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미국의 남성 래퍼]][[분류:동부 힙합 그룹]][[분류:3인조 음악 그룹]][[분류:로큰롤 명예의 전당 헌액자]][[분류:1984년 데뷔]][[분류:아프리카계 미국인]] ||
{{{#fff '''Run DMC의 주요 선정 이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2>
[[파일:5ARYZvK4L2afx8AcWcf6kF-1.jpg|width=60]] {{{+1 '''[[로큰롤 명예의 전당|{{{#DAA520 로큰롤 명예의 전당}}}]] {{{#DAA520 헌액자}}} ''' }}} || ||<-2><^|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ffd700 이름}}}''' || '''{{{#ffd700 런-디.엠.씨.[br]RUN-D.M.C.}}}''' || || '''{{{#ffd700 헌액 부문}}}''' || '''{{{#ffd700 공연자 (Performers)}}}''' || || '''{{{#ffd700 멤버}}}'''[* 로큰롤 명예의 전당에 헌정된 이름 그대로 표기함.] || '''{{{#ffd700 조지프 "DJ 런" 시먼스,[br]대릴 "D.M.C." 맥대니얼스, 제이슨 "잼-마스터 제이" 미젤}}}''' || || '''{{{#ffd700 입성 연도}}}''' || '''{{{#ffd700 2009년}}}''' || || '''{{{#ffd700 후보자격 연도}}}''' || '''{{{#ffd700 2009년}}}''' || || '''{{{#ffd700 후보선정 연도}}}''' || '''{{{#ffd700 2009년}}}''' ||}}}}}}}}} || ---- [include(틀:역대 그래미 평생 공로상 수상자)] ---- [include(틀:어클레임드 뮤직 선정,항목=1980년대 아티스트,순위=19)] }}} || ||<-2>{{{#!wiki style="margin: -10px -10px" ||
[[파일:2048px-Run-DMC_Logo.svg.png|height=90]] ||{{{#fff '''{{{+1 런 DMC}}}'''[br]{{{-2 Run DMC}}}}}} ||}}}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external/fanart.tv/run-dmc-4fe822ee66234.jpg|width=100%]]}}} || |||| {{{-2 ▲왼쪽에서 부터 조지프 "DJ 런" 시먼스, 대릴 "DMC" 맥대니얼스, 제이슨 윌리엄 "잼 마스터 제이" 미젤}}}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다른 사진 보기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fanart.tv/run-dmc-4fe3c38a7be1f.jpg|width=100%]]}}}[* 사진에 나온 RUN DMC 티셔츠는 [[탑텐]]에서 판매하기도 하였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www.rundmc.com/empire.jpg|width=100%]]}}} || }}}}}}}}}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2> '''결성''' ||[[1983년]] || ||[[미국]] [[뉴욕주]] [[퀸스]] || ||<|3> '''멤버''' ||조지프 "DJ 런" 시먼스 || ||대릴 "DMC" 맥대니얼스 || ||제이슨 윌리엄 "잼 마스터 제이" 미젤 || || '''장르''' ||[[이스트코스트 힙합]][br]랩 락 || || '''링크''' ||[[http://www.rundmc.com/|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2]]]] [[https://www.facebook.com/RunDMC/|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2]]]] [[https://www.instagram.com/rundmc/|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2]]]] [[https://www.youtube.com/@RunDMC| [[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18]]]] || [목차] [clearfix] == 개요 == Run-D.M.C.