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SBS NEWS)] ---- ||<-3>
[[파일:나이트라인 로고 틀용.png|width=50]]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BS 나이트라인(20210405~).png|width=100%]]}}} || || {{{#fff '''방송사·채널''' }}} ||<-2> [[SBS|[[파일:SBS 로고.svg|width=50]]]] || || {{{#fff '''기획·제작''' }}} ||<-2> [[SBS NEWS|[[파일:SBS NEWS 아이콘.png|width=60&height=60]]]] || ||<-2> {{{#fff '''방송 기간''' }}} ||1991년 12월 10일~'''현재''' || ||<-2> {{{#fff '''방송 시간'''[* 실제로는 프로그램의 스케줄에 따라 유동적이다.] }}} ||24:00~24:30 {{{-2 {{{#4b19aa (월~목)}}}}}} || ||<|2> {{{#fff '''방송 품질''' }}} || {{{#11223e '''화질'''}}} ||[[HD(해상도)|[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4b19aa, 여백=2px 3px, 곡률=3px, 사이즈=.8em, 글자색=#00d9db, 내용=1080 FHD)]]] || || {{{#11223e '''음향''' }}} ||[[돌비|[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4b19aa, 여백=2px 3px, 곡률=3px, 사이즈=.8em, 글자색=#00d9db, 내용=돌비 디지털 스테레오)]]] || ||<|2> {{{#fff '''진행''' }}} || {{{#11223e '''메인''' }}} ||[[김석재(기자)|김석재]] || || {{{#11223e '''날씨''' }}} ||[[안수진(기상캐스터)|안수진]] || || {{{#fff '''링크''' }}} ||<-2>[[http://news.sbs.co.kr/news/programMain.do?prog_cd=R5|[[파일:나이트라인 로고 틀용.png|width=30]]]] | [[http://www.youtube.com/user/sbsnews8|[[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fff '''실시간''' }}} ||<-2>[[http://news.sbs.co.kr/news/live.do?plink=GNB&cooper=SBSNEWS|[[파일:SBS NEWS 아이콘.png|width=30]]]] | [[http://www.youtube.com/c/sbsnews8/live|[[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목차] [clearfix] == 개요 == 평일(주중) 중 월~목요일 밤 12시[* 시간상 화 ~ 금요일. 보통 밤 12시 이후에 편성되지만, 이전 프로그램에 따라 유동적이다.]에 방송하는 [[SBS]]의 [[종합뉴스|심야 종합뉴스]] 프로그램. 지상파 방송 중 가장 늦은 시간에 진행한다. TV 이외에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대한민국/지상파|SBS u TV]], SBS 공식 홈페이지, [[유튜브]][* SBS 모바일 24는 8뉴스까지만 나와서 별도의 라이브 서버를 만들어 SBS TV 전파를 그대로 재송신 하는 방법으로만 생중계한다.], [[wavve]]에서 실시간 시청이 가능하다. [[SBS]]의 최장수 [[심야 뉴스]] 프로그램으로, [[보도전문채널]]을 제외하면 [[KBS 뉴스라인 W]], [[OBS 뉴스라인]]과 더불어 셋 뿐인 지상파 방송사의 심야 종합뉴스 프로그램이다.[* 이 중 [[KBS]]는 유일하게 국제 소식 쪽으로 특화된 [[종합뉴스]]를 방송하고 있다. OBS 뉴스라인 역시 지역 속보에 특화된 종합뉴스였지만 2023년 중 개편으로 OBS 뉴스O와 거의 동일한 형식의 구성을 가지게 되었다.][* [[문화방송|MBC]]는 2017년 8월 11일부터 심야 뉴스 프로그램을 방송하지 않고 있다.] 연휴를 제외한 대부분의 공휴일에는 평소 그대로 30분 방송하며, 중대 특보 발생 시에는 [[SBS 8 뉴스]], [[모닝와이드/1, 2부]], [[SBS 12 뉴스]], [[뉴스브리핑(SBS TV)|뉴스브리핑]], [[SBS 오 뉴스]]와 함께 특집으로 편성된다. 대신 매해 12월 31일에는 [[SBS 연기대상]] 방송 관계로 방송되지 않는다. 타이틀의 테마색은 [[보라색]].[* 2021년 4월 6일부터.] 2014년 5월 20일부터 프리즘 디자인 적용과 동시에 사용했으며, 2018년 7월 3일 자막 디자인 교체에 따라 [[남색]]으로 변경되었다가 2021년 4월 6일 자막 디자인과 타이틀 교체에 따라 다시 [[보라색]]으로 환원되었고, 타이틀버그는 N 나이트라인으로 변경되었다. == 연혁 == ||<-6>
