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2017년 12월에 공개한 본가 모델이자 동명의 스마트폰, rd1=Redmi Note 5 시리즈, paragraph1=1)] [include(틀:샤오미 한국 출시 스마트폰)] [include(틀:Redmi Note 시리즈)] ||<-2> [[파일:Xiaomi_RedmiNote5AI_Black-Gold_MIcn.png|width=100%]] || || {{{#8e9091 '''블랙'''}}} || {{{#ffffff '''골드'''}}} || ||<-2> [[파일:Xiaomi_RedmiNote5AI_Rose-Blue_MIcn.png|width=100%]] || || {{{#fefaf6 '''로즈 골드'''}}} || {{{#6aa0ce '''매직 블루'''}}} || ||<-2> {{{#!wiki style="" {{{#white {{{#!folding [ 추가 색상 렌더링 이미지 ] {{{#!wiki style="margin: -1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7px" || ||[[파일:Xiaomi_RedmiNote5AI_Red_MIcn.jpg|width=100%]]|| || || || {{{#ffffff '''레드'''}}} || || }}}}}}}}}}}} || ||<-2> [[https://www.mi.com/kr/redmi-note-5/|{{{#ffffff 한국 샤오미 Redmi Note 5 공식 사이트}}}]] || >'''The camera beast.''' [목차] == 개요 == [[샤오미]]가 2017년 12월에 공개한 [[안드로이드(운영체제)|안드로이드]] [[스마트폰]]인 [[샤오미 Redmi Note 5 시리즈|Redmi Note 5]]의 파생 모델로, '''Redmi Note 5 AI'''라는 정식 발매명으로 2018년 3월에 공개한 [[안드로이드(운영체제)|안드로이드]] [[스마트폰]]이다. 한국에는 2018년 7월 12일에 '''Redmi Note 5'''로 정식 발매명을 변경해 [[SK텔레콤]], [[KT]]를 통해 출시되었다. KT는 "샤오미 홍미노트5 AI[* KT 모델명 구분 MI-RMN5AI. 해석하자면 '''Xiao__MI__ __R__ed__M__i __N__ote __5__ __AI__'''.] " 라고 부르고 있다. == 사양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프로세서||[[퀄컴 스냅드래곤/6XX 라인업#s-3.8|퀄컴 스냅드래곤 636 SDM636]] Platform. {{{#!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구성 내용 확인 ] || [[CPU]] ||[[퀄컴/마이크로아키텍처#Kryo 2XX|Qualcomm Kryo 260]] Octa-Core 1.8 GHz [[CPU]] || || [[GPU]] ||[[퀄컴 Adreno]] 509 [[GPU]] || || NPU & DSP ||[[퀄컴]] Hexagon 680 DSP || || Sensor Hub ||DSP 대체 || || 통신 모뎀 ||[[Qualcomm Snapdragon X12 LTE Modem]] ||}}}}}}|| ||[[메모리]]||4 GB LPDDR4X SDRAM, 64 GB [[eMMC]] 5.1 규격 내장 메모리, [[Secure Digital|micro SDXC]] (규격상 2 TB, 256 GB 공식 지원)|| ||[[디스플레이|디스[br]플레이]]||5.99인치 18:9 비율 [[해상도/목록|2160 x 1080]] IPS TFT-LCD (403 ppi){{{#!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세부 정보 확인 ] || 공급사 ||[[Tianma]], [[CSOT|Huaxing]], Shenchao || || 픽셀배열 ||RGB 서브픽셀 방식[* [[https://www.notebookcheck.net/fileadmin/Notebooks/Xiaomi/Redmi_Note_5/Subpixel.jpg| ]]] || || 패널정보 ||IPS TFT-LCD || || 부가정보 ||최대 주사율 60 Hz ||}}}}}}[br]멀티터치 지원 정전식 [[터치 스크린]]|| ||[[네트워크]]||{{{#!