는 1980년대 뉴스쿨 힙합을 대표하는 그룹이자 우리가 알고 있는 [[힙합 음악]]의 기틀을 닦은 선구자 중 하나다. == 활동 == 조지프 시먼스는 매니저로 일하던 형 러셀 시먼스를 따라 커티스 블로의 공연무대에 DJ로 서면서 음악을 자신의 길로 삼게 되었다. 살고 있던 뉴욕 퀸스의 동네 Hollis의 친구 맥대니얼스와 미젤을 끌어들여 Run DMC를 결성하고 형의 연줄을 통해 레코드 계약도 얻어냈다. 이렇게 만든 싱글 'It's Like That'과 앨범 는 기존의 올드 스쿨 힙합과는 다른 단순하고 강렬한 비트위에 강하게 끊어 내뱉는 소리지르는 듯한 랩으로 힙합의 새로운 조류, [[동부 힙합|뉴 스쿨]]을 열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뒤이은 2집 도 하드록 기타를 앞세운 타이틀 트랙과 댄스홀/레게를 랩에 도입한 'Roots, Rap, Reggae' 등을 통해 연속 히트를 얻어낸다. 러셀 시먼스와 [[데프 잼 레코딩스]]를 공동 창립한 [[릭 루빈]]을 프로듀서로 맞아 제작한 1986년의 3집 <[[Raising Hell]]>로 Run DMC는 대성공을 거두게 된다. 첫 싱글인 '[[Walk This Way]]'는 원작자인 [[에어로스미스]]의 스티븐 타일러와 조 페리가 직접 참여하여 랩과 록이라는 흑인음악과 백인음악이 교류-융합을 이뤄낸 기념비적인 작품이며, 차트에서의 성공으로 힙합이라는 신생장르가 미국 팝의 메인스트림에 안착하는 시발점이 되었으며 힙합의 전성기 "골든 에라"의 시작으로 평가받는다.[* 끝은 비즈 마키가 길버트 오'설리반의 소송에서 패하면서 샘플사용시 원작자의 동의을 얻고 사용료를 내야하는 판결이 난 1991년으로 꼽는 사람이 있다.] 더불어 에어로스미스도 기나긴 부진에서 벗어나 새로운 팬을 얻었으며, - - -'아마게돈 주제가'로 이어지는 10년의 전성기를 맞게 해주었다. 이후 시대의 조류에 맞게 업데이트한 4집으로 성공을 이어갔지만 [[뉴 잭 스윙]]과 R&B를 도입한 5집이 상업적 비평적으로 실패하고 멤버들의 알콜 약물문제와 사건사고가 터지면서 휴식에 들어갔다. 이후 1993년 Pete Rock & CL Smooth, Q-Tip, EPMD, Naughty by Nature, [[퍼블릭 에너미]]의 프로듀서 봄 스쿼드(Bomb Squad), [[크리스 크로스]]를 성공시킨 [[저메인 듀프리]], [[레이지 어게인스트 더 머신]]의 톰 모렐로라는 호화 참여진을 내세운 앨범으로 컴백에 성공한다. 이후 런은 [[목사]]로, DMC는 가정으로, 잼마스터 제이는 후배양성으로 시간을 보냈다. 오랜 침묵 후 다시 스튜디오에 모였지만 이번에는 앨범의 방향성을 놓고 갈등이 일어났다. 런은 당시 유행하던 [[뉴메탈]]에 맞춰 강하고 록적인 사운드의 유지를 원했지만 DMC는 좀더 개인적이고 내면적인 '[[싱어송라이터]]'스러운 변화를 원했다. 회사가 런의 손을 들어주면서 DMC는 아예 앨범 참여를 거부하는 상황에 이르렀다. 결국 완성된 앨범은 [[림프 비즈킷]]의 프레드 더스트, 키드 록, [[Nas]] 등의 호화 게스트를 자랑했지만 'DMC와 잼마스터 제이가 없는, 시대를 따라잡기 급급한 이벤트 앨범'이라는 혹평을 들으며 망했다. 에어로스미스와 함께한 합동투어는 대성공을 거두었지만 런마저 음악활동에 염증을 느끼며 나가 버렸다. 그리고 2002년 10월 30일, 퀸스의 자기 스튜디오에서 잼-마스터 제이가 총격을 입고 사망하면서 런-디엠씨는 해산하게 되었다. 여담으로 현재 DJ 런은 오순절교회 목사가 되었다고 한다. == 업적 == 일단 이들 이후의 모든 래퍼들은 Run DMC의 영향 아래에 있다고 말할수 있다. 이 말이 절대 과장이 아닌 게, 기존의 올드 스쿨 힙합이 [[디스코]]나 [[펑크 음악|펑크]]의 반주나 브레이크를 잘라 그 위에 랩을 얹는 파티용 음악을 했다면 이들은 직접 [[신시사이저]] 기본 루프를 만들고 드럼머신으로 비트를 찍은 다음 턴테이블로 스크래치를 넣는 힙합의 기본 작법을 완성시켰다. 즉 올드스쿨의 종말과 [[동부 힙합|뉴스쿨]]의 시작이었던 것이다. 그리고 'Walk This Way'의 랩 록 퓨전은 퍼블릭 에너미+앤스랙스, [[페이스 노 모어]]의 랩 메탈, [[레드 핫 칠리 페퍼스]]의 펑키/얼터너티브, RATM, 콘, 림프 비즈킷의 뉴 메탈로 이어졌다. 