{{{+1 {{{#ffffff '''SBS 나이트라인 - 역사'''}}}}}} || || {{{#ffffff '''연도'''}}} || {{{#ffffff '''시작 일자'''}}} || {{{#ffffff '''방송 요일'''}}} || {{{#ffffff '''방송 시간'''}}} || {{{#ffffff '''편성 제목'''}}} || {{{#ffffff '''비고'''}}} || ||<|3> '''1991년''' || 12월 10일 || 화요일 || 24:30~24:40 ||<|6> [[SBS 마감뉴스|{{{#11223e SBS 마감뉴스}}}]] || 프로그램 신설([[스트레이트 뉴스]]) || || 12월 11일 ~ 12월 13일 || 수요일 ~ 금요일 || 23:55~24:00 ||<|2> 시간대 고정 || || 12월 16일 ||<|2> 평일 || 23:55~24:00 || || '''1992년''' || 3월 23일 || 23:50~24:00 || 시간대 변동 || || '''1993년''' || 10월 18일 || 매일 || 23:50~24:00(평일)[br]24:05~24:15(토)[br]24:00~24:05(일) || 편성 확대 || ||<|2> '''1994년''' || 1월 31일 ||<|13> 평일 ||<|2> 23:50~24:00(월~목)[br]24:50~25:00(금) || 편성 축소 || || 10월 24일 ||<|37> {{{#11223e '''SBS 나이트라인'''}}} || '''현재 타이틀 변경 및 첫 방송''' || ||<|3> '''1995년''' || 9월 4일 || 24:40~25:00(월~화, 금)[br]24:50~25:00(수~목) || 시간대 변동 || || 9월 25일 || 24:40~25:00 || 시간대 개편 || || 10월 23일 || 23:55~24:10(월~목)[br]24:50~25:00(금) ||<|5> 시간대 변동 || ||<|3> '''1996년''' || 2월 5일 || 24:50~25:00(월, 금)[br]23:55~24:10(화~목) || || 4월 1일 || 24:50~25:00(월, 금)[br]24:00~24:10(화~목) || || 10월 14일 || 24:00~24:10(월~목)[br]24:50~25:00(금) || ||<|4> '''1997년''' || 2월 3일 || 24:00~24:10(월, 수~목)[br]24:50~25:00(화, 금) || || 5월 19일 || 24:50~25:00 || 시간대 개편 || || 6월 30일 || 23:50~24:10(월~목)[br]24:40~25:00(금) || 시간대 변동 || || 10월 27일 || 23:55~24:15(월, 수~목)[br]24:40~25:00(화, 금) || 시간대 변동 || ||<|5> '''1998년''' || 1월 5일 || 24:45~25:00(월)[br]24:00~24:15(화~목)[br]24:45~25:00(금) || 시간 축소 || || 2월 1일 ||<|11> 매일 || 23:50~24:00 || 시간대 개편 및 편성 확대 || || 3월 2일 || 23:50~24:00(월~목)[br]24:40~24:50(금)[br]24:50~25:00(주말) ||<|10> 시간대 변동 || || 4월 6일 || 24:00~24:10(월~목)[br]24:50~25:00(금~일) || || 10월 19일 || 24:15~24:30(월~목)[br]24:45~25:00(금)[br]24:50~25:00(주말) || ||<|2> '''1999년''' || 4월 26일 || 24:00~24:15(월~목)[br]24:35~24:50(금)[br]24:50~25:00(주말) || || 11월 15일 || 24:05~24:20(월~목)[br]24:35~25:00(금)[br]24:50~25:00(주말) || ||<|4> '''2000년''' || 1월 3일 || 24:00~24:15(월~목)[br]24:35~25:00(금)[br]24:50~25:00(토)[br]02:00~02:10(일) || || 2월 7일 || 24:05~24:20(월~목)[br]24:35~24:50(금)[br]24:50~25:00(토)[br]02:00~02:10(일) || || 4월 17일 || 24:05~24:20(월~목)[br]24:35~24:50(금)[br]24:50~25:00(토)[br]24:00~24:10(일) || || 10월 16일 || 24:05~24:20(월~목)[br]24:35~24:50(금)[br]24:50~25:00(주말) || ||<|2> '''2001년''' || 4월 30일 || 24:15~24:30(월~목)[br]24:45~24:50(금)[br]24:50~25:00(토)[br]25:20~25:30(일) || || 