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hite '''{{{+3 Model 3}}}'''[br]''Smith & Wesson Model 3''[br]''스미스 & 웨슨 모델 3''}}}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스코필드리볼버.jpg|width=100%]]}}}|| ||<-2><:> {{{#000,#ddd {{{-1 1870년부터 등장한 스코필드 리볼버 모델}}}}}}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0495372_1.jpg|width=100%]]}}}|| ||<-2><:> {{{#000,#ddd {{{-1 1877년부터 등장한 New Model No.3}}}}}} || || '''종류''' ||[[리볼버]] || || '''원산지'''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2> {{{#!folding 【펼치기 · 접기】 ||<-2>
{{{#White '''이력'''}}} || || '''역사''' ||[[1870년]]~[[1915년]] || || '''개발''' ||호레이스 스미스[br]대니얼 B. 웨슨 || || '''생산''' ||[[스미스 & 웨슨]] || || '''생산년도''' ||[[1868년]]~[[1898년]] || || '''사용국'''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br][include(틀:국기, 국명=러시아 제국)][br][include(틀:국기, 국명=오스만 제국)][br][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제국)] 등 || || '''사용된 전쟁''' ||[[인디언 전쟁]][br][[러시아-튀르크 전쟁]][br][[https://en.wikipedia.org/wiki/North-West_Rebellion|북서 반란]][br][[미국-스페인 전쟁]][br][[미국-필리핀 전쟁]][br][[https://en.wikipedia.org/wiki/Polish%E2%80%93Ukrainian_War|폴란드-우크라이나 전쟁]][br][[제1차 세계 대전]][br][[러시아 내전]][br][[리프 전쟁]] || ||<-2> {{{#White '''기종'''}}} || || '''파생형''' ||스코필드 모델[br]러시아 모델[br]오스트레일리아 모델[br].44 더블액션 모델 || ||<-2> {{{#White '''세부사항'''}}} || || '''탄약''' ||.44 Russian[br].44 S&W American[br].38 S&W[br].44 Henry[br].44-40 Winchester[br].45 S&W || || '''급탄''' ||6발들이 실린더 || || '''작동방식''' ||[[싱글 액션]] || || '''총열길이''' ||165mm || || '''전장''' ||3.5mm || || '''중량''' ||1.3kg || || '''탄속''' ||244m/s ||}}}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CIBH2GLIyRU)]}}} || || [[hickok45]]의 우버티 사 재생산형 스코필드 모델 리뷰 영상 || [[스미스 & 웨슨]]에서 제작한 '''[[세계 최초]]의 중절식(Top Break) [[리볼버]].'''[* 총열을 아래로 꺾어서 재장전하는 설계방식.] 동시에 S&W에서 처음 출시한 [[센터파이어 탄약]] 호환 총기이기도 하다. == 상세 == 이 리볼버부터 S&W의 리볼버들은 [[데린저]]스러운 모습에서 벗어나 전형적인 리볼버의 모습으로 진화하기 시작했고 미군이 이 리볼버를 채용하게 되면서 이 때를 기점으로 S&W은 본격적인 거대 총기 기업으로 성장해나가게 된다. 다만 오늘날에도 그렇지만 이 리볼버를 제작할 당시에 중절식은 권총의 프레임을 자른다는 구조적인 특징 때문에 상대적으로 빠른 재장전 속도라는 장점을 가졌지만[* 이 덕분에 기병대에서 크게 호평했다. 이중 [[조지 암스트롱 커스터]]도 [[리틀 빅혼 전투]]에서 사용했다.] 불안정한 내구성을 가져서 그만큼 위력이 큰 탄환을 격발할 수 없는 한계점을 가졌다. 