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락 더 하우스''' ||<:> 최초 수록 버전 ||||<:> [[펌프 잇 업 2015 PRIME]] || ||<:> 아티스트 ||||<:> Matduke || ||<:> BPM ||||<:> 175 || ||<:> 비주얼 ||||<:> ATTO. || ||<:> 채널 ||||<:> World Music / Prime || ||||||||||<:><#DDDDDD> 레벨 데이터 ※[[펌프 잇 업 PHOENIX|PHOENIX]] 기준 || ||<:> 타입 ||||<:> 레벨 || ||<|2><:> Normal ||<#ff5400> {{{#white Single}}} || 7 / 10 / 16 || ||<#00881a> {{{#white Double}}} || 11 / 13 / 18 / 22 || ||<:><|2> Short Cut ||<#ff5400> {{{#white Single}}} || 15 / 18 || ||<#00881a> {{{#white Double}}} || 20 || ||<-5> 채보 제작자 || || 타입 ||<-2> 레벨 및 제작자 || ||<|5> Normal || {{{#white S7 / S10 / S16 }}} ||<|2> AYAPPING || || {{{#white D11 / D18}}} || || {{{#white D13}}} || IMBA || || {{{#white D22}}} || [[EXC(게임 개발자)|EXC]] || || {{{#white DP3}}} || KAZEMURA || ||<|3> [[펌프 잇 업/숏컷·풀 송|Short Cut]] || {{{#white S15}}} ||<|2> CONRAD || || {{{#white D20}}} || || {{{#white S18}}} || [[EXC(게임 개발자)|EXC]] || [목차] [clearfix] == 개요 == ~~[[피펨즈]]와 [[Jboy]]를 몰락시킨 곡~~ Matduke가 프라임에 제공한 하드 댄스 악곡으로 한국과 미국, 캐나다판에서만 수록된 곡이다. Monstercat의 [[2013년]] 앨범에 풀 송이 존재한다. 숏 컷이 프라임 2 초기에는 오리지널 악곡이었으나 월드 뮤직으로 바뀌었다. 하지만 프라임 2 기준으로도 어째서인지 UCS가 지원되기도 했다. === BGA === [youtube(MQ8EKlmJlCU)] [[Robot Battle]]의 BGA를 제작했던 ATTO.가 제작. 이후 한동안 활동하지 않았다가 다시 [[Macaron Day]]의 일러스트를 담당했다. == 채보 구성 == === 아케이드 === * S7 - 떨기 구성의 정박 [[채보]]지만, 곳곳에 햇갈리게 엇박이 있고, 후살도 어느정도 있기 때문에 7레벨 중에서는 어려운 편. [youtube(are9ETim1Ew)] * S10 - S7의 떨기를 틀기로 바꾼 채보. 박자가 S7과 완전히 같으므로, S7을 충분히 익히면 도움이 된다. [youtube(tUh6WNj4nrA)] * S16 - PRIME 2까지는 레벨 17로 책정되었다. 다만 채보 구성이 레벨대에 비하면 허리틀기는 없기 때문에 어려운 패턴은 아니다. 후반에 폭타와 떨기가 동반하여 몰리는 후살이 나오나 그 패턴들 마저도 복잡하지 않아서 레벨 값은 하지 못했다. 결국 16레벨로 하향되었다. [youtube(PoFJ8ocKKHE)] * D11 - [youtube(YiIIL33BauU)] S10을 펼친 채보이다. 하프 계단 연습에 적합한 곡이기도 하다. 트릴도 적절히 섞여 있으나 중반부 변속 구간에서 노래 박자를 알아야 수월한 노트 배치가 있다.[* 언뜻 보면 동시에 눌러야 하나, 그렇게 할 경우 나중에 올라오는 노트 하나의 판정이 나빠져서 잘못하면 잔미스가 뜨게 되어 있다.] 