6월 4일 ||<|6> 월~토 || 24:15~24:30(월~목)[br]24:45~24:50(금)[br]24:50~25:00(토) || 편성 축소 || ||<|2> '''2002년''' || 4월 1일 || 24:15~24:45(월~목)[br]24:45~24:50(금)[br]24:50~25:00(토) || 월~목요일 시간 연장 || || 11월 5일 || 24:15~24:45(월~목)[br]24:35~24:50(금)[br]24:50~25:00(토) || 금요일 시간 연장 || ||<|2> '''2003년''' || 5월 12일 || 24:15~24:45(평일)[br]24:50~25:00(토) || 금요일 시간대 개편 || || 11월 3일 || 24:15~24:45(평일)[br]24:55~25:05(토) ||<|2> 시간대 변동 || || '''2004년''' || 3월 8일 || 24:15~24:45(월~목)[br]24:45~25:00(금)[br]24:55~25:05(토) || || '''2006년''' || 7월 10일 || 평일 ||<|2> 24:25~24:40 ||<|2> 편성 축소 || ||<|2> '''2008년''' || 5월 5일 || 월~목 || || 10월 27일 ||<|3> 평일 || 24:25~24:55 || 편성 확대 및 포맷 확대 개편([[종합뉴스]]) || || '''2009년''' || 11월 30일 || 24:25~24:40 || 시간 단축 || || '''2010년''' || 7월 12일 ||<|2> 24:25~24:55 || 시간 연장 || || '''2015년''' || 7월 6일 ||<|3> 월~목 || 편성 축소 || || '''2016년''' || 2월 15일 || 심야 시간대 (월~수)[br]24:00~24:30 (목) ||<|2> 시간대 변동 || || '''2023년''' || 7월 10일 || 23:50~24:20 (월)[br]24:00~24:30 (화~목) || 1991년 12월 9일, [[SBS]]의 개국과 함께 밤 12시 30분에 [[SBS 마감뉴스]]라는 타이틀로 신설되었으며 다음 날 12월 10일부터 밤 11시 55분으로 고정되어 2년 10개월 동안 방송했다. 1994년 10월 24일에 타이틀을 SBS 나이트라인으로 변경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으며 개편마다 시간대 변경이 잦았다가 2000년 4월 27일부터 방송 시간대가 통일되었다. 2006년 7월 17일에는 심야 방송의 폐지로 뉴스 시간이 축소되기도 했다. 2008년 5월 5일부터 동년 10월 24일까지는 목요일까지 축소 방송했고 금요일 밤에는 [[SBS 뉴스(프로그램명)|SBS 뉴스]]로 대체 편성되었다가 동년 10월 27일에는 다시 금요일까지 확대 방송하면서 [[종합뉴스]]로 확대되었다. 2015년 7월 6일부터는 다시 목요일까지 주 4회로 축소되었다. == 출연자 == ||
{{{+1 {{{#ffffff '''앵커'''}}}}}} || || [[파일:SBS 나이트라인 김석재 앵커(20230801 기준).jpg|width=100%]] {{{#ffffff [[김석재(기자)|{{{#ffffff '''김석재'''}}}]]{{{-1 (보도본부 부국장급 선임기자)}}}}}} || ||
{{{+1 {{{#ffffff '''날씨'''}}}}}}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BS 나이트라인 날씨 안수진 기상캐스터.jpg|width=100%]]}}} || || {{{#ffffff {{{#ffffff '''안수진'''}}} {{{-1 (기상캐스터)}}}}}} || === 역대 앵커 === 특이하게 SBS 나이트라인의 메인 앵커는 일반적인 다른 뉴스와는 달리 아나운서나 평기자가 아닌 연배가 어느 정도 있는 논설위원[* 방송사의 논설위원들은 모두 부장급 이상의 간부급이다.]이나 간부급 기자가 진행한다. 또한 앵커들이 계속 새로운 사람으로 바뀌는 것이 아닌 같은 사람을 여러번 돌아가면서 출연시킴으로써 전임 앵커들의 복귀가 빈번하다. 대표적으로 이궁 前 논설위원[* 1차 진행 당시에는 국제부 차장], 전 정의당 [[고양시 병]] 당협위원장인 [[박수택]] 前 선임기자, 현재 국제방송교류재단([[아리랑국제방송]])의 사장을 맡았던 이승열 前 보도제작국장[* 1차 진행 당시에는 기자.],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으로 지명받았었던 [[정성근]] 前 논설위원[* 1차 진행 당시에는 사회2부장.], [[하남신]] 前 논설실장, [[이형근(기자)|이형근]] 前 편집2부 부국장, [[배재학]] 국제부 기자[* 1차 진행 당시에는 편집2부장. 2차 진행 때는 부국장으로 승진한 상태.], 현재 [[SBS 뉴스브리핑]]의 앵커인 [[편상욱]] 국제부장[* 1차 진행 당시에는 편집2부 차장.], 현재 SBS 나이트라인의 앵커인 김석재 부국장급 선임기자[* 1차 진행 당시에는 부장급 선임기자.]가 대표적인 사례이다. 나이트라인 스포츠의 앵커는 스포츠 와이드, 스포츠 투나잇의 앵커들도 포함한다.[* 참고로 2004년 이전까지의 역대 앵커는 신문 기사 및 SBS 보도자료 등을 참고하여 작성된 것.] ||<-4>