이 때문에 2~3년뒤에 등장한 라이벌 회사인 [[콜트(총기회사)|콜트]]의 [[콜트 싱글 액션 아미|SAA]]가 등장하자 크게 대박났는데 .44 S&W보다 위력이 더 강한 [[.45 Long Colt]]를 호환하고[* 당시 기준으로 권총탄 중에서 위력이 제일 강했다.] 재장전 시간이 길지만 그만큼 단순한 구조와 안정적인 내구성을 가져서 결국 군수시장에 물러나게 되고 민간시장에 방출되었다. [[러시아 제국]]으로도 수출된 적이 있었는데 문제는 그 쪽이 여러가지로 악명이 높았다. 먼저 러시아 정부는 해당 리볼버를 리버스 엔지니어링한 뒤 불법복제하여 자국 및 유럽에서 생산함과 동시에 S&W에서 이미 계약을 통해 생산 완료된 분량의 인도 및 인도 분량의 판매 대금 지불을 거부하여 하마터면 S&W이 부도날 뻔 했다. 그리고 이렇게 생산한 M3을 [[나강 M1895|나강 리볼버]]와 함께 제정 러시아 시절부터 [[피의 일요일 사건(러시아)|피의 일요일]] 사건까지 자유주의자와 사회주의자를 탄압하는 리볼버로 악명을 떨쳤다. 콜트 SAA처럼 이 리볼버도 현대에 재생산한 적이 있는데[* 다만 많이 생산하지 않았던 탓인지 이 리볼버의 기본적인 가격은 무려 1137 달러 정도로 가격이 매우 높다. 중고시장에서 205 ~ 430 달러로 비교적 저렴하게 구입할 수 있는 SAA와 대조적이다.] 하나는 S&W에서 직접 제작한 모델이고 2000년 부터 2003년까지 제작했다. 또 하나는 우버티에서 제작한 모델인데 특이하게도 이 모델은 [[베레타]] [[https://en.wikipedia.org/wiki/Beretta_Laramie|라라미에]]라는 이름으로 판매한 적도 있었다. 2021년에는 우버티에서 하딘이라는 7인치 총열 재생산판을 출시했는데 이 재생산판은 '''[[.45 Long Colt]]'''를 호환한다. [[https://www.thefirearmblog.com/blog/2021/01/25/shot-2021-uberti-hardin-teddy/|#]][* 상술했다시피 SAA에 밀린 이유가 중절식으로 인해 강력한 탄환을 사용할 수 없는 단점 때문이었는데, 현대 기술로 그 SAA의 .45 LC를 격발할 수 있게 내구성을 보완해서 개량한 것으로 보인다.] 당대 여느 권총이 그랬듯, 개머리판을 부착할 수도 있다. [[https://i.pinimg.com/originals/95/a7/8e/95a78e98577c2c1f7282f4caa86efecd.jpg|#]][[https://i.pinimg.com/originals/6b/55/c0/6b55c01ba3cf537011a59275ee551d81.jpg|#]] == 파생형 == * [[S&W M2]] 기존 모델보다 작게 설계한 파생형. 방아쇠는 [[S&W M1|M1]] 같은 모양으로 설계되어있고 장탄수는 5발로 줄어들었다. '베이비 러시안'이란 별명도 가졌다. [[https://www.youtube.com/watch?v=UNTLxFFLOao|#]] * [[https://www.youtube.com/watch?v=5vFbD3teN3c|툴룸 프로토타입]] 이 파생형에는 총열을 아래로 꺾으면 탄피를 자동으로 배출하는 기능도 가졌다.[* 세계 최초로 탄피 자동 배출 기능이 탑재된 리볼버라는 이야기도 있다.] * [[https://cdn.rockislandauction.com/dev_cdn/58/193.jpg|더블 액션 모델]] 한편 S&W에서는 이 리볼버를 기반으로 .44-40 Winchester를 호환하는 [[더블 액션]] 리볼버도 제작했다.[* 중절식이라서 아랫쪽 부분만 더블 액션으로 새로 설계한 것으로 보인다.] 이 리볼버도 탄피를 자동으로 배출하는 기능을 가졌다. [[https://www.youtube.com/watch?v=T1hkDFWRi2Q|리뷰 영상]] == 매체에서의 등장 == [youtube(DD7iBQMt1T0)] * [[배틀필드 1]]에서 [[배틀필드 1/보병 장비/보조 무기#s-1.1.5|공용 부무장]]으로 나온다. * [[탄넨베르크(게임)|탄넨베르크]]에서 [[탄넨베르크(게임)/무기#s-2.1.5|러시아군의 부무장]]으로 나온다. * [[레드 데드 리뎀션]]과 [[레드 데드 리뎀션 2]]에서도 [[레드 데드 리뎀션/무기#s-3.2|스코필드]] [[레드 데드 리뎀션 2/무기#s-3.1.3|리볼버]]라는 이름으로 나온다. 대중매체에서는 SAA에 비해 덜 등장했기 때문인지, 유튜브의 스코필드 리볼버를 소개하는 영상에는 죄다 레드 데드 리뎀션 댓글밖에 없을 지경이다. 또한 작중 2편에서 갱단의 리더인 "더치 반 더 린드"가 사용하는 쌍권총이다. 