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4G Network ] [[LTE]] Cat.12·13 FDD & [[TD-LTE|TDD]][br][[VoLTE]] 지원}}}}}}{{{#!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3G Network ] [[4G|HSPA+]] 42Mbps, [[WCDMA|HSDPA & HSUPA & UMTS]][br]Wideband Audio 및 음성 통신 지원}}}}}}{{{#!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2G Network ] [[GSM|GSM & EDGE]][br]음성 통신 지원}}}}}}|| ||근접통신||[[Wi-Fi]] 802.11a/b/g/n/ac, [[블루투스]] 5.0, IR Blaster|| ||위성항법||[[GPS|GPS & A-GPS]], [[GLONASS]], [[Beidou]]|| ||[[카메라]]||전면 1,300만 화소 (F/2.0)[br]{{{#!folding [ 후면 카메라 정보 - 듀얼 렌즈 구성 ] ||기본 || 1,200만 화소||듀얼 픽셀 || [[위상차 검출 AF]]||<|2>[[LED]] [[플래시(카메라)|플래시]] || ||심도 || 500만 화소|| || ||}}}|| ||[[배터리]]||내장형 Li-Polymer 4000 mAh {{{#!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충전 기술 정보 ] || 유선고속충전 ||퀄컴 퀵 차지 3.0 (18 W) ||}}}}}}|| ||[[운영체제]]||[[안드로이드(운영체제)/버전|안드로이드]] 8.1 (Oreo) → 9 (Pie)[br][[MIUI]] 9 → 10 → 11 → 12|| ||규격||75.4 x 158.6 x 8.1 mm, 181 g|| ||색상[* 한국 출시 당시 기본 색상에 볼드 처리]||'''블랙''', '''골드'''|| ||단자정보||USB 2.0 micro Type-B x 1, 3.5 mm 단자 x 1[br]하이브리드 듀얼심 지원 - Full Netcom 3.0|| ||생체인식||[[지문인식]] - 에어리어 방식 별도 센서 탑재[br]얼굴인식 - 전면 카메라 인식 방식|| ||기타||[[FM#s-2]] [[라디오]] 지원|| ||<-2> '''한국 출시 모델인 M1803E7SG 이외 지역 하드웨어 사양'''{{{#!wiki style="margin: 0 -12px; border-right: 2px solid transparent; border-left: 2px solid transparent" {{{#181818,#e5e5e5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프로세서 ||<-2>[[퀄컴 스냅드래곤 6]]36 SDM636 Platform. {{{#!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구성 내용 확인 ] || [[CPU]] ||[[퀄컴/마이크로아키텍처#Kryo 2XX|Qualcomm Kryo 260]] Octa-Core 1.8 GHz [[CPU]] || || [[GPU]] ||[[퀄컴 Adreno]] 509 [[GPU]] || || NPU & DSP ||[[퀄컴]] Hexagon 680 DSP || || Sensor Hub ||DSP 대체 || || 통신 모뎀 ||[[Qualcomm Snapdragon X12 LTE Modem]] ||}}}}}} || ||<|3>[[메모리]] ||3 GB LPDDR4X SDRAM, 32 GB [[eMMC]] 5.1 규격 내장 메모리 ||<|3>[[Secure Digital|micro SDXC]] (규격상 2 TB, 128 GB 공식 지원) || ||4 GB LPDDR4X SDRAM, 64 GB [[eMMC]] 5.1 규격 내장 메모리 || ||6 GB LPDDR4X SDRAM, 64/128 GB [[eMMC]] 5.1 규격 내장 메모리 || ||[[디스플레이|디스[br]플레이]] ||<-2>5.99인치 18:9 비율 [[해상도/목록|2160 x 1080]] IPS TFT-LCD (403 ppi){{{#!