패션에서도 큰 변화를 가져왔는데 기존 올드스쿨 래퍼들의 경우 디스코 의상을 그대로 들고와 롱부츠와 정장, 색색의 반짝이 옷을 입었다면 이들은 거리의 문화를 그대로 받아들여 [[아디다스]] 체육복에 검은 중절모, 끈 없는 아디다스 슈퍼스타[* 감옥에서 흉기로 사용될까 하여 끈 없는 신을 주는 것에서 유래되었다.]를 유행시켰으며 이외에도 [[캉골]] 벙거지모자, 티셔츠, [[Lee]] 청바지, 가죽 재킷, 성공의 상징인 커다란 금목걸이 등 기본 [[스트리트 패션|힙합 패션]] 스타일을 확립했다.[* Run DMC의 대중친화적인 스타일링 방식은 연예인 의류 사업에 정말 중요한 사례로 남는다. 대표적으로 [[카니예 웨스트]]가 본인 팬층이 어느정도 접근 가능한 가격대에 제품을 출시함과 동시에 본인부터 브랜드를 적극적으로 입고 파파라치를 통해 간접적으로 공개하는 방식으로 엄청난 노이즈 마케팅에 성공했다. 이는 Run DMC의 사례를 사업적으로 벤치마킹한 것이며 동시기 본인 팬베이스가 접근 불가능한 가격대의 [[구찌]]만 주구장창 입으며 과시했던 여느 래퍼들과 가장 두드러지는 차이점이었다.] 이 시기 미국에서 학창시절을 보낸 70년대생 [[미국 흑인|흑인]]들은 이들에게 엄청난 영향을 받으며 자랐다. 무대에서도 Grandmaster Flash and the Furious Five, [[Afrika Bambaataa]] 등의 대규모 편성에서 벗어나 "턴테이블 2대와 마이크"를 잡은 "1 DJ & 2 MC"체제를 만들었다.[* 우리나라로 보면 이러한 조합과 가장 비슷한 그룹이 바로 [[에픽하이]]다.] 최초의 골드, 플래티넘, 멀티플래티넘 앨범, 최초의 MTV 등장, 롤링 스톤즈 표지 등장, 최초의 거대기업 후원(아디다스) 등 힙합음악사에서 수많은 '최초'를 달성했다. 런의 형 러셀 시먼스는 데프잼의 공동창립자로 힙합계 최고의 부자중 한 사람이며 아들 대니얼도 '디지(Diggy)'라는 예명으로 래퍼로 성공적으로 데뷔했다. 잼마스터 제이는 [[50 Cent]]를 언더에서 처음으로 발굴하였다.[* 한때 제이의 죽음이 50와 [[Murder Inc.]]의 갈등 때문이라는 루머가 있었다. Murder Inc.는 범죄집단과 연루되어 있으며 여기에 디스를 걸면서 50는 블랙리스트에 올라있었는데 제이가 이를 무시하고 픽업했기 때문이라는 것. 50의 9발 총격의 배후에도 Murder Inc.가 있다는 주장이다.] 우리나라에서는 80년대 코미디프로 [[쇼 비디오 자키]]의 코너 '씨커먼스'에서 이들의 'You Be Illin''을 사용한 것으로 알려져있으며, 2007년 [[개그콘서트]]의 [[키컸으면]] 코너에서도 이 곡을 사용하였다. 레슬링 팬들에게는 [[디 제너레이션 X|DX]]의 테마곡을 랩으로 바꾼 [[https://www.youtube.com/watch?v=_OOhmBZ6e1w|The Kings']]로 알려져 있다. 2009년 로큰롤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 대표곡들 == [youtube(l-O5IHVhWj0, width=100%)] [[It's Tricky]][* 알만한 사람은 다 알겠지만 뮤비에 마술계의 이단아로써 미국에서 컬트적인 인기를 끌은 전설의 듀오 펜과 텔러가 나온다] [youtube(qXzWlPL_TKw, width=100%)] King of Rock [youtube(4B_UYYPb-Gk, width=100%)] Walk This Way [youtube(vLiHBn4G6qg, width=100%)] Here we go (Live at the funhouse)[* 시작할 때 나오는 "아,예!" 하는 소리는 '''수백 수천개 곡'''에서 추임새로 쓰일 정도로 엄청 유명해졌다. 어떤 음악에서 굵은 남성 소리로 "아~예!"하는 소리가 나온다면 십중팔구 이 노래 시작에서 따온 것이다.] == 디스코그래피 == * Run–D.M.C. (1984) * King of Rock (1985) * [[Raising Hell]] (1986) * Tougher Than Leather (1988) * Back from Hell (1990) * Down with the King (1993) * Crown Royal (2001) == 둘러보기 == [include(틀:스핀 매거진 선정 지난 35년간 가장 영향력 있는 아티스트)] [include(틀:미국 의회도서관 영구 등재 앨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