{{{+1 {{{#ffffff '''메인 앵커''' }}} }}} || || {{{#ffffff ''' 이름 ''' }}} || {{{#ffffff ''' 당시 직위 ''' }}} || {{{#ffffff ''' 진행 기간 ''' }}} || {{{#ffffff ''' 비고 ''' }}} || ||<|2> 이궁 || 국제부 차장 || 1994년 10월 24일~1995년 9월 2일 ||<|2> 나이트라인 첫 방송[br]현재 퇴사 || || 논설위원 || 2002년 1월 7일~2003년 2월 1일 || || 김성호 || 기자 || 1995년 9월 5일~1996년 10월 19일 || 현재 퇴사 || || [[김태욱(아나운서)|김태욱]] || 아나운서 || 1996년 10월 21일~1997년 6월 27일 || 현재 정년퇴직[* 2021년 3월 작고.] || ||<|2> 이승열 || 기자 || 1997년 6월 30일~1998년 10월 16일 ||<|7> 현재 퇴사 || || 편집2부장 || 2005년 4월 26일~2007년 2월 16일 || || [[박수택]] || 보도본부 차장 || 1998년 10월 19일~2000년 4월 15일 || ||<|2> 신우선 ||<|2> 기자 || 2000년 4월 18일~2002년 1월 4일 || || 2004년 4월 27일~2005년 4월 23일 || ||<|2> [[정성근]] || 사회2부장 || 2003년 2월 4일~2004년 4월 24일 || || 논설위원 || 2011년 3월 22일~2012년 1월 11일 || || [[고희경(기자)|고희경]][* SBS 나이트라인의 유일한 여성 앵커.] || 기자 || 2007년 2월 20일~2009년 4월 25일 || 나이트라인 확대 개편[br]현재 SBS 뉴스전략부장 || ||<|2> [[편상욱]] || 편집2부 차장 || 2009년 4월 28일~2011년 3월 19일 ||<|2> - || || 국제부장 || 2019년 7월 23일~2020년 12월 31일 || || [[하남신]] || 논설위원실장 || 2012년 1월 31일~2013년 12월 7일 || 현재 퇴사 || ||<|2> [[배재학]] || 편집2부장 || 2013년 12월 10일~2015년 11월 20일 ||<|2> - || || 국제부 부국장급 기자 || 2021년 1월 5일~2022년 7월 1일 || || [[이형근(기자)|이형근]] || 편집2부 부국장 || 2015년 11월 24일~2018년 11월 14일 || 현재 퇴사 || ||<|2> [[김석재(기자)|김석재]] || 보도본부 선임기자(부장) || 2018년 11월 15일~2019년 7월 19일 ||<|2> - || || 보도본부 선임기자(부국장) || 2022년 7월 5일 ~ '''현재''' || ||<-4>
{{{+1 {{{#ffffff ''' 나이트라인 스포츠 앵커 ''' }}} }}} || || {{{#ffffff ''' 이름 ''' }}} || {{{#ffffff ''' 당시 직위 ''' }}} || {{{#ffffff ''' 진행기간 ''' }}} || {{{#ffffff ''' 비고 ''' }}} || || [[박상도]] ||<|4> 아나운서 || 1999년 3월 2일~2006년 11월 4일 || 스포츠 와이드 || ||<|2> [[염용석]] || 2006년 11월 7일~2009년 11월 28일 ||<|2> 나이트라인 스포츠 첫 방송 || || 2012년 5월 15일~2018년 12월 7일 || || [[박은경]] || 2009년 12월 1일~2012년 5월 12일 || 스포츠 투나잇 시절 포함[br]나이트라인 스포츠 2차 첫 방송 || === 임시 진행 === * SBS 나이트라인 메인 * [[김성준(1964)|김성준]], 양만희 기자, [[김태욱(아나운서)|김태욱]], [[박광범]], [[최기환]], [[염용석]] 아나운서가 1990년대 후반~2010년대 초반 당시 주말 앵커를 맡거나 평일 앵커 부재 시 대신 진행하기도 했다. * 2012년 1월 12~28일에는 [[배재학]] 기자가 임시로 진행했다.[* [[정성근]] 기자의 2012년 [[제19대 국회의원 선거|국회의원 출마 선언]]으로 인한 중도 하차.] * 2014년 5월 10, 17일에는 [[염용석]] 아나운서가 대신 진행했다. * 2014년 8월 15, 16일에는 [[김용태(기자)|김용태]] 기자가 대신 진행했다. * 2014년 12월 20일, 2015년 1월 24일, 4월 11, 25일, 6월 6일에는 3대 앵커였던 [[김태욱(아나운서)|김태욱]] 아나운서가 대신 진행했다. * 2020년 6월 30일에는 [[한수진(기자)|한수진]] 선임기자가 대신 진행했다.