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세부 정보 확인 ] || 공급사 || || || 픽셀배열 ||RGB 서브픽셀 방식 || || 패널정보 ||IPS TFT-LCD || || 부가정보 ||최대 주사율 60 Hz ||}}}}}}[br]멀티터치 지원 정전식 [[터치 스크린]] || ||[[네트워크]] ||<-2>{{{#!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4G Network ] || '''기본지원''' || [[LTE]] Cat.12·13 FDD & [[TD-LTE|TDD]][br][[VoLTE]] 지원 || || '''{{{#ffff00 선택지원}}}''' || 없음 ||}}}}}}{{{#!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3G Network ] || '''기본지원''' || [[4G|HSPA+]] 42Mbps, [[WCDMA|HSDPA & HSUPA & UMTS]], [[TD-SCDMA]][br]Wideband Audio 및 음성 통신 지원 || || '''{{{#ffff00 선택지원}}}''' || 없음 ||}}}}}}{{{#!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2G Network ] || '''기본지원''' || [[GSM|GSM & EDGE]], [[CDMA2000|CDMA & EV-DO Rev. A]][br]음성 통신 지원 || || '''{{{#ffff00 선택지원}}}''' || 없음 ||}}}}}} || ||근접통신 ||<-2>[[Wi-Fi]] 802.11a/b/g/n, [[블루투스]] 5.0, IR Blaster || ||위성항법 ||<-2>[[GPS|GPS & A-GPS]], [[GLONASS]], [[Beidou]] || ||[[카메라]] ||<-2>전면 1,300만 화소 (F/2.0)[br]{{{#!folding [ 후면 카메라 정보 - 듀얼 렌즈 구성 ] ||기본 || 1,200만 화소||듀얼 픽셀 || [[위상차 검출 AF]]||<|2>[[LED]] [[플래시(카메라)|플래시]] || ||보조 || 500만 화소|| || ||}}} || ||[[배터리]] ||<-2>내장형 Li-Polymer 4000 mAh {{{#!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충전 기술 정보 ] || 유선고속충전 ||퀄컴 퀵 차지 3.0 (18 W) ||}}}}}} || ||[[운영체제]] ||<-2>[[안드로이드(운영체제)/버전|안드로이드]] 7.1 (Nougat) → 8.1 (Oreo) → 9 (Pie)[br][[MIUI]] 9 → 10 → 11 → 12|| ||규격 ||<-2>75.4 x 158.6 x 8.1 mm, 181 g || ||색상[* 제품 공개 당시 같이 공개된 기본 색상에 볼드 처리] ||<-2>'''블랙''', '''골드''', '''로즈 골드''', '''매직 블루''', 레드 || ||단자정보 ||<-2>USB 2.0 micro Type-B x 1, 3.5 mm 단자 x 1[br]하이브리드 듀얼심 지원 - Full Netcom 5.0 || ||생체인식 ||<-2>[[지문인식]] - 에어리어 방식 별도 센서 탑재[br]얼굴인식 - 전면 카메라 인식 방식 || ||기타 ||<-2>[[FM#s-2]] [[라디오]] 지원 || }}}}}}}}} || }}} * 지원 이동통신 주파수 - [[https://www.mi.com/kr/redmi-note-5/specs/|글로벌 모델 M1803E7SG 기준]](한국 출시 기기) * 4G [[LTE]]-FDD Band 1, 3, 5 / 4G [[LTE-TDD]] Band 40, 41 * 3G [[WCDMA]] 850, 900, 1900, 2100 MHz * 2G [[GSM]] 850, 900, 1800, 1900 MHz == 상세 == 샤오미의 5세대 미드레인지 급 [[스마트폰]]인 [[샤오미 Redmi Note 시리즈#s-2.5.1|Redmi Note 5]]의 AI 강화 모델이다. 2018년 3월, 중국 시장에서 공개되었다. [[샤오미 Redmi Note 시리즈#s-2.5.2|Redmi Note 5 Pro]]를 기반으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전반적으로 [[샤오미 Redmi Note 시리즈#s-2.5.2|Redmi Note 5 Pro]]와 동일하게 [[샤오미 Redmi 시리즈#s-2.5.1|Redmi 5]]와 패밀리룩을 이루고 있다. 