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fff, #ffffff)" {{{#373a3c ''' [[파일:SBS M 로고.svg|height=16]] 관련 틀 ''' }}} }}} || ||<-1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태영그룹)] ---- [include(틀:대한민국의 음악채널)] ---- [include(틀:SBS 계열 케이블 채널 목록)] }}} || ---- ||<-3> {{{#!wiki style="margin: -10px -10px" || [[파일:SBS M 로고.svg|width=150]] || }}} || ||<-3> {{{#ffffff '''MUSIC & LIFE'''}}} || ||<-2> {{{#ffffff '''개국''' }}} ||[[2001년]] [[7월 1일]] || ||<#00558f><|2> {{{#!wiki style="margin: 0 -15px" '''{{{#ffffff 방송[br]품질}}}'''}}} || {{{#!wiki style="margin: 0 -20px" '''{{{#ffffff 화질}}}'''}}} ||[[HD(해상도)|[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00558f, 여백=2px 3px, 곡률=3px, 사이즈=.8em, 글자색=#ffffff, 내용=FHD 1080/60i)]]] || || {{{#!wiki style="margin: 0 -20px" '''{{{#ffffff 음향}}}'''}}} ||[[돌비|[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00558f, 여백=2px 3px, 곡률=3px, 사이즈=.8em, 글자색=#ffffff, 내용=돌비 디지털 스테레오)]]]/[[AAC|[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00558f, 여백=2px 3px, 곡률=3px, 사이즈=.8em, 글자색=#ffffff, 내용=MPEG-4 AAC)]]] || ||<-2> {{{#ffffff '''운영사'''}}} ||[[SBS미디어넷|[[파일:SBS미디어넷 로고.svg|width=80px]]]] || ||<-2> {{{#ffffff '''링크'''}}} ||[[https://sbsm.sbs.co.kr/|[[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 | [[https://www.facebook.com/sbsm/|[[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 | [[https://instagram.com/sbsm|[[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 [[https://www.youtube.com/channel/UCoRXPcv8XK5fAplLbk9PTww|[[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THE K-POP)'''^^ | [[https://www.youtube.com/channel/UCITH7URIRpb8yoshUwGE9jg|[[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THE K-POP2)'''^^ || [목차] [clearfix] == 개요 == [[SBS미디어넷]] 산하 채널로 K팝 및 아이돌 예능을 중심으로 운영한다. 이전에는 [[파라마운트|파라마운트 글로벌]]과의 합작으로 미국 [[MTV]]의 한국판으로 운영했으나 파라마운트 글로벌이 한국 내 실시간 채널 사업에서 사실상 발을 빼면서 2022년 7월 1일에 SBS M으로 이름을 바꿨다. == 역사 == [include(틀:다른 뜻1, other1=2001년 이전, rd1=MTV, anchor1=대한민국(철수))] 채널 자체는 [[2001년]] [[온미디어]]가 MTV 네트웍스 아시아와 합작법인인 '''온뮤직네트워크'''를 세우면서 시작되었다. 