 편제 == * 특수부대 지원단 * 본부(HQ) * 본부중대(D중대) : 차량 수송 소대, 정보부, 연대관리 사무소 * A중대(제1공수대대) * B중대(제1공수대대) * C중대(제1공수대대) * 화력지원중대(G중대) : 4개의 화력지원 소대, 저격소대 * F중대(영국 해병대) * 지원중대 : 통신소대, 박격포소대, 정찰소대, 합동전술항공통제반. SFSG는 4개의 전투중대[* A,B,C,F]와 화력지원중대인 G중대, 본부중대인 D중대, 그 외 지원중대로 구성된다. F중대 각 소대는 A~C중대에 1개 소대씩 배치, 영국 공군 RAF연대에서 1개 소대가 B중대에 배치, 지원중대 소속 전술항공통제반(JTAC)과 화생방(CBRN) 요원도 영국 공군 RAF 연대에서 배속된다. == 선발 == 다양한 임무를 수행하는 만큼 어떤 상황에서도 임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육해공 3군의 정예요원들을 선발하며 대부분의 인원은 육군 공수부대 병력이고, 일부는 해병대와 공군 RAF 연대 병력이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위의 정예부대들이 아닌 일반부대 소속이라도 공수교육을 수료한다면 SFSG에 지원할 수 있는 자격이 주어지도록 변경되었다. 육군 공수부대 제2,3 대대에서 복무하는 현역 군인인 경우 2년차부터 SFSG에 지원할 수 있으며 SFSG에 배치될 경우 추가적인 무기, 통신 장비, 특수전 교육 등 추가교육을 받으며 부대 발전을 위해 순환 복무를 보내고 있다. == 관련 문서 == * [[코만도(영국)]] * [[SAS(특수부대)|SAS]] * [[SBS(특수부대)|SBS]] * [[SRR(특수부대)|SRR]] * [[대테러부대]] * [[특수부대/목록]] [[분류:영국 특수전사령부]][[분류:대테러부대]][[분류:2006년 설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