[* [[편상욱]] 국제부장의 개인사정으로 대신 진행했다.] * 2020년 8월 4~7일에는 12대 앵커였던 [[이형근(기자)|이형근]] 논설위원이 대신 진행했다.[* [[편상욱]] 국제부장의 휴가로 대신 진행했다.][* 단. 이 기간 클로징 멘트는 [[편상욱]] 국제부장이 자주 하던 클로징 멘트가 아닌 재난 관련 클로징 멘트를 했다.] * 2022년 3월 2~4일에는 9대 앵커였고 재진행 했었던 [[편상욱]] 국제부장이 대신 진행했다.[* [[배재학]] 기자의 개인사정으로 대신 진행했다.] * 2022년 8월 30~9월 2일에는 [[이병희(아나운서)|이병희]] 아나운서팀 차장이 대신 진행했다. * 나이트라인 스포츠 * 2017년 1월 30일에는 [[김윤상]] 아나운서가 대신 진행했다.[* [[염용석]] 아나운서팀 부장의 개인 사정으로 대신 진행했다.] === 역대 [[기상캐스터]] === * [[조경아(방송인)|조경아]] 前 기상캐스터. (2004년 3월 2일~2004년 9월 날짜 미상/2008년 12월 9일~2008년 12월 13일/2015년 11월 24일~2016년 2월 26일) * 황현주 前 기상캐스터. (2004년 10월~2005년 7월) * 우혜진 前 기상캐스터. (2005년 8월~2005년 10월 29일/2006년 11월 14일~2007년 3월 31일) * 최윤정 前 기상캐스터. (2005년 11월 2일~2005년 12월 30일/2006년 3월 1일~2006년 11월 10일/2007년 4월 3일~2007년 4월 14일/2008년 12월 16일~2010년 8월 28일) * 이나영 前 기상캐스터. (2006년 1월 3일~2006년 2월 28일/2010년 8월 31일~2011년 12월 31일/2014년 3월 11일~2014년 11월 1일) * 오하영 前 기상캐스터. (2007년 4월 17일~2008년 12월 13일/2013년 10월 2일~2013년 11월 2일/2015년 9월 1일~2015년 11월 22일) * 신소연 前 기상캐스터. (2012년 1월 3일~2012년 6월 2일/2013년 11월 5일~2014년 3월 8일) * 김다은 前 기상캐스터. (2012년 6월 5일~2013년 10월 1일) * [[정주희]] 기상캐스터. (2014년 11월 4일~2015년 8월 28일/2016년 12월 20일~2017년 9월 1일) * [[이여진]] 기상캐스터. (2016년 3월 2일~2016년 4월 15일) * [[윤서영]] 前 기상캐스터. (2016년 4월 19일~2016년 12월 16일) * [[전소영(기상캐스터)|전소영]] 기상캐스터. (2017년 9월 5일~2017년 9월 29일/2020년 6월 2일~'''2022년 4월 29일''') * 양태빈 기상캐스터. (2017년 10월 11일~2020년 5월 29일) * 임은진 기상캐스터. (2022년 5월 3일~2023년 7월 21일) * 안수진 기상캐스터. (2023년 7월 25일~'''현재''') == 코너 == === 한반도 포커스 === [[https://news.sbs.co.kr/news/newsPlusList.do?themeId=10000000299|다시보기]] [youtube(GA5kIzDjdZU)] 북한 전문 코너. 2022년 1월 20일[* 실제로는 시간상 2022년 1월 21일]부터 신설되었으며, 목요일[* 시간상 금요일]에만 방송된다. 김아영 기자와 안정식 북한전문기자가 이 코너를 전담해서 보도한다. === 나이트라인 초대석 === [youtube(-io3daigV1s)] 2021년 4월 6일 ~ 현재 타이틀. 문화예술인, 고위공직자 등 유명인과 만나 인터뷰를 하는 코너. 나이트라인의 유일한 코너이며, [[2002년]]부터 신설되었으며, [[2005년]] [[7월 9일]]에 방송 시간이 짧은 관계로 폐지되었다가 [[2008년]] [[10월 27일]]부터 종합뉴스로 개편되면서 '뉴스 속으로'로 재신설되었다. 이후 [[2013년]]부터 현재의 '나이트라인 초대석'으로 환원되었고, [[2019년]] [[7월 30일]]부터 '나이트라인 뉴스 속으로'[* [[편상욱]] 국제부장의 재진행부터 코너 타이틀을 변경했으나 정작 인터넷 다시보기(유튜브 포함)에서는 기사 제목을 나이트라인 초대석으로 계속 사용했다.]로 다시 바뀌었다가 [[2021년]] [[4월 6일]]부터 나이트라인 타이틀과 프리즘 교체에 따라 현재의 '나이트라인 초대석'으로 환원되면서 코너 타이틀은 물론 8년간 사용한 타이틀 음악도 교체되었다.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사전녹화로 진행한다. [* 아무래도 나이트 라인 자체가 심야에 방송되기에 심야에 유명인을 불러 인터뷰하기에는 어려움이 있기 때문.] 