합작 초창기에는 [[온게임넷]]에서 블록 편성을 하였으나, 이후 자체 채널을 개국했다. 하지만 한 PP당 채널 수 제한으로 인해 MTV와 [[KiZmom|닉]]은 [[C&M]]으로 이동한 상태였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5&oid=029&aid=0000155275|#]] 게다가 2004년 MTV 네트웍스 아시아가 증자하면서 온미디어가 25%로 줄어 [[오리온그룹]]으로부터 계열 분리됐다. 2007년에 법인명을 MTV 네트웍스 코리아로 바꾸고 2009년 주식회사에서 유한회사로 법인 형태가 변경됐다. 초창기에는 아무래도 본사가 외국계이다 보니 POP 중심의 프로그램이 많이 편성되었고, 북미 MTV의 인기 프로그램에 자막을 입혀 방송하기도 하였다. 한편 국내 [[뮤직비디오]]가 적다 보니 [[2000년대]] 이전의 뮤직비디오는 잘 없었다. 온미디어 시절, [[독수리 오형제]]와 [[은하철도 999(TVA)|은하철도 999]]를 방영해준 바 있다. 음악채널 답게 각각 [[체리필터]]와 [[BMK]]&[[김진표(가수)|김진표]][* 당시 김진표의 4집 앨범이 나왔을 때 함께 '아직 못다한 이야기'로 듀엣으로 활동했었다.]를 주제가 가수로 섭외했다. 한국어 녹음은 [[MBC]]판, [[KBS]]판을 사용했다.[* [[https://psyke47.blog.me/220603327201|체리필터판 독수리 오형제 주제가]], [[https://play-tv.kakao.com/embed/player/cliplink/29851012?service=daum_searchview|김진표&BMK판 은하철도 999 주제가]]] 2003년에는 <[[비비스와 버트헤드]]>를 [[http://m.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03042502019956606002#_enliple|자막 입혀 방송했다.]] 또한 [[투니버스]]에서도 MTV산 애니메이션인 [[http://www.mtv.com/onair/daria/|다리아]]와 [[http://en.wikipedia.org/wiki/Dilbert|딜버트]]를 방영해준 바 있다. 아쉽게도(?) 자막방송.[* 정작 [[딜버트]]의 한국어 녹음을 만들어 틀어준 곳은 [[EBS]]였다.] 그러다 '''2011년 11월 1일, [[SBS]]'''에서 MTV 네트웍스 코리아의 국내 지분을 인수해[[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31&aid=0000237960|#]] 사명을 SBS Viacom으로, 채널 이름을 SBS MTV로 변경하였다. 산하 채널인 [[KiZmom|니켈로디언 코리아]]도 이 때부터 SBS 계열이 되었다. 실제로 인기가요가 하루에 한 차례 재방송 되었고, SBS의 프로그램도 심심치 않게 재방송되고 있다. 전세계 MTV에서도 이런 전례는 드물다. 그러다 보니 연간 총 매출액의 0.1%를 SBS에 상표권 사용료로 납부하였다. [[SBS]] 계열이 되기 전에는 미국 쇼 프로그램이 많이 방송되었는데, [[SBS]]라는 이름이 앞에 붙은 이후로는 [[런닝맨]]과 같은 예능이나 [[인기가요]] 재방송의 편성이 늘어난 대신에 팝 뮤직비디오의 편성이 줄어들었다. 2020년 들어 미국 MTV의 프로그램은 밤 10시부터 심야/새벽 시간대 위주로 이루어졌다. 2021년 들어서 런닝맨, 인기가요 재방송은 하지 않다가, 2024년 4월부터 인기가요, 미운 우리새끼, 동상이몽2, 꼬리에 꼬리를 무는 그날 이야기 , TV 동물농장 편성되기 시작되고 있다. 2022년에 [[파라마운트|파라마운트 글로벌]][* MTV의 모회사이자 Viacom의 후신]이 [[티빙]]과 [[파라마운트+]]와 관련하여 전략적 제휴를 맺으면서 MTV 기획 프로그램을 포함한 모든 파라마운트 글로벌 프로그램들이 티빙에 입점했고, 한국 내 실시간 채널 사업에서 사실상 발을 뺐다. SBS MTV와 [[니켈로디언/한국|니켈로디언 코리아]]를 운영하던 SBS바이아컴은 회사명을 '미디어넷플러스'로 변경하며 2022년 7월 1일을 기해 SBS MTV의 채널명을 SBS M으로 바꿀 [[http://n.news.naver.com/entertain/article/609/0000593100|예정이라는 기사가 떴으며]], 미국 MTV 기획 프로그램도 편성에서 빠졌다.