기본 색상은 블랙, 골드, 로즈 골드, 매직 블루, 레드로 총 5종이다. 사양은 우선 AP로 [[퀄컴 스냅드래곤 6]]36 SDM636을 사용한다. [[퀄컴/마이크로아키텍처#Kryo 2XX|Qualcomm Kryo 260]] 옥타코어 [[CPU]]와 [[퀄컴 Adreno]] 509 [[GPU]]를 사용한다. RAM은 LPDDR4X SDRAM 방식이며 3 GB, 4 GB 그리고 6 GB로 삼원화되었다. 내장 메모리는 [[eMMC]] 5.1 규격의 낸드 플래시를 사용하며 3 GB RAM 모델은 32 GB 단일 모델이고 4 GB RAM 모델과 6 GB RAM 모델은 64 GB 단일 모델이다. 또한, micro SD 카드로 용량 확장이 가능하다. 단, 하이브리드 듀얼심 방식이기 때문에 두 번째 [[SIM]] 카드와 micro SD 카드를 동시에 장착할 수 없다. 디스플레이는 5.99인치 18:9 비율의 2160 x 1080 해상도를 지원하며 패널 형식은 IPS TFT-LCD이다. 16:9 비율인 Full-HD 해상도에 비해 세로 부분이 확장된 해상도로, [[샤오미]]는 이를 Full-HD+라고 명명해서 홍보하고 있다. 지원 [[LTE]] 레벨은 Cat.12·13로 다운로드는 Cat.12를 적용해 최대 600 Mbps를 보장하고 업로드는 Cat.13을 적용해 최대 150 Mbps를 보장한다. 또한, [[VoLTE]]을 지원하고, Full Netcom 3.0의 듀얼심 솔루션을 지원하며 두 개의 [[SIM]] 카드로 4G 네트워크와 3G 네트워크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 배터리 용량은 내장형 4,000 mAh이며 배터리 최소 용량은 3,900 mAh이다. 또한, 퀄컴 퀵 차지 2.0 규격의 고속충전 기술을 지원한다. 후면 [[카메라]]는 [[삼성 아이소셀]] 패스트 S5K2L7 센서의 1,200만 화소 [[카메라]]를 기본 카메라로 탑재하고 별도의 500만 화소 [[카메라]]를 보조 카메라로 탑재하여 이 둘로 듀얼 렌즈를 구성했다. 그리고 기본 카메라는 "듀얼 픽셀" 기술을 활용한 [[위상차 검출 AF]]를 지원한다. 또한, 조리개값은 F/1.9이다. 전면 [[카메라]]는 1,300만 화소 [[카메라]]를 탑재했다. 단자 규격은 일명 '5핀 단자'라 지칭되는 [[USB]] micro Type-B를 입출력 단자로 사용하며 전송 규격으로 최대 [[USB 2.0]]까지 지원한다. 그리고 사운드 출력을 위한 3.5 mm 단자가 탑재되었다. 에어리어 방식의 [[지문인식]] 센서가 후면 중앙에 탑재되어 있다. 기기 공개 당시 안드로이드 7.1 누가 기반의 커스텀 운영체제인 [[MIUI]] 9을 기본으로 탑재했다. == 출시 == === 한국 시장 === 2018년 6월 25일, 뜬금없이 [[http://sbscnbc.sbs.co.kr/read.jsp?pmArticleId=10000906110|한국 출시가 진행될 것]]이라는 소식이 전해졌다. 이미 샤오미는 지모비코리아를 통해서 [[샤오미 Mi MIX|Mi MIX]]와 [[샤오미 Mi A1|Mi A1]]을 한국 시장에 출시한 전례가 있었지만 [[단말기 자급제]]로 출시될 수 밖에 없었고 심지어 [[샤오미 Mi MIX|Mi MIX]]는 해외직구 전문 업체인 3KH가 유통을 담당하는 등 정석적인 방법이라 할 수 있는 이동통신사를 통한 출시는 진행한 적이 없었다. 그런데 이번에는 [[샤오미 Mi MIX|Mi MIX]]나 [[샤오미 Mi A1|Mi A1]]와는 달리 [[SK텔레콤]]과 [[KT]]를 통해서 출시된다고 한다. 2018년 7월 9일, [[KT]]의 [[http://www.ppomppu.co.kr/zboard/view.php?id=phone&no=3442917|사전 예약 판매 계획이 유출]]되었다. 