이 코너와 비슷한 포맷으로 2시에 방송되는 주영진의 뉴스브리핑의 "인터뷰 줌인", 타 방송사에서는 KBS 뉴스라인의 "라인 초대석"[* 2022년 5월 신설.], [[JTBC 뉴스룸]]의 인터뷰 코너[* 2014년 신설.] 등이 있다. 2017년 5월 30일부터 9월 20일, 2018년 2월 28일 방영분은 [[SBS 12 뉴스]]에서 '12시 人사이트'라는 명칭으로 일부 내용을 편집하여 재방송되었다. === SBS 날씨 === [youtube(napxeNOOqYU)] 2021년 4월 6일 ~ 현재 타이틀. [[일기예보]] 코너. 코너 타이틀 음악은 [[SBS 8 뉴스]]의 SBS 날씨와 공유하였지만 2021년 4월 6일부터는 나이트라인 타이틀과 프리즘 교체에 따라 SBS 날씨 타이틀만 교체되었고 [[SBS 8 뉴스]]의 날씨 코너 타이틀 음악은 그대로 유지되었다. === 클로징 === SBS 뉴스 프로그램 중 [[SBS 8 뉴스]]와 더불어 얼마 되지 않게 클로징 멘트를 하는데 현재 진행자인 김석재 앵커 같은 경우에는 1, 2차 모두 사회현상에 대한 내용을 위주로 클로징 멘트를 하고 있다.[* 단. 김석재 앵커가 휴가나 출장시 역대 나이트라인 앵커가 대신 진행 할 수도 있다.] 이전 진행자들 역시 클로징 멘트를 했었는데 이형근, 하남신, 정성근 앵커 같은 경우에는 정치적인 클로징 멘트를 주로 했었으며, 배재학 앵커의 경우 1, 2차 진행시절 모두 논펑 같은 멘트를 하거나 특별한 상황이 없을 경우 별다른 말 없이 "행복한 오늘 되십시오." 라는 말로 끝냈었고, 박수택, 신우선, 이승열 앵커 같은 경우에는 개인적인 소신을 밝히는 형식 위주로 많이 했었다. 반대로 고희경 앵커는 클로징 멘트를 거의 하지 않았으며, 편상욱 앵커 같은 경우에는 1, 2차 진행시절 모두 개인적인 소신을 밝히는 클로징 멘트를 많이 했었다. 이후로는 특별한 상황이 없는 이상 별다른 말 없이 "나이트라인 오늘 여기까지입니다. 편안한 밤 되십시오. 고맙습니다" 라고 클로징멘트를 했다.[* 단. 편상욱 앵커가 휴가 갔을 당시에는 12대 앵커 였던 이형근 논설위원이 재난 관련 클로징 멘트를 했었다.] == 종영된 코너 == === 오늘의 주요 뉴스 === [[헤드라인 뉴스]] 코너. 2006년부터 도입했으나 2014년 10월에 폐지되었다. === SBS 논평 === [[뉴스 해설]] 코너. SBS 논설위원실 소속 위원들이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주요 이슈들을 모아 논평한다. 2000년 4월 17일부터 뉴스의 눈으로 신설되었으며, 2001년부터 SBS 논평으로 변경되었다. 2010년을 끝으로 폐지되었다. [[김형민(기자)|김형민]], [[정성근]], [[하남신]], 이궁, [[박수택]] 등 당시 SBS 원로 논설위원들이 논평을 주로 했었다. === 미리 읽는 조간신문 === 신문 코너. 아침에 발행되는 10대 주요 신문 일간지 중에서 기사 일부를 사전에 입수하여 앵커가 인용 형식으로 읽어준다. 2004년에 폐지되었다. 다만 [[모닝와이드/1, 2부|모닝와이드 1, 2부]]의 조간 브리핑 코너는 계속 방송 중이다. === 나이트라인 스포츠 === [[파일:나이트라인 스포츠2.jpg]] [[파일:나이트라인 스포츠 염용석 아나운서.jpg]] 나이트라인 스포츠 마지막 앵커 염용석 아나운서팀 부장.[* 현재 [[SBS 12 뉴스]] 앵커.] [youtube(VXHeP0ey_Gs)]2011년 9월 6일 ~ 2014년 8월 8일 오프닝. [youtube(GmAwERscfpQ)]2014년 8월 11일 ~ 2018년 6월 7일 오프닝. ||<-6>
{{{+1 {{{#ffffff '''나이트라인 스포츠 - 역사'''}}}}}} || || {{{#ffffff '''연도'''}}} || {{{#ffffff '''시작 일자'''}}} || {{{#ffffff '''방송 요일'''}}} || {{{#ffffff '''방송 시간'''}}} || {{{#ffffff '''편성 제목'''}}} || {{{#ffffff '''비고'''}}} || || '''1999년''' || 3월 2일 ||<|4> 평일 || 25:00~25:10 ||<|3> {{{#0073a5 스포츠 와이드}}} || 프로그램 신설 및 독립 편성 || || '''2000년''' || 4월 18일 || 24:55~25:05 ||<|2> 시간대 변동 || ||<|2> '''2006년''' || 7월 11일 || 24:40~24:50 || || 11월 6일 ||<|2> 24:30~24:40 ||<|3> {{{#0073a5 '''나이트라인 스포츠'''}}} || '''첫 방송'''[br]나이트라인 코너 || ||<|2> '''2008년''' || 5월 6일 || 월~목 || 편성 축소 || || 10월 27일 ||<|3> 평일 || 24:45~24:55 || 편성 확대 || || '''2009년''' || 12월 1일 || 24:15~24:25 || {{{#0073a5 스포츠 투나잇}}} || 독립 편성 || || '''2010년''' || 7월 132일 ||<|2> 24:50~25:00 ||<|4> {{{#0073a5 '''나이트라인 스포츠'''}}} || '''첫 방송'''[br]나이트라인 코너 || || '''2015년''' || 7월 7일 ||<|3> 월~목 || 편성 축소 || || '''2016년''' || 2월 16일 || 24:50~25:00 (월~수)[br]24:40~24:30 (목) || 편성 축소 || || '''2018년''' || 6월 7일 || - || 2018년 6월 7일 종영 || 前 [[스포츠뉴스]] 코너. 