처음 수록 되었을 때는 D10이었으나 하프 계단 전에 나오는 패턴 중에 더블클릭이 있기도 하고 중반부 변속 구간이 워낙 게이지가 깎이기 쉬운 편이어서 D11로 상향되었다. * D13 - UCS 공모작을 통해 당선된 채보. 이 채보의 특징은 중반부와 최후반부의 16비트 트릴이다. 그 외 중반부에 타이밍을 요구하는 변속이 나온다. [youtube(gpXoewtDFhA)] * D18 - ~~22레벨과는 다르게~~ 틀기와 트릴, 체중이동이 곡과 매치되는 개념 채보. 전체적으로 무난한 레벨 18 채보로 다리 속도만 받쳐준다면 레벨 18 입문으로 도전해 볼 만 하다. [youtube(esrTN1ietM4)] * D22 [youtube(TW6mTV_n-VM)] 채보 영상. 1분 57초부터 보면 이 채보의 전부를 본 것이나 다름없다. 이 곡의 다른 채보들과 마찬가지로 후반부와 떨기에 모든 것을 거는 채보이다. 앞부분은 22라고 하기엔 매우 부실한 난이도를 가지고 있으나[* 앞부분에도 뒷부분과 같이 32비트 떨기가 나오긴 하나 매우 짧게 나오고 그것도 뒷부분의 롱노트로 회복이 가능한 구조이다. 그나마도 32비트 떨기는 정말 짧은 구간이고 후반 전까지 긴 떨기는 800콤대의 한 구간 제외하면 전부 24비트이다.] 곡의 맨 끝에 32비트 떨기가 2.7초간 나오면서 마무리 된다. '''초당으로 환산하면 23타.''' 이 때문에 채보의 퀄리티 문제로 구설수에 오르기도 했다. 이것을 16비트로 환산하면 BPM 350이라는 수치가 나오는데 일반적인 떨기로 밟는 것은 무리이다. 두 발판을 양발로 교차해가면서 겹밟기로 밟아야 하는데 그마저도 고속으로 떨어야 하는 것. 브렉온 클리어를 노린다면 사실상 이 부분이 유일한 승부처. 발판이 좋지 않거나 순정 발판의 경우에는 고속 겹발 트릴 자체를 인식 못해 클리어가 불가능에 가깝다. 발판의 영향을 극심하게 받는 편. 이 때문에 표기 난이도의 의미가 없을 정도로 개인차가 매우 크다. 극단적인 경우로 WPF2016의 준결승전에서 이 채보가 나오는 바람에 [[FEFEMZ*]]가 결승 진출에 실패했으며, [[Jboy]]도 이 채보를 굉장히 싫어한다고 한다. 하지만 FEFEMZ*가 결국 [[http://gall.dcinside.com/rhythmgame/9249904|올 퍼펙트]]를 달성했다.--트라우마 극복-- 여담이지만 한계 이상의 떨기가 들어간 이유는 [[http://blog.naver.com/wjdeodms2003/220221352811|여길 풀콤보를 달성한 사람이 있어서 라고 한다.(...)]] [[펌프 잇 업 XX|XX]]에서는 SS 이상을 달성하면 DRILL Lv.8 칭호를 획득할 수 있다. === 숏 컷 === * S15 - 싱글 18 처럼 프리징이 섞여있는 곡이긴 하나 거의 시각적인 효과인 수준. 떨기 박자만 맞춘다면 15치고는 적당한 채보다. [youtube(yBf1uJY3vac)] * S18 - '''프리징 변속'''이 찰진 변속 [[낚시]]곡. 곡의 킥드럼 소리에 맞춰 밟아야 하기 때문에 초견 플레이 시 굉장히 당황스러울 수 있다. 이후 16비트 트릴이 길게 있으므로 박자가 밀리지 않게 주의해야 한다. 짧지만 강도가 있는 곡이므로 체력안배를 잘 하자. [[펌프 잇 업 XX|XX]]에서는 SS 이상을 달성하면 GIMMICK Lv. 5 칭호를 얻을 수 있다. [youtube(7w6ZoYEj_fQ)] * D20 - 레벨 20 수준의 폭타곡이다. 다만 강도있는 폭타가 쉬지않고 몰아치니 주의. [youtube(VN-K90HiebQ)] === 삭제된 채보 === [youtube(op2m13hTl_Q)] * S16 - UCS 공모작을 통해 당선된 채보이다. 앞서 서술된 S16[* 프라임2때까지는 17이었다.]의 보완버젼이라해도 무방하며 확실히 어렵다. * DP3 [[분류:펌프 잇 업 수록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