동년 7월 12일부터 사전 예약 판매가 실시되며 동년 7월 16일에 정식 출시가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정식 발매명이 중국 시장과 동일하게 'Redmi Note 5'로 변경된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https://shop.tworld.co.kr/handler/PhoneDetail-Start?PRODUCT_GRP_ID=000003112|SK텔레콤]]과 [[http://shop.kt.com/smart/productView.do?prodNo=WL00049238|KT]]의 기기 판매 사이트가 개설되었다. 특히, 기본으로 탑재된 운영체제가 안드로이드 8.1 오레오 기반의 커스텀 운영체제인 [[MIUI]] 9로 업그레이드[* 단, 글로벌 모델과 중국 내수용 모델 모두 안드로이드 8.1 오레오로 업그레이드가 진행된 상황이었다.] 되었다. 2018년 7월 12일, [[SK텔레콤]], [[KT]] 그리고 [[단말기 자급제]] 형식으로 11번가를 통해 사전 예약 판매가 실시되었다. 출고가는 299,000 원으로 책정되었다. 2018년 7월 16일, 한국 시장에 정식으로 출시되었다. 그리고 [[SK텔레콤]]과 [[KT]]의 이동통신망을 이용하는 [[MVNO]] 통신사를 통해서도 출시되었다. 2018년 7월 17일, 국립전파연구원에서 글로벌 모델인 M1803E7SG가 [[http://rra.go.kr/ko/license/A_b_popup.do?app_no=201817210000169288|전파인증을 통과]]했다. === 한국 시장 이외 === 이미 [[샤오미 Redmi Note 시리즈#s-2.5.1|Redmi Note 5]] & [[샤오미 Redmi Note 시리즈#s-2.5.2|Redmi Note 5 Pro]]가 [[샤오미]]가 진출한 국가 및 지역에 적절하게 출시되고 있었기 때문에 출시 국가가 적은 편이다. 특히, [[샤오미 Redmi Note 시리즈|Redmi 시리즈]]와 [[샤오미 Redmi Note 시리즈|Redmi Note 시리즈]] 역사 상 가장 정식 발매명 표기가 혼잡하기 때문[* [[샤오미 Redmi 시리즈#s-2.5|Redmi 5 Plus]]가 일부 국가 및 지역에는 정식 발매명이 '[[샤오미 Redmi Note 시리즈#s-2.5.1|Redmi Note 5]]'로 변경되어 출시되면서 족보가 꼬여버렸다.(...)]에 하나하나 따져보면 실제로 출시된 경우는 드물다. 그 중에서 [[샤오미 Redmi Note 시리즈#s-2.5.2|Redmi Note 5 Pro]]를 출시하지 않은 경우에만 정식 발매명을 'Redmi Note 5'로 변경해서 출시되었다.[* 중국 시장 역시 여기에 해당되지만 한자 표기를 사용하기 때문에 정식 발매명을 '红米Note 5'로 변경해서 출시되었다.] 중국에는 Full Netcom 5.0 규격의 [[듀얼 SIM]]을 지원하는 기기가 출시되었다. == 소프트웨어 지원 == === 제조사 공식 === [[샤오미]]는 [[샤오미 Redmi Note 시리즈|Redmi Note 시리즈]]의 소프트웨어 지원 정책으로 OS 업그레이드는 단 한 번만 보장되고 있다. 해당 기기는 안드로이드 7.1 누가로 공개된 상황이기 때문에 안드로이드 8.1 오레오로 OS 업그레이드가 진행된 이후에 출시된 일부 국가 및 지역에 추가적인 OS 업그레이드가 실시될 가능성은 낮은 상황이다. 다만 [[샤오미]]는 기반 운영체제를 안드로이드 9 파이로 업그레이드할 것이라 공식적으로 밝혔다. ==== [[안드로이드 오레오|8.0 / 8.1 오레오]] ==== 2018년 4월 4일, [[MIUI]] 9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기반 운영체제가 안드로이드 8.1 오레오로 업그레이드 되었고 최초 운영체제 버전은 8.1.0이다. 2018년 9월 14일, [[MIUI]] 10 업그레이드가 실시되었다. 다만, 기존 [[MIUI]] 9 자체도 안드로이드 8.1 오레오 기반이었기 때문에 기반 운영체제 버전은 변경되지 않았다. 