월~목요일(시간상 화~금요일) 밤 12시 50분에 10분 동안 방송했다. 앵커의 멘트로는 스포츠 소식으로 표현되었다. 앵커는 염용석 아나운서팀 부장. === 나이트라인 문화현장 === [[문화뉴스|문화 정보]] 코너. 2019년 1월 2일부터 수, 목요일 한정으로 [[SBS 12 뉴스]]의 코너 문화현장을 미리 방송한다. 그러나 2019년 8월부터는 해당 코너들을 방영하지 않으면서 사실상 폐지되었다. * 수요일 : 이번 주 볼만한 공연 및 전시 소식(김수현 기자) * 목요일 : 이번 주 개봉하는 영화 소개(김영아 기자) === 그 이외 === * 월드뉴스 (1994년 10월 24일 ~ 2006년 7월 7일, 2008년 10월 29일 ~ 2009년 11월 27일, 2010년 7월 13일 ~ 2011년 3월 11일) SBS 국제부 기자가 실시간으로 전해 주던 [[국제뉴스]] 코너. 신설 당시에는 세계는 지금이라는 명칭이었으며, 2008년 10월 29일 이 시각 세계, 2010년 7월 13일에 월드 뉴스라는 명칭으로 2~3꼭지 정도 보도하였다. * 이 시각 음주운전 단속 (2009년 4월 28일 ~ 2009년 11월 27일) [[서울특별시경찰청]]의 협조를 받아 심야 시간대 [[음주운전]]을 방지한다는 명분으로 관내 음주 단속지점을 고지했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02631303|관련 기사]] 그러나 음주운전 단속 지점을 미리 공개한다는 자체가 논란이 많았으며[[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1197973&CMPT_CD=P0001|관련 기사]], 음주운전 감소에는 별 영향도 주지 않아 결국 7개월 만에 뉴스 시간 단축 등의 명분으로 종영되었다. * 이 시각 [[뉴욕증권거래소|뉴욕증시]] (2010년 9월 1일 ~ 2013년 11월 29일) [[SBS Biz|SBS CNBC]] 뉴욕 특파원이 실시간으로 뉴욕 증시를 전해주던 코너. 방송 시간대에는 뉴욕은 막 증권이 개장되었던 시간이기 때문에 특파원 멘트가 주로 증시가 좋은 출발을 보였다. 또는 다소 불안한 상태다 그런 식의 리포트 내용이 주를 이뤘다. 그러나 코너가 신설되자 마자 SBS 노조 및 기자협회에서 강력히 반발했지만[[http://www.pdjournal.com/news/articleView.html?idxno=28797|관련 기사]], 이후 2012년 보도국 직속으로 제작했던 [[SBS 생활경제]]를 SBS CNBC 측에서 맡는 등 SBS의 대주주인 SBS 미디어홀딩스의 영향력 앞에서는 보도 프로그램 조차도 중립성을 지키기 어렵다는 사례를 남겼다. == [[지역민방]] 편성 == 나이트라인 방송을 하지 않는 날에는 일부 지역민방이 자체 방송을 편성한다. 단, 특집 방송 시에는 본 프로그램을 수중계한다. * 안내 * O : 전체 본방송 편성 * X : 전체 자체 방송 편성 * △ : 매주 목요일 자체방송 || {{{#ffffff ''' 방송국 ''' }}} || {{{#ffffff ''' 편성 제목 ''' }}} || {{{#ffffff ''' 본방송 편성 ''' }}} || {{{#ffffff ''' 비고 ''' }}} || || [[대전방송|[[파일:대전방송 로고.svg|width=30]]]] [[청주방송|[[파일:CJB 로고.svg|width=30]]]] [[전주방송|[[파일:JTV 로고.svg|width=40]]]] [[KNN|[[파일:KNN 로고.svg|width=40]]]] [[울산방송 [[울산방송|[[파일:ubc 로고.svg|width=40]]]] [[제주방송|[[파일:JIBS 로고.svg|width=40]]]] || [[SBS 나이트라인]] || O || [* JTV의 경우 2003년경에 JTV심야뉴스라는 이름으로 자체 심야뉴스를 방송한 적이 있다. 