허나 작중에 2편의 이후 시점인 1편에서 더치의 무기는 반자동 권총 (보르하르트 C93)으로 대체 되었다. * [[헌트 쇼다운]]에서 중간탄을 사용하는 리볼버로 등장했다. 서부 배경이기 때문에 한발씩 탄피를 빼는 다른 리볼버에 비해 탄피를 한번에 날려버리기 때문에 장전속도가 약간 빠르고 [[스피드 로더]] 바리에이션까지 존재한다. 다만 방아쇠를 풀어야 헤머 콕킹이 되는 구조의 고증인지 [[콜트 싱글 액션 아미]]보다 연사가 느리고 반동패턴이 상이하다. * 영화에서는 [[클린트 이스트우드]]가 주연으로 등장하는 조 키드, [[장고: 분노의 추적자]]에도 등장했고 [[퀵 앤 데드(1995년 영화)|퀵 앤 데드]]와 [[비겁한 로버트 포드의 제시 제임스 암살]]에서도 이 리볼버가 등장했다. * [[콜 오브 후아레즈 시리즈]]에서는 '퀵 슈터'라는 이름으로 출현하며, 연사력이 높고 장전이 빠르지만, 위력이나 명중률은 다른 권총들에 비해 모자른게 단점. * [[테크랜드|동일 제작사]]의 좀비 서바이벌 게임 [[Dying Light]]의 확장팩 '[[Dying Light/The Following|더 팔로잉]]'에서도 '퀵 슈터'라는 이름으로 역시 연사가 빠르지만 위력이 약한 권총으로 등장했다. * 애니메이션에서는 특이하게도 [[도라에몽]]의 [[도라에몽/극장판|극장판 애니메이션]]중 하나인 [[극장판 도라에몽: 신 진구의 우주개척사|신 진구의 우주개척사]]의 오프닝에서 등장한 것으로 추정되는데 [[노진구]]가 쥐고 있는 리볼버의 외형이 모델 3과 유사하다. [[https://www.youtube.com/watch?v=BkO5PKhwDow|#]] * 보드게임 [[뱅(보드 게임)|뱅]]에서 사거리 2의 플레잉 카드로도 등장한다. * [[골든 카무이]]에서 러시아 제국 도입형이 오흐라나가 사용하는 것으로 짧게 등장하는데, 작가의 실수인지 웨블리 Mk.VI에 M3의 방아쇠울을 합쳐놓았다... * [[메트로: 엑소더스]]에 등장한 [[메트로: 엑소더스/장비#권총(pistol)|권총]]의 모티브가 되는 리볼버중 하나라는 이야기가 있다. [[https://www.youtube.com/watch?v=XKRTkZOFiuk|#]][[https://bbs.ruliweb.com/community/board/300143/read/59720433|#]][* 여담으로 이 유튜버는 게임상의 괴상하게 마개조된 총기들을 보고 (일명 [[밈(인터넷 용어)/해외#s-2.4|Cursed Gun]]) 고통 받는 [[https://www.youtube.com/watch?v=QnbY28EbDCM|영상]]으로도 유명하다. [[https://arca.live/b/singbung/43081837|#]][[https://bbs.ruliweb.com/community/board/300143/read/55713017|#]]] * [[타임 코만도]]에서 현대전에 등장하는 무기 중 하나로 등장했다. == 에어소프트건 == * [[https://actionsportgames.com/|ASG]]와 [[https://barraairguns.com/|Berra]]에서 스코필드 모델을 출시했다. [[https://wolfarmouries.co.uk/asg-schofield-s-w-model-3-major-3-co2-airsoft-revolver.html|#]] == 관련 링크 == * [[https://en.wikipedia.org/wiki/Smith_%26_Wesson_Model_3]] * [[https://www.imfdb.org/wiki/Smith_%26_Wesson_Model_3]] * [[https://www.imfdb.org/wiki/Smith_%26_Wesson_Schofield]] * [[https://bemil.chosun.com/site/data/html_dir/2019/09/03/2019090301053.html]] == 둘러보기 == [include(틀:미서전쟁/미국 보병장비)] [include(틀:1차 세계대전/연합군 보병장비)] [include(틀:미서전쟁/스페인 보병장비)] [include(틀:러일전쟁/러시아 보병장비)] [include(틀:러일전쟁/일본 보병장비)] [include(틀:1차 세계대전/동맹군 보병장비)] [include(틀:2차 세계대전/튀르키예 보병장비)] [include(틀:보병장비 둘러보기)] [[분류:리볼버]][[분류:보병 무기/근대]][[분류:보병 무기/세계 대전]][[분류:S&W]][[분류:1870년 이전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