[* 이와 동시에 니켈로디언 코리아도 폐국되어 [[KiZmom]]으로 바뀌었으나, 이 채널도 2023년 3월 29일자로 폐국되어 [[SBS Golf 2]]로 바뀌었다.] == 특징 == 개국 초기에는 MTV 특유의 화려한 그래픽을 선보이며 MTV Most Wanted[* VJ가 시청자를 만나러 가서 신청곡을 리퀘스트 받는 프로그램], MTV Classic[* 8090년대 히트 POP 소개 프로그램], MTV POP[* POP 소개 프로그램], MTV 함께가요[* 한국 가요 소개 프로그램] 등 VJ 위주의 음악 소개 방송 위주로 많이 진행했으나, 음 악방송을 운영해본 적 없는 온미디어의 노하우 부족과 투자 부족으로 대부분의 프로그램들이 본의아니게 시즌제로 진행됐고, 나머지 시간은 뮤직비디오나 과거 프로그램 재방송으로 때우곤 했다. 공개 음악 방송도 꽤나 늦게 시작했던 편. 그래도 본사가 워낙 콘텐츠가 빵빵한 곳이다 보니 MTV 본사의 프로그램의 자막방송 퀄리티도 높았다. MTV Video Music Award는 실시간 자막 중계까지 해줄 정도. 후발 방송국이다 보니 여러 독특한 시도를 많이 한 편인데, [[정시아]]가 진행했던 '생방송 내친구 MTV'같이 VJ가 말 없이 채팅스타일로 진행하는 프로그램도 있었고, 위에서 언급됐던 애니메이션 방영도 그 일환. 후술할 아이돌 다큐 프로그램도 MTV가 먼저 시도한 방식이다. 아이돌 열풍과 함께 등장한 아이돌 다큐멘터리 프로그램들을 처음 선보인 채널이기도 하다. 초기에는 팀, [[일락(가수)|일락]], [[테이]] 등 남자 솔로 가수들의 데뷔 준비 과정으로 다큐멘터리 프로그램을 만든적이 있었고, 이후에는 [[BIGBANG|빅뱅]]이 첫 스타트를 끊었고 이후 [[원더걸스]](총 4시즌), [[소녀시대]], [[4minute]], [[비스트(아이돌)|비스트]], [[B.A.P]] 등이 그들의 데뷔 과정과 활동 비하인드를 선보였다. 자체 음악 프로그램 <더 스테이지 빅 플레저>는 [[롯데카드]]와 [[엘포인트|롯데멤버스]]의 협찬을 받고 있다. 스포츠 중계의 편성이 없다가 [[FIFA U-20 월드컵 코리아 2017]]의 일부 경기 중계방송이 편성되었다. [[2017년]] 중순 이후 [[JYP엔터테인먼트]] 소속 그룹들이 [[더 쇼]]에 출연하지 않고 있다. 그 때문에 2018년에 데뷔한 [[Stray Kids]]와 2019년 데뷔한 [[ITZY]]와 2022년 데뷔한 [[NMIXX]]는 데뷔 이후 한 번도 더 쇼에 출연한 적이 없으며 출연해야 집계되는 프로그램 특성상 당연히 더 쇼 초이스 후보에도 한 번도 오른 적 없다. == 역대 로고 == || [[파일:MTV 로고 1994.svg|width=100%]] || [[파일:MTV 로고 2010.svg|width=100%]] || [[파일:SBS MTV 로고.svg|width=100%&theme=light]][[파일:SBS MTV 로고 컬러 화이트.svg|width=100%&theme=dark]] || [[파일:SBS M 로고.svg|width=100%]] || || [[2001년]] || [[2010년]] || [[2011년]] || [[2022년]] || == [[SBS미디어넷/프로그램|프로그램]]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SBS미디어넷/프로그램)]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MTV, version=87, paragraph=4)] [[분류:SBS미디어넷]][[분류:음악]][[분류:예능 및 스타일 채널]][[분류:2001년 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