안드로이드 보안 패치 수준은 2018년 9월 1일이다. 2018년 11월 20일, [[MIUI]] 10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기반 운영체제 버전은 8.1.0 및 커스텀 운영체제 버전은 10.0.4이며 안드로이드 보안 패치 수준은 2018년 10월 1일이다. 해당 업데이트를 통해 메모리 누수 현상과 카메라 색감 렌더링 이슈가 해결되었다. 2018년 12월 11일, [[MIUI]] 10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기반 운영체제 버전은 8.1.0 및 커스텀 운영체제 버전은 10.0.6이며 안드로이드 보안 패치 수준은 2018년 11월 1일이다. 2019년 1월 4일, [[MIUI]] 10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기반 운영체제 버전은 8.1.0 및 커스텀 운영체제 버전은 10.2.1이며 안드로이드 보안 패치 수준은 2018년 12월 1일이다. 2019년 3월 20일, [[MIUI]] 10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기반 운영체제 버전은 8.1.0 및 커스텀 운영체제 버전은 10.2.2이며 안드로이드 보안 패치 수준은 2019년 3월 1일이다. 2019년 5월 13일, [[MIUI]] 10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기반 운영체제 버전은 8.1.0 및 커스텀 운영체제 버전은 10.3.1이며 안드로이드 보안 패치 수준은 2019년 4월 1일이다. ==== [[안드로이드 파이|9 파이]] ==== 2019년 5월 31일, [[MIUI]] 10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기반 운영체제가 안드로이드 9 파이로 업그레이드 되었고 최초 운영체제 버전은 9.0.0이며 안드로이드 보안 패치 수준은 2019년 5월 5일이다. 2019년 8월 15일, [[MIUI]] 10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기반 운영체제 버전은 9.0.0 및 커스텀 운영체제 버전은 10.3.2이며 안드로이드 보안 패치 수준은 2019년 8월 5일이다. 2019년 11월 15일, [[MIUI]] 11 업그레이드가 실시되었다. 기반 운영체제 버전은 9.0.0 및 커스텀 운영체제 버전은 11.0.3이며 안드로이드 보안 패치 수준은 2019년 11월 5일이다. 2020년 11월 23일 기준, [[MIUI]] 11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된 것이 확인되었다. 기반 운영체제 버전은 9.0.0 및 커스텀 운영체제 버전은 11.0.5이며 안드로이드 보안 패치 수준은 2020년 8월 5일이다. 2021년 1월 19일, [[MIUI]] 12 업그레이드가 실시되었다. 기반 운영체제 버전은 9.0.0 및 커스텀 운영체제 버전은 12.0.2이며 안드로이드 보안 패치 수준은 2020년 11월 5일이다. === 커스터마이징 === 2018년 7월 18일, 안드로이드 8.1 오레오 기반 커스텀 롬인 [[LineageOS]] 15.1의 정식 기기 지원 명단에 [[https://download.lineageos.org/whyred|포함]]되었다. [[xda-developers]] 등 관련 커뮤니티에서 다양한 커스터마이징 자료 개발이 [[https://forum.xda-developers.com/redmi-note-5-pro/development|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고 한다. [[MIUI]]가 호불호가 갈리는 커스텀 운영체제이다보니 [[MIUI]]를 선호하지 않는 사용자들이 많이 찾는다고 한다. 특히, 기기 자체의 [[가격 대비 성능비]]가 좋고 소프트웨어 커스터마이징이 쉬운 편에 속해서 커스텀 롬 설치 등에 최적화된 [[스마트폰]]이라는 평가를 받기도 했다. == 논란 및 문제점 == * 일부 서드파티 [[애플리케이션]]과 기본 [[키보드]] [[애플리케이션]]의 한글 입력기가 입력 충돌 문제를 발생시키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이는 [[MIUI]]가 가지고 있는 기본적인 문제점으로, 예를 들어 '나무위키'같은 단어를 입력하려고 하면 'ㄴㅏ무위키'로 입력된다고 한다. 