그러다가 다시 나이트라인 수중계로 회귀.] || || [[TBC|[[파일:TBC 로고.svg|width=30]]]] [[광주방송|[[파일:kbc 로고.svg|width=40]]]] || 자체 방송 편성 || X || [* 2000년 11월 13일 ~ 2005년 4월 9일까지는 [[TBC 나이트라인]]이 자체 방송되었으며, 이후 별도의 뉴스 없이 편성을 채우고 있다.] || || [[G1방송|[[파일:G1방송 로고.svg|width=40]]]] || 매주 목요일 자체방송 || △ || [* 월 ~ 수만 방송] || == 최신뉴스 다시보기 == 원래 유튜브, 네이버TV, 트위치 등 온라인(모바일)에서도 실시간 시청이 가능했으나 2019년 11월부터는 보도본부 인력난과 낮은 실시간 시청자 수 등의 이유로 송출이 중단되었으나[* 하지만 [[박원순 서울특별시장 사망 사건]] 등 속보가 나오면 유튜브와 네이버TV 실시간 방송을 즉시 하는 것으로 봐서는 속보 내지 긴급, 혹은 특집 방송에 한해서 실시간 송출을 할 방침인 듯. 예외적으로 2020년 9월 21일 SBS 뉴스 개편 다음날인 9월 23일(22일에서 23일로 넘어가는 새벽 시간이다.)에 다시 유튜브 수중계가 열렸었다. 이 때는 SBS 모바일 24가 종료되는 밤 9시 이후 뉴스라서 따로 방송되었고 평일에만 하는 정규 뉴스 중 유일하게 다시보기가 남았다. 이후 수중계는 없는 것으로 봐서는 일시적이었던 것으로 보였다.][* SBS 뉴스 홈페이지와 네이버TV로는 클립 몰아보기로 한해 다시보기가 되지만 유튜브는 나이트라인 초대석이나 특집 나이트라인에 보도된 중요내용에 관한 리포트를 제외하고는 나머지는 단 한개의 클립도 제공되지 않는다.] 2022년 8월 29일부터 유튜브 수중계가 다시 재개되었다. 또한 시청률(평균 약 1.5~2.5%)[* 닐슨코리아 기준.]과 광고 판매율(평균 4~10개 정도)이 높지는 않은 편이다. 심야시간대라 주류광고가 많이 나온다. == 금요일 뉴스 편성 == 2015년 7월 6일부터 편성이 월~목요일로 축소된 뒤에도 금요일에 중대한 사안이 발생했을 경우 임시로 편성하기도 하는데 현재까지 2차례 있었다.[* KBS와의 가장 큰 차이점이 이것으로 [[KBS 뉴스라인]]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모든 평일에 편성된다.] * 2016년 12월 10일 [[박근혜 대통령 탄핵소추]]로 인해 특집 편성되었다. * 2018년 4월 28일 [[2018 제1차 남북정상회담]]으로 인해 특집 편성되었다. == 타이틀 및 오프닝 == [youtube(BzDAJZnQSVo)] 현재 오프닝. [youtube(hczgS7MkbPU)] 역대 오프닝 모음. == 경쟁 프로그램 == * [[KBS]] - [[KBS 뉴스라인 W]] * [[MBC]] * [[MBC 뉴스레이더]](1998년 4월 17일 종영) * [[MBC 마감뉴스]](2002년 3월 8일 종영) * [[MBC 뉴스 24]](2017년 8월 10일 종영) * [[OBS경인TV]] - [[OBS 뉴스라인]] * [[OBS 뉴스라인|OBS 뉴스 23]](2013년 4월 12일 종영) * [[OBS 뉴스라인|OBS 뉴스투나잇]](2013년 10월 25일 종영) * [[OBS 뉴스라인|OBS 경인 뉴스라인]](2015년 9월 11일 종영) * [[OBS 뉴스라인|OBS 뉴스라인 인천 - 경기]](2023년 3월 24일 종영) * JTBC 뉴스 24(2012년 종영) * [[MBN]] - 뉴스 오늘과 내일(2012년 3월 3일 종영) * [[채널A]] - [[채널A 뉴스&스포츠]](2012년 3월 9일 종영) * [[TV CHOSUN]] - TV CHOSUN 뉴스와 날씨(2012년 4월 6일 종영) * [[YTN]] - [[YTN 자정 뉴스]] * [[연합뉴스TV]] - 뉴스 24 == 관련 문서 == * [[SBS 마감뉴스]] == 둘러보기 == [Include(틀:SBS NEWS)] ||||<-3> [[파일:SBS 로고.svg|width=50]] 월~목[* 시간상 화~금요일.] 프로그램 || || {{{#white 이전}}} || {{{#white '''ON AIR'''}}} || {{{#white 다음}}} || || {{{#white 22:15~24:00(월)[br]22:20~24:00(화)[br]22:40~24:00(수)[br]22:20~23:50(목)}}} || {{{#white 24:00~24:30}}} || {{{#white 00:30~01:30(월)[br]00:30~01:00(화~수)[br]00:30~01:30(목)}}} || || [[동상이몽2 - 너는 내 운명]](월)[br][[손대면 핫플 - 동네멋집]](화)[br][[옆집 남편들 - 녹색 아버지회]](수)[br]꼬리에 꼬리를 무는 그날 이야기(목) || ''' SBS 나이트라인 ''' || [[스포츠 투나잇]](월)[br]SBS 골프(화)[br]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여행 스페셜(수)[br]문화가 중계(목) || [[분류:SBS NEWS]][[분류:1994년 방송 프로그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