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변이 및 변종]][[분류:2020년/사건사고]] [include(틀:상위 문서, top1=SARS-CoV-2/변이 및 변종)] [include(틀: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관련 문서)] [목차] == 개요 == '''C.37''' 2020년 8월 페루에서 처음 발견된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의 변이종이다. 초기에는 [[남미]]를 중심으로 확산되었으며, 2021년 7월 이후 전세계로 빠르게 퍼지고 있다. 현재 추세대로라면 [[델타 변이]] 이후의 지배종이 될 가능성이 높은 변이종이다. 2021년 7월 현재, 아르헨티나에서는 37%의 감염율을 보이며 람다 변이가 지배종으로 올라섰다. 칠레는 인구의 58.1%가 백신 접종을 마쳤음에도 코로나19가 진정되지 않고 있는데, 확진자의 1/3이 람다 변이에 감염된 것으로 나타났다.[* 물론 이것은 칠레가 주로 접종한 백신이 변이에 대한 효능에 의문 부호가 붙는 중국산 백신이라는 점을 감안하고 봐야 한다.] 하지만 2021년 하반기부터 남미의 코로나 확산세가 둔해짐에 따라 델타 변이 이후 지배종으로 올라오지 못했다. 오히려 2021년 4분기에 [[델타 변이]]가 남미에서 지배종이 됐지만, 타 대륙과 달리 확진자가 폭증하지는 않았다. == 주요 돌연변이 == || 돌연변이 || '''{{{#red L452Q}}}''' || '''{{{#orange F490S}}}'''[* 백신 회피 증폭 돌연변이는 아님] || N:P13L || N:R203K || N:G204R || N:G214C || || 특징 || 백신 회피 돌연변이 || 백신 회피 돌연변이일 가능성 존재 ||<-4> '''뉴클리오캡시드 단백질 변이''' || == 문제점 == 가장 우려되는 점은 람다 변이가 '''백신의 항체반응을 회피'''하여 백신을 무용지물로 만들 가능성이 있다는 것인데, 최신 연구 결과에 따르면 람다 변이가 [[시노백 백신]]의 중화 반응을 3.05배 감소시키는 것이 확인되었다고 한다.[[https://www.medrxiv.org/content/10.1101/2021.06.28.21259673v1|해당 논문]] 즉, 람다 변이가 지배종이 되면 백신 접종을 통한 [[집단면역]]이라는 그동안의 코로나 대처 전략이 무의미해질 수도 있다는 것이다.[* 다만 이미 백신 회피율은 적지만 전염성이 우월한 [[델타 변이]]의 유행으로 인해 자연면역 없이 백신만을 통한 집단면역은 거의 불가능하고(이론적으로는 물론 가능하긴 하지만 백신 접종을 거부하는 사람들이나, 백신을 못 맞는 사람들 때문에 실질적으로는 거의 불가능해졌다고 봐야한다.) 단지, 중증과 사망자 예방을 통해 [[인플루엔자]]처럼 공존해야 된다는게 중론이다. 람다 변이가 중증/사망 예방률까지 무력화하는 변이가 아니라면 백신 접종 자체가 무의미한 건 아니다.] 게다가 다른 변이와 달리 뉴클리오캡시드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아미노산 서열의 '''4곳에서 동시다발 변이가 발생했다.'''[* 2021년 하반기부터 우세종이 된 [[델타 변이]]와 2022년 우세종이 될 우려가 큰 [[오미크론 변이]]보다 뉴클리오캡시드 변이가 2곳 많다.] 여기서 변이가 발생하면 스파이크 단백질을 공격하는 항체가 무력화됐을 때 쉽게 대응할 수 없게 된다. 스파이크 단백질에서 발생한 변이로 인해 스파이크 단백질을 공격하는 항체가 먹히지 않을 때, 뉴클리오캡시드 항원을 공격하는 항체가 대신 작동하여 효과를 발휘하기 때문이다. == 경과 == * 2021년 6월 14일, [[WHO]]에 [[코로나19]] 관심 변이로 등록되었다. * 2021년 7월 11일, [[페루]]는 8월 말까지 비상사태를 연장하기로 했다.[[https://www.news1.kr/articles/?4368865|#]] * 2021년 7월 13일, 전 세계 29개국에 확산된 것으로 알려졌다. [[https://www.chosun.com/international/international_general/2021/07/13/NUD7U45RL5CXLDZU543ETELBMQ/|#]] * 2021년 7월 16일, [[질병관리청]]은 셀트리온의 렉키로나주를 람다 변이인 슈도바이러스(pseudovirus)를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효과가 있음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https://www.yna.co.kr/view/AKR20210716102651530|#]][* 지금까지 발견된 변이 중 백신 회피 강도가 가장 강한 [[베타 변이]]에도 효과가 있었다.] * 2021년 8월 7일, 일본에 람다 변이가 처음 보도됐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hm&sid1=104&oid=005&aid=0001462814|#]] * 2021년 8월 9일, 미국에서 람다 변이 확진자가 1,080명으로 집계됐다고 CNN이 보도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2D&mid=shm&sid1=104&sid2=232&oid=011&aid=00039480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