단순 오타로 취급하고 지웠다 다시 작성하기에는 빈도가 잦아서 꽤 성가시는 문제라고 한다. 특히, 겹모음이 들어가는 '위험'같은 단어를 입력할 경우 'ㅇㅟ험'으로 입력되어 알아보기도 힘들고 가독성도 크게 떨어진다고 한다. 이는 기본 설정되어 있는 구글 G보드와 호환성 문제로 충돌하는 것으로 보여 다른 서드파티 키보드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면 어느정도 해결되는 것으로 보인다고 한다. 이후 2018년 8월 말 기준, [[애플리케이션]] 업데이트를 통해 어느정도 해결되었다고 한다. ~~그래도 서드파티 키보드 [[애플리케이션]]이 낫다더라~~ * 3.5 mm 단자를 통해 유선으로 이어폰 등으로 사운드 출력을 할 경우 저음질의 찢어지는 듯한 소리가 난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이 경우 3.5 mm 단자를 몇 번 뺐다 다시 꽂으면 해결되는 경우도 있기는 하지만 이 과정 자체가 불편하다는 비판 의견이 있다. 단, 3.5 mm 단자에 한정된 문제이기 때문에 [[블루투스]]를 이용해서 무선으로 사운드 출력을 할 때는 해당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고 한다. * 기본 음악 [[애플리케이션]]의 문자 순서 배열이 엉망이라고 한다. 로마자는 물론이고 전체 문자열의 순서가 섞여서 나열되기 때문에 파일 탐색에 지장이 있다고 한다.[* 이는 다른 [[샤오미]]의 [[스마트폰]]들도 마찬가지라고 한다.] == 기타 == * 한자 문화권인 관계로 한국 시장에서 [[샤오미 Redmi 시리즈|Redmi 시리즈]]와 [[샤오미 Redmi Note 시리즈|Redmi Note 시리즈]]는 각각 중국 시장 정식 표기를 [[한국 한자음|음독]]해서 '홍미 시리즈'와 '홍미노트 시리즈'[* 단, 중국 시장에서 '노트'는 영어로 표기된다. 즉, '红米Note'라 표기한다.]로 표기되는 경우가 많았다. 이는 2018년 7월 이전까지 한국 시장에 [[샤오미 Redmi 시리즈|Redmi 시리즈]]와 [[샤오미 Redmi Note 시리즈|Redmi Note 시리즈]]가 정식으로 출시된 적이 없었기 때문에 공식 표기를 명명한 적이 없었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한국 시장에 정식으로 출시될 때 표기가 어떻게 될지 알 수 없었지만 [[샤오미]] 공식 사이트 표기를 볼 때 글로벌 시장 정식 표기인 'Redmi Note 시리즈'를 따르는 것으로 보인다. 단, [[SK텔레콤]]이나 [[KT]] 등 제조사인 [[샤오미]]가 공인한 판매 사이트에서는 '홍미노트5'라는 표기 역시 병행해서 사용하고 있다. * 한국 시장 공식 사이트가 [[샤오미 Mi MIX|Mi MIX]]나 [[샤오미 Mi A1|Mi A1]]와는 달리 한국 시장에서 [[샤오미]] 스마트폰 총판을 담당[* 바꿔 말하면 [[샤오미]]의 다른 분야를 담당하는 총판도 존재한다. 2018년 7월 기준, 한국 내 [[샤오미]] 총판은 지모비코리아를 포함해서 총 3곳이다. 다만, [[스마트폰]]은 지모비코리아가 전담하고 있다.]하는 [[https://www.g-mobikorea.com/|지모비코리아]]가 아닌 [[샤오미]]가 직접 운영하는 [[https://www.mi.com/kr/|한국 샤오미]]에 개설되었다. 물론, [[샤오미]]의 한국 법인이 별도로 있는 것은 아니고 브랜드 관리를 위해서 운영되고 있는 것이다. 실질적인 판매는 지모비코리아가 담당한다. 이후, 지모비코리아를 통해서도 [[https://www.g-mobikorea.com/redminote5|공식 사이트]]가 개설되었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샤오미 Redmi Note 시리즈, version=347)] [[분류:Redmi Note]][[분류:스마트 디바이스/2017년]]